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85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85B1
KR102031985B1 KR1020170101315A KR20170101315A KR102031985B1 KR 102031985 B1 KR102031985 B1 KR 102031985B1 KR 1020170101315 A KR1020170101315 A KR 1020170101315A KR 20170101315 A KR20170101315 A KR 20170101315A KR 102031985 B1 KR102031985 B1 KR 10203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support frame
vertical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853A (ko
Inventor
정영호
고경돈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7010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에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세로프레임의 임의의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반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세로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부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별다른 분해결합과정없이 간편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선반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Structure for Height Adjustable Shelf}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용이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에 고정된 선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선반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선반부를 별도로 분해할 필요없이 선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립식 선반은 소품을 전시하거나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쪽에 세로프레임을 세우고 세로프레임에 소품이 얹혀지는 선반부를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식 선반은 최근에 선반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낮이의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70194호에 개시된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110)을 소정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12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이동홈(110)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개구부(120)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나사체결구멍(211)이 형성된 고정편(200)과, 지지프레임(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지지부(31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에는 고정구(320)를 통하여 상기 고정편(200)과 체결되는 관통구멍(31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고정돌기(33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300)와,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와 결합되는 설치홈(41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선반(6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4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330)에 끼워지는 안착홈(430)이 형성된 선반지지부재(400)와, 상기 선반지지부재(400)에 형성된 설치홈(410)에 끼워지는 체결부(5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선반지지부재(400)와 결합된 선반(6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520)이 형성된 가압커버부재(500)로 구성되어, 고정구(320)와 고정편(200)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300)를 지지프레임(100)의 이동홈(110)에 결합하여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이드부재(300)를 상, 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 선반지지부재(400)를 슬라이드부재(300)에 결합하고 선반(600)을 선반지지부재(400)에 결합하여 선반(6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반의 구조는 선반(600)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선반(6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면, 고정구(320)를 풀기 위해 선반지지부재(400)를 슬라이드부재(300)에서 분리시킨 뒤, 고정구(320)를 풀어 슬라이드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하고, 이후에 고정구(320)를 조이고 선반(600)이 결합된 선반지지부재(400)를 다시 슬라이드부재(300)에 결합해야하기 때문에, 조립된 선반을 일부 분해하고 다시 결합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높이조절 과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의 종래발명에서는 선반지지부재(400)와 슬라이드부재(300)를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3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330)에 선반지지부재(400)의 안착홈(430)을 끼워넣는데, 이러한 결합방식을 사용하면 선반을 분해 및 조립할 때 간편한 점은 있지만, 조립이 완료된 선반에 하측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선반지지부재(400)와 슬라이드부재(30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분해되어 선반(600)과 지지프레임(100)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27019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부품을 별도로 분해하지 않고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가 세로프레임에 직교한 상태에서 선반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즉 지면에 수평으로 선반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는, 측면에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선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기 세로프레임의 임의의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선반부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좌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의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좌측마감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우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의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우측마감부재; 및 상기 좌측마감부재와 상기 우측마감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앙마감부재;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세로프레임의 체결홈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과 상기 선반부를 고정 결합하는 제1체결구; 상기 결합판과 상기 세로프레임을 상기 선반부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구는, 상기 세로프레임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세로프레임의 체결홈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체결편; 상기 체결편과 상기 밀착부의 사이에 상기 세로프레임의 일부분을 개재하여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측면에 사각형의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끼움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판에서 사각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볼트구멍과 연통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사각몸체; 및 상기 사각몸체의 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선반부의 볼트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판과 상기 선반부를 결합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높이조절수단에서 세로프레임과 체결되는 제2체결구가 선반부 및 지지프레임에 가려지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선반부와 지지프레임을 세로프레임에서 분해하지 않아도 선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선반부의 높이 조절을 더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물품을 올려놓는 선반부가 세로프레임에 직교한 상태에서 선반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즉 지면에 수평으로 선반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에 종래와 같은 가압커버부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치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중앙마감부재를 끼울수 있으므로 조립의 간편성을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체결수단이 결합된 지지프레임을 선반부의 양측면에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체결수단, 지지프레임, 선반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프레임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요부의 모습을 확대도시한 부분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품을 전시 또는 보관하기 위해 설치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 선반부(20), 지지프레임(30), 고정수단(40) 및 높이조절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세로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선반(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단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측에는 체결홈(11)이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세로프레임(10)의 내부에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50)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선반부(20)는 본 발명에서 소품이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0)에 결합되는데, 선반부(20)는 지지프레임(30)에 결합될 때,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반부(20)는 측면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구멍(20a)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볼트구멍(20a)를 형성하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미리 형성되어 있게 되어, 선반부(20)와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50)을 나사로 결합할 때 나사로 억지로 천공할 필요없이 볼트구멍(20a)을 통해 나사를 조일 수 있게 되며, 선반부(20)가 높이조절수단(50)에 고정되어 결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연장되어 형성된 세로프레임(10)의 임임의 높이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선반부(2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지지프레임(30)은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 좌측마감부재(32), 우측마감부재(33) 및 중앙마감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20)가 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하측에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하여 선반부(20)를 지지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31b)가 형성되며, 받침부(31b)의 후측 단부에 받침부(31b)와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선반부(20)의 측면과 접하게 되는 측면부(31c)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마감부재(3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는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1)의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끼워진다.
