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051B1 -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051B1
KR101574051B1 KR1020150053038A KR20150053038A KR101574051B1 KR 101574051 B1 KR101574051 B1 KR 101574051B1 KR 1020150053038 A KR1020150053038 A KR 1020150053038A KR 20150053038 A KR20150053038 A KR 20150053038A KR 101574051 B1 KR101574051 B1 KR 10157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upport
connection
protrusion
suppor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925A (ko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이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태 filed Critical 이기태
Publication of KR2015011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51B1/ko
Priority to PCT/KR2015/0138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674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세워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수평지게 연결되는 판체와 지지구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는, 내측에 제1연결홈부(11a)가 구비되는 제1연결면(11)과 상기 제1연결면(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측이 연장되는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과 상기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에 제2연결홈부(14a)가 구비되는 제2연결면(14)과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지지면(1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각각 끼워져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연결하여 적층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연결돌부(22)와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 각각의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단턱돌부(23)를 갖는 적층연결구(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 각각에 끼워져 상기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6a)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끼움돌부(31) 및 하부끼움돌부(32)와 이 상부끼움돌부(31)와 하부끼움돌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걸림돌부(33)를 갖는 보강구(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10)의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구비되는 마감구(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ssembly type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선반과 같은 가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지지체와 판체를 쉽고 간단하게 체결하도록 하여 조립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체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켜 지지체 및 판체가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가구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하여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과 같은 가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판상의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가구는 대개 목재 또는 합성목으로 이루어진 지지체(다리부)와 판체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맞대어진 부분을 나사 또는 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선반과 같은 가구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지지체(다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판체로 이루어지는 선반부를 균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반 역시 서로 맞대어진 부분을 나사 또는 못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선반 등의 가구의 경우 판체의 선반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돌부가 지지체의 내면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거치돌부에 판체의 선반부를 올려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선반체가 지지체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거치돌부가 지지체의 내면에 구비될 경우에는 거치돌부의 위치를 지지체의 내면에서 자유롭게 변경시키도록 함으로써 선반부에 꽂아지거나 올려지는 책 또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선반부와 선반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책상과 같은 가구의 경우 지지체와 판체가 한 번 결합된 후에는 이들을 다시 분리하여 조립함이 어렵고, 소비자들 특히 여성들의 경우 나사나 못 등으로 지지체와 판체를 서로 연결하여 가구를 조립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반과 같은 가구의 경우 선반부의 위치를 거치돌부에 의해 가변시킬 수 있다고 하더라도 선반부를 제외한 선반의 지지체가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는 다리부분들과 다리부분들을 상부 및 하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가 반드시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이들 다리부분들과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의 체결 역시 나사 또는 못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야 함으로써 소비자들 특히 여성들이 가구를 쉽게 조립하여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가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가구들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469535호인 조립과 분해가 간편한 조립식 가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홈이 형성된 상판, 상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가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홈이 형성된 지지판, 양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가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단부 양측에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제1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못이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구를 쉽게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상판과 지지판 및 하판, 후판들이 모두 체결홈과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어 끼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들을 서로 밀어 넣어 끼움이 용이하지 못하고 한 번 조립된 상태의 가구를 다시 분해할 경우 각각의 부재들을 역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빼내야 함으로써 분리 후 재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부재들에 체결홈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사출성형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압출성형 또는 목재 가공 등에 의해 가구들의 부재를 제조하여야 함으로써 부재들의 생산단가가 올라가게 되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은 설치되는 가구의 높낮이를 부재들에 의해 가변시킬 수 없어 예를 들어, 어린아이들이 사용하는 책상과 청소년이 사용하는 책상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로 구성되어야 하는 바, 종래 기술의 가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은 이미 공장에서 높이가 결정된 상태로 제조됨으로써 가구의 높이를 달리하고자 할 경우 새로운 가구를 새롭게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9535호(2013.10.11.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11-0007569호(2011.08.01. 공개)
