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669A - 가구용 서랍 - Google Patents

가구용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669A
KR20180028669A KR1020160116273A KR20160116273A KR20180028669A KR 20180028669 A KR20180028669 A KR 20180028669A KR 1020160116273 A KR1020160116273 A KR 1020160116273A KR 20160116273 A KR20160116273 A KR 20160116273A KR 20180028669 A KR20180028669 A KR 2018002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wer
furniture
side plate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961B1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16011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부에 제1슬롯이 형성된 앞판, 상기 앞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되,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중공부와 통하는 후크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앞판의 제1슬롯과 대향하는 제2슬롯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뒤판, 상기 앞판의 후면과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앞판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뒤판의 양측 단부 중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뒤판의 한쪽 단부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뒤판의 후크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제3슬롯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제 측판, 상기 제1 내지 제3슬롯에 사방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뒤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측판들의 끼움결합부 내측 사이에 끼워져 상기 뒤판과 상기 측판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띠를 포함하는 가구용 서랍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구용 서랍{DRAWER OF FURNITURE}
본 발명은 서랍장, 장롱, 싱크대, 찬장, 책장, 화장대, 문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물품을 담아 넣고 보관하는 각종 가구용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또 가구의 본체에 대한 설치각(setting angle)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찬장 따위의 주방용 가구를 비롯하여 서랍장, 옷장, 장롱, 책장 등과 같은 각종 수납용 가구에는 대개 물품 보관의 편의와 깔끔한 정리 등을 위해 가구의 본체에서 빼었다 끼울 수 있는 서랍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가구의 본체와 서랍 사이에는 그 서랍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여 개폐가 용이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최근에는 양질의 원목가격 상승과 원목자원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한 서랍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서랍은 완제품을 한 번에 사출 성형하여 만들 수도 있으나, 이 방법은 금형 제작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운반이 불편하고 물류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몇 개의 부품으로 나누어 사출 성형한 후, 조립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립식 서랍은 대개 앞/뒤판과 좌우 측판 및 바닥판을 나사못 등으로 일일이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조립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불편한 데다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립 시 파손의 우려가 크고, 조립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 있다.
한편, 종래의 서랍용 가이드는 금속재질의 판재를 특정 형태로 벤딩하여 제조하므로 전체적인 제조원가가 상당히 높고, 서랍과 단순 결합하는 구조여서 장착을 위한 작업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데다 사용과정에서 자칫 분리 및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구의 본체와 서랍 사이에 한번 고정한 상태에서는 서랍의 원활하고 안정적인 슬라이딩을 위한 설치각(setting angle)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나 설치장소 및 바닥의 상태 등에 따라 서랍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자유로이 설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20-0480208 Y1(2016.04.19.) KR20-20090004873 U(2009.05.22.) KR20-0372261 Y1(2004.12.28.) KR10-1244518 B1(2013.03.11.) JP특개평7-148040 A(1995.06.13.) KR10-0318116 B1(2001.12.07) KR10-1544701 B1(2015.08.10) KR10-2011-0133569 A(2011.12.13) KR10-2012-0059539 A(2012.06.08) KR10-2014-0002465 A(2014.01.08) KR10-2015-0068952 A(2015.06.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조립식 서랍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조립 시간을 단축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풀아웃 가이드를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가구의 본체에 대한 설치각(setting angle)을 임의로 조절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구용 서랍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조립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서랍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가이드를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아울러 가구의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인출을 위한 설치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용 서랍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하부에 제1슬롯이 형성된 앞판, 상기 앞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되,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중공부와 통하는 후크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앞판의 제1슬롯과 대향하는 제2슬롯이 형성된 합성수지제 뒤판, 상기 앞판의 후면과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앞판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뒤판의 양측 단부 중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뒤판의 한쪽 단부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결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뒤판의 후크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제3슬롯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제 측판, 상기 제1 내지 제3슬롯에 사방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바닥판, 및 상기 뒤판의 양측 단부와 상기 측판들의 끼움결합부 내측 사이에 끼워져 상기 뒤판과 상기 측판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띠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뒤판의 후면에 상기 탄성띠의 일부가 끼워져 부착되는 안착홈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도 조립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상기 뒤판의 제2슬롯과 반대쪽 면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을 가로질러 양단이 상기 걸림홈에 결합 및 상기 앞판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판을 떠받쳐 지지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바닥판의 