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752B1 -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752B1
KR100478752B1 KR1020040071171A KR20040071171A KR100478752B1 KR 100478752 B1 KR100478752 B1 KR 100478752B1 KR 1020040071171 A KR1020040071171 A KR 1020040071171A KR 20040071171 A KR20040071171 A KR 20040071171A KR 100478752 B1 KR100478752 B1 KR 10047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oove
protrusion
connecting groove
display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현
Original Assignee
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현 filed Critical 최상현
Priority to KR102004007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752B1/ko
Priority to US11/220,387 priority patent/US2006005457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18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4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 A47F5/06Stands with a central pillar, e.g. tree type adjust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300)는, 진공성형 제작함에 따라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연결홈(311)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312)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310)과; 연결홈의 일부분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연결홈과 돌출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320); 및 일단은 보강재의 자유단과 연결홈의 나머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돌출부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대(3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은 연결홈 및 돌출부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도록 진공성형 제작하고, 형상이 단순한 보강재와 연결대는 사출 및 압출성형 제작하여, 연결홈에 보강재를 위치시키고 연결대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작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Sectional display stand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너부위에 연결홈을 각각 갖도록 진공성형된 다수개의 진열판을 보강재와 연결대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조립하여 구성한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열대는 진열물품의 종류와 전체 무게에 따라 그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고중량의 물품이거나 전체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앵글과 같은 금속재를 이용하고, 저중량의 물품이거나 전체 무게가 덜 무거운 경우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며, 경량의 물품이거나 전체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진열대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진열물품의 전체 무게가 무거운 경우를 제외하고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진열대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저렴하면서도 편리한 방법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원하는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 또한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합성수지를 이용한 진열대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제1996-4633호, 실용신안등록 제170581호 등등이 있다. 그 기술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실용신안 공고공보 제1996-4633호에 기술된 조립식 진열대의 일부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진열대(100)는 코너부위에 연결홈(111, 121)을 각각 구비한 제1, 제2 진열판(110, 120)과, 진열판(110, 120)의 연결홈(111, 121)에 상하로 각각 끼워지는 연결파이프(130), 및 인접하는 2개의 연결파이프(130)의 상단에 끼워져 서로 연결하는 연결조인트(140)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때, 진열판(110, 120), 연결파이프(130) 및 연결조인트(14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하여 제작한 것이다.
도 2는 실용신안등록 제170581호에 기술된 조립식 진열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진열대(200)는 코너부위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움홈(211)과 끼움돌기(212)를 각각 구비한 본체(210)와, 본체(210)의 끼움홈(211)과 끼움돌기(212)에 상하로 각각 끼워져 연결하는 연결블록(220)을 순차적으로 적층 조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때, 본체(210) 및 연결블록(22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한 것이다.
상기 기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 대부분의 진열대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한 제품(진열판, 연결파이프, 연결블록 등등)을 서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진열대는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장기간 동안 사용도 하지만 단기간 동안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진열대는 진열물품이 신상품으로 교체되면 그에 맞는 형상으로 교체함으로써 진열효과를 높이고 있다. 또한, 진열대는 진열물품의 품목에 따라 소량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진열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품(진열판, 연결파이프, 연결블록 등등)을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사출성형법으로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에 맞는 금형을 각각 제작해야 함으로, 금형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형상이 복잡한 제품을 제작할 경우에는 더 많이 금형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은 연결홈 및 돌출부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도록 진공성형 제작하고, 형상이 단순한 보강재와 연결대는 사출 및 압출성형 제작하여, 연결홈에 보강재를 위치시키고 연결대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는, 진공성형 제작함에 따라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연결홈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과; 상기 연결홈의 일부분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결홈과 상기 돌출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 및 일단은 상기 보강재의 자유단과 상기 연결홈의 나머지부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방법은, 코너부위에 연결홈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을 진공성형 제작하며, 상기 연결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와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연결하는 연결대를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연결홈의 일부분에 상기 보강재를 각각 삽입 고정하여 상기 연결홈과 상기 돌출부를 보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보강재의 자유단과 상기 연결홈의 나머지부 사이에 삽입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부에 삽입하여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조립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은 그 제작비용이 저렴한 진공성형 제작하고, 형상이 단순한 보강재와 연결대는 그 제작이 편리한 사출 및 압출성형 제작한 것이다.
