KR20190086458A -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 Google Patents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458A
KR20190086458A KR1020197014300A KR20197014300A KR20190086458A KR 20190086458 A KR20190086458 A KR 20190086458A KR 1020197014300 A KR1020197014300 A KR 1020197014300A KR 20197014300 A KR20197014300 A KR 20197014300A KR 20190086458 A KR20190086458 A KR 2019008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manual
automatic operation
liquid supply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409B1 (ko
Inventor
신스케 미츠하타
도모히로 다카하시
다카시 와다
도루 다나카
겐지 구스노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83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electrically or electro-mechanically operated

Abstract

수동 액체 공급 장치 (20) 에 부착함으로써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150) 로서, 자동 조작부 (51) 와 수지제의 부착판 (110) 을 구비하고, 부착판은, 이면 (110b) 과 표면 (110a) 과, 이들 표면, 이면을 관통하는 액체 토출부용 개구 (111) 를 갖고, 변환 장치는, 부착판의 표면과 자동 조작부 사이에 끼여 점재하는 스페이서이고, 부착판의 표면과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간극을 생성시키는 스페이서 (120) 를 추가로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본 발명은,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하여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에 관한 것이다.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함으로써, 당해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이미 제안되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구체적으로는 상기 변환 장치는, 예를 들어 수동의 조작 레버를 갖는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하여 당해 수동 맥주 서버에는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고, 조작자는 당해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변환 장치가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자동적으로 맥주를 비어 머그에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239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23943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변환 장치는, 수동 맥주 서버에는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는 설계 사상하에서 개발되어 있다. 그 결과, 출원인의 변환 장치는, 거의 모든 제조업체의 수동 맥주 서버에 장착할 수 있어, 음식점 점원의 맥주 주입 기량에 관계 없이 일정한 품질로 맥주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절대적인 효과와 함께 점원의 노동력 경감 등에도 크게 공헌하고 있다.
한편, 상기 설계 사상에 기인하여 변환 장치는,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한 부착 및 고정용의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고, 이 부착 고정용 구성에서 기인되어 발생하는 극복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변환 장치에는, 아직 개량할 여지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발명은, 더나은 개량을 실시하여, 보다 완성도의 향상을 도모한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는, 수동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액체를 토출 또는 정지시키고 또한 부착면으로부터 돌출된 액체 토출부를 갖는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함으로써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로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수동 조작 부재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자동 조작부와,
상기 자동 조작부와 상기 부착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지제의 부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면하고 상기 부착면에 접하는 이면과, 그 이면에 대향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에 면하는 표면과, 이들 표면, 이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체 토출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액체 토출부용 개구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 사이에 끼여 점재하는 스페이서이고,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간극을 생성시키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변환 장치에 따르면, 부착판의 표면과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구비하였으므로, 부착판의 표면과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는 간극을 생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술한 설계 사상하에서, 기존의 변환 장치에서는,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한 부착 및 고정용의 구성의 하나로서 상기 부착판에 상당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자동 조작부에 상당하는 변환 장치 본체의 접촉 면적을 크게 갖고 있다. 그 결과, 그 접촉 부분에 침입한 맥주에 의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변환 장치 본체의 고착 가능성이 극복점의 하나로 존재한다. 이 극복점에 대한 개량으로서 상기 서술한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부착판의 표면과 자동 조작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켜, 고착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를 수동 맥주 서버에 부착한 상태의 자동 맥주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의 표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스페이서의 배치를 달리한 부착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변환 장치 본체 측에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변환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2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2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에, 도 1 에 나타내는 부착판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수동 맥주 서버의 본체 벽부가 비평탄면인 경우에, 도 1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기존의 수동 맥주 서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기존의 변환 장치를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기존의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의 측면도로, 액체 토출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 는 기존의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기존의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에 부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은 기존의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에 부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기존의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변환 장치 본체를 부착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회피하여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내용은, 청구 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로서 맥주 디스펜서, 요컨대 맥주 서버를 예로 들지만, 맥주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자가 조작할 수 있는 수동 조작 부재를 가지며, 이 수동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대하여 실시형태의 변환 장치는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기존의 변환 장치에 대해서 도 10 ∼ 도 12 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을 실시한다.
