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334A -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334A
KR20200034334A KR1020180114004A KR20180114004A KR20200034334A KR 20200034334 A KR20200034334 A KR 20200034334A KR 1020180114004 A KR1020180114004 A KR 1020180114004A KR 20180114004 A KR20180114004 A KR 20180114004A KR 20200034334 A KR20200034334 A KR 2020003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guide block
connecting rod
rail groov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881B1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8011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구의 후면판을 끼우기 위한 고정홈이 양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상하로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대와, 선반을 떠받치기 위해 상기 연결대의 전면에 고정하되, 상기 레일홈을 따라 벗어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안내블록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안내블록을 좌우 양쪽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된 슬릿과, 상기 연결대의 전면에 상기 받침대를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통하게 뚫린 관통구멍 및 상기 안내블록의 좌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SUPPORT ASSEMBLY FOR FURNITURE}
본 발명은 진열장이나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의 후면판을 연결 및 고정함과 동시에 가구 내부의 선반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위에 놓이는 물품의 높이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선반을 받치는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고, 특히 선반이나 그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집품이나 장식품과 같은 각종 물품을 진열하거나 이불, 의류, 책 따위를 정리하여 올려놓거나 넣어 두기 위해 진열장이나 장식장 등의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열장이나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는 대개 내부 공간에 선반을 수평으로 걸쳐서 여러 칸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그 선반 위에 무거운 물건을 오랫동안 올려두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가운데 부분이 쉽게 처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구의 후면, 즉 선반의 뒤쪽은 후면판으로 막아서 마감하는데, 최근에는 자재의 수율 저하를 막고 포장 및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후면판의 중간에 수직으로 합성수지제 연결대를 세우고, 이 연결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두 개의 후면판을 조립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278호에 '진열장'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뒤쪽을 막는 두 개의 뒷판(52)(52')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대(50)에 의해 두 개의 뒷판(52)(52')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대(50)에는 선반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봉(54)이 상하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연결대(50)에 좌우 측면판의 구멍과 동일한 높이로 구멍을 뚫고 그 각각에 지지봉(54)을 꽂아 선반을 얹는 맞춤식 구조여서 선반의 높낮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의 편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20-0343983 Y1(2004.02.25) KR20-0262278 Y1(2002.01.15) KR10-1836149 B1(2018.03.02) KR20-0270194 Y1(2002.03.18) KR10-2010-0018151 A(2010.02.17)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가구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수납 또는 진열 물품의 높이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선반을 받치는 높낮이를 임의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선반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선반을 받치는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선반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가구의 후면판을 끼우기 위한 고정홈이 양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상하로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대와, 선반을 떠받치기 위해 상기 연결대의 전면에 고정하되, 상기 레일홈을 따라 벗어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안내블록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안내블록을 좌우 양쪽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된 슬릿과, 상기 연결대의 전면에 상기 받침대를 나사못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통하게 뚫린 관통구멍 및 상기 안내블록의 좌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수납 또는 진열 물품의 높이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선반을 받치는 받침대가 연결대의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할 수 있어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받침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관통구멍에 나사못을 집어넣고 돌려 조일 때 그 나사못의 끝부분이 안내블록을 양쪽으로 확장시켜 가압돌기가 연결대의 레일홈 내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선반이나 그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상하로 슬라이더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블록의 양쪽 모서리에 상기 슬라이더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더돌기가 더 형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받침대가 연결대의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레일홈의 노출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연결대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마감바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에 끼워져 탄성 작용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가 