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309B1 - 실험대 - Google Patents

실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309B1
KR101360309B1 KR1020130067893A KR20130067893A KR101360309B1 KR 101360309 B1 KR101360309 B1 KR 101360309B1 KR 1020130067893 A KR1020130067893 A KR 1020130067893A KR 20130067893 A KR20130067893 A KR 20130067893A KR 101360309 B1 KR101360309 B1 KR 10136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
lower frames
moving rail
hole
shelf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3006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실험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험대는: 실험대 본체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부를 형성하는 상하프레임과, 상하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실험기구를 수용하는 선반부재와, 이동레일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브라켓과, 선반부재와 고정브라켓에 마련되고, 선반부재를 고정브라켓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험대{EXPERTMENT STAND}
본 발명은 실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프레임의 이동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고정브라켓으로 선반부재를 안착하며, 결합부를 통해 선반부재를 고정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며, 선반부재의 높이 조절시 고정부재를 풀고 상하이동 후 조여주기만 하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실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대는 실험을 할 때 대상물이나 기구를 올려놓고 작업을 하는 대(table)을 말하는 것으로서, 실험대에는 실험을 하기 위한 컴퓨터, 실험장치 등의 전기, 전자장비 등이 설치된다.
실험대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작업면을 구비한 실험대 본체와, 이 실험대 본체의 작업면 상에 배치되며 각종 화학 실험용 약품병들을 적어도 1단 이상의 배열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된 선반과, 선반의 양측으로 고정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반은 고정브라켓에 체결나사를 통해 결합되고. 지지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83317호(발명의 명칭: 실럼대, 공개일자: 2011.07.20)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실험대는 선반을 수직프레임에 결합할 때, 나사를 통해 결합되어 하중을 지지하므로 조립 후 선반 상에 심험기구를 다수 올려 놓는 경우, 나사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선반이 흔들리거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프레임의 이동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고정브라켓으로 선반부재를 안착하며, 결합부를 통해 선반부재를 고정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실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부재의 높이 조절시 위치고정부재 및 고정부재를 조금 풀고 선반부재와 고정브라켓을 함께 이동레일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고, 위치고정부재의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를 조여주면 선반부재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아도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실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에 체결되고 상하프레임의 위치공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정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고정브라켓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험대는, 실험대 본체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부를 형성하는 상하프레임; 상기 상하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실험기구를 수용하는 선반부재; 상기 이동레일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부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이동레일부의 걸림부에 양측이 걸리면서 승강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이동레일부의 개방부위는 마감캡부재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선반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므로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으로 돌출된 안착돌부; 및 상기 안착돌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선반부재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란, 상기 고정브라켓은 위치설정부에 의해 상기 상하프레임에서 상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이동레일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하 높이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는 위치공; 및 상기 결합공에 조립되고, 상기 위치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당겨 상기 이동레일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공은 상기 결합공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중심나사부; 및 상기 중심나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공에 걸림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프레임은 측면 노출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상하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삽입공간을 갖도록 한 쌍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지도록 상기 마감커버의 측면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엠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프레임의 이동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고정브라켓으로 선반부재를 안착하고, 결합부를 통해 선반부재를 고정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부재의 높이 조절시 위치고정부재 및 고정부재를 조금 풀고 선반부재와 고정브라켓을 함께 이동레일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고, 위치고정부재의 높이를 고정한 후 고정부재를 조여주면 선반부재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아도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에 체결되고 상하프레임의 위치공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정브라켓의 상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고정브라켓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대의 상하프레임 및 선반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 및 상하프레임의 결합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 및 상하프레임의 결합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진입 및 위치고정부재 결합 상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의 결합 및 고정부재 체결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런대의 상하프레임 및 선반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 및 상하프레임의 결합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 및 상하프레임의 결합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진입 및 위치고정부재 결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부재의 결합 및 고정부재 체결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100)는, 실험대 본체(2), 상하프레임(10), 선반부재(20), 고정브라켓(30) 및 결합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 본체(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100)에서 실험이 이루어지는 책상 형태의 구성으로서, 실험기구 등을 놓아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레임 본체(2)를 기준으로 한 쌍의 상하프레임(10)이 양측으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하프레임(10)은 실험대 본체(2)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부(12)를 형성한다.
이동레일부(12)는 상하프레임(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일측'은 후술하는 선반부재(20)가 설치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양측'은 선반부재(20)가 설치되는 방향 및 선반부재(20)가 설치되지 않는 반대 방향을 포함하여 지칭한다.
