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31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31B1
KR102077531B1 KR1020170155179A KR20170155179A KR102077531B1 KR 102077531 B1 KR102077531 B1 KR 102077531B1 KR 1020170155179 A KR1020170155179 A KR 1020170155179A KR 20170155179 A KR20170155179 A KR 20170155179A KR 102077531 B1 KR102077531 B1 KR 10207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frame
fastening groove
fram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809A (ko
Inventor
정영호
고경돈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7015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의 양쪽에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이 서로 이격져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세로프레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세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결합되었을 때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제1결합구;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체결홈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세로프레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세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결합되었을 때 지지프레임을 상하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제2결합구; 상기 제1결합구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세로프레임에 고정하는 제1나사; 상기 제2결합구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기 세로프레임에 고정하는 제2나사;로 구성되어, 선반을 조립할 때, 선반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위치 및 수납공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선반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Height Adjustable Shelf}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을 조립할 때, 선반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립식 선반은 소품을 전시하거나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쪽에 세로프레임을 세우고 세로프레임에 소품이 얹혀지는 선반부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식 선반은 최근에 선반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낮이의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0194호에 개시된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110)을 소정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12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이동홈(110)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개구부(120)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나사체결구멍(211)이 형성된 고정편(200)과, 지지프레임(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지지부(31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에는 고정구(320)를 통하여 상기 고정편(200)과 체결되는 관통구멍(31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고정돌기(33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300)와,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와 결합되는 설치홈(41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선반(6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4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330)에 끼워지는 안착홈(430)이 형성된 선반지지부재(400)와, 상기 선반지지부재(400)에 형성된 설치홈(410)에 끼워지는 체결부(5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선반지지부재(400)와 결합된 선반(6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520)이 형성된 가압커버부재(500)로 구성되어, 고정구(320)와 고정편(200)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300)를 지지프레임(100)의 이동홈(110)에 결합하여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부재(300)를 상, 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선반지지부재(400)를 슬라이드부재(300)에 결합하고 선반(600)을 선반지지부재(400)에 결합하여 선반(6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반의 구조는 선반지지부재(400)와 슬라이드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0)에 선반지지부재(400)의 안착홈(430)을 끼워넣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을 사용하면 선반을 분해 및 조립할 때 간편한 점은 있지만, 조립이 완료된 선반에 하측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선반지지부재(400)와 슬라이드부재(30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분해되어 선반(600)과 지지프레임(100)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270194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가 세로프레임에 직교한 상태에서 선반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즉 지면에 수평으로 선반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조립시 선반부를 임의의 높이에 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조립방식을 쉽고 간편함과 동시에, 선반부와 프레임 간의 조립이 견고하게 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는, 측면의 양쪽에 제1체결홈과 제2체결홈이 서로 이격져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가 상기 세로프레임의 임의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부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로프레임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제1체결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구;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기 제2체결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구;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끼워진 상기 제1결합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제1나사;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끼워진 상기 제2결합구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제2나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세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조립할 때, 조립된 부품들이 나사를 조이기 전에는 세로프레임의 체결홈을 따라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임의로 선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 및 수납위치의 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가 세로프레임에 직교한 상태에서 선반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즉 지면에 수평으로 선반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종래와 같은 가압커버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치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중앙마감부재를 끼울수 있으므로 조립의 간편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프레임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체결홈에 각각 끼워지는 제1 및 제2결합구를 세로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가고정시키도록 하여 세로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의 편리성을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체결수단이 결합된 지지프레임을 선반부의 양측면에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체결수단, 지지프레임, 선반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요부의 모습을 확대도시한 부분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품을 전시 또는 보관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 선반부(20), 지지프레임(30), 제1결합구(40), 제2결합구(50), 제1나사(60), 제2나사(70)를 구비한다.
상기 세로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양측에 위치하여 선반(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단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면에는 제1체결홈(11)과 제2체결홈(12)이 서로 이격져서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홈(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의 일면에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결합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프레임(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0)이 접하게 될 면에 걸림턱(11a)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결합구(40)가 지지프레임(30)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체결홈(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의 일면에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2결합구(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프레임(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0)이 접하게 될 면에 걸림턱(12a)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2결합구(50)가 지지프레임(30)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선반부(20)는 본 발명에서 소품이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0)에 결합되는데, 선반부(20)는 지지프레임(30)에 결합될 때,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연장되어 형성된 세로프레임(10)의 임의의 높이에 설치되어 선반부(2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지지프레임(30)은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 좌측마감부재(32), 우측마감부재(33) 및 중앙마감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20)가 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하측에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하여 선반부(20)를 지지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1a)가 형성되며, 받침부(31a)의 양쪽 일부분에는 선반부(20)와 받침부(31a)를 나사(B)로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구멍(H)이 형성되고, 받침부(31a)의 후측 단부에는 받침부(31a)와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선반부(20)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측면부(31b)가 형성되며, 측면부(31b)에는 후술하는 제1나사(60)가 삽입되는 제1관통구멍(h1)과 후술하는 제2나사(70)가 삽입되는 제2관통구멍(h2)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마감부재(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는 부재로서,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b)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부(31b)의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끼워진다.
