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78Y1 - 진열장 - Google Patents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78Y1
KR200262278Y1 KR2020010031982U KR20010031982U KR200262278Y1 KR 200262278 Y1 KR200262278 Y1 KR 200262278Y1 KR 2020010031982 U KR2020010031982 U KR 2020010031982U KR 20010031982 U KR20010031982 U KR 20010031982U KR 200262278 Y1 KR200262278 Y1 KR 200262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owcase
plates
shelv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202001003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78Y1/ko

Link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좌, 우측판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반 위에 물품을 재치하게 된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후측에는 이 후측을 막는 뒷판(36)이 구비되되, 상기 뒷판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대(50)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봉(54)이 고정되므로, 뒷판 분할로 인해 자재의 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포장 및 운반이 편리하고, 선반 중간부의 처짐을 방지하여 진열장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진열장{a show case}
본 고안은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열장의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판(2)(4)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6)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좌, 우측판(2)(4)의 상단에는 상판(8)이 체결부재(1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좌, 우측판(2)(4)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선반과 동일한 길이의 하판(12)이 체결부재(1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선반(6)의 후측에는 이 후측을 막는 뒷판(16)이 결합된다. 상기 뒷판(16)은 체결부재(18)에 의해 상기 좌,우측판(2)(4)에 고정된다.
상기 좌, 우측판(2)(4)의 내측에는 돌출봉(20)이 결합되어, 이 돌출봉(20)에 상기 선반(6)이 놓여진다. 상기 선반(6)은 좌, 우측판(2)(4)에 고정되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하판(12)은 바닥에서 소정높이로 결합되므로, 상기 좌,우측판(2)(4)의 저면은 진열장의 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열장에 의하면, 뒷판(16)이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설치장소에서 조립하는 진열장의 특성을 감안하면 부품의 크기 때문에 포장 및 운반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재의 수율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은 그 양측만 지지하므로 선반에 장시간 무거운 물품을 재치하면 선반의 중앙부가 처지게 되어 진열장의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열장을 책 등을 정렬하는 책장으로 사용할 경우에 책을 뽑아 별도의 책상에서 독서 등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재의 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포장 및 운반이 편리하고 선반 중간부의 처짐을 방지하여 진열장의 내구성을 높이는 진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진열된 책을 뽑아서 바로 놓고 볼 수 있는 보조 책상을 겸하는 진열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진열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진열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뒷판과 지지봉이 연결대에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도2의 입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뒷판과 연결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선반과 측판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진열장에 책상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22' : 좌, 우측판 26, 28, 30 : 선반
32 : 상판 36 : 뒷판
38, 38' ; 받침대 42 : 지지대
50 : 연결대 54, 54' : 지지봉
56 : 스터드 볼트
본 고안에 의한 진열장은, 좌, 우측판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반 위에 물품을 재치하게 된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후측에는 이 후측을 막는 뒷판이 구비되되, 상기 뒷판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대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판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봉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 중의 하나는 보조 책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진열장의 앞측으로 연장된다. 이 연장된 선반의 저면은 상기 좌, 우측판에 그 양단이 고정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판(22)(22')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26)(28)(30)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판(22)(22')의 상단에는 상판(32)이 체결부재(3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선반(26)(28)(30)의 후측에는 이 후측을 막는 뒷판(36)이 결합된다.
상기 좌, 우측판(22)(22')의 저면에는 받침대(38)(38')가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38)(38')의 하측에는 바닥면의 수평상태에 따라 진열장의 수평을 맞추도록 높이조절볼트(40)(40')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38)(38')는 진열장의 앞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각 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선반(26)은 상기 좌, 우측판(22)(22')와 대체로 동일한 폭이며, 그 중간 저면은 후술하는 지지봉에 의해 받쳐진다.
상기 선반(28)은 일반적인 책상 높이 정도에 결합된 선반으로서, 보조책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진열장의 앞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선반(26)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으며, 그 저면은 상기 좌, 우측판(22)(22')에 그 양단이 고정된 지지대(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선반(28)은 상기 지지대(42)에 의해 휨에 대한 강성이 더욱 높아진다. 상기 지지대(42)는 사각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선반(30)은 상기 선반(28)의 상측에 결합된 선반으로서, 보조책상으로 사용하는 상기 선반(28)을 사용할 시의 간섭을 최대한으로 줄이도록 상기 선반(26)보다 좁은 폭이며, 그 중간 저면은 후술하는 지지봉에 의해 받쳐진다.
상기 선반(26)(28)(30)과 상기 좌,우측판(22)(22')이 만나는 부위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수단(4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결합수단(44)은 일반적으로 캠픽스(cam-fix)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선반(26)(28)(30)에 끼워지는 캠픽스 하우징(46)과, 상기 좌,우측판(22)(2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캠픽스 하우징(46)에 끼워지는 캠픽스 볼트(48)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픽스 하우징(46)내의 나사를 돌려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반(26)(28)(30)에는 상기 캠픽스 하우징(46)이 끼워지는 구멍이 평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선반의 측면으로 트여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뒷판(36)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대(50)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판(52)(52')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연결대(50)에는 상기 상판(32)과 선반(26)(3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봉(54)(54')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대(50)는 사각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50)와 지지봉(54)(54')은 양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스터드 볼트(56)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즉, 상기 스터트 볼트(56)의 일단이 상기 연결대(50)의 앞면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후, 스터드 볼트(56)의 타단에 상기 지지봉(54)(54')을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상기 판(52)(52')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통기판(52a)(52'a)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지지봉(54)(54')의 길이는 그 지지하는 상판(32) 또는 선반(26)(30)의 폭과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지지봉(54)(54')의 일단에는 상기 스터드 볼트(56)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50)와 상기 판(52)(52')이 만나는 부위는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은 결합수단(5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결합수단(58)은 일반적으로 미니픽스(mini-fix)라는 명칭으로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판(52)(52')에 끼워지는 미니픽스 하우징(60)과, 상기 연결대(50)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미니픽스 하우징(60)에 끼워지는 미니픽스 볼트(62)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니픽스 하우징(60)을 공구로 돌려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 판(52)(52')에는 상기 미니픽스 하우징(60)이 끼워지는 구멍이 평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대(50)와 접하는 면에는 이 구멍에 연통하는 소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좌, 우측판(22)(22')과 상기 판(52)(52')이 만나는 부위는 상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미니픽스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진열장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반(28)의 하측에 별도의 책상(D)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보조 책상으로 사용되는 선반(28)의 상, 하측에는 여러 가지 책이나 물품을 재치하여, 독서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진열장에 의하면, 자재의 수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포장 및 운반이 편리하고 선반 중간부의 처짐을 방지하여 진열장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책장으로 사용할 경우 진열된 책을 뽑아서 바로 놓고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좌, 우측판의 사이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반 위에 물품을 재치하게 된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후측에는 이 후측을 막는 뒷판이 구비되되,
    상기 뒷판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대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판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봉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중의 하나는 보조 책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진열장의 앞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KR2020010031982U 2001-10-19 2001-10-19 진열장 KR200262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82U KR200262278Y1 (ko) 2001-10-19 2001-10-19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982U KR200262278Y1 (ko) 2001-10-19 2001-10-19 진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78Y1 true KR200262278Y1 (ko) 2002-03-18