진공성형(blister)은 큰 하중을 받지 않는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 가열 연화한 합성수지 시트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기술로서, 그 기술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품을 진공성형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동 진공성형기에 금형을 세팅한 후 일정한 두께의 합성수지 시트를 성형기에 위치시킨 후 가열한다. 그러면, 합성수지 시트가 가열되어 연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합성수지 시트는 금형 위로 이송되어 일시 정지된다. 그러면, 기 제작된 플러그가 연화상태의 합성수지 시트를 가압하여 형합하고, 이 때 진공을 가함으로써 금형의 형상과 같은 성형형태가 유지된다. 그런 다음 성형형태의 합성수지 시트를 냉각, 이송 및 재차 냉각한 후 절단하고 마감처리 함으로써 최종 제품이 완성된다.
진공성형 제작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시트로는 PS, PET, PVC, PE, ABS 등등의 종류를 사용한다. 그리고 진공성형 제품으로는 전자, 전기, 가전제품, 장난감, 컴퓨터 주변기기, 선물세트 등의 포장용기, 또는 도시락 등의 용기에 사용된다. 즉, 진공성형은 큰 하중을 받지 않는 용기 등을 제작하는 데 이용된다.
진공성형은 가열 연화한 합성수지 시트를 가압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그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큰 하중을 받는 제품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극히, 진공성형은 그 제작특성상 형상이 복잡한 부분은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성형되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한 제품을 성형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을 그 제작비용이 저렴한 진공성형 제작하되, 형상이 복잡해짐에 따라 취약해지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취약부분을 별도의 보강재로 보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300)는 코너부위에 연결홈(311)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312)를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310)과, 연결홈(311)의 일부분에 삽입 고정되어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320), 및 하단은 보강재(320)와 연결홈(311)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단은 돌출부(312)에 삽입되어 진열판(310)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하는 연결대(330)로 구성된다.
진열판(310)은 진공성형 제작한 것으로서, 물품의 진열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너비와, 모서리 부분이 상부로 도출되는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진열판(310)은 물품의 진열공간이 모서리 부위를 기준으로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기 때문에 진열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진열할 수 있다.
그리고 진열판(310)의 코너부위에는 진열판(310)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연결홈(311)이 상부에 형성되고, 연결홈(311)에 대응하는 돌출부(312)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 때, 돌출부(312)는 진공성형의 가압시에 연화된 합성수지 시트가 금형에 형합되는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연결홈(311)이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는 진열판(310)의 높이에 상응하는 깊이와 높이를 각각 갖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아 취약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재(320)를 이용하되, 보강재(320)가 연결홈(311)에 보다 효과적으로 삽입되도록 연결홈(311)을 구성한 것이다.
연결홈(311)은 보강재(320)의 일부분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홈(311)은 그 크기가 다른 다단으로 구성된다. 이 때, 연결홈(311)은 제작성을 고려하여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결홈(311)의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하단이 상단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즉, 연결홈(311)의 하단은 보강재(320)가 삽입 고정되는 크기를 가지며, 연결홈(311)의 상단은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보강재(320)의 외측면과 어느 정도의 간극을 형성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 때, 연결홈(311)과 보강재(320) 사이의 간극은 연결대(330)가 삽입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연결홈(311)의 상단은 연결대(33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홈(311)의 중간부위에는 걸림턱(313)이 연결홈(3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홈(311)은 그 곳에 삽입 고정되는 보강재(320) 및 연결대(330)와의 결합력을 크게 하기 위해, 다각형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5각형, 6각형 또는 8각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연결홈(311)이 다각형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되면, 보강재(320) 및 연결대(330) 또한 그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312)는 연결홈(311)의 형상에 상응하여 2단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위에 걸림턱(314)이 돌출부(3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312)의 상단[연결홈(311)의 하단에 대응함]은 연결대(330)가 삽입 고정되는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보강재(320)는 진열판(310)의 취약부분인 연결홈(311)과 돌출부(312)를 보강함과 더불어 연결대(330)와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강재(32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도록 중실형, 중공형 또는 일측이 폐쇄된 일측 폐쇄 중공형 등으로 구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보강재(320)는 진열판(310)의 연결홈(311)에 대응하는 형태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되는 것으로서, 연결홈(311)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또한 보강재(320)는 그 일부분이 연결홈(31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는 크기를 갖는다. 즉, 보강재(320)는 높이방향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하단이 상단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보강재(320)를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은 보강재(320)의 상단과 연결대(330)의 결합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다. 즉, 돌출부(312)는 그 두께만큼 연결홈(311)의 하단보다 크게 성형된다. 하지만, 연결대(330)는 동일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돌출부(312)의 두께 차이만큼을 보상하기 위해 보강재(320)를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강재(320)의 하단(고정단)은 연결홈(31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연결홈(311)과 돌출부(312)를 보강하고, 상단(자유단)은 연결홈(311)의 상단에 내측 테두리와 일정 간극을 두고 위치하여 그 곳에 결합될 연결대(330)와의 결합력을 견고히 한다. 이렇게 보강재(320)의 하단이 연결홈(31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하면서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를 보강하기 때문에,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연결대(330)의 하단(일단)은 보강재(320)의 상단과 연결홈(311)의 상단[보강재(320)와 접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 사이에 삽입되고, 상단(타단)은 돌출부(312)의 상단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진열판(310)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결대(330)는 보강재(320)와 돌출부(312)의 상단에 삽입되는 내부크기와, 연결홈(311)의 상단에 삽입되는 외부크기를 갖는다. 즉, 연결대(330)는 보강재(320)에 대응하는 다각형 형태를 갖되 중공형이다. 예를 들어, 연결대(330)는 도 3과 같이 구성할 경우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대(330)의 하단은 일부분이 연결홈(31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된 보강재(320)의 상단과 연결홈(311)의 상단 사이에 삽입되고, 상단은 내측에 보강재(320)가 삽입 고정된 돌출부(312)의 상단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진열판(310)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300)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코너부위에 연결홈(311)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312)를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310)을 통상의 진공성형 방법으로 제작한다. 또한, 진열판(310)의 연결홈(311)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320)와 다수개의 진열판(310)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연결하는 연결대(330)를 통상의 압출 또는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작한다(S100).