지지력을 강화하여 물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태양은, 상기 측판들의 하면이나 상기 바닥판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가이드는, 가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안내레일, 상기 측판들 또는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인출레일, 상기 안내레일과 상기 인출레일 사이에 원활한 구름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탑재된 슬라이딩 캐리지, 및 상기 인출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측판들 또는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인출레일을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고정하는 합성수지제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측판들 또는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홀더는, 상기 인출레일의 상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듯이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양쪽 하단부에 고정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인출레일에 고정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장착이 한결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욱더 견고하고 안정적인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걸림부는, 앞판 쪽에서 뒤판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고정돌부의 상하 두께보다 그 공간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됨으로써 장착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착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홀더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인출레일이 변형되면서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끼움부와 상기 걸림부에는,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체결홈에 끼워져 상기 측판들 또는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홀더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핀이 구비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베이스의 한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레일의 양측에서 그 하부를 지지하는 요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요크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되고, 반대쪽 끝 부분이 각도조절핀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가구의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인출을 위한 설치각(setting angle)을 사용자가 필요나 편의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뒤판의 좌우 양측이 측판들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고, 바닥판의 테두리 부분이 앞판과 뒤판 및 측판들 사이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구멍과 후크가 암수 결합 방식으로 대응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띠가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뒤판과 측판들 사이의 틈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빈틈없이 메워서 상호 간의 조립 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의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종래와 달리 나사못 등을 일일이 조여서 조립하는 과정을 최소화하여 조립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 아울러 일부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장착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사용 중에 가구의 본체에서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가구의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필요나 편의에 따라 안내레일의 설치각(setting angle)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인출조작이 한층 더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국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국부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가이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을 나타낸 국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가이드를 나타낸 국부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측판과 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은 크게 앞판(10), 뒤판(20), 좌우 한 쌍의 측판(30), 바닥판(40), 탄성띠(50), 보강판(60), 그리고 좌우 한 쌍의 가이드(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판(1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좌우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면 하부 가장자리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바닥판(40)의 전면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1슬롯(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슬롯(11)은 그 단면상에서 볼 때 마치 '⊃'와 같이 외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뒤판(2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좌우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앞판(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뒤판(20)은 중공을 갖는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공은 상하로 다수 개의 격벽에 의해 분할됨으로써 여러 개의 중공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뒤판(20) 후면의 양측 단부에는 중공부(21)와 전후로 통하는 후크구멍(22)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앞판의 제1슬롯(11)과 대향하는 위치의 전면 하부에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바닥판(40)의 후면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슬롯(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판(20)의 후면, 즉 제2슬롯(23)과 반대쪽 면 하부 가장자리에는 보강판(60)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뒤판(20)의 후면에는 탄성띠(50)의 일부가 유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안착홈(25)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슬롯(23) 및 걸림홈(24)은 그 단면상에서 볼 때 마치 '⊃'와 같이 외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판(30)들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전후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뒤판(20)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의 단부 중 앞판(10)의 후면과 대향하는 단부에는 앞판(10)에 나사못 등으로 밀착 고정되는 밀착결합부(3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뒤판(20)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뒤판(20)의 한쪽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중공형의 끼움결합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결합부(32) 중 뒤판(20)의 전면 및 후면과 마주하는 내측 벽면에는 뒤판(2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그 후크구멍(22)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33)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부 