「수동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는, 도 10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 (10) 가 종래부터 존재한다. 수동 맥주 서버 (10) 에서는, 「부착면」의 일례에 상당하는 본체 벽부 (5) 로부터 레버 부착부 (3) 를 개재하여 액체 토출부 (1)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음식점 점원 등의 조작자가 조작 레버 (1a) 를 경동 (傾動) 시킴으로써, 비어 머그로의 맥주 및 거품의 토출 및 정지가 가능해진다. 또, 액체 토출부 (1) 는, 세정을 위해 레버 부착부 (3)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도 11 에 나타내는 기존의 변환 장치 (50) 는, 수동 맥주 서버 (10) 측을 가공하지 않고, 수동 맥주 서버 (10) 에 간단히 후장착함으로써, 수동 맥주 서버 (10) 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인 자동 맥주 디스펜서 (70) 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변환 장치 (50) 는, 기본적 구성 부분으로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환 장치 본체 (51), 고정 링 (53) 및 부착 베이스 (55) 를 갖는다. 여기서 변환 장치 본체 (51) 는, 수동 맥주 서버 (10) 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 (1a) 를 자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 부분이다. 또한 고정 링 (53) 및 부착 베이스 (55) 는,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수동 맥주 서버 (10) 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변환 장치 본체 (51) 는, 상부에 레버 조작부 (51a), 하부에 비어 머그 경동부 (51b) 를 갖는다. 레버 조작부 (51a) 는, 내부에 주로 조작 레버 (1a) 의 경동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레버 조작 기구를 갖고 있다. 또한 레버 조작부 (51a) 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레일 (도시 생략) 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비어 머그 경동부 (51b) 는, 하부 커버 (51c) 를 가짐과 함께, 그 내부에 주로 비어 머그 경동 기구를 갖고 있는, 이 비어 머그 경동 기구는, 비어 머그를 재치 (載置) 하는 비어 머그 재치 플레이트 (51d) 를 경동시키는 기구이다.
또, 레버 조작부 (51a) 에 있어서의 레버 조작 기구, 및 비어 머그 경동부 (51b) 에 있어서의 비어 머그 경동 기구는,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2 에 개시되어 있는 각 기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부착 베이스 (55) 는, 금속제의 판재로 구성되고,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변환 장치 본체 (51) 를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고, 베이스 플레이트 (55a) 및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를 갖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55a) 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개구 (55b) 와,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개구 (55b) 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본체 부착 개구 (55d) 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개구 (55b) 는,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고,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레버 부착부 (3) 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개구 (55b) 는, 레버 부착부 (3) 에 부착 베이스 (55) 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이다.
또한 본체 부착 개구 (55d) 는, 변환 장치 본체 (51) 를 부착 베이스 (55) 에 걸어서 부착하기 위한 개구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는, 베이스 플레이트 (55a) 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55a) 로부터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조정할 수 있는 볼트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 벽부 (5) 에 대하여 떠받침으로써, 부착 베이스 (55) 를 레버 부착부 (3) 에 가압하여 부착 베이스 (55) 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한 볼트이다.
고정 링 (53)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착 베이스 (55) 를 레버 부착부 (3) 에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부재로, 2 개의 분할 고정 링 (53a, 53b) 및 분할 고정 링 결합 볼트 (53c) 를 갖는다. 분할 고정 링 (53a, 53b) 은, 각각 반원형으로 2 개 균열의 부재이고, 분할 고정 링 (53a, 53b) 을 분할 고정 링 결합 볼트 (53c) 로 연결함으로써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체화시킴으로써, 중앙부에 고정 링 부착 개구 (53d)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고정 링 (53) 및 부착 베이스 (55) 를 사용하여,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부착 베이스 (55) 를 부착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도 13 ∼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 맥주 서버 (10) 에 있어서의 액체 토출부 (1) 를 분리하고, 레버 부착부 (3) 만이 본체 벽부 (5) 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베이스 (55) 의 베이스 플레이트 부착 개구 (55b) 를 레버 부착부 (3) 에 삽입 통과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 (55a) 를 본체 벽부 (5) 를 따르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부착부 (3) 에 있어서, 캡 너트 (3a) 와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사이에 고정 링 (53) 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부착부 (3) 의 섕크 (3b) (도 13) 를 2 개의 분할 고정 링 (53a, 53b) 사이에 끼우고, 분할 고정 링 결합 볼트 (53c) 로 연결하여, 레버 부착부 (3) 에 고정 링 (53) 을 고정시킨다. 이 때 고정 링 (53) 에 있어서의 고정 링 부착 개구 (53d) 는, 캡 너트 (3a) 보다 작은 직경이므로, 고정 링 (53) 이 레버 부착부 (3) 로부터 탈락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55a) 는,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와 고정 링 (53) 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부착된다.
