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62B1 -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62B1
KR102156662B1 KR1020190057018A KR20190057018A KR102156662B1 KR 102156662 B1 KR102156662 B1 KR 102156662B1 KR 1020190057018 A KR1020190057018 A KR 1020190057018A KR 20190057018 A KR20190057018 A KR 20190057018A KR 102156662 B1 KR102156662 B1 KR 102156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fixing part
vertical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욱
Original Assignee
정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욱 filed Critical 정지욱
Priority to KR102019005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E06B3/9688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로 고정부를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수평프레임을 측면에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도어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강해져 도어 프레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결합부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의 결합부에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통해 결합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와 수직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측의 제1 삽입홈 및 타측의 제2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Door frame for easy coupling and securing}
본 발명은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로 고정부를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수평프레임을 측면에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도어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강해져 도어 프레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는 수직프레임의 양쪽에 연결부재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수평프레임의 양쪽에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가 일자로 형성되어 있어 수직프레임의 양쪽에 결합할 때, 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피스구멍과,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체결피스돌기의 구멍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어려움이 있었고, 작업자의 착오에 의해 연결부재의 위, 아래가 바뀐 상태로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연결부재의 위, 아래가 바뀐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체결피스를 풀어서 위, 아래를 제대로 맞춰 변경하여 다시 체결피스로 연결부재가 수직프레임의 양쪽에 결합되게 하여야 하는 작업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가 수직프레임에 느슨하게 결합되거나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와 수직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안내홈과, 수평프레임의 안내돌기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선행특허는 연결구의 제1연결바에 형성된 끼움홈이 수직프레임의 제1직교패널에 결합되게 하는 동시에 제1체결돌기가 제1체결돌기홈에 삽입되게 하고, 받침면에 제2직교패널이 받쳐지게 하는 동시에 제2체결돌기가 제2체결돌기홈에 삽입되게 한 후, 체결나사로 결합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제1 연결바를 통해 제1 체결돌기 및 제2 체결돌기에 제1 직교패널 및 제2 직교패널이 결합되므로 결합된 뒤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체결나사가 내부에서 결합되므로, 결합의 견고성이 감소되어 제1 체결돌기와 제2 체결돌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78951호(2015.11.27.)
본 발명은 슬라이드로 고정부를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수평프레임을 측면에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도어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강해져 도어 프레임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은, 도어의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결합부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의 결합부에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통해 결합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와 수직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측의 제1 삽입홈 및 타측의 제2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결합부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때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슬라이드체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의 제1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수직체 및 상기 본체의 타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의 제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수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고정부가 결합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고정부의 상측에서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와 수직 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부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의 삽입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수평 프레임이 고정부와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외측에서 수평 프레임과 고정부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을 고정부를 통해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는 고정부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가 결합부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결합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와 수직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의 삽입부를 결합하는 단계는 수평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에 고정부의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체 및 제2 수직체가 삽입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로 고정부를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수평프레임을 측면에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도어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강해져 도어 프레임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의 수평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도어의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10);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20)를 통해 결합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측의 제1 삽입홈(31a) 및 타측의 제2 삽입홈(31b)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될 때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체(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슬라이드체(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홈(25)이 형성되는 본체(21); 상기 고정부(20)의 일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제1 삽입홈(31a)에 삽입되는 제1 수직체(23) 및 상기 고정부(20)의 타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제2 삽입홈(31b)에 삽입되는 제2 수직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10)의 상측에 결합부(11)가 형성되어 고정부(20)가 결합부(11)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고정부(20)의 상측에서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S20); 상기 고정부(20)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 상기 수평 프레임(30)이 고정부(20)와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외측에서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고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을 고정부(20)를 통해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는 고정부(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22)가 결합부(11)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20) 측면에 형성되는 홈(25)에 결합부(11)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13)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는 수평 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31a) 및 제2 삽입홈(31b)에 고정부(20)의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체(23) 및 제2 수직체(24)가 삽입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의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10),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20), 수직 프레임(1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20)를 통해 결합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30) 및 수평 프레임(3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측의 제1 삽입홈(31a) 및 타측의 제2 삽입홈(31b)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31)를 포함하며, 바같측면에서 체결체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10)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 바닥 상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될 때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며, 결합부(1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체(1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는 본체(21), 제1 수평체(23) 및 제2 수직체(24)로 이루어져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21)는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슬라이드체(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홈(25)이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과 돌출체(13)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20)의 일측과 타측 수평방향으로 제1 수직체(23)와 제2 수직체(24)가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20)의 일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체(23)는 수평 프레임(30)의 제1 삽입홈(31a)에 삽입되고, 타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체(24)는 수평 프레임(30)의 제2 삽입홈(31b)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수직체(23) 및 제2 수직체(24)가 고정부(20)에 수평으로 형성되므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0)의 본체(21)가 수직 프레임(10)에 슬라이드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상측에서 수직 프레임(10)과 고정부(20)를 체결체가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30)이 고정부(20)와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평 프레임(30)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22)가 결합부(11)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20) 측면에 형성되는 홈(25)에 결합부(11)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13)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0)과의 슬라이드 결합하고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0)의 하부의 본체(21)에 체결체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10)의 상측에 결합부(11)가 형성되어 고정부(20)가 결합부(11)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고정부(20)의 상측에서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의 내측 바닥면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S20); 상기 고정부(20)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 상기 수평 프레임(30)이 고정부(20)와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외측에서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고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을 고정부(20)를 통해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1)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는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고정부(20)를 슬라이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는 고정부(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22)가 결합부(11)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20) 측면에 형성되는 홈(25)에 결합부(11)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13)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결합되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S20)를 통해 체결체를 통해 수직 프레임(10)과 고정부(20)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S20)를 통해 수직 프레임(10)과 고정부(20)가 고정되면,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를 통해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부(20)의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삭제
이때, 상기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는 수평 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 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31a) 및 제2 삽입홈(31b)에 고정부(20)의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체(23) 및 제2 수직체(24)가 삽입 되어 결합되도록 하며, 바같측면에서 체결체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를 통해 고정부(20)를 수평 프레임(30)에 결합하면,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고정하는 단계(S40)를 통해 체결체로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삭제
상기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고정하는 단계(S40)를 통해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가 고정되면,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통해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을 고정부(20)를 통해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슬라이드로 고정부를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수평프레임을 측면에서 고정부에 고정시키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도어의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드를 통해 결합시키므로, 결합력이 강해져 도어 프레임의 분리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직 프레임 11 : 결합부
12 : 슬라이드홈 13 : 돌출체
20 : 고정부 21 : 본체
22 : 슬라이드체 23 : 제1 수직체
24 : 제2 수직체 25 : 홈
30 : 수평 프레임 31 : 삽입부
31a : 제1 삽입홈 31b : 제2 삽입홈

