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973Y1 -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 Google Patents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973Y1
KR200316973Y1 KR20-2003-0009993U KR20030009993U KR200316973Y1 KR 200316973 Y1 KR200316973 Y1 KR 200316973Y1 KR 20030009993 U KR20030009993 U KR 20030009993U KR 200316973 Y1 KR200316973 Y1 KR 200316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shelves
doubl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호
Original Assignee
곽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호 filed Critical 곽영호
Priority to KR20-2003-0009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 등을 진열하여 판매하거나 장식물 등을 진열하기 위한 선반을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반을 수평 또는 수직의 복층으로 확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선반의 외측에서 다른 선반을 연결하는 프레임 구조에 의해 선반의 진열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아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평판의 네모퉁이에 삽입공이 뚫린 선반과; 개구된 선반의 삽입공을 막아주는 캡과; 수평으로 선반을 이음하거나 상부에 선반을 설치하여 복층으로 하기 위해 선반의 삽입공에 끼워져 선반을 설치하는 프레임과; 선반을 복층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하로 연접되는 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하는 연결핀과; 최하측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하측단부에 삽입되는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An exhibition display stand enabling shelves to widen}
본 고안은 상품 등을 진열하여 판매하거나 장식물 등을 진열하기 위한 선반을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반을 수평 또는 수직의 복층으로 확장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선반의 외측에서 다른 선반을 연결하는 프레임 구조에 의해 선반의 진열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아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진열대는 상품과 장식물 등을 적절하게 배열하는 것으로, 설치공간과 진열 상품의 갯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일정 딘위로 된 것을 다수개 설치하여 인접되게 배치시키거나 진열대의 선반을 이용히여 복층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다수개의 층으로 구성된 진열대는 상부의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아랫층의 선반에 설치하여 사용되는데, 이는 아랫층의 선반의 진열 면적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선반을 이음하거나 다층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윗층의 선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하층 선반의 외측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프레임에 의해 하층 선반의 전시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삽입공 2 : 선반 3 : 캡
4 : 싱글프레임 5 : 더블프레임 6 : 2단싱글프레임
7 : 2단더블프레임 8 : 핀홀 9 : 연결핀
10a, 10b : 받침구 11 : 걸림턱
100 : 진열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수평과 다단으로 확장이 가능한 진열대(100)는; 사각평판의 네모퉁이에 삽입공(1)이 뚫린 선반(2)과; 최상층에 설치되는 선반(2)의 삽입공(1)을 막아주는 캡(3)과; 최하층 선반(2)의 삽입공(1)에 끼워져 다리의 역할을 하거나 선반(2)과 선반(2)의 사이에 끼워져 선반(2)을 다층으로 이음하는 프레임(4)(5)(6)(7)과; 선반(2)을 다층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프레임(4)(5)(6)(7)을 수직으로 연결할 때 상하연접되는 프레임(4)(5)(6)(7)의 핀홀(8)에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하는 연결핀(9)과; 최하측에 설치되는 프레임(5)(6)(7)의 하측단부에 삽입되는 받침구(10a)(10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프레임(4)(5)(6)(7)은 선반(2)의 설치 구조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된다.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서, 선반(2)의 모든 삽입공(1)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다른 선반(2)과의 연결이 없는 곳에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측단부에 일정깊이의 핀홀(8)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상기 선반(2)의 삽입공(1)에 삽입되는 만큼의 거리를 두고 걸림턱(11)이 환설된 싱글프레임(4)과; 두개의 선반(2)을 이음하는 곳에 선반(2)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양측 선반(2)의 삽입공(1)에 각각 삽입되는 싱글프레임(4)이 두개 붙여진 형상의 더블프레임(5)과; 상기 싱글프레임(4)과 더블프레임(5)이 2층의 높이만큼 길게 형성된 2단싱글프레임(6)과 2단더블프레임(7);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받침구(10a)(10b)는 최하단의 프레임(4)(5)(6)(7)의 하단부에 끼워져 지지하는 것으로, 하나의 더블프레임(5) 또는 2단더블프레임(7)이 삽입되는 받침구(10a)와, 두개의 더블프레임(5) 또는 2단더블프레임(7)이 삽입되는 받침구(10b)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고안은 선반(2)과 프레임(4)(5)(6)(7)의 조합에 의해 다양하게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프레임(4)(5)(6)(7)의 구조에 의해 선반(2)의 진열 면적의 감소없이 다층 또는 수평으로 획장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보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3개의 선반(2)이 수평으로 이음되어 확장되고, 상하로는 3층으로 구성된 진열대(100)를 도시한 것으로, 1층의 선반(2)은 2층으로 구성하기 위해 세워지는 싱글프레임(4) 또는 더블프레인(5)에 의해 진열 면적이 잠식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1층 선반(2)의 이음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양측 끝단 전면부에 싱글프레임(4)이 다리의 역할을 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선반(2)이 이음되는 부분에는 더블프레임(5)이 설치되는데, 더블프레임(5)은 양측의 선반(2)에 모두 삽입되게 되어 두개의 선반(2)을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더블프레임(5)은 싱글프레임(4)이 두개 나란히 부착되어 걸림턱(11)부분이 일체화된 구조와 같은데, 선반(2)의 이음부를 이와같은 더블프레임(5)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선반(2)이 안정되고 견고히 이음된다.