또한, 부착 베이스 (55) 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를, 베이스 플레이트 (55a) 로부터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측으로 진행되게 회전시킨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 (55a) 는, 고정 링 (53) 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의 선단이 본체 벽부 (5) 에 도달 후에도,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가 버팀 봉과 같이 기능한다. 그 결과,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55a) 는,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확실히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동작에 의해,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고정된 부착 베이스 (55) 에 대하여,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본체 부착 개구 (55d) (도 14) 에, 변환 장치 본체 (51) 의 부착 돌기 (도시 생략) 를 끼워 넣는다. 이로써, 변환 장치 본체 (51) 를 베이스 플레이트 (55a) 에, 나아가서는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해 둔 액체 토출부 (1) 를 레버 부착부 (3) 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레버 조작부 (51a) 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조작 레버 (1a) 가 레버 조작부 (51a) 의 소정 위치에 들어가도록 세팅한다 (도 11).
이것으로 수동 맥주 서버 (10) 가 변환 장치 (50) 에 의해 자동 맥주 디스펜서 (70) 가 된다.
또,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베이스 플레이트 (55a) 를 확실히 고정시키는 수단은, 상기 서술한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버팀 봉과 같은 기능을 하는 가압 수단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변환 장치 (50) 는, 종래부터의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대하여 변환 장치 (50) 를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설계 사상에 기초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 공적으로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제조업체의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하여 변환 장치 (50) 를 장착할 수 있고, 그 자동화를 실시할 수 있다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얻어졌다.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베이스 (55) 에서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와 같은 가압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55a) 를 고정 링 (53) 에 꽉 누름으로써, 수동 맥주 서버 (10) 의 본체 벽부 (5) 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고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와 같은 가압 수단에 의해 떠받치는 지점이 복수 지점에 위치하는 것에 비해, 베이스 플레이트 (55a) 가 눌리는 지점은 고정 링 (53) 의 1 군데이다. 이런 점들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55a) 는, 적어도 가압 (누름 동작) 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고, 변환 장치 (50) 에서는 금속판으로 제작하고 있다. 또한,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55a) 에 있어서의 지지면 (55e) (도 12, 도 15 등) 은, 상기 서술한 가압에 의한 변형도 고려하여, 평탄면으로 제작하고, 변환 장치 본체 (51) 와의 접촉 면적이 가능한 한 커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자동 맥주 디스펜서 (70) 라는 성질상, 예를 들어 맥주를 흘리거나 함으로써, 변환 장치 본체 (51) 에는 맥주가 튀는 경우도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지지면 (55e)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접촉 부분 사이에 맥주가 침입 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침입한 맥주가 말랐을 때에는, 지지면 (55e) 과 변환 장치 본체 (51) 가 고착되어 버릴 가능성도 있고, 변환 장치 (50) 의 메인터넌스 시 등에 문제가 발생하는 일도 우려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압 동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고정을 도모하기 위해, 고정 링 (53) 과,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와 같은 가압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부품 점수가 많아져, 부착 작업 등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히 발생해 버린다.
본 실시형태의 변환 장치는, 이와 같은 기존의 변환 장치 (50) 에서의 극복해야 할 점을 개선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환 장치에서는, 새로운 설계 사상에 기초하여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본 실시형태의 변환 장치를 부착하기 때문에, 수동 맥주 서버 (10) 에 약간의 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점들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 (150) 를 나타내고 있고, 도 2 에는,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변환 장치 (150) 를 부착하여 구성한 자동 액체 공급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변환 장치 (150) 는, 기존의 변환 장치 (50) 와 마찬가지로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수동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는 것은, 도 7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 (20) 이고, 자동 액체 공급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는 것은, 도 2 에 나타내는 자동 맥주 디스펜서 (200) 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 (150) 에서는, 변환 장치 (150) 를 부착하기 위해, 기존의 수동 맥주 서버에 대하여 약간의 가공을 실시한다는 새로운 설계 사상에 기초하여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7 에 나타내는 수동 맥주 서버 (20) 는, 변환 장치 (150) 부착용의 실시형태에서는, 나사 구멍 (21) 을 갖고 있다. 