상기 우측마감부재(3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마감부재(32)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는 부재로서,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b)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부(31b)의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끼워진다.
위와 같이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지지부재(31)에 결합하여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후방이 세로프레임(10)의 양쪽에서 볼륨감있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선반(1)의 미감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31)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양측에서 각각 끼워설치하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중앙마감부재(34)를 끼우기 위한 설치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상기 중앙마감부재(3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의 사이에서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b) 후면에 끼워지는 부재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31b)의 후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의 측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b)에 형성된 제1관통구멍(h1)과 연통되어 후술할 제1나사(60)가 삽입되는 제1연통구멍(h3)과 제2관통구멍(h2)과 연통되어 후술할 제2나사(70)가 삽입되는 제2연통구멍(h4)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마감부재(34)는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을 가이드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하면,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마감부재(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홈(11)에 삽입되는 제1수직돌출부(34a)와, 상기 제2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2수직돌출부(34b)가 형성되며, 제1수직돌출부(34a)는 중앙마감부재(34)의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제1체결홈(11)의 걸림턱(11a)의 폭과 일치하는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며, 제2수직돌출부(34b) 또한 중앙마감부재(34)의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제2체결홈(12)의 걸림턱(12a)의 폭과 일치하는 크기의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조립할 때, 제1수직돌출부(34a)는 제1체결홈(11)의 걸림턱(11a)에 접하게 되고, 제2수직돌출부(34b)는 제2체결홈(12)의 걸림턱(12a)에 접하게 되어,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임의로 정렬할 필요가 없게 되며,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결합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제1체결홈(11)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며, 제1체결홈(11)의 내부에서 제1걸림턱(11a)에 걸릴 수 있도록 양측면에 걸림부(41)가 형성되며, 일부분에 후술하는 제1나사(60)가 조여질 수 있도록 암나사부(42)가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구(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의 제1체결홈(11)에 삽입되어 제1나사(60)가 조여질 때, 걸림부(41)가 제1걸림턱(11a)에 걸려있어, 제1나사(60)가 조여짐에 따라 걸림부(41)가 제1걸림턱(11a)을 중앙마감부재(34)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제1나사(60)가 완전히 조여지게 되면 제1결합구(40)에 의해 세로프레임(10)이 지지프레임(3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2결합구(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40)와 함께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제2체결홈(12)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며, 제2체결홈(12)의 내부에서 제2걸림턱(12a)에 걸릴 수 있도록 양측면에 걸림부(51)가 형성되며, 일부분에 후술하는 제2나사(70)가 조여질 수 있도록 암나사부(52)가 형성된다.
또한, 제2결합구(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의 제2체결홈(12)에 삽입되어 제2나사(70)가 조여질 때, 걸림부(51)가 제2걸림턱(12a)에 걸려있어, 제2나사(70)가 조여짐에 따라 걸림부(51)가 제2걸림턱(12a)을 중앙마감부재(34)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제2나사(70)가 완전히 조여지게 되면 제2결합구(50)에 의해 세로프레임(10)이 지지프레임(3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위와 같이 제1결합구(40)와 제2결합구(50)를 서로 이격지도록 세로프레임(10)에 삽입하여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하게 되면, 단일축으로 선반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설치하여도 제1결합구(40)와 제2결합구(50)를 이용하여 4부분이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30)에 고정결합된 선반부(20)가 세로프레임(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구(40)를 세로프레임(10)의 내부로 삽입하여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결합구(40)를 세로프레임(10)의 임의의 높이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세로프레임(10)의 제1체결홈(11)에 삽입되어 제1결합구(40)의 하부를 받쳐줄 수 있는 받침구(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구(80)는 제1결합구(40)가 세로프레임(10)의 제1체결홈(11)의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81)와 손잡이부(8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81)는 세로프레임(10)의 제1체결홈(11)에 삽입되어 제1결합구(40)를 받치는 부분으로서, 받침부(8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홈(11)에 삽입되었을 때, 제1결합구(40)를 받칠 수 있도록 제1체결홈(11)에 억지로 끼워져야 한다.
