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14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14Y1
KR200397514Y1 KR20-2005-0018838U KR20050018838U KR200397514Y1 KR 200397514 Y1 KR200397514 Y1 KR 200397514Y1 KR 20050018838 U KR20050018838 U KR 20050018838U KR 200397514 Y1 KR200397514 Y1 KR 20039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upport
insertion portion
outer suppo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김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숙 filed Critical 김영숙
Priority to KR20-2005-0018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3Underframes with a centr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스크류가 결합되는 내부 고정체에 수평 회전없이 수직 승강하는 외부 고정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외부 고정체에 연결된 테이블 상판이 별도의 회전없이 수직 승강할 수 있어 승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 구조가 외부에 가시화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 다수개의 바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지지체 상단으로,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형성된 외부 지지체가 결합되되, 상기 외부 지지체의 지지바는 내부 지지체의 바삽입부에 삽입되고, 내,외부 지지체 중심의 스크류 삽입부상에는 일측으로 승강 핸들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가 체결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Table}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스크류가 결합되는 내부 고정체에 수평 회전없이 수직 승강하는 외부 고정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외부 고정체에 연결된 테이블 상판이 별도의 회전없이 수직 승강할 수 있어 승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 구조가 외부에 가시화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그 높이가 한정되어져 있어 소파나 의자 등의 높이가 변할 경우 테이블을 새로 재구매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3. 최근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다양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그 중에서 실용신안등록 제293679호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에서는 테이블 상판과 상기 테이블 상판이 결합되는 지주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한손으로는 상판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된 지주의 부싱부재를 잡은 후, 상판을 회전시키면 나사결합된 상판이 승강되면서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테이블은 한손으로 지주를 고정하고 한손으로 상판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회전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승강시 상판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판위에 안치된 물건 등을 제거한 후 승강작업을 수행해야만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되며, 승강 구조가 외부에 가시화되어 테이블을 미려하게 형성하지 못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테이블의 승강구조를 이중으로 형성시켜 상판의 회전없이 수직으로만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승강 핸들의 회전만으로 상판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 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지지체 상단으로 다수개의 지지바가 형성된 외부 지지체가 결합되고, 각 내,외부 지지체의 중심으로는 승강 핸들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가 체결되어져 있는 테이블을 제공코자 한다.
통상의 테이블에 있어서,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 다수개의 바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지지체 상단으로,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형성된 외부 지지체가 결합되되, 상기 외부 지지체의 지지바는 내부 지지체의 바삽입부에 삽입되고, 내,외부 지지체 중심의 스크류 삽입부상에는 일측으로 승강 핸들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가 체결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내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은 나사부로 형성되고, 외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외부 지지체는 외주면상에 상판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바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외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과 접면되는 회전 스크류의 상측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서 걸림턱에 의한 테이블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테이블 승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먼저 내부 지지체(10)는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11)를 형성하고, 스크류 삽입부(11) 내주면에는 추후 회전 스크류(30)의 체결을 위해 나사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류 삽입부(11)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다수개의 바삽입부(13)를 형성한다.
외부 지지체(20)는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21)를 형성하는데, 상기 스크류 삽입부(21)의 내주면은 내부 지지체(10)의 스크류 삽입부(11)와 달리 나사부(12)를 형성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스크류 삽입부(21)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다수개의 지지바(22)를 형성하는데, 이때 지지바(22)는 외부 지지체(20)의 회전을 방지케 하여 수직 운동만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외부 지지체(2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연결바(23)를 형성하여 상판(40)과 내부 지지체(10)를 연결케 한다.
회전 스크류(30)는 거의 전면에 나사부(31)를 형성하나, 상측 일부분 즉, 외부 지지체(20)의 스크류 삽입부(21)와 접면되는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하고, 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외부 지지체(20)의 승강을 유도하는 걸림턱(32)(32')을 형성한다. 또한 평면부분의 최상단에는 승강 핸들(33)을 형성하여 승강 핸들(33)의 회전으로 회전 스크류(30)의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내,외부 지지체(10)(20)와 회전 스크류(3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휠(51)이 형성된 바닥 프레임(50) 상단으로 내부 지지체(10)를 고정시킨 후, 내부 지지체(10) 상단으로 외부 지지체(20)를 삽입 결합시키는데, 이때 내,외부 지지체(10)(20)의 스크류 삽입부(11)(21)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내부 지지체(10)의 바삽입부(13)에 외부 지지체(20)의 지지바(22)가 삽입케 한다.
