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818B1 -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818B1
KR101212818B1 KR1020120074754A KR20120074754A KR101212818B1 KR 101212818 B1 KR101212818 B1 KR 101212818B1 KR 1020120074754 A KR1020120074754 A KR 1020120074754A KR 20120074754 A KR20120074754 A KR 20120074754A KR 101212818 B1 KR101212818 B1 KR 10121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racket
support member
base frame
coupl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상
Original Assignee
박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상 filed Critical 박의상
Priority to KR102012007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 상판, 이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와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판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결합부재가, 지지부재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결합브라켓, 및 이 제 1결합브라켓과 일부 포개어져 제 1결합브라켓과 함께 상판에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상판과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고 결합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브라켓과 다리의 유격에 의한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고 결합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브라켓과 다리의 유격에 의한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필요한 책상 등 가구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각종 사물 및 서류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서랍으로 구성되고, 서랍의 위치에 따라 편수 가구과, 양수 가구으로 구분됨과 아울러 근래에는 타이핑 가구과 같이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재질에 따라서도 철재와 목재 가구으로 구분되나, 철재 가구의 경우 부식, 녹 발생 등으로 인하여 장기간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서랍장이 뒤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목재 가구 또는 상판은 목재로, 다리 및 지지부는 철재로 구성된 가구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목재 가구은 원목 또는, 한 쌍의 합판으로 이루어진 판재를 절단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판을 제작하고, 이 상판의 양측 하방으로 측판을 세워 구비하되, 이들 양측판을 연결함과 아울러 후방을 막음하는 뒷판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측판의 저부에 지지부를 두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특히,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3684호(발명의 명칭: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에는 다리 프레임 구조체 상측에 하나의 커넥터부재를 조립 후, 커넥터부재에 상판을 조립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기존 책상의 다리와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다리와 상판을 구속하는 커넥터부재는 다리나 상판과의 결속력이 약함에 따라, 다리나 상판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과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고, 한 쌍의 브라켓끼리 및 브라켓과 상판, 브라켓과 다리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브라켓과 다리의 유격에 의한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하는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판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결합브라켓, 및 상기 제 1결합브라켓과 일부 포개어져 상기 제 1결합브라켓과 함께 상기 상판에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결합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면에 접한 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중공인 제 1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접하여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스토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면접되어 제 1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접한 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스토퍼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 양쪽 하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안착홈 각각에 슬라이드 안내되며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리브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수용돌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수용돌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돌부는 상기 제 1테이퍼면과 면접되는 제 2테이퍼면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보강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보강대의 단부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리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은 위치설정홈을 복수 개 함몰 형성하고,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위치설정홈에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설정돌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판과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고, 한 쌍의 브라켓끼리 및 브라켓과 상판, 브라켓과 다리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브라켓과 다리의 유격에 의한 다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결합부재 연결부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조립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결합부재 연결부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저면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조립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등과 같은 가구(10)는 상판(20), 지지부재(30), 결합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의상, 가구(10)는 책상으로 도시한다.
상판(20)은 가구(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독서나 작업등이 가능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상판(20)은 목재나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재(30)는 상판(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레그(leg)나 프레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지지부재(30)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디귿'자의 프레임 형상으로 도시한다. 물론, 지지부재(3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결합부재(100)는 지지부재(30)와 상판(20) 사이에 구비되어 지지부재(30)에 대해 상판(20)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판(20)과 지지부재(30) 및 결합부재(100)는 가구(10)뿐만 아니라 테이블이나 가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상판(20)이 지지부재(30)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판(20)에 대해 지지부재(3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100)가 구비된다.
더욱이, 도 4 내지 도 13에 나타나듯이, 결합부재(100)는 제 1결합브라켓(110), 및 제 2결합브라켓(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부재(100)는 복수 개로 나뉘어져 서로 결속된다.
