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46B1 -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 Google Patents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46B1
KR102270346B1 KR1020190152295A KR20190152295A KR102270346B1 KR 102270346 B1 KR102270346 B1 KR 102270346B1 KR 1020190152295 A KR1020190152295 A KR 1020190152295A KR 20190152295 A KR20190152295 A KR 20190152295A KR 102270346 B1 KR102270346 B1 KR 10227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racket
upper bracket
leg
bra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778A (ko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박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성 filed Critical 박종성
Priority to KR102019015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는, 상판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일측부는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판과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 브래킷은 서로 탈착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부 브래킷의 일측부는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하부 브래킷은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와 대향되는 영역인 타측부에 배치되어 상부 브래킷과 복수의 다리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DESK LEG STRUCTURE BASED ON CONNECTION BRACKET AND DES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는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테이블 다리 위에 넓은 면적의 상판이 얹히는 형태인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류는, 사용 과정에서 상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서 아래로 휘어져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의 뒷면에 보강프레임을 부착 고정하는 수단이 흔히 이용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은 분할된 상태로 상판 모양을 따라 배열된 후 용접이나 별도의 연결구를 통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상판에 설치된다. 전술한 용접방식은 작업이 너무 번거롭고 연결부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는 상판 뒷면 중 각 보강프레임의 끝부분이 위치되는 지점마다 설치되어 각 보강프레임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각 보강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는 형태이다.
그리고 종래의 연결 부재와 보강 프레임 간의 결합도 별도의 상호 고정수단 없이 단순히 연결부재가 보강프레임에 삽입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짐으로, 연결부위에서 보강프레임이 미세하게 흔들릴 수 있어, 결국 보강프레임 연결구조 전체가 흔들리게 된다.
이외에 일반적으로 테이블다리와 상판간의 결합은 상판에 고정된 테이블다리 고정구에 테이블다리를 용접하거나 고정구와 테이블다리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호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나사체결구조는 기존 체결구조에 비해 간단하고 높이조절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테이블다리 고정구는 테이블다리와 상판 간 연결매개 역할만 할뿐 타 기능은 갖고 있지 않아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강프레임을 설치할 때 별도의 연결구가 추가되어야 할 수밖에 없다.
즉 기존 테이블을 제작하는 방식은 테이블다리와 상판간의 결합을 위한 고정구와 상판과 보강프레임 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구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조 및 제작이 복잡해진다.
그리고 종래에 연결 브래킷을 사용하여 녹다운(knock-down) 구조로 이루어진 제품도 있지만 물류상 포장이 불리하거나 흔들림이 개선되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0674호(장근대) 2014. 03. 2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흔들림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는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판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브래킷은 서로 탈착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래킷의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는 영역인 타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브래킷과 상기 복수의 다리부에 각각 결합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다리부와 마주보는 영역이 개방된 상부 브래킷 바디;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와 수직 되도록 상기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의 저면부에는 상기 하나의 끼움 돌기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상부 브래킷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 돌기는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홈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의 저면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면부에 지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바디 결합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브래킷에 마련된 삽입 포스트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 포스트의 상단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돌기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 바디;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일측부에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다리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 및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바디를 통해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삽입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는 상기 돌기 결합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에 마련되는 브래킷 바디 결합홀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일측벽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면부에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보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대의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위치 유도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판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이 구비된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상부 브래킷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면부에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데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연결 브래킷이 서로 탈착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부 브래킷의 상판과 복수의 다리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부 브래킷은 상부 브래킷이 결합되는 영역과 대향되는 영역의 상부 브래킷과 복수의 다리부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바디 결합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의 일단부가 복수의 다리부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하부 브래킷에 마련된 삽입 포스트에 결합되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품 조립시 다리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상부 브래킷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끼움 돌기가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끼움홈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결합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를 포함하는 데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리 프레임과 연결 브래킷과 보강대의 결합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연결 브래킷이 보강대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에 다리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 부재가 상부 브래킷 바디와 삽입 포스트 등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하부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브래킷 한 쌍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다리부가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겹쳐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과 보강대의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데스크를 복수로 연결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하나의 다리 프레임에 한 쌍의 연결 브래킷이 마련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데스크"는 다양한 용도의 다리를 가지는 가구 예컨태 책상, 회의탁자, 응접탁자, 식탁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며, 본 발명의 데스크가 특정 용도와 특정 형태의 데스크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를 포함하는 데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리 프레임과 연결 브래킷과 보강대의 결합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연결 브래킷이 보강대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에 다리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 부재가 상부 브래킷 바디와 삽입 포스트 등에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부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하부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브래킷 한 쌍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한 쌍의 다리부가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겹쳐진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브래킷과 보강대의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1)는, 상판(1000)과, 상판(1000)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2000)와, 일측부는 상판(10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다리부(2000)에 결합되어 상판(1000)과 복수의 다리부(2000)를 서로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3000)과, 연결 브래킷(3000)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면부에는 상판(1000)이 결합되는 보강대(4000)를 구비한다.
