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725B1 -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725B1
KR102587725B1 KR1020220154960A KR20220154960A KR102587725B1 KR 102587725 B1 KR102587725 B1 KR 102587725B1 KR 1020220154960 A KR1020220154960 A KR 1020220154960A KR 20220154960 A KR20220154960 A KR 20220154960A KR 102587725 B1 KR102587725 B1 KR 10258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rniture
hollow
ten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47B2220/0041Short shoulder brackets f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한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구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는 어셈블리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 상기 판들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각각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들의 양면 중 상기 판과 닿는 쪽과 반대쪽 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테넌을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SUPPORT ASSEMBLY FOR BACK BOARD AND SIDE BOARD OF FURNITURE}
본 발명은 진열장, 장식장, 수납장, 서랍장, 싱크대 등과 같은 각종 가구의 뒤판 및 옆판을 보강하고 지지해 주는 가구용 보강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며, 아울러 기온변화 및 습도변화 등에 따라 가구 옆판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도 가구의 뒤틀림이나 휨 현상을 방지하여 품질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 의류, 책, 그릇, 물건 따위를 정리하여 올려놓거나 넣어 두기 위해 농장, 옷장, 찬장, 책장, 수납장, 서랍장, 싱크대 등의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수납장이나 서랍장 등과 같은 가구의 뒤쪽과 옆쪽은 널빤지 모양의 뒤판과 옆판을 대어 막고 있다.
그런데 가구의 앞판은 두껍고 단단한 판재를 주로 사용하지만 뒤판과 옆판은 상대적으로 얇은 합판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끼워서 조립하거나 목공용 타카핀(철핀)을 박아 부착하는 경우가 많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뒤틀리거나 휘어지면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및 2에는 가구의 뒤쪽(뒷면)에 뒤판을 보강하고 지지해 주는 보강대를 가로질러 설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가구의 옆판과 보강대에 나사못을 박기 위한 구멍을 뚫고, 뒤판에 보강대를 가로질러 놓은 상태에서 그 구멍에 나사못을 옆판의 바깥 면보다 깊게 박아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가구 옆판이 대기 또는 실내 환경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거나 수분을 배출하여 수축하는 현상이 일어날 경우 보강대가 가구 옆판의 수축과 팽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여 나사못이 풀려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심한 경우 가구가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대가 원목이나 합판(파티클보드) 등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기에 약해 곰팡이와 휨·틀어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합판은 표면을 도장 또는 랩핑(wrapping) 공법으로 마감하지 않을 경우 좀, 먼지다듬이, 혹파리 등의 벌레가 생기는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 및 완성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행기술조사 및 심사에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019-0112349 A(2019. 10. 07.) KR 20-1998-0024678 U(1998. 07. 25.) KR 10-1270636 B1(2013. 05. 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 가구의 뒤판 지지대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가구의 양쪽 옆판 사이 또는 양쪽에 앞뒤로 가로질러 놓고 나사못을 박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온변화 및 습도변화 등에 따라 목재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도 가구의 옆판이나 판과 판 사이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나사못이 풀려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가구의 변형이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가구의 판과 판 사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잡아주어 목재의 수축과 팽창 변화로 인한 나사못의 풀림 현상과 가구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가구의 뒤쪽에서 양쪽 옆판 사이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 상기 판들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각각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의 상기 판과 닿는 쪽과 반대쪽 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넣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테넌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가구의 양쪽 옆판 사이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아울러 기온변화 및 습도변화 등에 따라 가구 옆판 등과 같은 판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도 가구 옆판과 뒤판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잡아주어 나사못이 풀려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가구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나사못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의 가운데 부분에 뚫린 관통구멍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 사이나 판과 판과 사이에 가로질러 놓고 나사못으로 마운트에 직접 조여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나사못을 박아 넣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공 가운데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제1러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 