또, 나사 구멍 (21) 은, 후술하는 체결 부재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설계 사상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 (15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환 장치 본체 (51) 와, 부착판 (110) 과, 추가로 스페이서 (120) 를 구비한다. 따라서, 당해 변환 장치 (150) 는, 기존의 변환 장치 (50) 와 비교하여 고정 링 (53) 및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볼트 (55c) (가압 수단) 를 갖지 않고,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 결과, 당해 변환 장치 (150) 는, 기존의 변환 장치 (50) 에 비해서 비용 저감, 부착 작업 시간의 삭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변환 장치 본체 (51), 부착판 (110), 및 스페이서 (120) 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변환 장치 본체 (51) 는, 상기 서술한 변환 장치 (50) 에 구비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고, 도 7 의 수동 맥주 서버 (20) 에 있어서의 수동 조작 부재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자동 조작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따라서, 여기서의 변환 장치 본체 (51) 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변환 장치 본체 (51) 는, 상부에 레버 조작부 (51a), 하부에 비어 머그 경동부 (51b) 를 갖는다. 또, 상기 수동 조작 부재는, 도 7 에 나타내는 액체 토출부 (1) 의 조작 레버 (1a) 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부착판 (110) 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착판 (110) 은, 상기 서술한 변환 장치 (50) 에 구비되는 부착 베이스 (55) 에 대응하는 부재이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 (150) 의 변환 장치 본체 (51) 와 수동 맥주 서버 (20) 에 있어서의 본체 벽부 (5) 의 사이에 위치하고,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수동 맥주 서버 (20) 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또, 본체 벽부 (5) 는, 「부착면」의 일례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 부착판 (110)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을 사용하여 성형된 수지제이고,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벽부 (5) 에 접하며 수동 맥주 서버 (20) 에 면하는 이면 (110b) 과, 이면 (110b) 에 대향하며 변환 장치 본체 (51) 에 면하는 표면 (110a) 과, 이들 표면 (110a), 이면 (110b) 을 관통하여 액체 토출부 (1) 를 삽입 통과시키는 액체 토출부용 개구 (111) 를 갖는다. 또한, 변환 장치 (50) 에 구비되는 부착 베이스 (55) 와 마찬가지로 본체 부착 개구 (55d) 를 갖는다. 또, 본체 부착 개구 (55d) 는, 하기와 같이 변환 장치 본체 (51) 의 베이스판 (51e) 에 돌출 형성된 후크 부재 (51f) 가 끼워 맞춰져 걸어 맞춰지는 구멍 부분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일부를 끝으로 가늘어지게 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부착판 (110) 에서는, 새롭게 체결 부재용 구멍 (112), 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 (113), 래치용 개구 (114), 및 이하에 설명하는 스페이서 (120) 를 갖고 있다.
체결 부재용 구멍 (112) 은,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에 부착판 (110) 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 (130) (도 8)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부착판 (110) 의 네 귀퉁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체결 부재 (130) 의 헤드가 표면 (110a) 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 부재용 구멍 (112) 의 주위는 카운터 보링을 갖는다. 또한, 안정된 부착은 최저 3 군데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체결 부재 (130) 는 적어도 3 개 있으면 된다. 따라서 체결 부재용 구멍 (112) 의 수도 4 개에 한정되지 않고 3 개 이상이면 된다.
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 (113), 바꿔 말하면 도 1 및 도 8 에 나타내는 보강 체결 부재 (131) 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형성되어 있다. 즉, 부착판 (110) 과 변환 장치 본체 (51) 는, 부착판 (110) 의 본체 부착 개구 (55d) 와, 변환 장치 본체 (51) 의 베이스판 (51e) 에 돌출 형성된 후크 부재 (51f) (도 6) 를 걸어 맞춰 부착된다. 예를 들어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사람이 부딪치는, 과잉된 외력이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작용한 경우에도, 이 걸어 맞춤 상태를 보강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판 (110) 을 간단히 관통하여, 변환 장치 본체 (51) 의 레버 조작부 (51a) 와,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를 직접적으로 체결하는 보강 체결 부재 (131) (도 1, 도 8) 를 형성하고 있다. 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 (113) 은, 이 보강 체결 부재 (131) 가 걸어 맞춰지지 않고 관통하는 구멍이다. 또, 보강 체결 부재 (131) 는, 적어도 1 개 형성하면 된다.
또한, 보강 체결 부재 (131) 는, 부착판 (110) 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폭 방향에 있어서 부착판 (110) 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폭 방향에 있어서 부착판 (110) 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2 개의 본체 부착 개구 (55d) 의 중앙에 보강 체결 부재 (131) 는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체 부착 개구 (55d) 의 위치에 관련시켜 보강 체결 부재 (131) 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과잉된 외력이 폭 방향의 좌우 어느 한쪽에서 작용한 경우에도, 부착판 (110) 의 손상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보강 체결 부재 (131) 의 배치 장소는, 상기 서술한 중앙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래치용 개구 (114) 는, 변환 장치 본체 (51) 의 하단에 형성된 래치 클로 (51g) (도 6) 가 걸어 맞춰지는 개구이다.