이를 위한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폭이 제1체결홈(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체결홈(11)에 억지로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알파벳 U나 한글자음 ㄷ자 형태로 형성하되, 서로 이격진 부분이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점점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부(81)를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하면, 받침부(81)를 제1체결홈(11)에 억지로 끼워넣을 때, 벌어진 부분이 연결된 부분에 의해 탄력을 가지게 되어 제1체결홈(11)의 내부에서 양쪽 걸림턱(11a)을 가압하게 되므로 받침부(81)가 걸림턱(11a) 사이에 끼워져 견고하게 고정되며, 받침부(81)를 제1체결홈(11)에서 분리할 때, 크게 힘을 주지 않아도 받침부(81)의 탄력에 의해 간단하게 제1체결홈(11)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82)는 받침부(81)를 제1체결홈(11)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손잡이로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81)의 저면에 형성하여, 받침구(80)를 사용할 때, 지지프레임(10)과 밀착하지 않아 선반 조립시 손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구(80)는 제2결합구(50)를 받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위의 설명에서 제1체결홈(11)은 제2체결홈(12)으로, 제1체결홈(11)의 걸림턱(11a)은 제2체결홈(12)의 걸림턱(12a)으로 대비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나사(6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하는 나사로서, 제1결합구(40)의 암나사부(42)에 삽입되어 제1체결홈(11)의 내부에 위치한 제1결합구(40)와 지지프레임(30)을 밀착시킴으로써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밀착시킨다.
상기 제2나사(7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의 제1나사(60)와 함께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하는 나사로서, 제2결합구(50)의 암나사부(52)에 삽입되어 제2체결홈(12)의 내부에 위치한 제2결합구(50)과 지지프레임(30)을 밀착시킴으로써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밀착시킨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의 조립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재(31)와 좌측마감부재(32), 우측마감부재(33) 및 중앙마감부재(34)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지지프레임(30)을 형성한다. 위와 같이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b)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각각 슬라이딩하여 끼워서 조립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선반지지부재(400)에서 가압커버부재(5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410)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선반지지부재(400)에 비하여 조립의 간편성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세로프레임(10)의 제1체결홈(11)과 제2체결홈(12)의 임의의 높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구(80)를 각각 삽입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홈(11)에는 제1결합구(40)를, 제2체결홈(12)에는 제2결합구(50)를 상측 단부로부터 슬라이드하여 삽입하여 제1결합구(40)와 제2결합구(50)가 각각 제1체결홈(11)과 제2체결홈(12)의 내부에서 받침구(80)에 안착되도록 한다.
제1결합구(40)와 제2결합구(50)를 삽입하고 난 뒤, 지지프레임(30)의 중앙마감부재(34)에 형성된 제1수직돌출부(34a)와 제2수직돌출부(34b)를 각각 제1체결홈(11)과 제2체결홈(12)에 정렬한 뒤 삽입하여 지지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10)을 밀착시킨다.
이후, 지지프레임(30)을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받침구(80)를 제1체결홈(11) 및 제2체결홈(12)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지지부재(31)의 제1관통구멍(h1)을 제1결합구(40)의 암나사부(42)에 정렬하고, 제2관통구멍(h2)을 제2결합구(50)의 암나사부(52)에 정렬한다.
정렬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나사(60)를 지지부재(31)의 제1관통구멍(h1)과 중앙마감부재(34)의 제1연통구멍(h3)을 관통하여 제1결합구(40)의 암나사부(42)에 조이고, 제2나사(70)를 지지부재(31)의 제2관통구멍(h2)과 중앙마감부재(34)의 제2연통구멍(h4)을 관통하여 제2결합구(50)의 암나사부(52)에 조여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가결합한다.
이후, 직접 손으로 지지프레임(30)을 상하로 움직이거나, 받침구(80)를 상하로 움직여 선반부(20)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높이에 지지프레임(30)을 위치시킨 뒤, 제1나사(60)와 제2나사(70)를 마저 조여서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이때, 사용이 완료된 받침구(80)는 제거해도 무관하다.
