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55B1 -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55B1
KR101655755B1 KR1020130124573A KR20130124573A KR101655755B1 KR 101655755 B1 KR101655755 B1 KR 101655755B1 KR 1020130124573 A KR1020130124573 A KR 1020130124573A KR 20130124573 A KR20130124573 A KR 20130124573A KR 101655755 B1 KR101655755 B1 KR 10165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operation body
hinge
mounting device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93A (ko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김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규 filed Critical 김춘규
Priority to KR102013012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40Pan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개선하여 설치 및 교체 등이 손쉽도록 하고, 가이드봉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필요할 경우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 과정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한 손만으로도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손사용에 따른 번거로움도 해소하고 협소한 지점에서도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치장치{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일측에 거치물품을 가이드봉 상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치물품의 위치조절 기능을 갖는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봉 과의 결합 및 분리 구조를 간소화시켜 위치조절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 사용되는 샤워 장치는 벽체에 별도의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가이드봉에 샤워기 헤드 거치구나 비누 받침대 등의 거치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거치장치는 대부분 두개의 체결부재가 가이드봉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 등을 통해 상호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가이드봉이 거치장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레버나 볼트 등의 부재가 회전하여 가이드봉 둘레면을 가압함에 따라 가이드봉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회전되면 가압력이 해제되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치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위치조절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 상 위치조절이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볼트나 레버를 회전시켜 가이드봉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야 하고, 위치조절 후 다시 볼트 또는 레버를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 상 한손으로 볼트나 레버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한손으로는 거치장치 전체를 잡아 받치고 있어야만 가이드봉과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거치장치가 낙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양손 사용에 따른 번거로움이 수반됨은 물론 설치지점 주변이 협소할 경우 작업이 어려움이 따르는 불편함도 수반된다.
즉 기존의 거치장치는 위치조절을 위한 결합 및 결합해제 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특히 가이드봉이 관통되어진 구조의 종래 거치장치는 가이드봉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봉으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만약 거치장치의 파손등에 의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불가피하게 가이드봉까지 벽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0621호(2010.10.1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개선하여 설치 및 교체 등이 손쉽도록 하고, 가이드봉에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필요할 경우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 과정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한 손만으로도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양손사용에 따른 번거로움도 해소하고 협소한 지점에서도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의 둘레면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고 측부에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 상기 가이드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면 중 상기 체결부에 의해 감싸여진 구간을 제외한 구간을 둘러싸고 있으며 측부에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부가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작동본체, 상기 작동부와 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고 피 거치물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가압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가이드봉의 표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작동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그 아래쪽 구간의 후측면이 상기 작동본체와 간격을두고 마주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는 면의 상단지점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외경곡률 이상의 곡률을 갖는 홈 형태의 이동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도홈은 상기 작동본체가 상기 제1, 2힌지부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본체와 상기 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는 제1보조체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측부에는 상기 제1보조체결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보조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조체결부는 일정깊이로 이루어진 홈 형태이고, 상기 제2보조체결부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보조체결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부는 일정깊이의 레일 형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의 끼움공 및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면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단부 측벽면에는 외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부의 전측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작동본체와 체결부가 가이드봉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순히 작동본체가 제1, 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결합상태가 해제됨으로,
기존에 비해 거치장치와 가이드봉 간의 체결해제 구조가 간소해지고 손쉬워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작동본체와 체결부가 가이드봉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봉과의 결합해제를 위해 작동본체가 위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이동유도홈이 가이드봉의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위치되되 이동유도홈의 곡률이 가이드봉의 둘레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호간의 마찰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작동본체가 원할하게 회동 가능함은 물론, 회동 상태에서 작동본체 및 체결부가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보조체결부 및 제2보조체결부에 의해 작동본체와 체결부 간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보조체결부가 곡면 형태의 홈 형태이고 제2보조체결부가 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돌기 형태이므로, 작동본체를 위쪽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보조체결부가 제1보조체결부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됨에 따라 체결부와 작동본체 간 견고한 결합 및 원활한 분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체결부와 작동본체 간 결합 과정에서 제2힌지부가 제1힌지부의 슬라이딩홈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끼움공에 삽입되므로, 제2힌지부가 끼움공에 원활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힌지부가 슬라이딩홈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2힌지부의 제2경사면과 슬라이딩홈의 제1경사면에 의해 최초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결합사시도
도3은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4는 도3의 평단면도
도5는 작동본체가 회동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6은 제1, 2밀착부재가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거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체결부(100)와 작동부(200) 및 설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체결부(100)는 후술할 작동부(200)와 더불어 거치장치를 가이드봉(1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단부가 개방된 일정길이를 갖는 관 형태이되 일측이 상단부터 하단까지 개방된 제1개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삽입홈(12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홈(120)은 설치될 가이드봉(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제1개방부(110)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100)의 외부면 중 제1개방부(110) 양측지점에는 후술할 작동본체(210)와의 결합 및 회동을 위한 제1힌지부(130)가 형성된다.
