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83B1 - 진열보관대 - Google Patents

진열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983B1
KR101609983B1 KR1020150083176A KR20150083176A KR101609983B1 KR 101609983 B1 KR101609983 B1 KR 101609983B1 KR 1020150083176 A KR1020150083176 A KR 1020150083176A KR 20150083176 A KR20150083176 A KR 20150083176A KR 101609983 B1 KR101609983 B1 KR 101609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ngaging
boss
fixed blo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동
김철현
Original Assignee
김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현 filed Critical 김철현
Priority to KR102015008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Abstract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하여 선반을 다단으로 끼움 결합하여 조립되는 진열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는, 중공의 기둥부 상,하단에 삽착 고정되는 암,수형태의 고정블록체를 통해 상기 기둥부가 다단의 수직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상에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부가 다단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다단의 선반부 사이에는 선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진열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일측 및 전방측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와 끼움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봉이 곡선 이송되도록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와, 단차를 갖는 피봇형태의 결합보스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보스결합홀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보스결합홀과 결합이송로에 각각 대응 결합되기 위한 결합보스 및 결합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의 다단 조립시 상,하부 몸체 간의 회전작용을 통한 하부 몸체의 상단 양쪽 몸체결합부재의 삽입홈과 상부 몸체의 하단 양쪽 결착돌기가 결속되면서 결합되는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부재간 조립 시 유격이 적고 조립상태 역시 매우 견고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와 같은 견고한 조립구조를 통해 부품간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아 일정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마모에 따른 부품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이를 통한 경제적 손실 역시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용도에 따라 진열보관대와 선반의 조립상태를 수직으로 다단 배열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1열 내지 다열로 배열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열장이나 실외에서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 사용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올려놓는 보관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열보관대 { The display storage rack }
본 발명은 진열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의 기둥부 상,하단에 삽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암,수형태로 이루어져 이들의 조립을 통해 기둥부를 다단의 수직형태로 연결하는 고정블록체에 대해 상기 암형태의 고정블록체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에는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에 각각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 및 다단의 피봇형태인 결합보스를 구비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몸체의 다단 조립시 상,하부 몸체 간의 회전작용을 통한 하부 몸체의 상단 양쪽 몸체결합부재의 삽입홈과 상부 몸체의 하단 양쪽 결착돌기가 결속되면서 결합되는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부재간 조립시 유격이 적고 조립상태 역시 매우 견고하며, 사용용도에 따라 진열보관대와 선반의 조립상태를 수직으로 다단 배열하거나 또는 수평으로 1열 내지 다열로 배열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열장이나 실외에서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 사용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올려놓는 보관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진열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하여 기둥에 선반을 다단으로 끼움 결합하여 조립한 진열대가 사용되며, 이러한 진열대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180호(하이퍼 조립식 앵글 진열대)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단하고 제조공정도 축소되어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을 이용해 고정빔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판의 다단 폭을 임의로 조절할 수는 있지만,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이 되는 상기 기둥의 경우 조립하고자 하는 진열대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어 기둥의 길이가 사전에 결정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진열대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일반적으로 상기 기둥은 금속재질을 이용해 2m 내외의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기둥의 무게가 무겁고, 외형이 길고 투박하여 분해된 상태로 상기 기둥을 운반 및 운송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조립식 진열대의 기둥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에 받침판이 안착되는 고정빔이 후크에 의한 착탈방식을 통해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핀에 의해 상기 기둥과 고정빔의 결합부위가 고정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조립식 진열대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진열대를 조립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상기와 같이 진열대의 부품이 많아짐으로써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비용 증가로 인해 판매단가가 상승하여 소비자의 구매부담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253462호(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프레임이 