상판(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목재, 플라스틱, 암석 또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3000)에 결합되어 상판(10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다리부(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다리부(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래킷(30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 프레임(2100)과, 다리 프레임(210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다리 프레임(210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부재(2200)와, 한 쌍의 다리 부재(2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연결 블록(2300)과, 높이 조절 연결 블록(2300)에 승강되게 결합되어 한 쌍의 다리 부재(2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부재(2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다리부(2000)의 다리 프레임(2100)과 한 쌍의 다리 부재(2200)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리 프레임(2100)과 한 쌍의 다리 부재(2200)는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다리부(2000)의 다리 프레임(2100)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홀(2110)과, 한 쌍의 제1 홀(2110) 보다 직경이 큰 한 쌍의 제2 홀(2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홀(21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B)의 단부가 삽입되고, 제2 홀(2120)에는 삽입 포스트(3230)가 삽입되어 제1 홀(2110)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B)의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2 홀(2120)을 통해서 삽입 포스트(3230)가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다리 프레임(2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품 조립시 삽입 포스트(3230)가 다리 프레임(2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제1 홀(2110)에는 한 쌍의 체결 부재(B)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홀(2120)에는 한 쌍의 한 쌍의 삽입 포스트(323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000)의 높이 조절 연결 블록(2300)은, 도 2에 도시된 같이, 외벽에 복수의 단턱이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다리 부재(220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다리부(2000)의 높이 조절 부재(2400)는, 높이 조절 연결 블록(2300)에 마련된 나사 홈 또는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며 높이 조절 연결 블록(2300)에 조여지거나 풀어져서 다리 부재(2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다리부(20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 부재(2200)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포장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결 브래킷(3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상판(10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다리 프레임(2100)에 결합되어 상판(1000)과 복수의 다리부(2000)를 서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브래킷(3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상판(10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다리 프레임(2100)에 복수의 체결 부재(B)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3100)과, 상부 브래킷(3100)과 대향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부 브래킷(3100)과 다리 프레임(2100)에 각각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3200)을 포함한다.
상부 브래킷(3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프레임(2100)과 마주보는 영역이 개방된 상부 브래킷 바디(3110)와,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판(1000)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바디(3120)와, 한 쌍의 제1 바디(3120)와 이격 되도록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다리 프레임(2100)에 마련된 한 쌍의 제1 홀(2110)에 결합되는 제2 바디(3130)와,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바닥부에 마련되며 하부 브래킷(3200)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B)가 결합되는 결합 블록(3140)과,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3150)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하부 브래킷(3200)의 일측부가 지지되는 연장 플레이트(3160)와, 경사지게 마련된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영역에 마련되어 경사진 일부 영역을 평행하게 하며 보강대(4000)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지지 블록(3170)과, 보강대(40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 블록(3170)에 마련되며 보강대(40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강대(4000)의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위치 유도 리브(3180)를 포함한다.