그래서,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이 포개어진 후, 포개어진 부위가 스크류(105)로써 볼팅하는 등에 의해 상판(20)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은 스크류(105)로써 볼팅하는 등에 의해 지지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서로 연결되는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이 동일한 지지부재(30)에 결속됨에 따라, 결합부재(100)는 상판(20)과 지지부재(3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제 1결합브라켓(110)은 제 1베이스프레임(112), 및 제 1스토퍼부재(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베이스프레임(112)은 지지부재(30)의 상측면에 접한 후 볼팅 등에 의해 지지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1베이스프레임(112)은 일측으로 개방되며 중공 형상이다.
그리고, 제 1스토퍼부재(114)는 지지부재(30)의 어느 한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측면에 인접한 둘레면에 접하여 제 1베이스프레임(1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 1베이스프레임(112)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제 1스토퍼부재(114)가 지지부재(30)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제 1베이스프레임(112)이 지지부재(30)의 상측면에 체결 고정됨에 따라, 제 1결합브라켓(110)은 지지부재(30)와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상태로 지지부재(30)에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 2결합브라켓(120)은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 및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는 상판(20)의 하측면에 면접된 채 제 1베이스프레임(112)과 함께 볼팅 등에 의해 상판(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는 제 1베이스프레임(11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제 1베이스프레임(112)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제 1베이스프레임(112)에 연결된다.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가 제 1베이스프레임(112)에 완전히 삽입시,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는 지지부재(30)의 둘레면에 접한 채 볼팅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이 서로 포개어진 부위가 상판(20)에 볼팅 등에 의해 결속되고,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이 대응되는 지지부재(30)에 볼팅 등에 의해 결속됨에 따라, 상판(20)이나 지지부재(30)는 흔들림 방지된다.
특히, 제 2결합브라켓(120)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 1결합브라켓(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제 1결합브라켓(110)의 제 1베이스프레임(112)은 양쪽 하측면에 안착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는 양측으로 슬라이드리브(134)를 연장 형성한다.
슬라이드리브(134)는 대응되는 안착홈(132)에 슬라이드 안내된다. 이 후, 제 2결합브라켓(120)의 슬라이드리브(134)는 면접되는 제 1결합브라켓(110)에 볼팅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슬라이드리브(134)의 후측(後側) 양쪽 가장자리가 제 1결합브라켓(110)과 함께 볼팅 등에 의해 상판(2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대응되는 후측은 하나의 스크류(105)에 의해 상판(20)에 동시에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리브(134)와 접하는 제 1결합브라켓(110)의 해당 부위에 안착홈(132)이 함몰 형성되는 이유는,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 1결합브라켓(110)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전측(前側)이 제 1결합브라켓(110)에 고정되어야 한다.
예로서, 제 1베이스프레임(112)과 지지부재(30) 사이에는 공간부(142)가 형성된다. 이때, 공간부(142)는 제 1베이스프레임(112)의 함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부재(30)의 함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공간부(142)는 제 1베이스프레임(112)의 전측 하부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에는 공간부(142)에 수용되는 수용돌부(144)가 구비된다.
즉,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가 제 1베이스프레임(11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돌부(144)가 공간부(142) 내부로 삽입된다. 그래서, 수용돌부(144)는 상측으로 지지부재(30)에 접하여 지지되고, 하측으로 제 1베이스프레임(112)에 접하여 지지된다.
특히,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의 수용돌부(144)가 제 1베이스프레임(112)의 전측(前側)과 함께 볼팅 등에 의해 상판(2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대응되는 전측은 하나의 스크류(105)에 의해 상판(20)에 동시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접촉면적이 많아진 상태로 견고하게 결속됨에 따라, 결합부재(100)에 연결되는 상판(20)과 지지부재(30)는 흔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제 1베이스프레임(112)은 수용돌부(144)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테이퍼면(143)을 구비하고, 수용돌부(144)는 제 1테이퍼면(143)과 면접되는 제 2테이퍼면(145)을 구비한다.