이동레일부(12)는 각각의 상하프레임(10)의 양측면에 2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되는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이 때, 이동레일부(12)는 각각의 상하프레임(10)의 양측면에 1개씩 모두 2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레일부(12)는 각각의 상하프레임(10)에서 후술하는 선반부재(20)가 배치되는 일측면(내측면)에만 1개 또는 2개씩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하프레임(10)은 중심부위에 사각단면 형상의 보강프레임(1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9)은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는 이동레일부(12) 사이에 감싸지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상하프레임(10)의 길이가 커질 경우 후술하는 선반부재(20)의 지지에 의한 이동레일부(12)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하프레임(10)은 보강프레임(19)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7)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하프레임(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동레일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선반부재(20)는 상하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되고, 실험기구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선반부재(20)는 바닥부(22)와, 바닥부(22)의 사방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측면부(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반부재(20)에는 상측에 실험기구 등을 담아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다.
고정브러켓(30)은 이동레일부(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이다.
고정브라켓(30)은 선반부재(20)으로 노출되면서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개방부위 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상하프레임(10)의 이동레일부(12)는 고정브라켓(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브라켓(30)의 양측 가장자리가 걸려지는 걸림부(14)를 형성한다.
걸림부(14)는 이동레일부(12)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고정브라켓(30)은 이동레일부(12)의 걸림부(14)에 양측이 걸리면서 승강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동레일부(12)의 개방부위는 마감캡부재(16)에 의해 마감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감캡부재(16)는 걸림부(4)의 측면에 압입되어 걸려지도록 한 쌍의 탄성턱부(18)를 형성한다.
탄성턱부(18)는 마감캡부재(16)를 이동레일부(12)의 개방부위에 삽입시, 중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오므려졌다가 진입이 완료된 후 약간 벌려지면서 이동레일부(12)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결합부(40)는 선반부재(20)와 고정브라켓(30)에 마련되고, 선반부재(20)를 고정브라켓(30)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결합부(40)는 선반부재(2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42)과, 관통공(42)에 일치하도록 고정브라켓(30)에 형성되는 체결공(44)과, 관통공(42)을 통해 삽입되고, 체결공(44)에 체결되므로 선반부재(20)를 고정브라켓(3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6)를 포함한다.
체결공(44)은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46)는 체결공(44)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이다.
고정부재(46)가 관통공(42)을 통하여 고정브라켓(30)의 체결공(44)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브라켓(30)의 전측 가장자리부위가 이동레일부(2)의 걸림부(14)에 밀착 접촉되어 상하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결합부(40)는, 고정브라켓(30)의 측면으로 돌출된 안착돌부(47)와, 안착돌부(47)에 안착되도록 선반부재(3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부(47)는 고정브라켓(30)의 측면에 별도의 금속부재를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나사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안착홈부(48)는 선반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 저면에 함몰 형성되어 고정브라켓(30)의 안착돌부(47)에 안착 또는 삽입한다.
선반부재(20)의 안착홈부(48)를 고정브라켓(30)의 안착돌부(47)에 삽입 또는 안착하기 전에 후술하는 위치설정부(50)의 위치고정부재(56)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30)의 위치를 결정한 후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고정부재(56)를 이용하여 고정브라켓(30)을 상하프레임(10)의 이동레일부(12)에 위치 고정시킨 후, 선반부재(20)의 안착홈부(48)를 고정브라켓(30)의 안착돌부(47)에 안착시키고, 고정부재(46)를 관통공(42)을 통해 삽입하여 체결공(44)에 체결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고정브라켓(30)은 위치설정부(50)에 의해 상하프레임(10)에서 상하 위치가 고정된다.
위치설정부(50)는 선반부재(20)를 고정브라켓(30)에 조립하기 전에 고정브라켓(30)의 상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고정하는 구성이다.
위치설정부(50)는, 고정브라켓(30)에 형성되는 결합공(52)과, 이동레일부(12)의 측면에 상하 높이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는 위치공(54)과, 결합공(52)에 조립되고, 위치공(54)에 걸림 삽입되어 고정브라켓(30)을 당겨 이동레일부(12)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56)를 포함한다.
결합공(52)은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공(54)는 결합공(52)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진다.
위치공(54)는 나사산이 없는 단순 관통구멍이다.
위치고정부재(56)는 결합공(52)에 체결되는 중심나사부(56a)와, 중심나사부(56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끝단부위에 마련되는 지지부(56b)를 포함한다.