Claims (6)

  1. 도어의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ㅂ"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부(11)가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10);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에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20);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20)를 통해 결합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되어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고정되도록 하는 일측의 제1 삽입홈(31a) 및 타측의 제2 삽입홈(31b)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31)를 포함하며, 바같측면에서 체결체가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20)가 삽입될 때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며, 이격되어 상기 결합부(1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체(1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0)의 본체(2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슬라이드체(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홈(25)이 형성되는 본체(21);
    상기 고정부(20)의 일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제1 삽입홈(31a)에 삽입되는 제1 수직체(23) 및 상기 고정부(20)의 타측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제2 삽입홈(31b)에 삽입되는 제2 수직체(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22)가 결합부(11)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20) 측면에 형성되는 홈(25)에 결합부(11)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13)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과의 슬라이드 결합하고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0)의 하부의 본체(21)에 체결체가 체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도어 프레임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10)의 상측에 결합부(11)가 형성되어 ㄷ형의 고정부(20)가 결합부(11)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고정부(20)의 상측에서 체결체를 통해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의 결합부(11)의 내측 바닥면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S20);
    상기 고정부(20)의 수평 방향으로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
    상기 수평 프레임(30)이 고정부(20)와 결합되면, 체결체를 통해 외측에서 수평 프레임(30)과 고정부(20)를 체결체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을 고정부(20)를 통해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 고정시켜 도어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결합되는 단계(S10)는 고정부(20)의 바닥에 형성되는 슬라이드체(22)가 결합부(11)의 바닥 상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2)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고정부(20) 측면에 형성되는 홈(25)에 결합부(11)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출체(13)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여 고정부(20)와 수직 프레임(10)이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30)의 삽입부(31)를 고정하는 단계(S30)는 수평 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31a) 및 제2 삽입홈(31b)에 고정부(20)의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체(23) 및 제2 수직체(24)가 삽입 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의 결합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90057018A 2019-05-15 2019-05-15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KR10215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18A KR102156662B1 (ko) 2019-05-15 2019-05-15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18A KR102156662B1 (ko) 2019-05-15 2019-05-15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662B1 true KR102156662B1 (ko) 2020-09-16

Family

ID=7266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018A KR102156662B1 (ko) 2019-05-15 2019-05-15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702Y1 (ko) * 2000-03-30 2000-08-16 정경진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KR20110110479A (ko) * 2010-04-01 2011-10-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셋팅블럭 일체형 샤시 연결재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KR200478951Y1 (ko) 2015-10-05 2015-12-03 배진영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70036911A (ko)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
KR101758078B1 (ko) * 2015-09-24 2017-07-18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702Y1 (ko) * 2000-03-30 2000-08-16 정경진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KR20110110479A (ko) * 2010-04-01 2011-10-07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셋팅블럭 일체형 샤시 연결재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KR20170036911A (ko) *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
KR101758078B1 (ko) * 2015-09-24 2017-07-18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
KR101758079B1 (ko) * 2015-09-24 2017-07-27 주식회사 태광인텍 도어 프레임
KR200478951Y1 (ko) 2015-10-05 2015-12-03 배진영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390B (zh) 塑膠夾具
JP2007132168A (ja) 木造建築用連結金物
US8113603B2 (en) Laundry machine
KR102156662B1 (ko)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한 도어 프레임
KR200424942Y1 (ko) 침대의 프레임체결구조
KR101212818B1 (ko) 가구
US8777403B2 (en) Assembly of optical lens and eyeglass frame
EP2540193A1 (en) A join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furniture elements components
KR200442096Y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고정구
KR20180071861A (ko)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유리부재의 결합구조
KR2016001874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외곽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91693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JP5534639B2 (ja) デスク
KR200478951Y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631927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TWI553236B (zh) 無螺絲卡扣結構
CN111683564B (zh) 桌子框架组件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2009115175A (ja) 物品固定構造
KR20170000837U (ko) 간편한 설치 구조를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KR100854109B1 (ko) 조립식 선반용 고정구
KR101238090B1 (ko) 롤 커튼의 상부 프레임과 측면 고정 브라켓간 결합구조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101144212B1 (ko) 조립식 서랍장
JP3074898U (ja) 棚連結具およびその棚連結具を用いた組立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