가장자리에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바닥판(40)의 측면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3슬롯(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크(33)는 뒤판의 후크구멍(22) 속으로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고, 또 결합 상태를 한층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자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슬롯(34)은 그 단면상에서 볼 때 마치 '⊃'와 같이 외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판(30)의 하면에는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를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즉, 끼움부(38)는 가이드(1)를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장착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부(38)는 뒤판(20) 쪽에서 앞판(10)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4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전후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방의 테두리 부분이 제1 내지 제3슬롯(11)(23)(34)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탄성띠(50)는 뒤판(20)의 양측 단부와 측판(30)들의 끼움결합부(32) 내측 사이에 끼워져 뒤판(20)과 측판(30)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서 고정력을 부여하도록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즉, 탄성띠(50)는 뒤판의 안착홈(25)에 끼워진 상태에서 뒤판(20)과 측판(30)들을 조립 시 탄성 변형에 의해 면접촉으로 뒤판(20)의 후면과 대향하는 측판(30)들의 내측 벽면에 긴밀하고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뒤판(20)이 측판(30)들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그 끼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탄성띠(50)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경(바깥쪽 면 둘레)은 뒤판(20)과 끼움결합부(32)의 내경(안쪽 면 둘레) 간의 틈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띠(50)는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그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60)은 바닥판(40)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전후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바닥판(40)의 하면을 가로질러 앞판(10)과 뒤판(20)에 고정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60)의 길이 방향 앞쪽에는 앞판(10)의 제1슬롯(11)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뒤쪽에는 뒤판의 걸림홈(24)에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돌기(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61)는 그 단면상에서 볼 때 마치 'Γ'와 같이 상부가 걸림홈(24)에 안정적으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뒤판(20)을 비롯하여 측판(30), 바닥판(40) 및 보강판(60) 등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불필요하게 두꺼운 부위는 살빼기(중공)와 리브 성형을 통해 경량화 및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은 사출 성형법 등으로 제조하여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나사못 등을 일일이 조여서 조립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조립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탄성띠(50)가 뒤판(20)과 측판(30)들 사이에서 억지 끼워맞춤(압입) 방식으로 끼워져 박혀서 상호 간의 조립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뒤판(20)의 양쪽 단부가 측판들의 끼움결합부(32) 중공 속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끼움결합부(32)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후크(33)가 뒤판의 후크구멍(22) 속으로 삽입되기 위해서는 약간의 유격이 필요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호 결합 상태에서 쉽게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탄성띠(50)가 탄성 변형에 의해 면접촉으로 뒤판(20)의 후면과 대향하는 측판(30)들의 내측 벽면에 긴밀하고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뒤판(20)이 측판(30)들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어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1)는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측판(30)들 또는 바닥판(40)에 슬라이딩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1)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본체 양쪽 측면과 측판(30)들의 양쪽 측면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크게 베이스(100), 안내레일(200), 인출레일(300), 슬라이딩 캐리지(400), 홀더(500), 체결핀(600) 및 각도조절핀(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0)는 가구의 본체 양쪽 내측면에 고정되어 안내레일(200)을 지지한다.
즉, 베이스(100)는 정면상에서 볼 때 가로부와 세로부로 이루어진 마치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한쪽, 즉 가로부에는 안내레일(200)의 하부를 끼워서 결합하기 위한 요크(11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레일(20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정면상에서 볼 때 마치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와 반대쪽, 즉 세로부에는 가구의 본체에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13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요크(110)의 길이 방향 중 서랍의 전면판과 마주하는 쪽의 끝 부분에는 각도조절핀(700)과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구멍(120)은 안내레일(220)이 끼워지는 요크(1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 부분에는 서랍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접촉간섭으로 인출레일(300)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1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안내레일(200)은 베이스(100)의 한쪽에 결합되어 서랍의 하중을 지지 및 분산시키고, 또 슬라이딩 캐리지(400)에 원활한 주행면(활주면)을 부여하여 인출레일(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안내레일(200)의 길이 방향 한쪽 끝 부분은 요크(110)의 길이 방향 한쪽 끝 부분과 핀 이음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반대쪽의 끝 부분은 각도조절핀(700)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핀(1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자유단부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안내레일(200)은 각도조절핀(700)의 조임과 풀림 조작에 따라 그 자유단부가 승강함으로써 베이스(100)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요크(110)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레일(2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고, 특히 안내레일(200)의 상부는 슬라이딩 캐리지(400)를 이루는 볼(ball)이나 롤(roll)이 안정적으로 밀착 및 안착된 상태로 구름운동 하도록 사방이 각각 중심을 향해 아크형(arc) 즉,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레일(300)은 안내레일(200)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안내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히거나 펴진다.