도 7을 첨조하면, 위치고정부재(56)는 지지부(56b)가 결합공(52)에 조립되는 중심나사부(56a)에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위치공(54)에 걸려지면서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중심나사부(56a)의 결합공(52)과의 체결에 의해 고정브라켓(30)이 이동레일부(12)의 걸림부(14) 측으로 당겨 밀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30)의 안착돌부(47)는 도 7을 기준으로 위치고정부재(56)를 체결함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하프레임(10)은 측면 노출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커버(60)를 구비한다.
마감커버(60)는 결속부(70)에 의해 상하프레임(10)에 결합된다.
마감커버(60)는 덮개부(62)와, 덮개부(62)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형성된 측면부(62)를 포함한다.
결속부(60)는, 상하프레임(10)의 가장자리에 삽입공간을 갖도록 한 쌍 형성되는 삽입부(72)와, 삽입부(72)의 측면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74)와, 걸림턱부(74)에 걸려지도록 마감커버(60)의 측면부(64) 내측면에 형성되는 엠보부재(76)를 포함한다.
엠보부재(76)는 마감커버(60)의 측면부(64)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부재(76)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마감커버(60)의 측면부(64)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엠보부재(76)는 마감커버(60)의 측면부(64)에 용접 또는 나사 체결등으로 부착 형성할 수도 있다.
상하프레임(10)에는 삽입부(72)에 삽입되는 마감커버(60)의 측면부(60)가 진입함에 따라 엠보부재(76)를 걸림턱부(74) 측으로 밀어주도록 경사돌기부(78)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돌기부(78)는 걸림턱부(74)에 비해 더 내측에 마련되어 마감커버(60)의 측면부(64)가 진입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걸림턱부(74) 측으로 엠보부재(76)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걸림턱부(74)에서 엠보부재(76)의 텐션(tension) 결합력이 더욱 더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대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선반부재(20)를 고정브라켓(20)에 조립하는 상태 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7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20)을 상하프레임(10)의 이동레일부(12)에 각각 삽입하도록 한다.
그 다음, 위치고정부재(56)의 중심나사부(56a)를 고정브라켓(52)의 결합공(52)에 체결하면서, 지지부(56b)를 상하프레임(10)의 위치공(56b)에 걸림 삽입시키도록 한다.
연이어, 위치고정부재(56)의 지지부(56b)를 상하프레임(10)의 위치공(56b)에서 이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중심나사부(56a)를 결합공(52)에 체결함에 따라 고정브라켓(52)이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면서 조립되고, 이동레일부(12)의 걸림부(14)의 단부측에 밀착되면서 이동이 멈추고 고정브라켓(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하 위치가 고정된 고정브라켓(30)의 안착돌부(48) 상에 선반부재(20)의 안착홈부(48)를 안착 하거나 삽입하여 선반부재(20)를 고정브라켓(40)에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재(46)를 선반부재(20)의 절곡측면부(24) 관통공(42)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30)의 체결공(44)에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한다.
이때, 선반부재(20)는 위치고정부재(56)의 결합력과 고정부재(46)의 결합력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으로써,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그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선반부재(20)가 조립된 부위를 제외한 이동레일부(12)의 개방부위는 마감캡부재(16)의 탄성턱부(18)를 이용하여 압입 장착함으로써, 일체감 있는 마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하프레임(10)의 측면 노출부위를 마감하기 위해 마감커버(60)를 장착하도록 한다.