제1힌지부(130)는 체결부(100)의 양측면 중 제1개방부(110)를 향하는 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방향을 향해 일정깊이 및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홈(13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홈(132)의 후측단부에 끼움공(13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끼움공(136)의 내부는 슬라이딩홈(132)의 내부와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딩홈(132)의 일측벽면에는 후술할 작동본체(21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힌지부(214)의 최초 삽입이 원할하도록 하기 위한 제1경사면(134)이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경사면(134)은 양 슬라이딩홈(132)중 서로 마주하는 면의 제1개방부쪽 단부에 형성되되, 각각 제1개방부(110)쪽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부(100)의 양측면 중 제1힌지부(130)의 아래쪽 하단지점에는 후술할 작동부(200)와의 결합상태 유지 기능을 위한 체1보조체결부(100)가 형성되는데, 제1보조체결부(140)는 체결부(10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돔 형태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1보조체결부(140)는 표면이 볼록하게 곡면처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체결부(100)는 상하 고정설치된 가이드봉(10)의 둘레면 중 일측 절반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가이드봉(10)의 일측 구간이 체결부(100)의 제1개방부(110)를 통해 삽입홈(120)에 끼워진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삽입홈(120)의 벽면이 가이드봉(10)의 외부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호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이드봉(10)이 삽입홈(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삽입홈(120)의 내부면 전체가 가이드봉(10)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감싼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삽입홈(120)의 내부면에 고무 재질 등의 제1밀착부재(150)를 형성시켜 가이드봉(10)과의 밀착력 및 마찰력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삽입홈(120) 내부면과의 밀착만을 통해 충분하다면 제1밀착부재(150)는 얼마든지 생략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체결부(100)자체를 고무 등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제작하여 마찰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부(100)에는 작동부(200)가 연결된다.
작동부(200)는 체결부(100)와 더불어 거치장치를 가이드봉에 체결시키는 역할은 물론 체결해제 기능 및 후술할 설치부(30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다시 작동본체(210)와 가압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작동본체(210)는 작동부(200)의 케이싱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봉(10)을 사이에 두고 체결부(100)와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블록 형태이고 체결부(100)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어 제2개방부(2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개방부(212)의 좌우 폭은 체결부(100) 중 양 제1힌지부(130)가 형성된 양측면 간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호 간 결합 시 체결부(100)의 양측부가 제2개방부(212) 내로 삽입되어 제2개방부(212) 양쪽 내측면이 체결부(100)의 양쪽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개방부(212) 양쪽 내측면에는 체결부(100)와 작동본체(210) 간 연결 및 작동본체(210)의 상하 회동을 위한 제2힌지부(214)가 형성되는데, 제2힌지부(214)는 체결부(100)의 끼움공(136)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돌기 형태이고 서로를 향해 대칭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힌지부(214) 중 상호 마주하는 면의 전측 테두리에는 체결부(100)의 제1경사면(134)과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면(215)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2힌지부(214)까지 형성된 작동본체(210)에는 가압부재(220)가 설치된다.