상기 우측마감부재(33)는 좌측마감부재(32)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는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1)의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끼워진다.
위와 같이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지지부재(31)에 결합하여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의 후방이 세로프레임(10)의 양쪽에서 볼륨감있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선반(1)의 미감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31)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양측에서 각각 끼워설치하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중앙마감부재(34)를 끼우기 위한 설치홈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상기 중앙마감부재(3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의 사이에서 지지부재(31)의 후면에 끼워지는 부재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후면에 끼워짐과 동시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의 측면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50)와 선반부(20)가 결합되었을 때, 높이조절수단(50)의 일부분이 중앙마감부재(34)에 접하게 되고 지지부재(31)와 높이조절수단(50)의 사이에 개재되어 중앙마감부재(34)가 지지부재(31)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중앙마감부재(34)는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0)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을 감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30)은 지지부재(31)의 측면부(31c)에 사각구멍(31a)을 형성하고, 중앙마감부재(34)에 지지부재(31)의 사각구멍(31a)과 연통되는 연통구멍(34a)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30)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 지지프레임(30)의 중앙에 끼움구멍(30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끼움구멍(30a)은 후술할 높이조절수단(50)의 제1체결구(52)와 관련되기 때문에 이후에 제1체결구(52)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35는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지지프레임(30)의 양쪽 끝단을 마감하는 마감캡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을 상호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의 받침부(31b) 양쪽에 구멍을 형성하여 선반부(20)가 받침부(31b) 위에 얹혀졌을 때, 받침부(31b)의 하부로부터 구멍을 통해 볼트(미도시)를 조이면 선반부(20)와 받침부(31b)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이 서로 상호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10)을 체결하고 지지프레임(30)와 결합된 선반부(20)가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51), 제1체결구(52) 및 제2체결구(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판(51)은 높이조절수단(50)에서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이 세로프레임(10)에 결합되었을 때, 후방이 체결홈(11)의 투입구 부분에 삽입되어 높이조절수단(50)이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1체결구(5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20)에 결합판(51)을 고정결합 하는 것으로서, 결합판(51)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각몸체(52a)와 체결나사(5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각몸체(52a)는 제1체결구(52)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결합판(51)의 상측에서 지지프레임(30) 방향에 사각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0)의 끼움구멍(30a)에 삽입되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30a)에 상하좌우 4면이 접하도록 형성되어 끼움구멍(30a)에 삽입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30)이 사각몸체(52a)에 고정되었을 때 사각몸체(52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프레임(30)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각몸체(52a)는 사각몸체(52a)를 관통하여 선반부(20)에 나사가 조여질 수 있도록 나사구멍(92)이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51)의 후방으로부터 나사구멍(92)을 통해 선반부(20)의 측면에 체결나사(52b)를 조이게 되면, 사각몸체(52a)와 선반부(20)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결합되게 되며, 사각몸체(52a)가 지지프레임(30)의 끼움구멍(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52b)를 조이게 되기 때문에, 선반부(20)와 결합판(51)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프레임(30)이 사각몸체(52a)와 결합되어 사각몸체(52a)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 및 제1체결구(52)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체결구(53)는 결합판(51)에서 제1체결구(52)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0)을 세로프레임(10)에 체결하고, 지지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53a), 체결편(53b) 및 체결볼트(53c)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부(53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50)의 결합판(51)에서 제1체결구(52)의 하측에 위치하며, 결합판(5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의 주위 면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일면에 관통구멍(9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볼트(53c)의 일부분이 밀착부(53a)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밀착부(53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과 접하게 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고, 세로프레임(10)에서 밀착부(53a)와 접하게 되는 면을 밀착부(53a)의 홈에 맞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높이조절수단(50)이 세로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더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편(53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부(53a)와 결합되는 부재로서, 일측에 체결볼트(53c)가 조여질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체결볼트(53c)가 밀착부(53a)의 관통구멍(93)에 삽입되어 체결편(53b)의 구멍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체결편(53b)이 세로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부(53a)에 체결볼트(53c)로 결합되면 체결편(53b)이 체결홈(11)의 주위면에 걸쳐져 밀착부(53a)와 체결편(53b)의 사이에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의 주위면이 개재되어 결합판(51)가 세로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53b)은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에 삽입되어 받침부(31b)와 체결편(53b)의 사이에 세로프레임(10)의 일부가 개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판에서 서로 대각선에 위치하는 한 쌍의 모서리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면, 체결편(53b)을 체결홈(11)에 삽입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이 길게 위치하도록 하여 체결홈(11)에 삽입하게 되면, 체결홈(1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지 않아도 세로프레임(10)의 측면으로부터 체결홈(11)에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체결홈(11)에 삽입한 이후, 밀착부(53a)를 통해 체결편(53b)에 조여지는 나사로 인해 체결편(53b)이 체결홈(1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편(53b)이 회전하면 라운드져있는 모서리가 체결홈(11)의 내벽에 걸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체결홈(11)의 내벽을 라운드져있는 모서리가 지나면 다음 모서리는 각이 져 있기 때문에 체결홈(11)의 내벽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체결편(53b)은 체결홈(11)의 내부에서 회전하다가 체결홈(11)의 내벽에 결리게 될 때, 삽입할 때와 90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세로방향이 길게 위치했던 체결편(53b)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게 되어 체결편(53b)과 밀착부(53a)의 사이에 체결홈(11)의 주위면 즉, 세로프레임(10)의 일부분이 개재되게 된다.