다음으로, 스페이서 (120) 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페이서 (12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사이에 끼여 점재하고,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사이에 간극 (121) 을 생성시키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 (120) 는,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사이에 적어도 3 개, 점재하면 된다. 적어도 3 개 점재하게 함으로써, 부착판 (110) 에 대해서 변환 장치 본체 (51) 를 덜컹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접하는 스페이서 (120) 의 표면은,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안정 설치를 위해 평탄면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 (120) 는, 도 1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판 (110) 에 있어서 본체 부착 개구 (55d) 및 래치용 개구 (114) 의 주위에 사각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표면 (110a) 으로부터 돌출되어 부착판 (110) 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 부착 개구 (55d) 또한 래치용 개구 (114) 와 함께 스페이서 (120) 를 형성하는 것은, 스페이서 (120) 의 성형상 유리하고, 또한 부착판 (110) 에 대한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설치 안정성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120) 는, 적어도 3 군데에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래치용 개구 (114) 의 주위에는 스페이서 (120)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스페이서 (120) 의 치수는, 그 설치 목적, 즉,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고착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특히, 스페이서 (120) 의 두께는,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사이에 생성되는 간극에, 흘린 액이 체류하기 어려운 크기가 선정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스페이서 (120) 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mm ∼ 3 mm 정도이다. 스페이서 (120) 의 두께가 1 mm 미만이면, 스페이서 (120) 가 생성하는 간극 (121) 에 흘린 액이 체류하기 쉬워지고, 한편, 3 mm 를 초과하면,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설치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또한 부착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스페이서 (120) 의 두께는 2 mm 로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120) 의 치수 관점에서, 스페이서 (120) 와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접촉 면적은, 접촉 부분에 액이 침입하고 건조된 경우에도, 작업자가 부착판 (110) 으로부터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크기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스페이서 (120) 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은, 모든 스페이서 (120) 의 면적을 합계한 경우에,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표면 (110a) 면적의 약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12 이하이다. 전체 스페이서 (120) 의 접촉 면적이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표면 (110a) 의 면적의 약 1/5 를 초과하여 접촉 면적이 커진 경우에는, 부착판 (110) 과 변환 장치 본체 (51) 가 강고하게 고착되어 버려, 부착판 (110) 으로부터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하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전체 스페이서 (120) 의 접촉 면적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전체 스페이서 (120) 의 접촉 면적은, 변환 장치 본체 (51) 의 부착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필요한 크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체 스페이서 (120) 의 접촉 면적의 하한값은, 예를 들어,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표면 (110a) 면적의 약 1/3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0 이상이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120) 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베이스 플레이트 (55a) 의 경우와는 달리,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가 전체면에서 접하는 일은 없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변환 장치 본체 (51) 에 맥주가 튀어, 그 맥주가 말랐을 때에도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가 고착되어 버리는 일은 거의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변환 장치 (150) 의 메인터넌스시 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스페이서 (120) 가 고착 방지라는 기능을 가지므로, 스페이서 (120) 는 「고착 방지 부재」로 바꿔 읽을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 (120) 의 설치 위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부착 개구 (55d) 및 래치용 개구 (114) 의 주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부착판 (110-1) 과 같이 표면 (110a) 에 있어서의 적어도 3 군데에, 표면 (110a) 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해도 된다. 부착판 (110-1) 도 수지제이고, 스페이서 (120) 를 부착판 (110-1) 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120) 의 임의 배치를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맥주가 부착되기 어려운 장소에 대응하여 스페이서 (120) 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변환 장치 본체 (51-1) 와 같이 변환 장치 본체 (51-1) 에 있어서의 베이스판 (51e) 에 있어서의 적어도 3 군데에, 베이스판 (51e) 으로부터 돌출되어 베이스판 (51e) 과 일체적으로 배치해도 된다. 베이스판 (51e) 에 스페이서 (120) 를 형성하는 경우,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어, 가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최저 3 개의 스페이서 (120) 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위에서는 임의인 취지를 서술했지만, 부착판 (110) 에 대한 변환 장치 본체 (51, 51-1) 의 안정성 관점에서 보면, 3 개의 배치 위치는 가능한 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착판 (110) 의 상부에 있어서의 좌, 우 양측에 각각 1 점, 부착판 (110) 의 하부에 있어서의 중앙에 1 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120) 는, 부착판 (110) 및 베이스판 (51e) 과 일체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단체 (單體) 의 스페이서 (120) 를, 부착판 (110) 및 베이스판 (51e) 의 적어도 일방에 부착하는 형태여도 된다.