조립식 블록(block) 형태로 몸체가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결합부재와 몸체결착돌기의 상호 결합작용을 통해 수직프레임이 다단 조립되게 구성되어 이에 따라 조립식 진열대의 수직높이 및 선반의 다단 폭을 임의로 조절하면서 분해된 진열대의 부품들을 간편하게 운반 및 운송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직프레임의 몸체 상면에 선반의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선반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이를 통해 수직프레임과 선반의 상호 결합구조가 매우 단순화되어 진열대를 조립하기가 매우 쉽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조립식 진열대의 부품 수를 현저히 줄임에 따라 조립식 진열대의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반면에, 상기 몸체의 다단 조립 시 상,하부 몸체 간의 회전작용을 통한 하부 몸체의 상단 양쪽 몸체결합부재의 삽입홈과 상부 몸체의하단 양쪽 결착돌기가 결속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재간 조립 시 유격이 커 조립상태가 견고하지 못함과 아울러, 조립 후에도 조립식 진열대 자체가 흔들거리면서 안정적이지 못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조립식 진열대의 경우 상기 몸체와 몸체의 조립 시 조립구조의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서로 맞닿거나 잡아주는 등의 결합부위 개소가 적기 때문에 그만큼 부재간 유격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진열대의 결합구조 자체가 견고하지 못하고 부실해지는 등 내구성 역시 약해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조립식 진열대 중 몸체의 경우 선반을 끼울 수 있는 구조 특성상 수직으로 다단 배열하거나 1열로만 배열이 가능할 뿐 사용용도에 따라 다열로 수평 배열할 수가 없는 등 사용상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제조되는 진열대 자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결합수단인 몸체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몸체결합부재와 몸체결착돌기를 장기간 자주 사용할 경우 일측 부분이 개구되는 삽입홈인 몸체결합부재가 벌어지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인 몸체결합부재에 삽착되는 구형상의 몸체결착돌기가 마모되어서 상기 몸체결합부재와 몸체결착돌기간에 처음과 같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몸체결합부재로부터 몸체결착돌기의 잦은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결합력이 해제되게 되고 결국 일정기간을 사용한 후에는 부품을 새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이를 통해 경제적 손실 또한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중공의 기둥부 상,하단에 삽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암,수형태로 이루어져 이들의 조립을 통해 기둥부를 다단의 수직형태로 연결하는 고정블록체에 대해 상기 암형태의 고정블록체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에는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에 각각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 및 다단의 피봇형태인 결합보스를 구비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몸체의 다단 조립시 상,하부 몸체 간의 회전작용을 통한 하부 몸체의 상단 양쪽 몸체결합부재의 삽입홈과 상부 몸체의 하단 양쪽 결착돌기가 결속되면서 결합되는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부재간 조립 시 유격이 적고 조립상태 역시 매우 견고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와 같은 견고한 조립구조를 통해 부품간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아 일정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마모에 따른 부품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통한 경제적 손실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후방측과 기둥부의 후방측에는 측판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 요(凹)" 형태의 측판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양측과 기둥부의 양측에는 정면판 및 배면판이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어 사용용도에 따라 진열보관대와 선반의 조립상태를 수직으로 다단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 1열 내지 다열로 배열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열장이나 실외에서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 사용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올려놓는 보관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에 대한 조립구조에 있어, 상기 결합이송로와 함께 함형태 고정블록체에 형성된 보스결합홀의 전후 양측에 사각키홈 형태의 수직결합돌부홈 및 상기 수직결합돌부홈의 끝단으로부터 보스결합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까지 형성된 수평결합돌부홈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돌부홈의 하단에 결합보스의 최상단인 사각봉체가 삽입되도록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4개소로 절개하여서된 절개편이 구비되되 절개편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절개편의 하부에는 사각봉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보스의 90도 회전시 사각봉체의 모서리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텐션부가 구비되어 텐션부의 텐션작용을 통해 사각봉체가 90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텐션부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사각봉체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탄성력이 더해져 작용됨에 따라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진열보관대의 조립상태가 더욱 더 견고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구조에 대한 내구성 역시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는, 중공의 기둥부 상,하단에 삽착 고정되는 암,수형태의 고정블록체를 통해 상기 기둥부가 다단의 수직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상에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부가 다단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다단의 선반부 사이에는 선반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이 형성된 진열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일측 및 전방측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와 끼움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봉이 곡선 