그리고, 싱글프레임(4) 또는 더블프레임(5)에는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있어선반(2)의 삽입공(1)에 삽입되면 선반(2)은 걸림턱(11)에 걸려 더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의 1층의 선반(2)과 3층의 선반과 같이 상부로 선반(2)의 설치 없이 최종의 진열면적이 될 때 선반(2)의 네모퉁이에 형성된 삽입공(1)에는 프레임(4)(5)(6)(7)을 끼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에는 캡(3)을 꼽아 완전한 평면을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캡(3)은 선반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견고하게 복층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더블프레임(5)을 사용하고, 더블프레임(5)은 도 4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핀홀(8)이 형성된 하나의 단부가 선반(2)의 삽입공(1)에 끼워지고, 다른 하나의 핀홀(8)부는 선반(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선반(2)의 외측에 위치된 핀홀(8)부에 연결핀(9)을 삽입시키고 상기 연결핀(9)에 다른 더블프레임(5)의 핀홀(8)에 끼워 연결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여 하단의 선반(2)은 면적의 잠식없이 상부에 선반(2)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의 연결핀(9)은 상하로 연결되는 프레임(5)(6)(7)의 연통되는 핀홀(8)에 끼워짐으로써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더블프레임(5) 또는 두개의 더블프레임(5)에 의해 인접하는 두개의 선반(2)이 연결되거나 상부에 선반(2)이 설치된 경우에, 상기 더블프레임(5)의 하단부는 받침구(10a)(10b)에 끼워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는데, 이는 두개의 더블프레임(5)의 하부가 벌어져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으로 외관상으로도 안정된 효과를 주게 된다.
뿐만아니라 바닥면과 2층의 선반(2)을 바로 연결하는 2단싱글프레임(6) 또는 2단더블프레임(7)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선반(2)과 선반(2)의 간격을 높게 할 경우 상기의 2단싱글프레임(6) 또는 2단더블프레임(7)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인접하는 두개의 선반(2)을 더블프레임(5)으로 각각 고정하기 때문에 그 연결부위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 복층으로 선반(2)을 설치하는 경우는 하부의 선반(2) 외측에서 프레임(5)(6)(7)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하부 선반(2)의 면적을 잠식하지 않아 넓은 전시면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선반을 수평 또는 수직의 복층으로 확장하는 경우 윗층의 선반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하층 선반의 외측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프레임에 의해 하층 선반의 전시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해결하여 진열대의 전시면적을 넓혀 상품 등의 진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선반과 선반의 이음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각각의 선반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되게 진열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수평과 다단으로 확장이 가능한 진열대(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각평판의 네모퉁이에 삽입공(1)이 뚫린 선반(2)과; 개구된 선반(2)의 삽입공(1)을 막아주는 캡(3)과; 수평으로 선반(2)을 이음하거나 상부에 선반(2)을 설치하여 복층으로 하기 위해 선반(2)의 삽입공(1)에 끼워져 선반(2)을 설치하는 프레임(4)(5)(6)(7)과; 선반(2)을 복층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하로 연접되는 프레임(4)(5)(6)(7)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핀홀(8)에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하는 연결핀(9);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싱글프레임(4)와 2단싱글프레임(6)은 양측단부에 일정깊이의 핀홀(8)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상기 선반(2)의 삽입공(1)에 삽입되는 만큼의 거리를 두고 걸림턱(11)이 환설되어 형성된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3. 제 1항에 있어서, 더블프레임(5)과 2단더블프레임(7)은 각각 싱글프레임(4)과 2단싱글프레임(6)의 걸림터(11)이 일체로 접합된 형상인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4. 제 1항에 있어서, 최하측에 설치되는 프레임(5)(6)(7)의 하측단부에 받침구(10a)(10b)가 삽입되어 구성된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KR20-2003-0009993U 2003-04-02 2003-04-02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KR200316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993U KR200316973Y1 (ko) 2003-04-02 2003-04-02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993U KR200316973Y1 (ko) 2003-04-02 2003-04-02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973Y1 true KR200316973Y1 (ko) 2003-06-18

Family

ID=4933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993U KR200316973Y1 (ko) 2003-04-02 2003-04-02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752B1 (ko) * 2004-09-07 2005-03-24 최상현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752B1 (ko) * 2004-09-07 2005-03-24 최상현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0567A1 (en) Storage furniture system and methods for assembling the storage furniture system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KR20110101969A (ko) 목재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제품
JP2009195677A (ja) 少なくとも1つの垂直支柱とこの垂直支柱に取り付けられる1次支持部材とを有する商品展示用の棚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200316973Y1 (ko)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JP3685022B2 (ja) パネル付きデスク
JP4968777B2 (ja) サイドパネル付き机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CN211145927U (zh) 显示屏支架以及显示屏组件
KR20130003722U (ko) 조립과 배치가 용이한 가구
US20100095614A1 (en) Modular wall system
JP2976822B2 (ja) 書架等のアジャスター装置
JP5337003B2 (ja) デスク
JP2010255327A (ja) 壁面型装飾家具
CN220293321U (zh) 一种斜支撑式的公寓床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0205487Y1 (ko) 조립식 옷장 겸용 사물함
JP3189823B2 (ja) 書架等の脚体装置
JP4277190B2 (ja) カウンターシステム
KR200434943Y1 (ko) 액자 연결구조
KR200246977Y1 (ko) 모서리 장식장
JP3647800B2 (ja) 段飾り台
KR200377512Y1 (ko) 다단식 상품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