그리고 인출레일(3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양쪽 단부, 즉 홀더의 고정돌부(52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홀더(500)와 결합 시 그 고정돌부(52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홈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출레일(300)은 정면상에서 볼 때 마치 'Ω'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부(310)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홀더(500)의 뒤틀림 변형으로 인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부(520)의 두께보다 그 공간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500)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기계적 특성상 뒤틀리거나 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고정홈부(310) 공간의 높이가 고정돌부(520)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고정홈부(310) 내의 공간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유연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인출레일(300)이 서랍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일으킬 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레일(300)은 금속판재를 롤포밍(roll forming)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벤딩(bending)하거나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슬라이딩 캐리지(400)는 안내레일(200)과 인출레일(30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 및 탑재되어 구름운동으로 마찰과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인출레일(300)의 부드럽고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캐리지(400)는 다수 개의 볼(ball)이나 롤(roll) 형태의 하중전달 롤링 요소(load-transmitting rolling element)들이 레이스에 안정적으로 장치된 통상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홀더(500)는 인출레일(300)의 상측에서 그 상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듯이 고정되어 인출레일(300)을 서랍에 슬라이딩 억지 끼워맞춤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홀더(500)의 상부에는 측판(30)들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에 대응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510)는 정면상에서 볼 때 마치 'ㄱ'자 형상이나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 결합되는 측판(30)들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는 정면상에서 볼 때 마치 'ㄴ'자 형상이나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끼움부(38)는 '⊥', '△', '◇', '∑', 'I', 'H', '∞' 등과 같이 다양한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걸림부(510)는 그 각각의 끼움부(38) 형상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여 암수 결합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측판(30)들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는 그 측판(3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별도의 브래킷 형태로 제작하여 나사못 등으로 측판(30)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홀더(500)의 양쪽 하단부에는 인출레일의 고정홈부(310) 내에 슬라이딩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지는 고정돌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500)는 인출레일(300)과 고정돌부(520)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1차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40)를 조여서 서로 견고하게 접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510)는 측판(3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에 간편하게 슬라이딩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랍의 후방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테면, 걸림부(510)의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수평부의 하면 높이가 서랍의 후방 쪽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측판(3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는 홀더의 걸림부(510)가 간편하게 슬라이딩 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의 걸림부(510)와 대응되도록 즉, 서랍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테면, 끼움부(38)의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수평부의 상면 높이가 서랍의 전방 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38)와 걸림부(510)는 가구의 본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약간의 유격을 둘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510)와 측판(3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부(38)에는 체결핀(600)으로 상호 간을 부착하여 구속할 수 있도록 체결홈(530)(3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더(5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체결핀(600)은 걸림부(510) 및 끼움부(38) 그 각각의 체결홈(530)(39)에 함께 끼워져 홀더(500)와 서랍 간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즉, 측판의 끼움부(38)에 홀더의 걸림부(510) 끝 부분을 포개어 놓고 양자를 꿰뚫는 체결홈(39)(530)에 체결핀(600)을 꽂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각도조절핀(700)은 베이스의 나사구멍(120)과 나사결합되어 안내레일(200)의 길이 방향 양단 중 앞판(10)과 마주하는 한쪽의 끝 부분을 받쳐서 지지하며, 그 조임 및 풀림 조작에 따른 높낮이 조절로 안내레일(200)의 길이 방향 양단 중 앞판(10)과 마주하는 한쪽의 끝 부분을 연결용 핀(15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베이스(100)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승강 작동시킨다.