그런 다음, 연결홈(311)의 하단에 보강재(320)를 각각 삽입 고정한다(S110). 이 때, 보강재(320)의 하단은 연결홈(311)의 하단에 삽입 고정되어 연결홈(311)과 돌출부(312)를 보강하고, 상단은 연결홈(311)의 상단에 내측 테두리와 일정 간극을 두고 위치한다.
그런 다음, 연결대(330)의 하단은 보강재(320)의 상단과 연결홈(311)의 상단 사이에 삽입하고, 상단은 돌출부(312)의 상단에 삽입하여 다수개의 진열판(310)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조립한다.(S120) 이 때, 연결대(330)의 하단 및 상단은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의 중간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313, 314)에 닿도록 삽입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310)을 그 제작비용이 저렴한 진공성형 제작하되, 형상이 복잡해짐에 따라 취약해지는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를 편리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다단 구성하고, 취약부분인 연결홈(311)의 일부분에 별도의 보강재(320)를 삽입 고정하여 넓은 면적에서 면접촉하면서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를 보강하기 때문에, 연결홈(311) 및 돌출부(312)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구조를 갖는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형상이 조금 복잡한 진열판은 연결홈 및 돌출부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도록 진공성형 제작하고, 형상이 단순한 보강재와 연결대는 사출 및 압출성형 제작하여, 연결홈에 보강재를 위치시키고 연결대로 연결 조립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작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조립식 진열대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조립식 진열대 310 : 진열판
311 : 연결홈 312 : 돌출부
313, 314 : 걸림턱 320 : 보강재
330 : 연결대

Claims (8)

  1. 진공성형 제작함에 따라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며 하단이 상단보다 그 크기가 작은 2단으로 구성되는 연결홈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코너부위에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과,
    상기 연결홈의 하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연결홈과 상기 돌출부를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 및
    일단은 상기 보강재의 자유단과 상기 연결홈의 상단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구성하는 다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돌출부의 두께 차이만큼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2단 연결홈에 대응하여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중실형, 중공형 또는 일측 폐쇄 중공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5. 코너부위에 하단이 상단보다 그 크기가 작은 2단으로 구성되는 연결홈과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각각 갖는 다수개의 진열판을 진공성형 제작하며, 상기 연결홈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재와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연결하는 연결대를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연결홈의 하단에 상기 보강재를 각각 삽입 고정하여 상기 연결홈과 상기 돌출부를 보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보강재의 자유단과 상기 연결홈의 상단 사이에 삽입하고, 타단은 상기 돌출부에 삽입하여 상기 다수개의 진열판을 상하방향으로 다단 조립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보강재를 상기 돌출부의 두께 차이만큼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2단 연결홈에 대응하여 2단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연결홈을 다각형 형태로 진공성형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보강재를 중실형, 중공형 또는 일측 폐쇄 중공형으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방법.