가압부재(220)는 작동본체(210)가 체결부(100)와 더불어 가이드봉(10)의 둘레면을 감싼 상태에 가이드봉(10) 표면에 가압력을 가하여 거치장치의 위치고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 형태이고 작동본체(210) 중 체결부(100)와 마주하는 면에 위치되되 상단부가 작동본체(210)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후측면이 작동본체(210)와 전후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20)는 외부힘이 가해졌을 때 작동본체(210)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약간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연결지점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전측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가압부재(220)는 전측면, 즉 체결부(100)와 마주하는 면이 가이드봉(10)의 둘레면 곡률과 거의 동일한 곡률의 곡면으로 이루어져 가압부재(220)의 전측면 전체가 가이드봉(10)에 밀착되도록 하여 가압력 전달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물론 가압부재(220)의 전측면 형태는 반드시 곡면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발휘되는 탄성력 정도 또는 가이드봉(10)의 표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더불어 가압부재(220)가 하단으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전측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가 되도록 하여 가이드봉(1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후측으로 밀려 전측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가압부재(220) 중 가이드봉(10)과 밀착되는 면 상에 별도의 제2밀착부재(222)를 형성시켜 상호간 밀착력을 높이도록 할 수도 있는데, 밀착부재는 고무 등 자체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 패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가압부재(220)가 형성된 작동본체(210)에는 이동유도홈(230)이 형성된다.
이동유도홈(230)은 작동본체(210)가 체결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힌지부(130) 및 제2힌지부(214)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가이드봉(10)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작동본체(210)와 가이드봉(10) 간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하여 거치장치 전체의 이동이 원활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본체(210)의 상단면 중 가압부재(220)의 상단부와 작동본체(210)간 연결지점 상에 곡면을 이루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유도홈(230)의 곡률은 가이드봉(10)의 곡률보다 크게 하여 [도 5]와 같이 작동본체(210)가 제1힌지부(130) 및 제2힌지부(214)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이동유도홈(230)이 가이드봉(10)의 둘레면을 감싼 상태가 되었을 때 둘레면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동본체(21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부재(220)의 상단부가 회동하였을 때 중 가압부재(220)가 위치한 면의 상단부가 가이드봉(10) 표면에 접촉되어 회동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회동이 완료된 후 거치장치 전체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봉(1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이동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유도홈(230)는 반드시 곡면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봉(10)의 둘레면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유도홈(230)까지 형성된 작동본체(210)에는 제2보조체결부(240)가 형성된다.
제2보조체결부(240)는 체결부(100)의 제1보조체결부(140)와 더불어 작동본체(210)와 체결부(100) 간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작동본체(210)의 제2개방부(212) 양측 내면 중 제1체결부(100)와 동일선상의 지점에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보조체결부(240)는 곡면간 결합과정에서 체결부(100)의 제1보조체결부(140)와원활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내부면이 곡면처리된다.
즉 제1보조체결부(140)와 제2보조체결부(240)가 모두 외부면이 곡면처리됨에 따라 제1보조체결부(140)가 제2보조체결부(24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본체(210)를 강제로 회동시키면 제2보조체결부(240)가 제1보조체결부(140)의 곡면을 타고넘어 원활히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작동부(200)에는 설치부(300)가 설치된다.
설치부(300)는 비누 등 욕실용품이나 기타 거치시키고자 하는 거치대상물이 안착되어 거치되는 부분으로, 판재 형태이고 상부면에 거치대상물이 안착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일측이 작동본체(210)에 연결되어 추후 작동본체(210)와 체결부(100)의 이동 시 함께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설치부(300)가 비누받침대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치부(300)가 작동본체(21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설치부는 체결부(100)에 연결되거나 작동본체(210) 및 체결부(100)에 동시 연결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체결부(100)의 삽입홈(120)에 가이드봉(10)의 둘레면 일측을 삽입시켜 체결부(100)가 가이드봉(10)의 일측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부(200)를 가이드봉(10)의 반대쪽에 위치시키고 가이드봉(10)의 반대쪽 둘레면이 작동본체(210)의 제2개방부(212)를 통해 작동본체(21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 2] 및 [도 4]와 같이 작동본체(210)의 양측부가 체결부(100)의 양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본체(210)의 양 제2힌지부(214)가 체결부(100)의 슬라이딩홈(13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제2경사면(215)이 슬라이딩홈(132)의 제1경사면(134)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2힌지부(214)가 최초 슬라이딩홈(132) 내에 원활히 삽입된다.
