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154U -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154U
KR20130005154U KR2020120001342U KR20120001342U KR20130005154U KR 20130005154 U KR20130005154 U KR 20130005154U KR 2020120001342 U KR2020120001342 U KR 2020120001342U KR 20120001342 U KR20120001342 U KR 20120001342U KR 20130005154 U KR20130005154 U KR 201300051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hole
frame bar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홍
Original Assignee
임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홍 filed Critical 임철홍
Priority to KR2020120001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154U/ko
Publication of KR20130005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1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47B2220/003Height-adjustable feet or gliders for tables or desks

Abstract

본 고안은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자의 상판(3) 저면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다리(1)와; 다리(1)와 다리(1) 사이를 연결하여 다리(1)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프레임바(2);로 구성되는 탁자의 다리(1)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다리(1)의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부(101a)를 형성한 결합부(101)를 직각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각 결합부(10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01b)을 형성하며,
프레임바(2)의 단부에는 결합부(101)에 형성된 통공(101b)과 일치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201)을 형성하여 프레임바(2)의 단부를 삽입부(101a)에 삽입한 후 결합부(101)의 통공(101b)과 프레임바(2)의 통공(201)이 관통하도록 직결나사(4)를 삽입하여 상판(3) 저면에 직결나사(4)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다리와 프레임바를 가구 조립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편의성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리와 프레임바와 상판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탁자의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되고, 프레임바의 길이 변경이 용이하여 다양한 크기의 탁자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 호환성이 뛰어나며, 부피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취급 및 운반,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Table legs and frame structure}
본 고안은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탁자의 상판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나 테이블, 책상과 같은 가구들은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판과, 상판 저면의 네 모퉁이에서 상판에 결합되는 다리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다리와 다리 사이를 연결하여 다리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프레임바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다리와 프레임바를 구성할 때, 다리와 프레임바를 목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리와 프레임바를 짜맞춤 하거나, 꺽쇠 또는 코너브라켓과 같은 별도의 연결철물을 이용해 다리와 프레임을 직각으로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다리와 프레임바를 모두 금속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재가 가지는 강도 때문에 꺽쇠나 코너브라켓과 같은 보강철물을 이용해 다리와 프레임바를 쉽게 결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통상적으로 다리와 프레임바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을 통해 다리와 프레임바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는데, 용접작업을 가구 설치 현장에서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장에서의 가구 생산 과정에서 미리 용접을 통해 다리와 프레임바를 일체로 형성한 후, 현장에서 프레임바 상부에 상판만 조립하는 방식으로 가구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일체로 제작된 다리와 프레임바는 부피가 커서 보관, 운반이 곤란하고, 취급 과정에서 프레임바의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휨이 발생한 프레임바는 상판과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가구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리와 프레임바를 가구 조립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리와 프레임바와 상판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탁자의 상판(3) 저면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다리(1)와; 다리(1)와 다리(1) 사이를 연결하여 다리(1)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프레임바(2);로 구성되는 탁자의 다리(1)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다리(1)의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부(101a)를 형성한 결합부(101)를 직각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각 결합부(10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01b)을 형성하며,
프레임바(2)의 단부에는 결합부(101)에 형성된 통공(101b)과 일치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201)을 형성하여 프레임바(2)의 단부를 삽입부(101a)에 삽입한 후 결합부(101)의 통공(101b)과 프레임바(2)의 통공(201)이 관통하도록 직결나사(4)를 삽입하여 상판(3) 저면에 직결나사(4)를 나사 결합한 구성이다.
한편, 다리(1)의 하단부에는 수나사(102a)가 형성된 높이조절구(102)가 중심부에 나사 결합된 마감재(103)를 결합한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다리와 프레임바를 가구 조립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편의성을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다리와 프레임바와 상판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탁자의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바의 길이 변경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탁자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 호환성이 뛰어나며, 부피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취급 및 운반, 보관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조립상태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탁자의 상판(3) 저면 네 모퉁이에서 상판(3)에 결합되는 다리(1)와; 다리(1)와 다리(1) 사이를 연결하여 다리(1)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프레임바(2)로 구성된다.
이때, 각 다리(1)의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부(101a)를 형성한 결합부(101)를 직각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각 결합부(10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01b)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바(2)의 단부에는 결합부(101)에 형성된 통공(101b)과 일치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20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첨부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101)의 삽입부(101a)에 프레임바(2)의 단부를 삽입부(101a)에 삽입한 후 결합부(101)의 통공(101b)과 프레임바(2)의 통공(201)이 관통하도록 직결나사(4)를 삽입하여 상판(3) 저면에 직결나사(4)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다리(1)와, 프레임바(2)와 상판(3)이 직결나사(4)에 의해 한꺼번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탁자의 상판(3) 저면 네 모퉁이에 다리(1)를 배치하고, 각 다리(1)와 다리(1) 사이에서 다리(1)의 결합부(101)에 끼워져 다리(1)와 함께 상판(3)에 결합되는 프레임바(2)가 모두 결합하면, 프레임바(2)가 사각틀 형태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다리(1)와 다리(1) 사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다리(1)와 프레임바(2)와 상판(3)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탁자의 상판(3)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다리(1)는 동일하게 사용하는 대신에 프레임바(2)의 길이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탁자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호환성이 뛰어나며, 모두 분해한 상태에서는 부피가 크게 줄기 때문에 취급 및 운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다리(1)의 하단부에는 수나사(102a)가 형성된 높이조절구(102)가 중심부에 나사 결합된 마감재(103)를 결합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지면에 탁자를 놓는 경우에도 다리(1)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서 탁자의 상판(3)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다리 101: 결합부
101a: 삽입부 101b: 통공
102: 높이조절구 102a: 수나사
103: 마감재 2: 프레임바
201: 통공 3: 상판
4: 직결나사