즉, 각도조절핀(700)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안내레일(200)이 핀(1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베이스(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에는 홀더(500)와 연결되어 서랍이 가구 본체로 인입될 때의 충격이나 소음을 스프링 탄성으로 완충 및 흡수하는 댐핑모듈(80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댐핑모듈(800)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 슬라이더가 서랍의 개폐속도를 감속하다가 종국에 인장스프링에 의해 완전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 벨로우즈를 이용하여 완충하는 방식, 영구자석의 척력과 인력을 이용하는 방식 등 통상의 구조를 적절히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1)는 베이스(100)와 홀더(500)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원가절감 및 부품의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500)를 측판(30)에 슬라이딩 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랍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핀(600)으로 서랍에 장착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 중에 서랍이 가구의 본체에서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가구의 본체와 서랍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필요나 편의에 따라 각도조절핀(700)을 회전조작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면, 안내레일(200)의 자유단부가 자연스럽게 승강함으로써 가구의 본체에 장착된 베이스(100)에 대한 안내레일(200)의 설치각(setting angle)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랍(50)이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서랍(50)의 인출조작이 한층 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앞판 11: 제1슬롯
20: 뒤판 21: 중공부
22: 후크구멍 23: 제2슬롯
24: 걸림홈 25: 안착홈
30: 측판 31: 밀착결합부
32: 끼움결합부 33: 후크
34: 제3슬롯 38: 끼움부
39: 체결홈 40: 바닥판
50: 탄성띠 60: 보강판
61: 걸림돌기 62: 고정부
100: 베이스 110: 요크
120: 나사구멍 130: 체결구멍
140: 스토퍼 200: 안내레일
300: 인출레일 310: 고정홈부
400: 슬라이딩 캐리지 500: 홀더
510: 걸림부 520: 고정돌부
530: 체결홈 540: 고정볼트
600: 체결핀 700: 각도조절핀
800: 댐핑모듈

Claims (12)

  1. 하부에 제1슬롯(11)이 형성된 앞판(10);
    상기 앞판(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되, 중공부(21)가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중공부(21)와 전후로 통하는 후크구멍(22)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앞판의 제1슬롯(11)과 대향하는 제2슬롯(23)이 형성된 뒤판(20);
    상기 앞판(10)의 후면과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앞판(10)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결합부(3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뒤판(20)의 양측 단부 중 한쪽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상기 뒤판(20)의 한쪽 단부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결합부(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결합부(32)의 내측에 상기 뒤판의 후크구멍(22)에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33)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 제3슬롯(34)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판(30);
    상기 제1 내지 제3슬롯(11)(23)(34)에 사방의 테두리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는 바닥판(40); 및
    상기 뒤판(20)의 양측 단부와 상기 측판(30)들의 끼움결합부(32) 내측 사이에 끼워져 상기 뒤판(20)과 상기 측판(30)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서 고정력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띠(50);
    를 포함하는 가구용 서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판(20)의 후면에 상기 탄성띠(50)의 일부가 끼워지는 안착홈(25)이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가구용 서랍.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판의 제2슬롯(23)과 반대쪽 면 하부에 걸림홈(24)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40)을 가로질러 양단이 상기 걸림홈(24)에 결합 및 상기 앞판(10)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판(40)을 떠받쳐 지지하는 보강판(60)을 더 포함하는 가구용 서랍.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0)들의 하면이나 상기 바닥판(40)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가구의 본체에서 열거나 닫기 편리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를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장착하기 위한 끼움부(38)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구용 서랍.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8)는, 뒤판(20) 쪽에서 앞판(10)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 가구용 서랍.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는, 가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된 안내레일(200);
    상기 측판(30)들 또는 상기 바닥판(4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인출레일(300);
    상기 안내레일(200)과 상기 인출레일(300) 사이에 원활한 구름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탑재된 슬라이딩 캐리지(400); 및
    상기 인출레일(300)에 고정되고 상기 측판(30)들 또는 상기 바닥판(4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인출레일(300)을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고정하는 홀더(500);
    를 포함하는 가구용 서랍.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500)는, 상기 인출레일(300)의 상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듯이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끼움부(38)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510)가 형성되고, 양쪽 하단부에 고정돌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5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인출레일(300)에 고정홈부(310)가 형성된 가구용 서랍.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510)는, 앞판(10) 쪽에서 뒤판(20)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310)는, 상기 고정돌부(520)의 상하 두께보다 그 공간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 가구용 서랍.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8)와 상기 걸림부(510)에는, 체결홈(39)(53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체결홈(39)(530)에 끼워져 상기 측판(30)들 또는 상기 바닥판(4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홀더(500)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핀(600)이 더 구비된 가구용 서랍.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8)는, 그 단면의 형상이 'ㄴ', '⊂', '⊥', '△', '◇', '∑', 'I', 'H', '∞'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10)는 그 각각의 끼움부(38) 형상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여 암수 결합을 이루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가구용 서랍.