이렇게 제2힌지부(214)가 슬라이딩홈(132)의 경로를 따라 직선이동된 후 된 후 끼움공(136)에 삽입된다.
따라서 작동본체(210)와 체결부(100)가 동시에 가이드봉(10)의 둘레면을 둘러싼 상태가 되고, 작동본체(210)는 제1힌지부(130) 및 제2힌지부(214)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100)의 제1보조체결부(140)가 작동본체(210)의 제2보조체결부(240)에 삽입됨에 따라 작동본체(210)와 체결부(100)가 상호 완전히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본체(210)가 원치 않게 회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단순히 제1, 2힌지부 간 끼움구조와 제1, 2보조체결부 간 끼움구조만을 통해 체결부(100)와 작동본체(210) 간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기존에 비해 설치 및 분리가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본체(210)의 가압부재(220)가 가이드봉(10)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가압부재(220)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가이드봉쪽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이 작용됨에 따라 작동본체(210)의 둘레면을 가압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거치장치 전체가 가이드봉(10) 상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더불어 제1밀착부재(150)와 제2밀착부재(222)가 구비될 경우 각자 갖고 있는 마찰력에 의해 작동본체(210) 및 체결부(100)의 위치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설치부(300)에 거치대상물을 안착시켜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한다.
그 후 만약 거치장치의 위치이동이 필요할 경우,
[도 5]와 같이 손으로 작동본체(210)의 하단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작동본체(210)와 가압부재(220) 및 설치부(300)가 제1힌지부(130) 및 제2힌지부(21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2보조체결부(240)가 제1보조체결부(140)의 곡면부를 타고 넘어 상호간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동본체(210)와 체결부(100)의 하단부 간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압부재(220)도 작동본체(210)와 함께 회동하므로 함께 회동되므로 가이드봉(10)에 가해지던 가압력도 해제된다.
이렇게 작동본체(210)가 회동하여 하단부가 들어 올려지면 작동본체(210)의 상단부중 가압부재(220)와의 연결지점이 가이드봉(10)의 둘레면에 접촉되려 하는데, 이때 해당지점에는 이동유도홈(2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유도홈(230)이 가이드봉(10)의 둘레면을 둘러싼 상태가 되고, 더구나 이동유도홈(230)의 곡률이 가이드봉(10)의 곡률보다 크기 때문에 이동유도홈(230)과 가이드봉(10) 둘레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본체(210)의 회동 과정에서 상단부가 가이드봉에 접촉되어 회동이 방해되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게 되고 이동유도홈(230)과 가이드봉(10) 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작동본체(210) 및 체결부(100)가 가이드봉(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거치장치의 위치를 조절한 뒤 작동본체(210)를 반대로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가압부재(220)가 다시 가이드봉(10)의 표면을 가압하게됨과 동시에 제1보조체결부(140) 및 제2보조체결부(240)간 결합에 의해 가압부재(220)와 체결부(100) 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단순히 작동본체(210)의 상하 회동만을 통해 가이드봉과 거치장치 간 결합 및 결합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거치장치의 위치조절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단순히 한손만으로 작동본체(210)를 잡고 회동시키면 되므로 양손이 모두 사용되어야만 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작업이 손쉬워진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작동본체와 체결부가 가이드봉의 둘레면 양측을 동시에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본체가 힌지를 통해 상하회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봉과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거치장치의 작동구조가 간소해지고 결국 위치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 : 가이드봉
100 : 체결부 110 : 제1개방부
120 : 삽입홈 130 : 제1힌지부
132 : 슬라이딩홈 134 : 제1경사면
136 : 끼움공 140 : 제1보조체결부
150 : 제1밀착부재 200 : 작동부
210 : 작동본체 212 : 제2개방부
214 : 제2힌지부 215 : 제2경사면
220 : 가압부재 222 : 제2밀착부재
230 : 이동유도홈 240 : 제2보조체결부
300 : 설치부

Claims (8)

  1. 일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의 둘레면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고 측부에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
    상기 가이드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면 중 상기 체결부에 의해 감싸여진 구간을 제외한 구간을 둘러싸고 있으며 측부에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부가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부 및 상기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봉의 설치 방향에 따라 상하 회동 가능한 작동본체; 및