본 발명은 가구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지지체와 판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지체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하며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사용 도중에 가구가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가구를 변형시켜 조립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는,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세워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수평지게 연결되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결합되는 판체 및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는, 내측에 제1연결홈부가 구비되는 제1연결면과 상기 제1연결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측이 연장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에 제2연결홈부가 구비되는 제2연결면과 상기 제1지지면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면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끼움홈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와 상기 제2지지면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끼움홈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 각각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와 제2연결홈부에 각각 끼워져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를 연결하여 적층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연결돌부와 상부연결돌부와 하부연결돌부 사이에 구비되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들 각각의 제1연결면과 제2연결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단턱돌부를 갖는 적층연결구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 각각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와 제2끼움홈부 각각에 끼워져 상기 적층연결구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와 제2끼움홈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끼움돌부와 하부끼움돌부와 이 상부끼움돌부와 하부끼움돌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끼움홈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와 상기 제2끼움홈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걸림돌부를 갖는 보강구와; 상기 지지구의 제1지지면 또는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구비되는 마감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구는,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끼움부가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상기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 더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제1지지면 또는 제2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구들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지지구들을 적층하여 지지체를 구비하고 지지체에 상판과 덮개를 조립함에 따라 책상이나 선반, 책장과 같은 가구를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체를 이루고 있는 지지구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조립 설치되는 가구가 흔들거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는 가구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조립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구성요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조립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의 조립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는,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세워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수평지게 연결되는 판체와 지지구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는, 상기 지지체(10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는, 내측에 제1연결홈부(11a)가 구비되는 제1연결면(11)과 상기 제1연결면(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측이 연장되는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과 상기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에 제2연결홈부(14a)가 구비되는 제2연결면(14)과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지지면(1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체(100)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이 서로 수직되는 방향으로 적층연결되어 하나의 지지체(100) 즉, 가구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구(1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서로에 대해 적층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 지지구(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적층할 때 이들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연결하는 적층연결구(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층연결구(2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각각 끼워져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연결하여 적층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연결돌부(22)와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 각각의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단턱돌부(2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를 상기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연결면(11)의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면(14)의 제2연결홈부(14a)에 끼움으로써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적층연결구(2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지지구(10)를 기준으로 하여 지지구(10)들이 수직되게 연결될 경우 단턱돌부(2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를 하나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구(10)를 수평상으로 위치하고 이와 같이 수평상으로 위치되는 2개의 지지구(10)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이 수직 적층 연결될 때 수평상으로 위치되는 2개의 지지구(10)를 연결하기 위해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를 각각 단턱돌부(23)의 상부와 하부에 2개로 구비하여 수평상으로 위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을 하나의 적층연결구(20)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가 각각 단턱돌부(23)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나의 적층연결구(20)로 수평상으로 위치되는 2개의 지지구(10)를 연결하기 때문에 2개의 지지구(10)를 수평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적층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지지구(10)들이 틀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구(10)를 일정각도로 꺾이도록 위치하여 연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적층연결구(20)의 단턱돌부(23)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를 각각 2개 씩 구비하되, 이들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를 일정각도로 꺽어지는 2개의 지지구(10)의 제1연결면(11)의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면(14)의 제2연결홈부(14a)에 대응되에 위치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지지구(10)를 일정각도로 꺾이도록 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가구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할 경우에 지지체(100)를 이루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가구의 모서리부분을 따라 일정각도로 꺾어 적층할 때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적층연결구(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구(10)를 삼방향으로 연결할 경우에 적층연결구(20)의 단턱돌부(23)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3개의 상부연결돌부(21)와 3개의 하부연결돌부(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지지구(10)의 연결상태에 따라 적층연결구(20)의 단턱돌부(23)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연결구(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10)에 결합되는 판체(50)의 측면을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가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판체(50)의 견고성 및 지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지지구(10)는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될 