이송되도록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와, 단차를 갖는 피봇형태의 결합보스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보스결합홀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보스결합홀과 결합이송로에 각각 대응 결합되기 위한 결합보스 및 결합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중공의 기둥부 상,하단에 삽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암,수형태로 이루어져 이들의 조립을 통해 기둥부를 다단의 수직형태로 연결하는 고정블록체에 대해 상기 암형태의 고정블록체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에는 결합이송로와 보스결합홀에 각각 대응 결합되는 결합구 및 다단의 피봇형태인 결합보스를 구비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몸체의 다단 조립시 상,하부 몸체 간의 회전작용을 통한 하부 몸체의 상단 양쪽 몸체결합부재의 삽입홈과 상부 몸체의 하단 양쪽 결착돌기가 결속되면서 결합되는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부재간 조립 시 유격이 적고 조립상태 역시 매우 견고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와 같은 견고한 조립구조를 통해 부품간의 결합력이 약해지지 않아 일정기간을 사용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마모에 따른 부품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통한 경제적 손실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후방측과 기둥부의 후방측에는 측판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 요(凹)" 형태의 측판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양측과 기둥부의 양측에는 정면판 및 배면판이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 결합홈이 형성되어 사용용도에 따라 진열보관대와 선반의 조립상태를 수직으로 다단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 1열 내지 다열로 배열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열장이나 실외에서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 사용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올려놓는 보관대 등으로 사용 가능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에 대한 조립구조에 있어, 상기 결합이송로와 함께 함형태 고정블록체에 형성된 보스결합홀의 전후 양측에 사각키홈 형태의 수직결합돌부홈 및 상기 수직결합돌부홈의 끝단으로부터 보스결합홀의 내측 둘레를 따라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까지 형성된 수평결합돌부홈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돌부홈의 하단에 결합보스의 최상단인 사각봉체가 삽입되도록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4개소로 절개하여서된 절개편이 구비되되 절개편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절개편의 하부에는 사각봉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보스의 90도 회전시 사각봉체의 모서리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텐션부가 구비되어 텐션부의 텐션작용을 통해 사각봉체가 90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텐션부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사각봉체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탄성력이 더해져 작용됨에 따라 종래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조립구조에 비해 진열보관대의 조립상태가 더욱 더 견고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 구조에 대한 내구성 역시 증대되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결합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결합된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를 첨부되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암형태 고정블록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는, 실내,외에서 진열장이나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서 물이나 음료수 등을 진열해 놓는 보관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기둥부(10) 상,하단에 삽착 고정되는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를 통해 상기 기둥부(10)가 다단의 수직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 상에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부(40)를 끼움 결합하여 다단으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기둥부(10)의 내측에는 기둥부(10)의 내구력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대(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부(40)와 선반부(40) 사이에는 상기 선반부(4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에 전면판(51)과 후면판(52)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사각프레임 형태로 상기 선반부(40)와 선반부(40) 사이에 복수개 구비되어 선반부(40)와 선반부(40) 사이의 진열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지지프레임(50) 중 하나의 지지프레임(50)의 상부에는 힌지부재(53)가 구비되어 상기 전면판(51)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열고 닫는 도어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51)은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다단으로 연결된 상기 기둥부(10) 중 최상단 기둥부(10)의 상부에 삽착된 수형태 고정블록체(30) 상부에는 마감부재(60)가 결합되고, 최하단 기둥부(10)의 하부에 삽착된 암형태 고정블록체(20) 하부에는 걸레받이(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 중 상기 기둥부(10)의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직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벼우며, 사용용도에 맞게 그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 중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의 경우 중공의 기둥부(10) 상,하단에 각각 삽착 고정되며, 상기와 같이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가 고정된 여러 개의 기둥부(10)를 연결하는데 있어,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에 수형태 고정블록체(30)를 대응시켜 끼움 결합하는 등 상기한 결합방식을 통해 다단의 수직형태로 여러 개의 기둥부(10)를 연결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구조를 갖는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중 먼저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몸체(25) 상부 둘레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된 