    상기 작동본체와 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고 피 거치물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힌지부는 일정깊이의 레일 형태로 이루어진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의 끼움공 및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면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단부 측벽면에는 외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부의 전측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가압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가이드봉의 표면을 가압하고 있는
    거치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작동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그 아래쪽 구간의 후측면이 상기 작동본체와 간격을두고 마주한 상태로 위치하는
    거치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작동본체 중 상기 체결부와 마주하는 면의 상단지점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외경곡률 이상의 곡률을 갖는 홈 형태의 이동유도홈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이동유도홈은,
    상기 작동본체가 상기 제1, 2힌지부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가이드봉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는
    거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작동본체와 상기 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는 제1보조체결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측부에는 상기 제1보조체결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보조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보조체결부는 일정깊이로 이루어진 홈 형태이고,
    상기 제2보조체결부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보조체결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삽입되어 있는 돌기 형태인
    거치장치.







  8. 삭제
KR1020130124573A 2013-10-18 2013-10-18 거치장치 KR10165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73A KR101655755B1 (ko) 2013-10-18 2013-10-18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73A KR101655755B1 (ko) 2013-10-18 2013-10-18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93A KR20150045193A (ko) 2015-04-28
KR101655755B1 true KR101655755B1 (ko) 2016-09-08

Family

ID=5303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73A KR101655755B1 (ko) 2013-10-18 2013-10-18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15Y1 (ko) * 2017-03-30 2018-07-12 김세현 선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574B1 (ko) 2004-09-16 2005-11-02 허명근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
KR100909253B1 (ko) 2008-09-09 2009-07-27 홍석범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JP2011101702A (ja) 2009-11-10 2011-05-26 Ilc Kk 支柱棒用係着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21Y1 (ko) 2009-08-21 2010-10-18 홍기 높낮이 조절과 샤워헤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574B1 (ko) 2004-09-16 2005-11-02 허명근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
KR100909253B1 (ko) 2008-09-09 2009-07-27 홍석범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JP2011101702A (ja) 2009-11-10 2011-05-26 Ilc Kk 支柱棒用係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93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54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를 위한 스탠드 구조
US5704080A (en) Shower support bracket
EP1371306A2 (en) Telescopic member, cylindrical body and molded body
JP4678622B2 (ja) 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020775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FR3040131A1 (fr) Dispositif a ouverture rapide par pression unique d'un couvercle de toilette
KR101655755B1 (ko) 거치장치
JP3191956U (ja) フック装置
US10131185B1 (en) Removable casters
JP4741021B2 (ja) モデルヘッドの支持具
JP4906574B2 (ja) 可動式シャワーフック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JP2021506492A (ja) 引出用のレールストラット
KR101258675B1 (ko) 행거용 길이 조절수단
JP5912555B2 (ja) 2つの部品を結合するための機構、その機構ための取付部材、及びその機構を備える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
JPWO2018230143A1 (ja) 受け具
WO2012165463A1 (ja) 椅子の脚柱への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JP6765709B2 (ja) 昇降装置
JP2013019152A (ja) シャワーノズル受け装置
KR20190086458A (ko) 수동 액체 공급 장치를 자동 액체 공급 장치로 변환시키는 변환 장치, 및 그 변환 장치에 구비되는 부착판
JPH09225154A (ja) 交換刃を持つナイフ
ITBZ980001U1 (it) Guarnitura per mobili
JP4304044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2110276B1 (ko) 볼 부재를 이용한 받침틀
JP4373184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