사이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놓고 나사못으로 제1러그에 직접 조여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나사못을 박아 넣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과 통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운트의 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2러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 사이에 가로질러 놓고 나사못으로 제2러그에 직접 조여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프레임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넌은, 상기 프레임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상기 프레임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상하 한 쌍의 아우터 테넌 및 상기 아우터 테넌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상기 프레임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이너 테넌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3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한 쌍의 종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테넌은 상기 종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 내부의 3칸 중 바깥쪽 2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되며, 상기 이너 테넌은 상기 종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함으로써 한층 더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프레임의 양쪽 끝부분 상하면에 각각 뚫린 끼움구멍,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도록 상기 끼움구멍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상기 테넌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 끼움돌기, 상기 테넌이 상기 프레임의 중공 속에 견고하게 끼워져 박히도록 상기 테넌의 바깥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마찰돌기 및 상기 끼움돌기에 형성되고, 상기 테넌이 상기 프레임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상기 끼움돌기와 상기 프레임 간의 접촉간섭 및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구멍 속에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대로 복귀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작용을 유도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테넌의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프레임과 마운트를 압입하여 쉽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과 마운트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가구의 양쪽 옆판 등에 고정하는 마운트가 테넌에 의해 프레임과 연결되어 가구의 양쪽 옆판 등과 같은 판과 판 사이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연한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잡아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구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구의 판과 판 사이를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온변화 및 습도변화 등에 따라 가구 옆판 등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도 나사못이 풀려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가구의 변형이나 뒤틀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과 품질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국부 종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가구의 옆판에 나사못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가구의 뒤쪽에 나사못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가구의 옆판에 나사못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결합하여 나타낸 국부 종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를 가구의 옆판에 나사못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또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는 가구의 뒤판(FB)과 양쪽 옆판(FS)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거나 가구의 위판과 아래판 사이 등에 세워서 설치하는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프레임(110), 좌우 한 쌍의 마운트(120) 및 테넌(130)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110)은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의 뒤판(FB)이나 옆판(FS)을 보강하고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긴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10)은 내부가 빈 공동(중공)과, 가구의 양쪽 옆판(FS) 사이 등 한쪽 판과 다른 쪽 판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갖는 직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상면 및 하면에는 그 중공과 통하는 끼움구멍(112)이 각각 뚫려 있다.
여기서 끼움구멍(112)은 테넌(130)의 끼움돌기(131)가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끼움돌기(131)의 단면 지름보다 길쭉한 장공(slot hole)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10)은 휨 강성 및 강도를 보장하여 구조적 변형을 방지하고, 하중 방향으로의 처짐 및 뒤틀림 현상을 최소화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파이프, 프로파일(profile) 형태로 압출하여 성형하거나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성형할 수 있다.
마운트(120)는 가구 옆판(FS)들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각각 나사못(S)으로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110)의 좌우 양쪽 단부 면에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마운트(120)의 가운데 부분에는 나사못(S)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21)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뚫려 있다.