그리고 회전 스크류(30)는 내,외부 지지체(10)(20)의 각 스크류 삽입부(11)(21)에 체결되는데, 이때 회전 스크류(30)의 나사부(31)는 내부 지지체(10)의 스크류 삽입부(11) 내에서만 이동하게 되고, 외부 지지체(20)의 스크류 삽입부(21)에는 회전 스크류(30)의 평면부분만 삽입된다. 여기서 평면부분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형성된 걸림턱(32)(32')은 스크류 삽입부(21)의 상단과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테이블의 승강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테이블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 상판(40) 하측에 위치하는 승강 핸들(33)을 잡고 회전시키면, 승강 핸들(33)과 연결된 회전 스크류(30)가 내부 지지체(10)의 스크류 삽입부(11)를 따라 회전하면서 수직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스크류(30)의 평면부분 최하단에 형성된 걸림턱(32')으로 인하여 회전 스크류(30)의 나사부(31)가 외부 지지체(20)의 스크류 삽입부(21)를 벗어나지 못한채 수직 상승하는 힘을 외부 지지체(2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외부 지지체(20)상에는 회전 스크류(30)의 회전력과 수직 상승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나, 외부 지지체(20)의 지지바(22)가 내부 지지체(10)의 바삽입부(13)에 삽입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회전 스크류(30)의 회전력은 소실되고 수직 상승력만 발생하게 되어 내부 지지체(10)는 고정된 상태에서 도 4a 또는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체(20)만이 수직 상승하게 된다.
이때 외부 지지체(20) 외주면에는 상판(40)을 지지하는 연결바(23)가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체(20)의 상승시 외부 지지체(20)와 연결된 상판(40)이 함께 수직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블을 하강시코자 할 경우에는 상승시와 반대방향을 승강 핸들(33)을 돌려 회전 스크류(30)의 하강하는 힘과 함께 회전 스크류(30)의 평면부분 최상단에 형성된 걸림턱(32)으로 인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체(20)를 하강시켜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한 테이블 상판(40)은 내,외부 지지체(20)의 바삽입부(13)와 지지바(22)를 통해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수직 상승할 수 있게 되므로, 테이블 승강을 위해 상판(40)의 물건 등을 치울 필요가 없고, 승강을 위한 세부적인 구조를 외부 지지체(20)가 감싸고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내부 지지체와 외부 지지체를 결합한 후, 내부 지지체와 외부 지지체를 관통하는 회전 스크류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지지체는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 지지체만이 수직으로 승강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더욱이 외부 지지체는 별도의 회전운동 없이 수직 운동만 수행할 수 있어 상판의 승강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와 조작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서 걸림턱에 의한 테이블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테이블 승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부 지지체 11: 스크류 삽입부 12: 나사부
13: 바삽입부 20: 외부 지지체 21: 스크류 삽입부
22: 지지바 23: 연결바 30: 회전 스크류
31: 나사부 32,32': 걸림턱 33: 승강핸들
40: 상판

Claims (4)

  1. 통상의 테이블에 있어서,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 다수개의 바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지지체 상단으로, 중심으로 스크류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삽입부 일측으로는 다수개의 지지바가 형성된 외부 지지체가 결합되되, 상기 외부 지지체의 지지바는 내부 지지체의 바삽입부에 삽입되고, 내,외부 지지체 중심의 스크류 삽입부상에는 일측으로 승강 핸들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가 체결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은 나사부로 형성되고, 외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지지체는 외주면상에 상판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바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4. 제 3항에 있어서, 외부 지지체의 스크류 삽입부 내주면과 접면되는 회전 스크류의 상측은 평면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평면으로 형성된 부분의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2005-0018838U 2005-06-29 2005-06-29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039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38U KR200397514Y1 (ko) 2005-06-29 2005-06-29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38U KR200397514Y1 (ko) 2005-06-29 2005-06-29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14Y1 true KR200397514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38U KR200397514Y1 (ko) 2005-06-29 2005-06-29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13B1 (ko) 2013-08-26 2014-05-30 (주)지엠지 교량 교체시공용 교량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13B1 (ko) 2013-08-26 2014-05-30 (주)지엠지 교량 교체시공용 교량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51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20180136194A (ko) 가구 받침다리
KR20100056366A (ko) 높낮이 조절장치
KR101696416B1 (ko) 편측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CN214488758U (zh) 一种防变形消失模铸造用烘干架
KR101223231B1 (ko) 파티션 지지다리
CN207334364U (zh) 一种便于调节的落地灯
CN109259957B (zh) 一种内科辅助翻身装置
CN213608903U (zh) 一种肿瘤科用的多用输液架
IT1307282B1 (it) Tavolo applicabile attraverso il ribaltamento delle sue sponde.
CN105768633A (zh) 具有可升降桌板的茶几
CN210961140U (zh) 一种多功能床
CN208619479U (zh) 家具用的连接件
CN210055462U (zh) 一种装修用的家具装饰支撑架
KR200415062Y1 (ko) 가구용 높이조절구
CN207011371U (zh) 一种绿化养护用树木支撑架
CN201123520Y (zh) 可拆装式多功能升降桌
JP3113096U (ja) 神棚
CA2455808A1 (en) Table structure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ed
KR200399635Y1 (ko) 가구용 다리의 높이조절구
CN218528060U (zh) 一种可旋转式升降茶几
CN204908481U (zh) 一种能够调节高度的画板桌
CN219346134U (zh) 一种支架底座结构
CN215304434U (zh) 一种改进支腿的简易床
CN210860481U (zh) 一种旋转升降式计算机辅助升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