상기 체결볼트(53c)는 밀착부(53a)로부터 삽입되어 체결편(53b)과 밀착부(53a) 사이에 세로프레임(10)의 일분이 견고하게 개재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일측 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되어 밀착부(53a)에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헤드부가 밀착부(53a)의 일부분에 걸릴 수 있도록 하며, 밀착부(53a)와 체결편(53b)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체결구(53)는 높이조절수단(50)과 세로프레임(10)을 결합할 때, 체결볼트(53c)를 조이거나 체결볼트(53c)를 일부 풀 수 있어 높이조절수단(50)이 세로프레임(10)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세로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프레임(30)이 높이조절수단(50)의 제1체결구(52)에 결합되었을 때, 제2체결구(53)가 지지프레임(30)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 즉,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제2체결구(53)의 결합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조립이 완료되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선반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의 조립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부재(31)와 좌측마감부재(32), 우측마감부재(33) 및 중앙마감부재(34)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지지프레임(30)을 형성한다. 위와 같이 지지부재(31)에 좌측마감부재(32)와 우측마감부재(33)를 각각 끼워서 조립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선반지지부재(400)에서 가압커버부재(5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410)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선반지지부재(400)에 비하여 조립의 간편성을 얻을 수가 있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50)의 제1체결구(52)에서 사각몸체(52a)를 중앙마감부재(34)의 연통구멍(32a)과 지지부재(31)의 사각구멍(31a)을 통과시켜 지지프레임(30)과 높이조절수단(50)을 결합하고, 한 쌍의 지지프레임(30)과 높이조절수단(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프레임(30)을 선반부(20)의 양 측단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선반부(20)의 양 측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지지프레임(30)을 선반부(20)와 결합시키기 위해 높이조절수단(50)의 사각몸체(52a)에 형성된 나사구멍(92)을 통하여 선반부(20)의 측면에 체결나사(52b)를 결합하고, 받침부(31b)의 구멍에 선반부(20)의 하부로부터 볼트를 조여 지지프레임(30)과 선반부(20)를 결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 및 높이조절수단(50)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때 선반부(20)는 지지부재(31)의 받침부(31b) 위에 얹혀지게 된다.