요컨대, 스페이서 (120) 는,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사이에 간극 (121) 을 생성시키는 것이면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 에서는, 원판 형상의 스페이서 (120) 를 나타내고 있지만, 스페이서 (120) 의 형상은 상관 없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부착판 (110) 의,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에 대한 부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 맥주 서버 (20)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체결 부재용 구멍 (112) 및 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 (113) 에 대응되고, 본체 벽부 (5) 의 5 군데에 나사 구멍 (21) 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액체 토출부 (1) 를 분리하여 레버 부착부 (3) 가 돌출된 상태의 본체 벽부 (5) 에 대하여 부착판 (110) 의 액체 토출부용 개구 (111) 에 레버 부착부 (3) 를 삽입 통과시켜, 부착판 (110) 을 본체 벽부 (5) 에 세팅한다. 그리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판 (110) 의 체결 부재용 구멍 (112) 에, 체결 부재 (130) 의 일례에 상당하는 예를 들어 둥근나사를 나사 결합시켜 단단히 조임으로써, 본체 벽부 (5) 에 부착판 (110) 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맥주 서버 (20) 에 대한 부착판 (110) 의 고정은, 체결 부재 (130) 에 의해 행해지므로, 용이하고 단시간에 또한 강고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 (110) 의 이면 (110b) 의 전체가 본체 벽부 (5) 에 접하여 지지되므로, 부착판 (110)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재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고정시에 부착판 (110) 이 변형되는 것도 전무에 가까우므로, 부착판 (110) 의 표면 (110a) 전체면에서 변환 장치 본체 (51) 를 지지할 필요도 없어진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120) 에 의해 표면 (110a)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사이에 간극 (121) 을 생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환 장치 (150) 의 메인터넌스시 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거의 제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체 토출부 (1) 는, 매일 매일의 세정을 위해 레버 부착부 (3) 에 대하여 착탈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존의 변환 장치 (50) 의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동 맥주 서버 (10) 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 (55a) 를 고정할 때에, 레버 부착부 (3) 및 그 주변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변환 장치 (50) 에서는 액체 토출부 (1) 의 착탈이 번잡해졌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착판 (110) 을 고정할 때에 체결 부재 (130) 가 사용되고, 레버 부착부 (3) 및 그 주변을 사용하는 일은 없어서, 레버 부착부 (3) 로의 액체 토출부 (1) 의 착탈에 대해서도, 기존의 변환 장치 (50) 의 경우에 비해서 용이하고 단시간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체결 부재 (130) 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지만, 나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로부터 전나사, 혹은 스터드 볼트를 돌출시켜 두고, 이것에 체결 부재용 구멍 (112) 을 삽입 통과시켜, 부착판 (110) 측에서 너트로 부착판 (110) 의 고정을 행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에 부착판 (110) 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 후, 부착판 (110) 의 본체 부착 개구 (55d) 에,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있어서의 후크 부재 (51f) 를 걸어 맞추고, 변환 장치 본체 (51) 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있어서의 래치 클로 (51g) 를 부착판 (110) 의 래치용 개구 (114) 에 걸어 맞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있어서의 레버 조작부 (51a) 와,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를 연결하기 위해서, 레버 조작부 (51a) 측으로부터 보강 체결 부재 (131) 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 보강 체결 부재 (131) 에 의해 변환 장치 본체 (51) 는, 부착판 (110) 을 개재하여 수동 맥주 서버 (20) 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수동 맥주 서버 (20) 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사람이 부딪치는, 과잉된 외력이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작용한 경우에도, 부착판 (110) 과 변환 장치 본체 (51) 의 후크 부재 (51f) (도 6) 를 걸어 맞추고 있는, 부착판 (110) 에 있어서의 본체 부착 개구 (55d) 의 손상 방지,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변환 장치 (150) 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 본체 (51) 에 의한 맥주 공급 동작은, 기존의 변환 장치 (50) 의 경우에 동일하고,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맥주 서버 (20) 의 본체 벽부 (5) 는 평탄면이고, 평판 형상인 부착판 (110) 을 그대로 본체 벽부 (5) 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수동 맥주 서버 (20) 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벽부 (5) 가 비평탄면인, 예를 들어 곡면인 것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부착판 (110) 의 이면 (110b) 과 곡면의 본체 벽부 (5) 의 사이에, 이면 (110b) 과 곡면의 본체 벽부 (5) 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받침대 부재 (140) 를 이면 (110b) 에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 부재 (140) 는, 본체 벽부 (5) 에 대한 부착판 (110) 의 확실한 고정을 도모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금속재, 수지재 등을 사용한다.
또, 상기 다양한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이상,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2016년 11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No. 일본 특허출원 2016-230765호의 명세서, 도면, 특허 청구 범위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의 전부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 내에 편입되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하여,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액체 토출부
1a…조작 레버
5…본체 벽부
20…수동 맥주 서버
51…변환 장치 본체
55d…본체 부착 개구
110…부착판
110a…표면
110b…이면
111…액체 토출부용 개구
112…체결 부재용 구멍
113…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
120…스페이서
121…간극
130…체결 부재
131…보강 체결 부재
140…받침대 부재
150…변환 장치

Claims (9)

  1. 수동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액체를 토출 또는 정지시키고 또한 부착면으로부터 돌출된 액체 토출부를 갖는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함으로써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로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수동 조작 부재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자동 조작부와,
    상기 자동 조작부와 상기 부착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지제의 부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면하고 상기 부착면에 접하는 이면과, 그 이면에 대향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에 면하는 표면과, 이들 표면, 이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체 토출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액체 토출부용 개구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 사이에 끼여 점재하는 스페이서이고,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간극을 생성시키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상태인, 변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상기 자동 조작부를 장착하기 위한 본체 부착 개구를 갖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부착 개구의 주위에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태인, 변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자동 조작부에 형성되고 상기 자동 조작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태인, 변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액체 공급 장치의 상기 부착면과 상기 부착판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체결 부재용 구멍을 갖는, 변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수동 액체 공급 장치의 상기 부착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를 체결하는 보강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보강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보강 체결 부재용 구멍을 추가로 갖는, 변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은 평판이고,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부착면이 비평탄면인 상태에 있어서, 평탄한 상기 이면에는, 상기 비평탄면과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받침대 부재를 갖는, 변환 장치.