즉, 마운트(120)는 가구 옆판(FS)과의 안정적인 접촉 면적을 확보하면서 프레임(10)의 단부 면에 맞닿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넓이를 가지며 평평한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121)은 나사못(S)으로 마운트(120)를 가구의 옆판(FS)에 고정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마운트(120)의 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는 나사못(S)을 박아 넣기 위한 중공형 제2러그(122)가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러그(122)의 빈 공동(중공)은 나사못(S)이 자연스럽게 박히도록 관통구멍(121)과 통하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끼워넣어 결합하기 위하여 마운트(120)들의 양면 중 옆판(FS)과 닿는 쪽과 반대쪽 면에 일정한 길이로 각각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양쪽 단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 속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마운트(120)의 사방 가장자리를 따라 직사각형 모양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넌(130)은 위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으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압입할 때 외력이 작용하면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서 테넌(130)의 위쪽 부분은 아래쪽 방향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의 위치로 벌어지고, 테넌(130)의 아래쪽 부분은 위쪽 방향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의 위치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프레임(110)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상하 한 쌍의 아우터 테넌(1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 테넌(131)의 바깥쪽 면 중 프레임(110)의 중공 속 상면 및 하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프레임(110)의 끼움구멍(112) 속에 끼워지도록 그 끼움구멍(112)과 대응하는 모양 몇 형상의 끼움돌기(133)가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우터 테넌(131)들 사이에서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프레임(110)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이너 테넌(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넌(130)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프레임(110)과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긴 모양의 마찰돌기(134)가 다수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마찰돌기(134)는 테넌(130)이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지면서 가압하여 완전히 밀착 및 견고하게 박히는 끝이 뾰족한 돌기 형상 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돌기 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끼움돌기(133)에는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테넌(130)이 끼움돌기(133)와 프레임(110) 간의 접촉간섭 및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끼움돌기(133)가 끼움구멍(112)에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대로 복귀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작용을 유도하는 경사면(1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운트(120)와 테넌(130)은 외력의 작용을 받으면 파괴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변형되거나 외력을 제거하면 변형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사라지도록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는 가구의 뒤판(FB)을 보강하고 지지하며 가구의 양쪽 옆판(FS)을 잡아주기 위해 가구의 뒤쪽에서 양쪽 옆판(FS)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할 수 있다.
즉, 가구의 뒤판(FB) 중 특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가구의 옆판(FS)에 뚫려 있는 나사구멍으로 나사못(S)을 집어넣은 다음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마운트(120)에 직접 박아서 단단히 죄어 고정하거나 가구의 옆판(FS)에 뚫려 있는 나사구멍을 통해 마운트(120)의 관통구멍(121)에 나사못(S)을 끼운 다음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나사못(S)을 돌려 조임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FS)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마운트(120)의 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 관통구멍(121)과 통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2러그(122)의 중공 속에 나사못(S)이 견고하게 조여짐으로써 나사못(S)의 조임 상태가 느슨해져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탄성 변형작용을 유도하는 경사면(135) 및 끼움돌기(133)와 프레임(110) 간의 접촉간섭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끼움돌기(133)가 끼움구멍(111) 속에 완전히 끼워지면 자연스럽게 원래대로 복귀하여 프레임(110)과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테넌(130)의 마찰돌기(132)는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발생하는 압입력에 의해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파고들어 박히듯이 밀착되어 강한 접촉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프레임(110)이 더욱 견고하고 타이트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테넌(130)의 바깥쪽 둘레의 폭이 프레임(110)의 중공 폭과 같거나 비슷하고, 테넌(130)을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압입 시 테넌(130)은 안쪽으로 오므라들고, 이와 반대로 프레임(110)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마운트(120)를 프레임(110)의 양단에 후크 결합방식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는 마운트(120)가 프레임(110)과 테넌(130)에 의해 조립 및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프레임(110)과 마운트(120) 사이의 유연한 움직임을 유지하면서 가구의 양쪽 옆판(FS)이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가구의 양쪽 옆판(FS)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구 옆판(FS)을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기온변화 및 습도변화 등에 따라 가구 옆판(FS)의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발생하여도 나사못(S)이 풀려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가구 옆판(FS)이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A)는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프레임(110), 좌우 한 쌍의 마운트(120) 및 테넌(1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A)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110)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3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한 쌍의 종격벽(1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10)의 중공은 종격벽(113)에 의해 상하로 3칸으로 구획되어 있다.