상기 마감바의 후면에 형성됨으로써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 시 안정적인 위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홈이 외부로 노출되는 막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외관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내구성과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가구 내부의 선반을 받치는 받침대가 연결대의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할 수 있어 수납 또는 진열 물품의 높이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관통구멍에 나사못을 집어넣고 돌려 조일 때 그 나사못의 끝부분이 안내블록을 양쪽으로 확장시켜 가압돌기가 연결대의 레일홈 내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선반 또는 선반 위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을 견디는 지지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중 받침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에 나사못을 박은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는 크게 연결대(10)와 받침대(20)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대(10)는 진열장이나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의 후면판을 연결 및 고정하는 것으로, 양쪽 측면에는 가구의 후면판을 끼우기 위한 고정홈(1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받침대(20)의 슬라이딩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홈(1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일홈(12)의 내벽 구석에는 상하로 길게 슬라이더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홈(11)과 슬라이더홈(13)은 레일홈(12)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일홈(12)의 바깥쪽 좌우 테두리 간의 폭은 안쪽의 좌우 내벽 간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좁게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0)는 가구 내부의 선반이 처지지 않도록 떠받치기 위해 연결대(10)의 전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후면에는 레일홈(12)에 끼워진 채로 벗어나지 않고 그 레일홈(12)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안내블록(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블록(21)의 중간 부분에는 안내블록(21)을 좌우 양쪽으로 분할하는 슬릿(22)이 세로로 형성되어 있고, 또 안내블록(21)의 좌우 양쪽 측면에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가압돌기(24)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블록(21)의 양쪽 모서리에는 슬라이더홈(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더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홈(13)과 슬라이더돌기(25)는 받침대(20)가 연결대(10)를 타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도록 안내하고, 아울러 받침대(20)가 연결대(10)에서 이탈되거나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하기 위해 서로 대응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대(20)가 연결대(10)를 타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는 기능과 함께 이탈됨이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더홈(13)은 마치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더돌기(25)는 마치 더브테일 돌기(dovetail bump)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안내블록(21)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24)들과 다른 쪽(반대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24)들 간의 거리는 레일홈(12)의 좌우 폭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블록(21)의 양쪽 가압돌기(24)들 간의 거리가 레일홈(12)의 좌우 폭과 같거나 그에 비해 크면 연결대(10)의 상하로 위치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받침대(20)를 연결대(10)의 레일홈(12)을 따라 끼우기도 어렵다.
또한, 안내블록(21)의 좌우 폭은 받침대(20)의 좌우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대(20)의 가운데 부분에는 나사못(30)을 박기 위해 관통구멍(23)이 전후 방향으로 뚫려 있다.
즉, 관통구멍(23)은 나사못(30)으로 받침대(20)를 연결대(10)의 전면에 고정하기 위해 받침대(20)의 전면에서 슬릿(22)까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구멍(23)은 받침대(20)를 연결대(20)에 나사못(30)으로 고정 시 그 나사못(30)의 몸체부는 통과하여 박히고 머리부는 묻혀 걸리도록 마치 카운터보어(counterbore)나 카운터싱크(countersink)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대(20)의 상면은 선반과 안정적인 접촉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넓이를 가지며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받침대(20)는 안내블록(21)이 외력의 작용을 받으면 파괴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변형되거나 외력을 제거하면 변형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사라지도록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는 가구 내부의 선반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선반의 중간 부분을 받치는 받침대(20)가 연결대(10)의 상하로 미끄러지듯이 위치 이동하므로 수납 또는 진열 물품의 높이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설치 높낮이를 임의로 자유로이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구나 연결대(10)에 대한 받침대(20)의 승강 작동을 안내블록(21)과 레일홈(12), 슬라이더홈(13)과 슬라이더돌기(25)가 이중으로 확실하게 지지 및 안내하므로 더욱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받침대(20)가 원하는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관통구멍(23)에 나사못(30)을 집어 넣고 돌려 조이면 나사못(30)이 서서히 압입되고, 이때 발생하는 접촉력과 압입력에 의해 안내블록(21)은 슬릿(22)을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고, 이로 인해 가압돌기(24)가 연결대의 레일홈(12)에 파고들어 박히듯이 밀착되어 접촉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받침대(20)가 연결대(1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구 내부의 선반이나 그 위에 놓이는 무거운 물품을 견디는 지지력을 강화 및 보강하여 선반을 유동 없이 더욱 확실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는 크게 연결대(10)와 받침대(20) 및 마감바(40)로 이루어져 있다.