마감커버(60)는 측면부(64)에 돌출 형성된 엠보부재(76)가 상하프레임(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삽입부(72)의 걸림턱부(74)에 텐션력으로 압입 장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하프레임(10)의 측면에 조립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100)를 사용하다가 선반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고정부재(56)와 고정부재(46)를 소정량 풀어 준 후, 이동레일부(12)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고정브라켓(30)의 상하 고정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술한 체결방법에 따라 위치고정부재(56)와 고정부재(46)를 다시 조여줌에 따라 간편하게 선반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100)는, 상하프레임(10)의 이동레일부(12)를 따라 이동하고, 고정브라켓(30)으로 선반부재(10)를 안착하고, 결합부(40)를 통해 선반부재(20)를 고정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100)는, 선반부재(20)의 높이 조절시 위치고정부재(56) 및 고정부재(46)를 조금 풀고 선반부재(20)와 고정브라켓(30)을 함께 이동레일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고, 위치고정부재(56)로 높이를 고정한 후 고정부재(46)를 조여주면 선반부재(20)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아도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대(100)는, 고정브라켓(30)에 체결되고 상하프레임(10)의 위치공(54)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부재(56)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정브라켓(30)의 간편하게 상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고정브라켓(30)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실험대 본체 10 : 상하프레임
12 : 이동레일부 14 : 걸림부
16 : 마감캡부재 18 : 탄성턱부
20 : 선반부재 30 : 고정브라켓
40 : 결합부 42 : 관통공
44 : 체결공 46 : 고정부재
47 : 안착턱부 48 : 안착홈부
50 : 위치결정부 52 : 결합공
54 : 위치공 56 : 위치고정부재
60 : 마감커버 64 : 측면부
70 : 결속부 72 : 삽입부
74 : 걸림턱부 76 : 엠보부재
78 : 경사돌기부 100 : 실험대

Claims (10)

  1. 실험대 본체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부를 형성하는 상하프레임;
    상기 상하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실험기구를 수용하는 선반부재;
    상기 이동레일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이동레일부의 걸림부에 양측이 걸리면서 승강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상하프레임은 중심부위에 사각단면 형상의 보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은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되는 상기 이동레일부 사이에 감싸지는 형태로 마련되므로 상기 이동레일부의 비틀림을 방지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측 가장자리를 걸어주도록 상기 이동레일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이동레일부의 개방부위는 마감캡부재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선반부재의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므로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으로 돌출된 안착돌부; 및
    상기 안착돌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선반부재에 형성되는 안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위치설정부에 의해 상기 상하프레임에서 상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이동레일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하 높이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는 위치공; 및
    상기 결합공에 조립되고, 상기 위치공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당겨 상기 이동레일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공은 상기 결합공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는 중심나사부; 및
    상기 중심나사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공에 걸림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프레임은 측면 노출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결속부에 의해 상기 상하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상하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삽입공간을 갖도록 한 쌍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에 걸려지도록 상기 마감커버의 측면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엠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KR1020130067893A 2013-06-13 2013-06-13 실험대 KR10136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93A KR101360309B1 (ko) 2013-06-13 2013-06-13 실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93A KR101360309B1 (ko) 2013-06-13 2013-06-13 실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309B1 true KR101360309B1 (ko) 2014-02-12

Family

ID=5027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893A KR101360309B1 (ko) 2013-06-13 2013-06-13 실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3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65B1 (ko) 2014-07-16 2014-09-12 삼인싸이언스(주) 실험 테이블의 조립 시스템
KR20160108862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디알코디 프로파일 기둥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옷걸이
KR101787551B1 (ko) * 2015-10-06 2017-10-18 (주)휴코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
KR20200140610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389B1 (ko) * 2010-01-14 2012-07-12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389B1 (ko) * 2010-01-14 2012-07-12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65B1 (ko) 2014-07-16 2014-09-12 삼인싸이언스(주) 실험 테이블의 조립 시스템
KR20160108862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디알코디 프로파일 기둥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옷걸이
KR101707647B1 (ko) 2015-03-09 2017-02-21 주식회사 디알코디 프로파일 기둥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옷걸이
KR101787551B1 (ko) * 2015-10-06 2017-10-18 (주)휴코 유틸리티 박스가 구비된 실험대
KR20200140610A (ko) * 2019-06-07 2020-12-16 김영덕 시스템 선반
KR102285543B1 (ko) 2019-06-07 2021-08-04 김영덕 시스템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5865A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KR101360309B1 (ko) 실험대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8262175B2 (en) Drawer fitting
US8474199B2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KR102077531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JP5404302B2 (ja) 脚柱の上下調節装置
WO2019097812A1 (ja) 棚板
KR20120005730U (ko) 파이프 클램프
JP2011194074A (ja) 遊技機の筐体構造
JPWO2006049212A1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装置
ITBZ950001U1 (it)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del pannello frontale di un cassetto.
KR20090030747A (ko) 노브 어셈블리
JP2014223196A (ja) 棚柱取付具
KR101295587B1 (ko) 스트리퍼 고정타입이 개선된 금형장치
KR20190061349A (ko) 시스템 선반
FR3093526B1 (fr) Procédé de pose d’un dormant sur un mur, dispositif de fixation d’un élément de dormant correspondant et dormant équipé d’un tel dispositif
CN211667527U (zh) 翻转抽拉二合一键盘鼠标架
KR100701232B1 (ko) 책상용 상판의 슬라이드 결합구조
CN210092710U (zh) 一种箱式变电站立柱锁紧装置
KR102156662B1 (ko)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JP5908219B2 (ja) 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具
JP2010121362A (ja) 折戸の支持装置
JP2017086428A (ja) 家具
JP3016133U (ja) Lcdのホールダー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