때, 상기 단턱돌부(23)가 복수개의 지지구(10)들 각각의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짐에 따라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의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층연결구(20)의 단턱돌부(23)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 들 사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구(10)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마감하여 적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고 깔끔하게 연출하기 위해 상기 지지구(10)의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구비되는 마감구(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마감구(40)는 지지구(10)의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에 끼워지는 적층연결구(20)의 단턱돌부(23)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구(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지지면(12)의 제1보조연결부(16)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16a) 또는 상기 제2지지면(13)의 제2보조연결부(17)에 구비되는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의 상부측으로 상기 마감구(40)가 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마감구(40)를 지지구(10)의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보조연결부(16) 또는 제2보조연결부(17) 중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끼움보강부(41)와, 상기 끼움보강부(4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마감구끼움돌부(42)와, 상기 끼움보강부(4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마감구끼움돌부(43)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구(40)의 끼움보강부(41) 상부에 구비되는 제1마감구끼움돌부(42)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마감구끼움돌부(43)를 서로에 대해 적층되는 지지구(10)들의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제1끼움홈부(16a) 또는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끼워 마감구(40)를 지지구(10)들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감구(40)가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 사이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지지구(10)들 사이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미려하고 깔끔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며, 마감구(4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서로에 대해 적층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 각각에 끼워져 상기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6a)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끼움돌부(31) 및 하부끼움돌부(32)와 이 상부끼움돌부(31)와 하부끼움돌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걸림돌부(33)를 갖는 보강구(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구(30)는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에 각각 끼워져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의 내구성 및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조립식 가구는 적층연결구(20)에 의해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이 적층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구(3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에 끼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이용하여 판체(50)를 끼워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판체(50)를 끼우고자 하는 위치에 오는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보강구(30)의 하부끼움돌부(32)를 끼운 다음 판체(50)를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에 하부끼움돌부(32)가 끼워진 보강구(30)의 걸림돌부(33)에 끼워 조립하면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판체(5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에 끼워지는 보강구(3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보강구(30)의 걸림돌부(33)에 끼워지는 끼움구멍(51)이 통공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판체(5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오는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 또는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보강구(30)의 하부끼움돌부(32)를 끼우고 판체(50)에 통공된 끼움구멍(51)을 상기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끼워진 보강구(30)의 걸림돌부(33)에 끼워 판체(50)를 조립하면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지지구(10)에 판체(50)를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지지구(30)의 제1끼움홈부(16a) 또는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하부끼움돌부(32)가 끼워지는 보강구(30)의 걸림돌부(33)에 판체(50)의 끼움구멍(51)을 끼움으로써 최상측의 지지구(10)에 판체(50)를 조립하면 된다.
이와 같이 판체(50)를 조립하고 난 후에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지지구(10)의 상부를 덮개(60)로 덮어 마감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의 판체(50)는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지지구(10)의 일측에만 끼워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지지구(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끼워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덮개(6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중 상기 판체(50)가 끼워지는 보강구(30)가 위치되는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상기 적층연결구(20)의 하부연결돌부(22)가 끼워지면, 이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하부연결돌부(22)가 끼워지는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연결돌부(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부(61)가 하단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6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중 상기 판체(50)가 끼워지는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끼워지는 결합돌부(62)가 하단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의 하단에 결합홈부(61)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적층연결구(20)의 하부연결돌부(22)를 끼운 다음 이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연결돌부(21)에 덮개(6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홈부(61)를 끼움으로써 덮개(60)를 최상측의 지지구(10)에 덮어 마감하면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의 하단에 결합돌부(62)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적층연결구(20)를 끼우지 않고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상기 덮개(6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돌부(62)를 끼움으로써 덮개(60)를 최상측의 지지구(10)에 덮어 마감하면 된다.
본 발명의 덮개(6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지지구(10)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덮개(60)의 표면 및 측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로고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끼움부(18)가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상기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양측에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18)는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18)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100)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판(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7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의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서로 대응되는 지지면들을 지지판(70)으로 수직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100)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지지체(100)에 대한 지지성은 물론 내구성과 견고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에 따라 가구가 한 방향으로 치우치거나 또는 틀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도중에 가구가 쓰러지거나 넘어지거나 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지지구 11 : 제1연결면