삽입구(26)가 상기 기둥부(10)의 하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써 전체형상이 사각블록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일측 및 전방측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30)와 끼움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구(31)가 곡선 이송되도록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21)와, 단차를 갖는 피봇형태의 결합보스(32)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보스결합홀(22)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스결합홀(22)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 사각봉체(34)의 하부 전후 양측에 사각키 형태로 돌출된 결합돌부(35)와 대응 결합되기 위한 동일형태 즉, 사각키홈 형태의 수직결합돌부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결합돌부홈(2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보스결합홀(2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돌부(35)의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까지 수평결합돌부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결합돌부홈(24)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인 사각봉체(34)가 삽입되도록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4개소로 절개하여서된 절개편(28)이 구비되되 상기 절개편(28)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절개편(28)의 상부에는 상기 사각봉체(3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보스(32)의 90도 회전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와 밀착되는 텐션부(2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29)는 상기 결합보스(32)의 90도 회전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고, 텐션작용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사각봉체(34)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ㄷ" 형태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결합돌부(35)가 상기 수직결합돌부홈(23)을 통해 삽입될 시 상기 결합돌부(35)의 상단이 상기 텐션부(29)의 하단과 밀착되어 상기 결합보스(32)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32)가 상기 보스결합홀(22)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사각봉체(34)는 상기 텐션부(29)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결합돌부(35)가 상기 수평결합돌부홈(24)을 따라 90도 회전할 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가 상기 텐션부(29)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텐션부(29)가 외측으로 벌어진 후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사각봉체(34)를 고정하여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이송로(21)의 일단에는 결합구(31)가 대응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이송로(21)를 따라 곡선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동일형태의 걸림턱홀(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 역시도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몸체(36) 하부 둘레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향 돌출된 삽입구(37)가 상기 기둥부(10)의 상부에 삽입되는 구조로써 전체형상이 사각블록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후방측 중앙에는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결합이송로(21) 즉,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21)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측에는 암형태 고정블록체(20) 중 결합이송로(21)와 이웃한 보스결합홀(22)에 회전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보스(32)가 직경 단차를 갖는 다단의 피봇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은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텐션부(29) 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90도 회전 가능하면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사각봉체(34)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봉체(34)의 하부 전후 양측에는 보스결합홀(22)의 전후 양측에 사각키홈 형태로 형성된 수직결합돌부홈(23)에 대응되어 수직으로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보스(32)의 회전작용을 통해 상기 수직결합돌부홈(23)의 끝단으로부터 보스결합홀(22)의 내측 둘레를 따라 90도 회전 지점까지 형성된 수평결합돌부홈(24)까지 회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사각키 형태의 결합돌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결합구(31)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이송로(21) 측으로 삽입이 원활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이송로(21)를 통한 상기 결합구(31)의 곡선이동 시 상기 결합이송로(21)로부터 상기 결합구(31)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태의 걸림턱부(31a)가 90도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상면에는 상기 선반부(40)의 배열 상태에 따라 끼움 결합이 원활하도록 선반결착홈(33)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보스(32)의 좌우 양측면과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 양측 모서리부 사이 및 상기 결합보스(32)와 결합구(31)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선반결착홈(33)이 서로 연통되게 "ㅠ"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의 삽입구(26,37) 중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26,37)와 상기 기둥부(10)의 상,하단 양측면에는 상기 기둥부(10) 상,하단에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를 삽입 결합시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26a,37a)와 걸림홈(12,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6a,37a)는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26,37)의 중앙부를 "U" 형태로 절개하고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둥부(10)에 삽입시 내측으로 오므려지다 상기 걸림홈(12,13)에 