  11.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8)는, 상기 측판(30)들 또는 상기 바닥판(4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브래킷 형태로 이루어져 부착된 가구용 서랍.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한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레일(200)의 양측에서 그 하부를 지지하는 요크(110)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200)은,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요크(110)와 핀 이음(pin joint)으로 연결되고, 반대쪽 끝 부분이 각도조절핀(700)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핀(1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구용 서랍.
KR1020160116273A 2016-09-09 2016-09-09 가구용 서랍 KR10188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73A KR101883961B1 (ko) 2016-09-09 2016-09-09 가구용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73A KR101883961B1 (ko) 2016-09-09 2016-09-09 가구용 서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69A true KR20180028669A (ko) 2018-03-19
KR101883961B1 KR101883961B1 (ko) 2018-07-31

Family

ID=6191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73A KR101883961B1 (ko) 2016-09-09 2016-09-09 가구용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324B1 (ko) * 2016-09-09 2024-03-08 김종원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RU196330U1 (ru) * 2019-05-26 2020-02-26 Виктор Алексеевич Гыл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еталей диван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9256A1 (en) * 1987-04-24 1988-11-02 L.B. (Plastics) Limited Drawers and drawer components
JP2000245552A (ja) * 1999-02-26 2000-09-12 Kokuyo Co Ltd 引出しの取付構造
JP2006334147A (ja) * 2005-06-02 2006-12-14 Misawa Homes Co Ltd 棚板
JP3158027U (ja) * 2009-12-25 2010-03-11 株式会社ニッセンホールディングス 組立式引出し
WO2012160129A1 (en) * 2011-05-25 2012-11-29 Steen Sauer Assembling of drawer
KR200476021Y1 (ko) * 2014-03-28 2015-01-22 김재우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US20150150375A1 (en) * 2013-09-10 2015-06-04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Dba Jonathan Engineered Solutions Undermount slide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9256A1 (en) * 1987-04-24 1988-11-02 L.B. (Plastics) Limited Drawers and drawer components
JP2000245552A (ja) * 1999-02-26 2000-09-12 Kokuyo Co Ltd 引出しの取付構造
JP2006334147A (ja) * 2005-06-02 2006-12-14 Misawa Homes Co Ltd 棚板
JP3158027U (ja) * 2009-12-25 2010-03-11 株式会社ニッセンホールディングス 組立式引出し
WO2012160129A1 (en) * 2011-05-25 2012-11-29 Steen Sauer Assembling of drawer
US20150150375A1 (en) * 2013-09-10 2015-06-04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Dba Jonathan Engineered Solutions Undermount slide assembly
KR200476021Y1 (ko) * 2014-03-28 2015-01-22 김재우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61B1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61B1 (ko) 가구용 서랍
US20220282909A1 (e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helf arrangement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20180001741A (ko) 탄력 결합 구조를 갖는 호차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CN205778122U (zh) 一种家具滑轮
CN102086729B (zh) 用于滑动门、特别地用于全玻璃滑动门的导向元件
KR102413655B1 (ko) 가구용 조립식 서랍
KR102415981B1 (ko)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KR101395008B1 (ko) 서랍용 레일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KR102611208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KR20180047537A (ko) 가구용 서랍
KR101369591B1 (ko) 차량 게이트용 스트라이커
KR101883962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KR200301541Y1 (ko) 가이드레일
KR101614451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CN205814014U (zh) 一种抽屉隐藏式阻尼滑轨
US20190166997A1 (en) Carriage for a guide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rriage
KR102345823B1 (ko) 가구용 서랍
KR102646324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CN217119213U (zh) 底座组件及单杠组件
KR102328522B1 (ko) 조립식 서랍
CN210961719U (zh) 一种陶瓷制洗浴物品摆放支架
CN217318927U (zh) 一种泡沫成型机的防震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