이렇게 세로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30)을 2개 결합하여 선반부(20)의 양쪽에 세워놓은 뒤, 받침부(31a)의 구멍에 선반부(20)의 하부로부터 볼트를 조여 지지프레임(30)과 선반부(20)를 결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 및 제1 및 제1체결구(40, 5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때 선반부(20)는 지지부재(31)의 받침부(31a) 위에 얹혀지게 되어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선반의 조립이 완료된 뒤, 선반부(20)의 높이를 다시 조정하고자 한다면 우선 선반부(20)를 지지프레임(30)에서 분리한 뒤, 제1나사(60)와 제2나사(70)를 조금만 풀어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고, 원하는 높이에 지지프레임(30)을 위치시킨 뒤, 다시 제1나사(60)와 제2나사(70)를 조이고 선반부(20)를 지지프레임(30)에 결합하면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선반 10 : 세로프레임
11 : 제1체결홈 12 : 제2체결홈
20 : 선반부 30 : 지지프레임
31 : 지지부재 32 : 좌측마감부재
33 : 우측마감부재 34 : 중앙마감부재
40 : 제1결합구 50 : 제2결합구
60 : 제1나사 70 : 제2나사
80 : 받침구

Claims (4)

  1. 측면의 양쪽에 제1체결홈(11)과 제2체결홈(12)이 서로 이격져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10);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20);
    상기 선반부(20)가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임의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부(2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31a)와, 상기 받침부(31a)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로프레임(10)에 결합되는 측면부(31b)를 구비하는 지지프레임(30);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상기 제1체결홈(1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세로프레임(10)을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구(40);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상기 제2체결홈(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과 상기 세로프레임(10)을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구(50);
    상기 세로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10)에 끼워진 상기 제1결합구(40)가 상기 지지프레임(30)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을 고정하는 제1나사(60);
    상기 세로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10)에 끼워진 상기 제2결합구(50)가 상기 지지프레임(30)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30)을 고정하는 제2나사(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구(40)가 상기 제1체결홈(1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결합구(40)가 상기 제1체결홈(11)의 임의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홈(11)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받침구(80)를 구비하되,
    상기 받침구(80)는,
    서로 연결된 부분에서 서로 이격진 부분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체결홈(11)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제1결합구(40)를 받치는 받침부(81); 및
    상기 받침부(81)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81)를 상기 제1체결홈(11)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측면부(31b)에는,
    상기 측면부(31b)의 좌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측면부(31b)의 좌측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좌측마감부재(32);
    상기 지지프레임(30)의 지지부재(31)의 우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측면부(31b)의 우측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우측마감부재(33); 및
    상기 좌측마감부재(32)와 상기 우측마감부재(33)의 사이에서 상기 측면부(31b)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앙마감부재(34);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마감부재(34)는,
    상기 제1체결홈(11)에 삽입되는 제1수직돌출부(34a)와, 상기 제2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2수직돌출부(34b)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상기 세로프레임(10)에 접했을 때 상기 세로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4. 삭제
KR1020170155179A 2017-11-20 2017-11-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207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79A KR102077531B1 (ko) 2017-11-20 2017-11-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79A KR102077531B1 (ko) 2017-11-20 2017-11-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09A KR20190057809A (ko) 2019-05-29
KR102077531B1 true KR102077531B1 (ko) 2020-02-17

Family

ID=6667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79A KR102077531B1 (ko) 2017-11-20 2017-11-20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9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230033988A (ko)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동성사 개선된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1627A (zh) * 2019-11-05 2020-01-31 安徽理工大学 一种新型鞋架
KR102556977B1 (ko) * 2020-10-28 202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102506677B1 (ko) * 2020-11-19 2023-03-06 (주) 아그로솔루션코리아 식물 재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17Y1 (ko) * 2004-06-21 2004-10-01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선반의 조립구조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94Y1 (ko) 2001-12-26 2002-03-28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100518048B1 (ko) * 2002-06-11 2005-09-28 주식회사 퍼시스 가구의 포스트 및 그 연결구조
KR200461779Y1 (ko) * 2010-03-08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417Y1 (ko) * 2004-06-21 2004-10-01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선반의 조립구조
KR200380827Y1 (ko) *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69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20230033988A (ko) 2021-09-02 2023-03-09 주식회사 동성사 개선된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09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US8979223B2 (en) Adjustable coupling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sliding rail assembly and a sliding box
US9410360B2 (en) Door assembly
ES2620489T3 (es) Conjunto de puerta de ducha
US6726040B1 (en)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9345333B2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office chairs
US20070170406A1 (en) Coupling device for two connecting poles
US20170291056A1 (en) Collapsible exercise machine
US9723924B1 (en) Bracket assembly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US20150173548A1 (en) Curtain bracket
US10299586B1 (en) Snap fit drawer slide system
KR101857740B1 (ko)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KR10203198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1360309B1 (ko) 실험대
KR20200044417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브라켓 결합 장치
KR101579571B1 (ko) 공구 진열대
JP7003270B2 (ja) 引出用のレールストラット
CN115681274B (zh) 快速装配式桌架连接结构及电动升降桌
KR200480673Y1 (ko) 장대봉의 길이조절 및 작업도구 설치용 고정지그
FR2925382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outils
CN108720378A (zh) 具有调节机构的柜组件
CN211232102U (zh) 一种带支撑结构的夹持装置
KR200329295Y1 (ko) 파이프 조립식 가구용 고정구
KR200266300Y1 (ko) 이동식 절첩문의 하부슬라이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