안착되어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후방측에는 측판(80)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요(凹)" 형태의 측판결합홈(36a)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요(凹)" 형태의 프레임 결합홈(36b)이 구비되며,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후방측에도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에 형성된 측판결합홈(36a)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측판결합홈(25a)이 구비되고, 양측에도 상기 프레임 결합홈(36b)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프레임 결합홈(25b)이 구비되며,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가 결착되는 기둥부(10)의 후방측에도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에 형성된 측판결합홈(25a,36a)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측판결합홈(14)이 구비되고, 양측에도 상기 프레임 결합홈(36b,25b)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프레임 결합홈(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10)를 다단으로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기둥부(10)를 종횡(縱橫)으로 다수 배열하여 다양한 크기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40)는 플라스틱이나 나무 또는 철 재질의 사각 판상체(41)와, 상기 판상체(41)의 4면이 삽착되는 테두리프레임(42) 및 테두리프레임(42)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프레임(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일측에는 상기 판상체(41)의 4면이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2a)의 하측과 반대측에는 상기 모서리프레임(43)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공(42b)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모서리프레임(43)은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각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90도로 절곡되고, 양단에 상기 고정공(42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3a)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판상체(41)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측 중앙에 돌출된 결합보스(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스삽입홀(41a)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양단이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결합보스(32) 일측에 형성된 선반결착홈(33)에 안착되고, 이웃하는 테두리프레임(42)의 양단이 상기 결합보스(32)와 결합구(31) 사이에 형성된 선반결착홈(33)에 안착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테두리프레임(42)의 양단을 상기 모서리프레임(43)이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일측 상,하단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 상,하단에서 각각 상,하로 돌출된 돌기(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 결착홈(42c)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선반부(40)는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이 구비되지 않은 판상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 형태의 사각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 중 기둥부와 결합된 암,수형태 고정블록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에 대한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에 대한 조립과정으로서, 먼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기둥부(10) 상,하단에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부(10)의 상,하단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2,13)에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의 상,하부에서 각각 상,하로 돌출된 삽입구(26,37) 중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양측의 삽입구(26,37)에 형성된 걸림돌기(26a,37a)를 대응시킨 후 가압 결착시켜 상기 기둥부(10)로부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가 분리되지 않도록 조립하는 등 사용용도에 맞게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가 조립된 기둥부(10)를 다수개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다수의 기둥부(10)들을 서로 결합시켜 목적한 높이까지 다단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한 기둥부(10)들의 조립은 하나의 기둥부(10) 상,하단에 조립된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중 하단에 조립 위치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와 또 다른 하나의 기둥부(10) 상,하단에 조립된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중 상단에 조립 위치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를 서로 대응시켜 즉,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일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이송로(21) 일단의 걸림턱홀(21a)과 보스결합홀(22)에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앙에 각각 형성된 결합구(31)와 결합보스(32)를 끼움 결합하는데,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걸림턱홀(21a) 및 보스결합홀(22)에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결합구(31)와 결합보스(32)를 끼움 결합시키게 되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수형태 고정블록체(30)가 서로 90도 엇갈린 상태인 십자형태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십자형태를 형성하고 있는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중 어느 하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암,수형태의 고정블록체(20,30)간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즉,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걸림턱홀(21a) 및 보스결합홀(22)에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결합구(31)와 결합보스(32)를 끼움 결합시키되,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회전방향과 동일과 곡률반경을 갖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결합이송로(21) 