테넌(130)은 종격벽(113)에 의해 상하로 3칸으로 분할된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각각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프레임(10)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마운트(120)의 안쪽 면에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넌(130) 중 아우터 테넌(131)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바깥쪽 2칸 속에 각각 끼워넣어 결합되어 있고, 이너 테넌(132)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테넌(130)의 자유단과 반대쪽 고정단의 바깥쪽 면 둘레에는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강압력을 가하면서 서로 밀착하도록 하는 밀착면(1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넌(130)은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압입하여 빈틈없이 고정하기 위해 그 밀착면(136)의 겉둘레(겉면의 테두리)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프레임(110)의 중공(구멍) 크기(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A)는 가구의 뒤판(FB)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가구의 옆판(FS)에 뚫려 있는 나사구멍으로 나사못(S)을 집어넣은 다음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마운트(120)에 직접 박아서 단단히 죄어 고정함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FS)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이 종격벽(113)에 의해 상하 3칸으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도를 강화하여 프레임(110)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더구나 아우터 테넌(131)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바깥쪽 2칸 속에 각각 꽉 눌러 끼워넣어 결합되고, 이너 테넌(132)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꽉 눌러 끼워넣어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면서 더욱 견고한 결합 및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 3]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B)는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프레임(110), 좌우 한 쌍의 마운트(120) 및 테넌(13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B)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110)의 중공 가운데 부분에는 나사못(S)을 박아 넣기 위한 제1러그(11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10)의 중공은 제1러그(111)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제1러그(111)의 빈 공동(중공)은 나사못(S)이 자연스럽게 박히도록 마운트(120)의 관통구멍(121)과 통하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3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한 쌍의 종격벽(1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10)의 중공은 종격벽(113)에 의해 상하로 3칸으로 구획되어 있고,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제1러그(1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운트(120)의 가운데 부분에는 나사못(S)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121)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뚫려 있다.
즉, 관통구멍(121)은 프레임(110)의 제1러그(111)와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넌(130)은 제1러그(111)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각각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프레임(10)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마운트(120)의 안쪽 면에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테넌(130) 중 아우터 테넌(131)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바깥쪽 2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되어 있고, 이너 테넌(132)은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100B)는 가구의 뒤판(FB)을 보강하고 지지하며 가구의 양쪽 옆판(FS)을 잡아주기 위해 가구의 뒤쪽에서 양쪽 옆판(FS)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이 가구의 뒤판(FB)과 원하는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가구의 옆판(FS)에 뚫려 있는 나사구멍으로 나사못(S)을 집어넣어 마운트(120)의 관통구멍(121)에 일치시킨 뒤 전동 드라이버 등으로 나사못(S)을 돌려 조임으로써 가구의 양쪽 옆판(FS)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20)의 중공 가운데 부분에 관통구멍(121)과 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러그(111)의 중공 속에 나사못(S)이 견고하게 조여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어셈블리 110: 프레임
111: 제1러그 112: 끼움구멍
120: 마운트 121: 관통구멍
122: 제2러그 130: 테넌
131: 아우터 테넌 132: 이너 테넌
133: 끼움돌기 134: 마찰돌기
135: 경사면 FS: 옆판
FB: 뒤판 S: 나사못

Claims (7)

  1. 가구의 판과 판 사이에 가로질러 설치하는 어셈블리(100)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형 프레임(110);
    상기 판(FS)들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각각 나사못(S)으로 고정하는 마운트(120); 및
    상기 마운트(120)들의 양면 중 상기 판(FS)과 닿는 쪽과 반대쪽 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테넌(130);
    을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S)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120)의 가운데 부분에 뚫린 관통구멍(121);
    을 더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S)을 박아 넣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121)과 통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중공 가운데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제1러그(111);
    를 더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S)을 박아 넣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121)과 통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단부 면과 마주하는 상기 마운트(120)의 안쪽 면 가운데 부분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2러그(122);