마감바(40)는 레일홈(12)의 노출을 커버하기 위해 연결대(1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감바(40)의 후면에는 레일홈(12)에 끼워져 탄성 작용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마감바(40)는 좌우 폭이 연결대(10)의 좌우 폭과 같거나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돌기(41)가 외력을 받을 시 탄성 변형을 일으키도록 형성되어 있어 받침대(20)를 연결대(1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연결대(10)의 레일홈(12)을 커버하기 위해 연결대(10)에 후크 결합방식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바(40)는 받침대(20)의 높낮이 조절 시 안정적인 위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필요한 레일홈(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즉 연결대(10)의 전면이 틈새 없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마감 처리함으로써 외관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내구성과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연결대 11: 고정홈
12: 레일홈 13: 슬라이더홈
20: 받침대 21: 안내블록
22: 슬릿 23: 관통구멍
24: 가압돌기 25: 슬라이더돌기
26: 요철부 30: 나사못
40: 마감바 41: 걸림돌기

Claims (3)

  1. 가구의 후면판을 끼우기 위한 고정홈(11)이 양측에 형성되고, 전면에 상하로 레일홈(12)이 형성된 연결대(10);
    선반을 떠받치기 위해 상기 연결대(10)의 전면에 고정하되, 상기 레일홈(12)을 따라 벗어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면에 안내블록(21)이 형성된 받침대(20);
    상기 안내블록(21)을 좌우 양쪽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된 슬릿(22);
    상기 연결대(10)의 전면에 상기 받침대(20)를 나사못(30)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20)의 전면에서 상기 슬릿(22)으로 통하게 뚫린 관통구멍(23); 및
    상기 안내블록(21)의 좌우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가압돌기(24);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2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관통구멍(23)에 상기 나사못(30)을 집어 넣고 돌려 조일 때 상기 나사못(30)의 끝부분이 상기 슬릿(22)에 의해 분할된 상기 안내블록(21)을 좌우 양쪽으로 확장시켜 상기 가압돌기(24)가 상기 연결대의 레일홈(12)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12)의 내벽에 상하로 슬라이더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블록(21)의 양쪽 모서리에 상기 슬라이더홈(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더돌기(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12)의 노출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연결대(10)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마감바(4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일홈(12)에 끼워져 탄성 작용에 의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형의 걸림돌기(41)가 상기 마감바(40)의 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KR1020180114004A 2018-09-21 2018-09-21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KR10216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04A KR102169881B1 (ko) 2018-09-21 2018-09-21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04A KR102169881B1 (ko) 2018-09-21 2018-09-21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34A true KR20200034334A (ko) 2020-03-31
KR102169881B1 KR102169881B1 (ko) 2020-10-26

Family

ID=7000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04A KR102169881B1 (ko) 2018-09-21 2018-09-21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88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78Y1 (ko) 2001-10-19 2002-03-18 주식회사 일룸 진열장
KR200270194Y1 (ko) 2001-12-26 2002-03-28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281107Y1 (ko) * 2002-03-29 2002-07-13 이봉춘 진열대의 횡간 연결장치
KR200343983Y1 (ko) 2003-12-02 2004-03-06 서동희 벽장의 후면 판 연결구
KR200363417Y1 (ko) * 2004-06-21 2004-10-01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선반의 조립구조
KR20100018151A (ko)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00025798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이지에프시스템 선반장치
KR20110008667U (ko) * 2010-03-05 2011-09-15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120006945U (ko) * 2011-03-30 2012-10-10 (주)미공간 욕실용 선반기구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278Y1 (ko) 2001-10-19 2002-03-18 주식회사 일룸 진열장
KR200270194Y1 (ko) 2001-12-26 2002-03-28 켄디시가구 주식회사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281107Y1 (ko) * 2002-03-29 2002-07-13 이봉춘 진열대의 횡간 연결장치
KR200343983Y1 (ko) 2003-12-02 2004-03-06 서동희 벽장의 후면 판 연결구
KR200363417Y1 (ko) * 2004-06-21 2004-10-01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선반의 조립구조
KR20100018151A (ko)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00025798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이지에프시스템 선반장치
KR20110008667U (ko) * 2010-03-05 2011-09-15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120006945U (ko) * 2011-03-30 2012-10-10 (주)미공간 욕실용 선반기구
KR101836149B1 (ko) 2017-10-20 2018-03-08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선반의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881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CA2862042C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3748009A (en) Cabinets and kits for making same
US5217122A (en) Adjustable bookend apparatus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1988838B1 (ko) 수납깊이 조절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수납깊이 조절형 서가
KR20200034334A (ko) 가구용 지지 어셈블리
KR20100025798A (ko) 선반장치
KR101883961B1 (ko) 가구용 서랍
JP2015223189A (ja) 引出し
KR101649160B1 (ko) 평면부재를 이용한 입체형 엔틱 콘솔 및 이의 제조방법
CN207444584U (zh) 一种衣柜
KR200301543Y1 (ko) 조립식 선반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KR200199560Y1 (ko) 서랍식 보관함
KR100583615B1 (ko) 선반
KR20160016273A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JP3994032B2 (ja) ブックエンド
KR200302816Y1 (ko) 낙하방지용 테이블 마감부재
KR101595855B1 (ko)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 브래킷 장착장치
US2646331A (en) Combined cabinet and desk
JP2018183489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JP6813888B2 (ja) 組み合わせデスク
KR20240056141A (ko) 격자형 수납 상자
KR200458774Y1 (ko) 수납방향 가변이 용이한 슬라이딩 방식 수납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