일단에 연통되게 형성된 사각형태의 걸림턱홀(21a)에는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결합구(31)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형태의 걸림턱부(31a)를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보스결합홀(22)에도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결합보스(32)를 삽입시키되, 상기 보스결합홀(22)의 양측에 사각키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5)를 삽입시키게 되면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가 서로 십자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 중 어느 하나 즉, 상기 결합보스(32)를 지점으로 수형태 고정블록체(3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되면,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이 전,후방측 중앙에 각각 돌출된 결합보스(32)의 결합돌부(35)와 결합구(31)가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전방측 중앙 및 일측에 각각 형성된 보스결합홀(22) 중 상기 수직결합돌부홈(23)의 끝단으로부터 보스결합홀(22)의 내측 둘레를 따라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까지 형성된 수평결합돌부홈(24)과 상기 걸림턱홀(21a)과 연통되면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결합이송로(21)를 따라 90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결합돌부홈(24)의 상단에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인 사각봉체(34)가 삽입되도록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4개소로 절개하여서된 절개편(28)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절개편(28) 하부에 형성된 텐션부(29)에 끼움 결합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가 밀착되어 상기 텐션부(29)가 확대되면서 벌어지는 텐션작용을 통해 상기 결합보스(32)와 결합돌부(35) 및 사각봉체(34) 모두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텐션부(29)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사각봉체(34)를 고정하여 탄성 지지하여 상기 결합보스(32)가 역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가 서로 결합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수형태 고정블록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에 선반부(40)를 끼움 고정시키는데,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 상면에 선반부(40)의 배열에 상태에 따라 끼움 결합이 원활하도록 형성된 선반결착홈(33)에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결합보스(3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결합보스(32)이 좌우 양측면과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양측 모서리부 사이 및 상기 결합보스(32)와 결합구(31)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선반결착홈(33) 자체가 서로 연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선반부(40)의 판상체(41)를 직접 선반결착홈(33)에 끼움 결합하거나, 선반부(40)의 판상체(41) 4면에 결합되는 테두리프레임(42)이 상기 선반결착홈(33)에 결합되고, 이웃하는 테두리프레임(42)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프레임(43)이 상기 선반결착홈(33)에 안착되어 상기 판상체(41)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진열보관대(1)의 조립과정이 모두 종료되게 되면, 상기한 과정을 통해 조립되는 본 발명의 진열보관대(1)를 사용용도에 따라 수직으로 다단으로 배열하여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진열장으로 조립하거나 수평으로 1열 내지 다열로 배열하여 실외에서 마라톤과 같은 체육경기에 사용되는 물이나 음료수 등을 올려놓는 보관대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진열보관대 10: 기둥부
12,13: 걸림홈 14: 측판결합홈
15: 프레임 결합홈 16: 보강대
20: 암형태 고정블록체 21: 결합이송로
22: 보스결합홀 23: 수직결합돌부홈
24: 수평결합돌부홈 25: 몸체
26: 삽입구 30: 수형태 고정블록체
31: 결합구 32: 결합보스
33: 선반결착홈 34: 사각봉체
35: 결합돌부 36: 몸체
37: 삽입구 40: 선반부
50: 지지프레임 60: 마감부재
70: 걸레받이 80: 측판

Claims (8)

  1. 중공의 기둥부(10) 하단에 삽착 고정되며, 일측 및 전방측에는 수형태 고정블록체(30)와 끼움 결합을 위한 회전방향에 따라 결합구(31)가 곡선 이송되도록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의 결합이송로(21)와, 단차를 갖는 피봇형태의 결합보스(32)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보스결합홀(22)이 구비된 암형태 고정블록체(20)와, 중공의 기둥부(10) 상단에 삽착 고정되며,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보스결합홀(22)과 결합이송로(21)에 각각 대응 결합되기 위한 결합보스(32) 및 결합구(31)가 각각 구비된 수형태 고정블록체(30)가 구비되며,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상에 선반부(40)가 다단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선반부(40) 사이에는 선반부(4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에 전면판(51)과 후면판(52)이 끼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50)이 형성된 진열보관대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이 사각봉체(34)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사각봉체(34)의 하부 전후 양측에는 사각키 형태의 결합돌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결합홀(22)의 전후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부(35)와 대응 결합되기 위한 동일형태의 수직결합돌부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결합돌부홈(2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보스결합홀(2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돌부(35)의 90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까지 수평결합돌부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결합돌부홈(24)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보스(32)의 최상단인 사각봉체(34)가 삽입되도록 원형형태를 이루면서 4개소로 절개하여서된 절개편(28)이 구비되되, 상기 절개편(28)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절개편(28)의 하부에는 상기 사각봉체(3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보스(32)의 90도 회전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텐션부(29)가 구비되되,