  8. 수동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액체를 토출 또는 정지시키고 또한 부착면으로부터 돌출된 액체 토출부를 갖는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부착함으로써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로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수동 조작 부재를 자동적으로 조작하는 자동 조작부와,
    상기 자동 조작부와 상기 부착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지제의 부착판과,
    상기 부착면에 상기 부착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는, 상기 체결 부재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를 갖고,
    상기 부착판은,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면하고 상기 부착면에 접하는 이면과, 그 이면에 대향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에 면하는 표면과, 이들 표면, 이면을 관통하여 상기 액체 토출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액체 토출부용 개구를 갖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 사이에 끼여 점재하는 스페이서이고,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간극을 생성시키는 스페이서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9.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이고,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부착면과 상기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부착면에 고정되고 상기 자동 조작부를 상기 부착면에 부착하기 위한 수지제의 부착판으로,
    상기 수동 액체 공급 장치에 면하고 상기 부착면에 접하는 이면과,
    그 이면에 대향하며 상기 자동 조작부에 면하는 면과,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 사이에 끼여 점재하고, 상기 표면과 일체 성형되고, 상기 표면과 상기 자동 조작부의 사이에 간극을 생성시키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판.
KR1020197014300A 2016-11-29 2017-09-08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KR102382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0765 2016-11-29
JP2016230765A JP6713123B2 (ja) 2016-11-29 2016-11-29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該変換装置に備わる取付板
PCT/JP2017/032401 WO2018100827A1 (ja) 2016-11-29 2017-09-08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該変換装置に備わる取付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458A true KR20190086458A (ko) 2019-07-22
KR102382409B1 KR102382409B1 (ko) 2022-04-01

Family

ID=6224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300A KR102382409B1 (ko) 2016-11-29 2017-09-08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174147B2 (ko)
EP (1) EP3549904B1 (ko)
JP (1) JP6713123B2 (ko)
KR (1) KR102382409B1 (ko)
CN (1) CN110225878B (ko)
AU (1) AU2017370288B2 (ko)
CA (1) CA3045271A1 (ko)
ES (1) ES2873387T3 (ko)
HU (1) HUE055538T2 (ko)
RU (1) RU2729300C1 (ko)
WO (1) WO2018100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2387S1 (en) * 2019-10-03 2023-10-24 Marietta Corporation Bottle and a mount assembly
USD988878S1 (en) * 2021-07-06 2023-06-13 Marietta Corporation Bottle and mount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1973A1 (en) * 2005-03-08 2006-09-14 Ecolab Inc. Foot activated dispenser
US20060243762A1 (en) * 2005-01-10 2006-11-02 Hyso Technology Llc Controllable door handle sanitizer system and method
US20080283556A1 (en) * 2007-05-16 2008-11-20 David Snodgrass Keyed dispensing cartridge system
JP2014223942A (ja) 2013-04-16 2014-12-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
JP2014223943A (ja) 2013-04-16 2014-12-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05B2 (ja) 1977-05-14 1984-04-11 松下電工株式会社 合成樹脂板の凸部成形方法
JPS60186092A (ja) 1984-03-06 1985-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制御装置
US4986449A (en) * 1988-08-12 1991-01-22 Automatic Bar Controls,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2960590B2 (ja) * 1991-09-27 1999-10-06 東芝機械株式会社 発泡飲料の自動定量注出装置
US5505340A (en) * 1994-08-19 1996-04-09 Mcbride, Jr.; Glenie W. Apparatus for discharging a controlled quantity of a hair care preparation
JPH0948498A (ja) * 1995-08-04 1997-02-18 Hayakawa Sanki Kk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JP3094206B2 (ja) * 1995-11-08 2000-10-03 株式会社鴨下精衡所 飲料品用ディスペンサーの注出自動化装置
US6131773A (en) * 1998-12-30 2000-10-17 Steris Inc Mount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a soap dispenser