Family

ID=7311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982U KR200262278Y1 (ko) 2001-10-19 2001-10-19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4A (ko) 2018-09-21 2020-03-31 김종원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4A (ko) 2018-09-21 2020-03-31 김종원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166B2 (en) Flexible storage rack
US6789688B2 (en) Expandable display rack
US20050045787A1 (en) Suspension system
KR20010012577A (ko) 조정 가능한 풋프린트를 갖는 사무실을 구획하는 자립 가구
KR200262278Y1 (ko) 진열장
JP3913511B2 (ja) 枠構造体、及び枠構造体と机
EP1656049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US3779394A (en) Store display fixture assembly
EP0715823A2 (en) Joining and reinforcing piece for joining together base and upright of metal shelving units
JP2998064B2 (ja) 組立式棚装置におけるキャビネット構造
JP4504583B2 (ja) 棚板付き机
EP1589852B1 (en) Stand and stand system
JP2724974B2 (ja) 事務用棚
JP4085874B2 (ja) 家具構成部材
JP2024053170A (ja) 什器
JPS6125409Y2 (ko)
KR101630263B1 (ko) 선반용 시스템 가구
JP2007289354A (ja) 組替え可能な棚付き机
JP4248296B2 (ja) 部材の連結構造、部材の取付構造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KR200316973Y1 (ko)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JP2005185409A (ja) 書籍陳列棚
JPH052107Y2 (ko)
KR200228183Y1 (ko) 절첩식 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