11a : 제1연결홈부 12 : 제1지지면
13 : 제2지지면 14 : 제2연결면
14a : 제2연결홈부 16 : 제1보조연결부
16a : 제1끼움홈부 17 : 제2보조연결부
17a : 제2끼움홈부 18 : 끼움부
20 : 적층연결구 21 : 상부연결돌부
22 : 하부연결돌부 23 : 단턱돌부
30 : 보강구 31 : 상부끼움돌부
32 : 하부끼움돌부 33 : 걸림돌부
40 : 마감구 41 : 끼움보강부
42 : 제1마감구끼움돌부 43 : 제2마감구끼움돌부
50 : 판체 51 : 끼움구멍
60 : 덮개 61 : 결합홈부
62 : 결합돌부 70 : 지지판
100 : 지지체

Claims (6)

  1.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세워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수평지게 연결되는 판체와 지지구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적층되고 내측에 제1연결홈부(11a)가 구비되는 제1연결면(11)과 상기 제1연결면(1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일측이 연장되는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과 상기 제1지지면(12) 및 제2지지면(1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에 제2연결홈부(14a)가 구비되는 제2연결면(14)과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면(12)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지지면(1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지지구(1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각각 끼워져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를 연결하여 적층하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연결돌부(22)와 상부연결돌부(21)와 하부연결돌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적층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 각각의 제1연결면(11)과 제2연결면(14)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단턱돌부(23)를 갖는 적층연결구(2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각각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7a) 각각에 끼워져 상기 적층연결구(20)에 의해 적층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구(10)를 보강하도록 상기 제1끼움홈부(16a)와 제2끼움홈부(16a)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끼움돌부(31) 및 하부끼움돌부(32)와 이 상부끼움돌부(31)와 하부끼움돌부(3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끼움홈부(16a)가 구비되는 제1보조연결부(16)와 상기 제2끼움홈부(17a)가 구비되는 제2보조연결부(17) 상단과 하단에 각각 걸어지는 걸림돌부(33)를 갖는 보강구(30)와,
    상기 지지구(10)의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되어 구비되는 마감구(4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끼움부(18)가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상기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양측에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18)는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18)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100)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지지구(10)들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주는 지지판(7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5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의 제1끼움홈부(16a)에 끼워지는 보강구(30)의 걸림돌부(33)에 끼워지는 끼움구멍(51)이 통공되고,
    상기 덮개(60)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구(10) 중 상기 판체(50)의 끼움구멍(51)이 끼워지는 걸림돌부(33)를 갖는 보강구(30)가 위치되는 최상측의 지지구(10)에 구비되는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상기 적층연결구(20)의 하부연결돌부(22)가 끼워지면, 이 제1연결홈부(11a)와 제2연결홈부(14a)에 하부연결돌부(22)가 끼워지는 적층연결구(20)의 상부연결돌부(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부(61)가 하단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40)는,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보조연결부(16) 또는 제2보조연결부(17) 중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끼움보강부(41)와;
    상기 끼움보강부(4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지지면(12)의 제1보조연결부(16)에 구비되는 제1끼움홈부(16a) 또는 상기 제2지지면(13)의 제2보조연결부(17)에 구비되는 제2끼움홈부(17a) 중 어느 하나의 끼움홈부에 끼워져 상기 제1지지면(12) 또는 제2지지면(1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의 상부측으로 상기 마감구(40)가 탈착되도록 하는 제2마감구끼움돌부(43)와;
    상기 끼움보강부(4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마감구끼움돌부(4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6. 삭제
KR1020150053038A 2014-04-15 2015-04-15 조립식 가구 KR10157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3868 WO2016167442A1 (ko) 2015-04-15 2015-12-17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4555 2014-04-15
KR1020140044555 2014-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25A KR20150118925A (ko) 2015-10-23
KR101574051B1 true KR101574051B1 (ko) 2015-12-02

Family

ID=5432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038A KR101574051B1 (ko) 2014-04-15 2015-04-15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4051B1 (ko)
WO (1) WO20151600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834A (ko) 2022-07-04 2024-01-11 최영준 분리 및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233U (ja) * 1995-12-22 1996-07-02 株式会社伸和 連結部材の嵌合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具備する家具
KR101267560B1 (ko) * 2011-06-22 2013-05-27 장정호 양면 연속형 책
KR101236214B1 (ko) * 2011-06-22 2013-02-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산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834A (ko) 2022-07-04 2024-01-11 최영준 분리 및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25A (ko) 2015-10-23
WO2015160071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612B2 (en) Modular furniture with stressed panel dovetail joint
KR101453493B1 (ko) 조립식 책상
US8944532B2 (en)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US9370241B1 (en) Table structure
KR101775012B1 (ko)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KR101574051B1 (ko) 조립식 가구
KR20130005154U (ko) 탁자의 다리와 프레임 구조
KR20060128499A (ko) 넉다운 가구
TWI690282B (zh) 用於家具的可組裝抽屜以及組裝抽屜的方法
JP6796522B2 (ja) 組立家具
US20190038020A1 (en) Modular furniture
KR20130060417A (ko) 조립식 가구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60001854U (ko) 기역니은디귿 조립식 가구
KR101393691B1 (ko) 철제 가구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US8794576B2 (en) Knockdown table leg of game table
JP5740571B2 (ja) 浴室構造
KR20100007971U (ko) 조립식 책상
KR102611209B1 (ko) 가구용 서랍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101772980B1 (ko)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WO2018215909A1 (en) Furniture arrangement
CN208725105U (zh) 组合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