Claims (2)

  1. 탁자의 상판(3) 저면 네 모퉁이에 결합되는 다리(1)와; 다리(1)와 다리(1) 사이를 연결하여 다리(1)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프레임바(2);로 구성되는 탁자의 다리(1)와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다리(1)의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부(101a)를 형성한 결합부(101)를 직각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각 결합부(101)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101b)을 형성하며,
    프레임바(2)의 단부에는 결합부(101)에 형성된 통공(101b)과 일치하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통공(201)을 형성하여 프레임바(2)의 단부를 삽입부(101a)에 삽입한 후 결합부(101)의 통공(101b)과 프레임바(2)의 통공(201)이 관통하도록 직결나사(4)를 삽입하여 상판(3) 저면에 직결나사(4)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1)의 하단부에는 수나사(102a)가 형성된 높이조절구(102)가 중심부에 나사 결합된 마감재(103)를 결합한 것을 포함하는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KR2020120001342U 2012-02-22 2012-02-22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KR201300051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42U KR20130005154U (ko) 2012-02-22 2012-02-22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42U KR20130005154U (ko) 2012-02-22 2012-02-22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154U true KR20130005154U (ko) 2013-08-30

Family

ID=5243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42U KR20130005154U (ko) 2012-02-22 2012-02-22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15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02U (ko) 2015-06-30 2017-01-09 서성철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WO2019088745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KR102058675B1 (ko) 2019-01-09 2019-12-24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지지각에 대한 프레임연결구의 이중 조립구조
KR102115572B1 (ko) 2020-01-21 2020-05-26 주식회사 핀란디아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KR102151948B1 (ko) * 2020-04-08 2020-09-04 서동준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용 조립식 프레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02U (ko) 2015-06-30 2017-01-09 서성철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WO2019088745A1 (ko) * 2017-11-01 2019-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캐비닛 장치
US11702830B2 (en) 2017-11-01 2023-07-18 Lg Electronics Inc. Sink cabinet apparatus
KR102058675B1 (ko) 2019-01-09 2019-12-24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지지각에 대한 프레임연결구의 이중 조립구조
KR102115572B1 (ko) 2020-01-21 2020-05-26 주식회사 핀란디아 가구 다리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가구
KR102151948B1 (ko) * 2020-04-08 2020-09-04 서동준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용 조립식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154U (ko)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US9801462B2 (en) Laboratory table assembly system
KR20190000653U (ko) 무용접 테이블 조립구조
KR20170003349U (ko) 가구용 프레임 조립 구조체
KR101322621B1 (ko) 침대 프레임 구조
KR200461772Y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
KR200484346Y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140016746A (ko) 테이블다리
KR20170000826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제조방법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20130006907U (ko) 책상 다리연결용 브라켓 구조
CN102578804A (zh) 可拆卸桌子
KR20130005155U (ko) 탁자의 절첩식 다리와 프레임 구조
KR101379311B1 (ko) 테이블다리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KR101976667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KR102059723B1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CA2880099C (en) Composite table top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US20130318782A1 (en) System for Creating a Container and a Container
KR20130002080U (ko) 테이블 상판 고정부재
KR20210063778A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1574051B1 (ko) 조립식 가구
KR101574976B1 (ko)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
KR101585760B1 (ko) 회의용 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