EP1153564A1 (de) * 2000-05-08 2001-11-14 Manuel Weiser Spendevorrichtung für fliessfähiges Gut
JP3699340B2 (ja) 2000-07-17 2005-09-2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US6543651B2 (en) * 2000-12-19 2003-04-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f-contained viscous liquid dispenser
US7086568B1 (en) * 2003-08-15 2006-08-08 Everett Cheek Toothpaste dispenser
JP2005263265A (ja) * 2004-03-18 2005-09-2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注出装置
US7845520B2 (en) * 2005-03-15 2010-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unting plate and kit to provide water resistance for a dispenser
JP4497375B2 (ja) * 2005-09-29 2010-07-0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GB2444718B (en) * 2006-12-11 2009-07-15 Oliver Browne-Wilkinson Liquid dispensing devices
JP5027574B2 (ja) * 2007-06-29 2012-09-19 株式会社ニットク 操作レバー自動化ユニット
US20100096396A1 (en) * 2008-10-17 2010-04-22 Thomas Steven Doig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s
US8348101B2 (en) * 2009-04-02 2013-01-08 Gojo Industries, Inc. Locking dispenser
US7883065B2 (en) * 2009-06-16 2011-02-08 Bogen Communications, Inc. Mounting bracket
US8733597B2 (en) * 2010-11-05 2014-05-27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Llc Liquid dispenser
US8590751B2 (en) * 2011-03-07 2013-11-26 Gojo Industries, Inc. Utility panel for a dispenser
FR3008849B1 (fr) * 2013-07-24 2015-07-31 Lesaffre & Cie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evure en boulangerie et systeme de distribution de levure en boulangerie
JP2016117500A (ja) * 2014-12-18 2016-06-3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EP3270745A1 (en) * 2015-03-17 2018-01-24 Illycaffe' S.p.A. con Unico Socio Automated device to prepare beverages from cartridg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3762A1 (en) * 2005-01-10 2006-11-02 Hyso Technology Llc Controllable door handle sanitizer system and method
US20060201973A1 (en) * 2005-03-08 2006-09-14 Ecolab Inc. Foot activated dispenser
US20080283556A1 (en) * 2007-05-16 2008-11-20 David Snodgrass Keyed dispensing cartridge system
JP2014223942A (ja) 2013-04-16 2014-12-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
JP2014223943A (ja) 2013-04-16 2014-12-0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手動液体供給装置を自動液体供給装置に変換する変換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5271A1 (en) 2018-06-07
WO2018100827A1 (ja) 2018-06-07
US11174147B2 (en) 2021-11-16
AU2017370288A1 (en) 2019-06-13
EP3549904A1 (en) 2019-10-09
JP2018087026A (ja) 2018-06-07
RU2729300C1 (ru) 2020-08-05
AU2017370288B2 (en) 2021-11-25
CN110225878A (zh) 2019-09-10
JP6713123B2 (ja) 2020-06-24
HUE055538T2 (hu) 2021-12-28
KR102382409B1 (ko) 2022-04-01
US20210114859A1 (en) 2021-04-22
EP3549904A4 (en) 2020-07-01
ES2873387T3 (es) 2021-11-03
EP3549904B1 (en) 2021-04-14
CN110225878B (zh)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6458A (ko)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JP201311214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EP2492177A1 (en) Bicycle handlebar stem assembly
JP4943113B2 (ja) 肘掛け装置付き椅子
KR101125445B1 (ko) 차량의 카매트 고정 구조
WO2005029176A1 (ja) 映写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JP4206114B2 (ja) 背もたれの迅速連結装置を備えた椅子
JP3161076U (ja) 台車用ストッパー装置
KR970027395A (ko) 방적기계의 래핏
JP2023506361A (ja) ミクロトーム用ブレードクランプ装置
KR101655755B1 (ko) 거치장치
JP7112174B2 (ja) 台車
WO2017022763A1 (ja) 椅子の支柱と座受けの結合構造及びその結合構造を備える椅子
JP6446720B2 (ja) 棚用取付け部材
JP3558329B2 (ja) 収納家具における前傾防止構造
CN110239402B (zh) 带有驾驶员舱的地面运输工具
JP4652839B2 (ja) テ−ブル等のストッパ装置
JP6555970B2 (ja) 椅子の支柱と座受けの結合構造及びその結合構造を備える椅子
JPH0626273Y2 (ja) スタンド型あんま装置
JPH07246127A (ja) 椅子の肘当取付装置
JP2016131853A (ja) 什器
US721511A (en) Bicycle-rest.
JP3165389U (ja) パチンコ椅子支柱の座部支持構造
JP2780955B2 (ja) テーブル等の連結装置
JP201323382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