    를 더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넌(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상기 프레임(110)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상하 한 쌍의 아우터 테넌(131); 및
    상기 아우터 테넌(131)들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중공 속에 끼워넣을 때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오므라들었다가 바깥쪽으로 펴지면서 상기 프레임(110)의 중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해하는 힘이 작용을 하는 이너 테넌(132);
    을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3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한 쌍의 종격벽(113)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테넌(131)은 상기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바깥쪽 2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되며,
    상기 이너 테넌(132)은 상기 종격벽(113)에 의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110) 내부의 3칸 중 가운데 칸 속에 끼워넣어 결합된,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의 양쪽 끝부분 상하면에 각각 뚫린 끼움구멍(112);
    상기 끼움구멍(112)에 끼워지도록 상기 테넌(13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 끼움돌기(133);
    상기 테넌(130)이 상기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견고하게 끼워져 박히도록 상기 테넌(130)의 바깥쪽 면 둘레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마찰돌기(134); 및
    상기 끼움돌기(133)에 형성되고, 상기 테넌(130)이 상기 프레임(110)의 중공 속에 끼워질 때 상기 끼움돌기(133)와 상기 프레임(110) 간의 접촉간섭 및 탄성 변형에 의해 탄력적으로 오므라들었다가 상기 끼움돌기(133)가 상기 끼움구멍(112) 속에 완전히 끼워지면 원래대로 복귀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작용을 유도하는 경사면(135);
    을 더 포함하는,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KR1020220154960A 2022-09-27 2022-11-18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KR102587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072 2022-09-27
KR20220122072 2022-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7725B1 true KR102587725B1 (ko) 2023-10-11

Family

ID=8829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960A KR102587725B1 (ko) 2022-09-27 2022-11-18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772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678U (ko) 1996-10-30 1998-07-25 배효철 조립식 붙박이장의 뒷판 결합장치
KR200448429Y1 (ko) * 2007-09-10 2010-04-09 주식회사 베크 가구용 측판
JP2012232129A (ja) * 2011-05-04 2012-11-29 Ferramenta Livenza Srl 壁に固定される家具のための補助支持器具
KR101270636B1 (ko) 2011-01-25 2013-06-05 주식회사 엘퍼스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20170034645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명성기업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KR20190112349A (ko) 2018-03-26 2019-10-07 (주) 이지 가구 배면판넬 조립구조
KR102120456B1 (ko) * 2019-12-05 2020-06-09 (주) 투템디자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KR102270346B1 (ko) * 2019-11-25 2021-06-28 박종성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678U (ko) 1996-10-30 1998-07-25 배효철 조립식 붙박이장의 뒷판 결합장치
KR200448429Y1 (ko) * 2007-09-10 2010-04-09 주식회사 베크 가구용 측판
KR101270636B1 (ko) 2011-01-25 2013-06-05 주식회사 엘퍼스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JP2012232129A (ja) * 2011-05-04 2012-11-29 Ferramenta Livenza Srl 壁に固定される家具のための補助支持器具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20170034645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명성기업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KR20190112349A (ko) 2018-03-26 2019-10-07 (주) 이지 가구 배면판넬 조립구조
KR102270346B1 (ko) * 2019-11-25 2021-06-28 박종성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2120456B1 (ko) * 2019-12-05 2020-06-09 (주) 투템디자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09465A (ja) 家具組立部材
JPS5977809A (ja) フレ−ム構造
EA027261B1 (ru) Меб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 сборе
KR102587725B1 (ko)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CN112869409B (zh) 一种拆装书柜用卡接件及书柜
KR20240030676A (ko) 가구의 뒤판 지지용 어셈블리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JP4918837B2 (ja) 壁面構造体
KR880004492Y1 (ko) 판재를 상, 하, 좌,우로 연결 조립하는 연결부재
JP2005007023A (ja) 収納ユニット
KR200175791Y1 (ko) 목재 도어의 보강구조
WO2019215689A1 (en) A kit for assembling a furniture article framework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10209Y1 (ko) 수납장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JP3001191U (ja) 組立式家具
KR100200952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라스틱 패널소재
JPH0733131U (ja) 箱体構造
CN220327069U (zh) 一种拼装式木柜
CN217496900U (zh) 一种快速组装式物流托盘
RU210125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олок
CN213664256U (zh) 一种塑料拼装块及拼装的塑料柜
KR200301564Y1 (ko) 사무용 가구의 패널
KR200337062Y1 (ko) 서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