상부 브래킷(3100)의 상부 브래킷 바디(311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 즉 다리 프레임(2100)과 마주 보는 영역이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도 9의 (c)를 기준으로 좌측 영역이 경사지게 마련되고 우측 영역은 직선으로 마련되고 상부와 하부는 평평하게 마련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중앙부에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 결합홀(3111)이 마련되고, 이 보강대 결합홀(3111)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B)가 결합되어 상부 브래킷 바디(3110)를 보강 바디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대 결합홀(3111)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B)는 일측부가 보강대 결합홀(3111)을 통과한 후 탭 플레이트(4200)에 마련된 플레이트 홀(421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상측부에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112)가 마련되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줄일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제1 바디(31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상단부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며, 상부 브래킷(3100)은 한 쌍의 제1 바디(3120)에 마련된 상판 결합홀(3121)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 부재(B)에 의해 상판(1000)의 저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바디(3120)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결합홀(3121)과 연통되는 끼움홈(312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브래킷(3100)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3100)에 마련된 끼움 돌기(3150)는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3100)에 마련된 끼움홈(3122)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결합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제2 바디(3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바디(3120)와 수직되도록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여기에는 한 쌍의 바디 결합홀(3131)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13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결합홀(3131)을 통해 다리 프레임(2100)에 삽입되어 하부 브래킷(3200)의 삽입 포스트(3230)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B)에 의해 다리 프레임(2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B)는 삽입 포스트(323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바디(313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결합 블록(3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내측 바닥부에 마련되어 하부 브래킷 바디(3210)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B)의 일측부가 결합되는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블록(3140)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고, 일측부가 라운딩 진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끼움 돌기(315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저면부에 한 쌍이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래킷 바디(3210)에 마련된 돌기 결합홈(3212)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상부 브래킷(3100)과 하부 브래킷(32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끼움 돌기(3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브래킷(3100)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3100)에 마련된 끼움 돌기(3150)는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3100)에 마련된 끼움홈(3122)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결합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물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끼움 돌기(315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연장 플레이트(3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저면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하부 브래킷 바디(3210)의 일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지지 블록(317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마련된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영역에 마련되어 경사진 일부 영역을 평행하게 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4000)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브래킷(3100)의 위치 유도 리브(318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40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 블록(3170)에 마련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대(40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강대(4000)의 결합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 유도 리브(318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블록(3170)에 한 쌍이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부 브래킷(310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아연으로 마련될 수 있고,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하부 브래킷(320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3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3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 6을 기준으로 좌측부는 체결 부재(B)에 의해 상부 브래킷(3100)의 결합 블록(3140)에 결합되고 우측부는 일부가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B)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 브래킷(3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래킷 바디(3110)의 저면부에 체결 부재(B)에 의해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 바디(3210)와, 하부 브래킷 바디(3210)의 일측부에서 다리 프레임(2100)으로 연장 마련되어 다리 프레임(2100)을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3220)와,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부 플랜지(3220)에 마련되며 제2 바디(3130)를 통해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B)의 단부가 결합되는 삽입 포스트(3230)를 포함한다.
하부 브래킷(3200)의 하부 브래킷 바디(32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B)의 일측부가 통과되는 브래킷 바디 결합홀(3211)과, 상부 브래킷(3100)의 끼움 돌기(3150)가 결합되는 돌기 결합홈(3212)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브래킷 바디 결합홀(3211)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돌기 결합홈(3212)은 브래킷 바디 결합홀(3211)이 마련된 영역에 브래킷 바디 결합홀(321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3200)의 하부 플랜지(3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브래킷 바디(3210)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상면부가 다리 프레임(2100)의 저면부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3200)의 삽입 포스트(3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322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바디(3130)의 바디 결합홀(3131)을 통해 다리 프레임(2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B)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삽입 포스트(323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고, 내부에 포스트 결합홈(3231)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대(4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부 브래킷(3100)에 체결 부재(B)를 통해 결합되고, 보강대(4000)에 마련된 보강대 체결홀(4100)을 통과하는 복수의 체결 부재(B)에 의해 상판(10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대(4000)의 내부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플레이트(4200)가 마련되고, 탭 플레이트(4200)에는 체결 부재(B)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또는 끼워 맞춤 결합되는 플레이트 홀(421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데스크를 복수로 연결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하나의 다리 프레임(2100)에 한 쌍의 연결 브래킷(3000)이 마련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판(1000)을 가진 데스크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다리 프레임(210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브래킷(3000)이 마주보도록 체결 부재(B)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데스크