즉, 수용돌부(144)가 공간부(142) 내측에 완전히 삽입시, 제 1테이퍼면(143)과 제 2테이퍼면(145)은 면접된다. 이에 따라,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접촉면적은 더욱 증가하여,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결합력은 배가(倍加)된다. 다시 말해서, 제 1테이퍼면(143)과 제 2테이퍼면(145)이 면접됨으로써, 제 1베이스프레임(112)과 수용돌부(144)는 조립시 유격이 없어짐에 따라, 제 1베이스프레임(112)과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는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때, 제 1테이퍼면(143)이 제 2테이퍼면(145)과 접할 때, 제 1스토퍼부재(114)와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도 경사지게 면접촉한다. 즉, 제 1스토퍼부재(114)와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의 접촉 부위는 대칭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판(20) 하측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제 2결합브라켓(120)끼리는 보강대(150)의 축 방향에 대한 각 단부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부재(100)는 보강대(150)에 의해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보강대(150)는 상판(2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2결합브라켓(120)은 보강대(150)의 대응되는 단부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단턱(15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 2결합브라켓(120)은 보강대(150)의 양측면에 접하여 지지하는 서포트리브(153)를 형성한다. 즉, 보강대(150)의 각 단부는 대응되는 단턱(151)에 하측이 지지되고, 서포트리브(153)에 양측이 지지된다.
아울러, 보강대(150)는 양측 단부 내부에 나사탭(152)을 형성한다. 나사탭(152)은 암나사이다. 그래서, 체결부재(154)가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에 삽입 후 나사탭(152)에 체결됨으로써, 보강대(150)는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체결부재(154)는 볼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결합브라켓(120)은 상판(20)에 정위치 조립되어야 한다. 이는, 제 2결합브라켓(120)이 제 1결합브라켓(110)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틀어지게 조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상판(20)은 위치설정홈(162)을 복수 개 함몰 형성하고, 제 2결합브라켓(120) 특히,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는 위치설정홈(162)에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설정돌부(164)를 구비한다.
즉, 위치설정돌부(164)가 대응되는 위치설정홈(162)에 삽입됨으로써, 제 2결합브라켓(120)은 상판(20)에 정위치 한 상태로 상판(2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1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서처럼, 먼저 작업자는 상판(20)을 뒤집은 후 상부를 향하는 하측면에 보강대(150)를 올려놓는다(a). 그리고, 제 2결합브라켓(120)의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가 상판(20)에 정위치 설정되고 나서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의 전측은 스크류(105)에 의해 상판(20)에 고정된다(b). 이때, 보강대(150)의 일측 단부는 제 2스토퍼플레이트(124)와 체결부재(154)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 후, 작업자는 제 1결합브라켓(110)을 지지부재(30)에 스크류(105)로써 체결 고정한다(c).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부재(30)를 결합한 제 1결합브라켓(110)을 제 2결합브라켓(120)에 슬라이드 삽입(d)하고 나서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의 포개어지는 후측 부위를 스크류(105)로써 상판(20)에 결속한다(e). 즉, 하나의 스크류(105)가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을 동시에 상판(20)에 고정한다.
특히, 제 1결합브라켓(110)의 제 1베이스프레임(112) 전측은 제 2베이스플레이트(122)의 전측 하부와 상판(20) 사이에 끼움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스크류(105)가 포개어지는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을 동시에 상판(2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상판(20)을 들어 뒤집은 상태로 제 1결합브라켓(110)이 지지부재(30)의 해당 위치에 접하도록 상판(20)을 지지부재(30)에 올려놓거나, 또는 지지부재(30)를 들어 제 1결합브라켓(110)에 올려놓은 후, 스크류(105)로써 제 2결합브라켓(120)을 지지부재(30)에 결속한다(f). 그래서, 지지부재(30)는 제 1결합브라켓(110)과 제 2결합브라켓(120)을 고정 연결한다.