KR1020040071171A 2004-09-07 2004-09-07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KR10047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171A KR100478752B1 (ko) 2004-09-07 2004-09-07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US11/220,387 US20060054579A1 (en) 2004-09-07 2005-09-06 Sectional display stand and mak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171A KR100478752B1 (ko) 2004-09-07 2004-09-07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752B1 true KR100478752B1 (ko) 2005-03-24

Family

ID=3603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171A KR100478752B1 (ko) 2004-09-07 2004-09-07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054579A1 (ko)
KR (1) KR100478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71B1 (ko) * 2007-03-30 2008-07-04 최상현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피오피진열대
KR20200088555A (ko) 2019-01-15 2020-07-23 심재육 간편조립식 매매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5212A (ja) * 2005-08-10 2009-02-05 リ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ィッド コンピュータ周辺機器及び本体収納用の収納器の構造
US20100089852A1 (en) * 2008-10-14 2010-04-15 Wen-Tsan Wang Combination storage rack
US20100096352A1 (en) * 2008-10-20 2010-04-22 Wen-Tsan Wang Combination storage rack
WO2014106120A1 (en) * 2012-12-27 2014-07-03 Christensen Ryan Lee Modular storage structures
DE102016123633A1 (de) 2016-12-07 2018-06-07 Johannes Mücke und Till Reiter GbR -Industriedesign- (Vertretungsber. Gesellsch. Johannes Ernst Alexander Mücke, 12045 Berlin; Till Reiter, 10557 Berlin) Regal und Baukasten für ein Regal
US11350770B2 (en) * 2019-11-07 2022-06-07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orage, shipping, and display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15A (ja) * 1992-04-27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H10137055A (ja) * 1996-11-15 1998-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板付き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6973Y1 (ko) * 2003-04-02 2003-06-18 곽영호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666A (en) * 1977-08-04 1981-06-30 Dart Industries Inc. Modular taboret kit
US4561208A (en) * 1982-12-06 1985-12-31 Schultz John R Modular planter system
US4852501A (en) * 1986-05-16 1989-08-01 Amco Corporation Adjustable rack of shelves
US5417333A (en) * 1993-06-24 1995-05-23 Paul Flum Ideas, Inc. Gravity feed display unit with modular capability
US5722544A (en) * 1995-04-20 1998-03-03 Williams; Martha Modular shelving system
US6247414B1 (en) * 1995-12-22 2001-06-19 Gunther Sikora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T408054B (de) * 1995-12-22 2001-08-27 Guenther Sikora Konstruktionssystem zum aufbau von dreidimensionalen gebilden
US5683004A (en) * 1996-05-22 1997-11-04 Structural Plastics Corporation Stackable and unstackable support construction
US6796565B2 (en) * 2002-10-02 2004-09-28 Jae Chul Choi Cart for transportation
US6948435B1 (en) * 2003-03-20 2005-09-27 Honeyware, Inc. Corner joint and shelf module for use in light-duty all-plastic shelf units
US6962259B2 (en) * 2003-11-03 2005-11-08 Shin Hung Hu Dynamic showing r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815A (ja) * 1992-04-27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ミラーキャビネット
JPH10137055A (ja) * 1996-11-15 1998-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板付きキャビ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6973Y1 (ko) * 2003-04-02 2003-06-18 곽영호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71B1 (ko) * 2007-03-30 2008-07-04 최상현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피오피진열대
KR20200088555A (ko) 2019-01-15 2020-07-23 심재육 간편조립식 매매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4579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5439B1 (en) Hand carrying basket
TWI488773B (zh) 塑膠瓶及處理塑膠瓶之方法
JP5951978B2 (ja) 収納トレー
CN101171487A (zh) 用于冷冻物品的容器
KR100478752B1 (ko) 조립식 진열대 및 그 제작방법
CA2690451A1 (en) A single-layer plastic composite panel
EP0573729B1 (en) Plastic collapsible box
EP2002972A2 (en) A plastic composite board with ultrasonic welded structure
KR101497636B1 (ko) 종이 구조체를 가지는 도마의 제조방법 및 종이 구조체를 가지는 도마
CN115844153A (zh) 复合结构板和包括该复合结构板的家具
KR20120105524A (ko) 파렛트 지지부재의 성형 방법
KR100843671B1 (ko) 견고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플라스틱 피오피진열대
CN216875654U (zh) 复合板材及具有其的家具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WO2007000616A1 (en) Complex tray with reusable parts
CN2835109Y (zh) 折叠式周转箱
JPH11100030A (ja)
US6352605B1 (en) Method of making three-dimensional laminated structures
CN216070905U (zh) 一种具有防挤压变形结构的纸盒
JP4418147B2 (ja) 食品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8926B1 (ko) 압축성형된 합성수지제 패리트
KR200490835Y1 (ko) 폴딩으로 조립 및 분리되는 플라스틱 저금통
JP2019112068A (ja) パレット
KR200304141Y1 (ko) 종이 파레트
KR200336322Y1 (ko)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