1000 : 상판 2000 : 다리부
2100 : 다리 프레임 2110 : 제1 홀
2120 : 제2 홀 2220 : 다리 부재
2300 : 높이 조절 연결 블록 2400 : 높이 조절 부재
3000 : 연결 브래킷 3100 : 상부 브래킷
3110 : 상부 브래킷 바디 3111 : 보강대 결합홀
3112 : 공간부 3120 : 제1 바디
3121 : 상판 결합홀 3122 : 끼움홈
3130 : 제2 바디 3140 : 결합 블록
3150 : 끼움 돌기 3160 : 연장 플레이트
3170 : 지지 블록 3180 : 위치 유도 리브
3200 : 하부 브래킷 3210 : 하부 브래킷 바디
3211 : 브래킷 바디 결합홀 3212 : 돌기 결합홈
3220 : 하부 플랜지 3230 : 삽입 포스트
3231 : 포스트 결합홈 4000 : 보강대
4100 : 보강대 체결홀 4200 : 탭 플레이트
4210 : 플레이트 홀 B : 체결 부재

Claims (10)

  1. 상판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 및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브래킷은 서로 탈착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래킷의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는 영역인 타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브래킷과 상기 복수의 다리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다리부와 마주보는 영역이 개방된 상부 브래킷 바디;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와 수직 되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의 저면부에는 하나의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상부 브래킷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 돌기는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홈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저면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면부에 지지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바디 결합홀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브래킷에 마련된 삽입 포스트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 포스트의 상단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돌기 결합홈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 바디;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일측부에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다리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플랜지; 및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바디를 통해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 부재의 단부가 결합되는 삽입 포스트를 포함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는 상기 돌기 결합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에 마련되는 브래킷 바디 결합홀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탈착 결합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연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일측벽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결합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면부에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보강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대의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위치 유도 리브를 더 포함하는 데스크 다리 구조체.
  10. 상판이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및 일측부는 상기 상판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하부 브래킷이 구비된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상부 브래킷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면부에는 상기 상판이 결합되는 보강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기 복수의 다리부와 마주보는 영역이 개방된 상부 브래킷 바디;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와 수직 되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다리부의 상기 일측부에 결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디의 저면부에는 하나의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 맞춤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상부 브래킷을 서로 결합 시 하나의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 돌기는 뒤집어진 다른 상부 브래킷에 마련된 상기 끼움홈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데스크.
KR1020190152295A 2019-11-25 2019-11-25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27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95A KR102270346B1 (ko) 2019-11-25 2019-11-25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95A KR102270346B1 (ko) 2019-11-25 2019-11-25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78A KR20210063778A (ko) 2021-06-02
KR102270346B1 true KR102270346B1 (ko) 2021-06-28

Family

ID=763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95A KR102270346B1 (ko) 2019-11-25 2019-11-25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25B1 (ko) * 2022-09-27 2023-10-1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18B1 (ko) * 2012-07-09 2012-12-14 박의상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74B1 (ko) 2012-07-31 2014-04-02 장근대 테이블다리
DE202014104866U1 (de) * 2014-10-13 2014-10-27 Oelschläger Metalltechnik GmbH Knotenverbindung für Verbindungsholme und zugehöriges modular aufgebautes Tischgest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18B1 (ko) * 2012-07-09 2012-12-14 박의상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25B1 (ko) * 2022-09-27 2023-10-1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78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1644A (en) Frame structure especially for a cabinet, e.g. of the shelved type
US11337515B2 (en) Quick assembly table
US3000602A (en) Pallet container
KR200479870Y1 (ko) 조립식 화로대
US6142589A (en) Combination storage rack
KR20170003349U (ko) 가구용 프레임 조립 구조체
KR102222819B1 (ko)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332967B1 (ko) 선반 거치력이 강화된 간편 조립식 수납장
KR101380674B1 (ko) 테이블다리
KR20130005154U (ko)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US6848368B2 (en) Stand device
KR102388743B1 (ko) 상판 구조적 안정성 개선 및 자동 높낮이 조절 철제 데스크
US9717341B1 (en) Chair frame
KR101865581B1 (ko) 조립식 책상 프레임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KR200481983Y1 (ko) 조립식 가구
CN216984154U (zh) 一种置物架
CN107374180A (zh) 一种连接件和具有其的展示架框架组件
KR200345676Y1 (ko) 절첩기능을 가진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KR200262278Y1 (ko) 진열장
KR102077671B1 (ko) 소형 유압프레스용 프레임
KR101953202B1 (ko) 조립식 가구용 하부 프레임
KR200320340Y1 (ko) 조립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