높이조절수단(50)과 결합된 지지프레임(30)과 선반부(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체결볼트(53c)를 이용하여 제2체결구(53)의 밀착부(53a)에 체결편(53b)을 가결합한 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53b)을 세로방향이 길게 위치한 상태로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에 삽입하여 밀착부(53a)가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 주위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밀착부(53a)와 체결편(53b)은 가결합한 상태이고, 체결편(53b)이 세로로 서있어 체결홈(11)에 접하지 않으므로 체결홈(11)의 주위면을 개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0)의 중앙마감부재(34)를 따라 선반부(20)가 지면으로부터 위치할 높이를 임의로 정하여 위치시키고, 원하는 위치에 선반부(20)를 위치시킨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을 받친 상태에서 밀착부(53a)에 삽입된 체결볼트(53c)를 조이면 체결편(53b)이 체결홈(11)의 내부에서 90도 회전하면서 체결홈(11)의 내면에 체결편(53b)이 걸림과 동시에 체결편(53b)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게 되며, 체결볼트(53c)를 계속 조이면 체결편(53b)과 밀착부(53a)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끝에는 체결편(53b)과 밀착부(53a) 사이에 세로프레임(10)의 일부분이 견고하게 개재되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세로프레임(10), 지지프레임(30), 선반부(20) 및 높이조절수단(50)의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타측의 세로프레임(10) 또한 지지프레임(30)과 세로프레임(10)을 결합하면, 선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반의 조립이 완료된 후, 선반부(20)의 높이를 변경하고자 하면, 양쪽의 제2체결구(53)에 조여진 각각의 체결볼트(53c)를 풀어 선반부(20)와 지지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한 뒤, 다시 체결볼트(53c)를 조이면 선반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쉽게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선반 10 : 세로프레임
11 : 체결홈 20 : 선반부
30 : 지지프레임 31 : 지지부재
32 : 좌측마감부재 33 : 우측마감부재
34 : 중앙마감부재 40 : 고정수단
50 : 높이조절수단 51 : 결합판
52 : 제1체결구 53 : 제2체결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측면에 체결홈(1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로프레임(10);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판재로 이루어지는 선반부(20);
    상기 선반부(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30);
    상기 선반부(20)와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서로 상대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상기 선반부(20)와 상기 지지프레임(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0); 및
    상기 선반부(20)와 상기 지지프레임(30)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0)이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임의의 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프레임(10)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
    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선반부(2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31b)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31c)를 구비하는 지지부재(31);
    상기 지지부재(31)의 좌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좌측마감부재(32);
    상기 지지부재(31)의 우측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31)의 후단을 마감하기 위한 우측마감부재(33); 및
    상기 좌측마감부재(32)와 상기 우측마감부재(33)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재(31)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앙마감부재(34);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결합판(51);
    상기 결합판(51)과 상기 선반부(20)를 고정 결합하는 제1체결구(52);
    상기 결합판(51)과 상기 세로프레임(10)을 상기 선반부(20)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체결구(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체결구(53)는,
    상기 세로프레임(10)에 밀착되는 밀착부(53a);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체결홈(1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체결편(53b);
    상기 체결편(53b)과 상기 밀착부(53a)의 사이에 상기 세로프레임(10)의 일부분을 개재하여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5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측면에 사각형의 끼움구멍(3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구(52)는,
    상기 끼움구멍(3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판(51)에서 사각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선반부(20)에 나사가 조여져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92)이 형성되는 사각몸체(52a); 및
    상기 사각몸체(52a)의 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선반부(20)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판(51)과 상기 선반부를 결합하는 체결나사(52b);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20170101315A 2017-08-09 2017-08-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203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15A KR102031985B1 (ko) 2017-08-09 2017-08-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15A KR102031985B1 (ko) 2017-08-09 2017-08-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53A KR20190016853A (ko) 2019-02-19
KR102031985B1 true KR102031985B1 (ko) 2019-10-14

Family

ID=6552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15A KR102031985B1 (ko) 2017-08-09 2017-08-09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543B1 (ko) * 2019-06-07 2021-08-04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200495959Y1 (ko) * 2022-03-22 2022-09-29 류기범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장용 식기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94Y1 (ko) 2001-12-26 2002-03-28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149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 선반
KR200461779Y1 (ko) * 2010-03-08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KR20160001707U (ko) * 2014-11-12 2016-05-20 (주)다보스티엔지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94Y1 (ko) 2001-12-26 2002-03-28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53A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CN101208486B (zh) 建筑物的凸出转角结构和室内凹壁结构
KR10203198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US20080076304A1 (en) Assembly structure
US20180127982A1 (en) Screen device
JP4709941B2 (ja) 建物躯体に外装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金物
KR101597932B1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0397511Y1 (ko) 행거 조립체
CN209003233U (zh) 一种家具支撑结构
KR102203132B1 (ko)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KR101342006B1 (ko) 마감패널 고정구조
JP4399291B2 (ja) 長さ調整可能な伸縮杆
KR20090005906U (ko) 벽걸이 티브이 고정장치
KR20200122079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메쉬 결합형태의 의자 좌판
KR200480310Y1 (ko) 조립식 평상
KR200394115Y1 (ko)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KR102453864B1 (ko)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KR102253896B1 (ko) 체인으로 연결된 테이블형 식탁
KR200495858Y1 (ko) 조립이 용이한 협탁
CN215564901U (zh) 一种便于组装拆卸的圆顶帐篷
KR20090002605U (ko) 조립식 학생용 책상
CN102762808B (zh) 包括框架型材和用于可枢转地支承框架型材的铰链的设备
KR200337582Y1 (ko)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고정을 위한 고정 핀이 장착된일체형 높낮이 조절부재
KR20039751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0318686Y1 (ko) 높낮이와 상하간격 조절이 가능한 이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