물론, 조립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가구 20: 상판
30: 지지부재 100: 결합부재
110: 제 1결합브라켓 112: 제 1베이스프레임
114: 제 1스토퍼부재 120: 제 2결합브라켓
122: 제 2베이스플레이트 124: 제 2스토퍼플레이트
132: 안착홈 134: 슬라이드리브
142: 공간부 143: 제 1테이퍼면
144: 수용돌부 145: 제 2테이퍼면
150: 보강대 151: 단턱
152: 나사탭 153: 서포트리브
154: 체결부재 162: 위치설정홈
164: 위치설정돌부

Claims (9)

  1.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상판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결합브라켓; 및
    상기 제 1결합브라켓과 일부 포개어져 상기 제 1결합브라켓과 함께 상기 상판에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결합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결합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면에 접한 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으로 개방되며 중공인 제 1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면접된 채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과 함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 2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수용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접하여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면에 접한 채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스토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 양쪽 하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안착홈 각각에 슬라이드 안내되며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수용돌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돌부는 상기 제 1테이퍼면과 면접되는 제 2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보강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보강대의 단부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위치설정홈을 복수 개 함몰 형성하고;
    상기 제 2결합브라켓은 상기 위치설정홈에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설정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KR1020120074754A 2012-07-09 2012-07-09 가구 KR10121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54A KR101212818B1 (ko) 2012-07-09 2012-07-09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754A KR101212818B1 (ko) 2012-07-09 2012-07-09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818B1 true KR101212818B1 (ko) 2012-12-14

Family

ID=4790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754A KR101212818B1 (ko) 2012-07-09 2012-07-09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8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83Y1 (ko) 2014-06-12 2015-01-14 주식회사 베니올 가구 프레임 결속구
KR101784444B1 (ko) 2017-02-22 2017-10-12 주식회사 코아스 코너브라켓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20210063778A (ko) * 2019-11-25 2021-06-02 박종성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422942B1 (ko)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60Y1 (ko) * 2006-08-17 2006-11-02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조립식 책상
KR101080838B1 (ko) * 2011-09-21 2011-11-08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연속연결형 테이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60Y1 (ko) * 2006-08-17 2006-11-02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조립식 책상
KR101080838B1 (ko) * 2011-09-21 2011-11-08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연속연결형 테이블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83Y1 (ko) 2014-06-12 2015-01-14 주식회사 베니올 가구 프레임 결속구
KR101784444B1 (ko) 2017-02-22 2017-10-12 주식회사 코아스 코너브라켓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20210063778A (ko) * 2019-11-25 2021-06-02 박종성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270346B1 (ko) * 2019-11-25 2021-06-28 박종성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422942B1 (ko) * 2022-02-08 2022-07-21 주식회사 이노프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18B1 (ko) 가구
US6968790B1 (en) Portable picnic table/sawhorse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KR101380674B1 (ko) 테이블다리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KR101511373B1 (ko) 지지력을 강화한 조립식 테이블
KR101379311B1 (ko) 테이블다리
KR101379283B1 (ko)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20130027619A (ko) 슬라이드 패널과 상부 패널을 구비한 책장 쓰러짐 방지용 기능성 보조 책꽂이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101318967B1 (ko) 조립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JP3156536U (ja) 組み立てラック
US20050023942A1 (en) Steel cabinet drawer file
JP6308973B2 (ja) 収納具
JP5140574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6079954B2 (ja) 天板付家具
KR102398781B1 (ko) 테이블 프레임 장치
KR20100033682A (ko) 책꽂이
KR102266787B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 구조
JP4654374B2 (ja) 家具
KR102306170B1 (ko) 다용도 코너 브라켓
JP6995643B2 (ja) 杆材の連結構造
KR102259853B1 (ko) 조립식 가구
KR200187248Y1 (ko) 선반형 서류결재함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