    상기 텐션부(29)는 상기 결합보스(32)의 90도 회전시 상기 사각봉체(34)의 모서리부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고, 텐션작용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사각봉체(34)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상면에는 선반부(40)의 배열 상태에 따라 끼움 결합이 원활하도록 선반결착홈(33)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보스(32)의 좌우 양측면과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 양측 모서리부 사이 및 상기 결합보스(32)와 결합구(31)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선반결착홈(33)이 서로 연통되게 'ㅠ'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31)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이송로(21) 측으로 삽입이 원활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이송로(21)를 통한 결합구(31)의 곡선이동 시 상기 결합이송로(21)로부터 상기 결합구(31)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태의 걸림턱부(31a)가 90도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이송로(21)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구(31)가 대응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이송로(21)를 따라 곡선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동일형태의 걸림턱홀(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는 판상의 몸체(25) 상부 둘레에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된 삽입구(26)가 상기 기둥부(10)의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는 판상의 몸체(36) 하부 둘레에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향 돌출된 삽입구(37)가 상기 기둥부(10)의 상부에 삽입되되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26,37)와 상기 기둥부(10)의 상,하단 양측면에는 상기 기둥부(10) 상,하단에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를 삽입 결합시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후크 형태의 걸림돌기(26a,37a)와 걸림홈(12,13)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후방측에는 측판(80)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요(凹)" 형태의 측판결합홈(36a)이 구비되고, 양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일측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요(凹)" 형태의 프레임 결합홈(36b)이 구비되며,
    상기 암형태 고정블록체(20)의 후방측에도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에 형성된 측판결합홈(36a)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측판결합홈(25a)이 구비되고, 양측에도 상기 프레임 결합홈(36b)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프레임 결합홈(25b)이 구비되며,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가 결착되는 기둥부(10)의 후방측에도 상기 암,수형태 고정블록체(20,30)에 형성된 측판결합홈(25a,36a)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측판결합홈(14)이 구비되고, 양측에도 상기 프레임 결합홈(25b,36b)과 동일형태 및 동일위치에 프레임 결합홈(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40)는 플라스틱이나 나무 또는 철 재질의 사각 판상체(41)와, 상기 판상체(41)의 4면이 삽착되는 테두리프레임(42) 및 테두리프레임(42)을 상호 연결하는 모서리프레임(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일측에는 상기 판상체(41)의 4면이 삽입되는 삽입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2a)의 하측과 반대측에는 상기 모서리프레임(43)의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공(42b)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모서리프레임(43)은 상기 테두리프레임(42)의 각 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90도로 절곡되고, 양단에 상기 고정공(42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3a)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판상체(41)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수형태 고정블록체(30)의 전방측 중앙에 돌출된 결합보스(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스삽입홀(41a)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보관대.
KR1020150083176A 2015-06-12 2015-06-12 진열보관대 KR10160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6A KR101609983B1 (ko) 2015-06-12 2015-06-12 진열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6A KR101609983B1 (ko) 2015-06-12 2015-06-12 진열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983B1 true KR101609983B1 (ko) 2016-04-06

Family

ID=5579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76A KR101609983B1 (ko) 2015-06-12 2015-06-12 진열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825A (zh) * 2017-04-21 2017-08-18 刘可 便于拆装的可循环用折叠箱
KR20180131290A (ko) * 2017-05-31 2018-12-10 이순호 조립식 진열장
KR101958592B1 (ko) * 2018-03-21 2019-07-04 정소진 조립식 가구
KR102071171B1 (ko) * 2019-03-29 2020-01-29 재 욱 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2587725B1 (ko) * 2022-09-27 2023-10-1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346B2 (ja) * 1997-10-01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
KR101253462B1 (ko) *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346B2 (ja) * 1997-10-01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
KR101253462B1 (ko) *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4825A (zh) * 2017-04-21 2017-08-18 刘可 便于拆装的可循环用折叠箱
KR20180131290A (ko) * 2017-05-31 2018-12-10 이순호 조립식 진열장
KR102005619B1 (ko) * 2017-05-31 2019-07-30 이순호 조립식 진열장
KR101958592B1 (ko) * 2018-03-21 2019-07-04 정소진 조립식 가구
KR102071171B1 (ko) * 2019-03-29 2020-01-29 재 욱 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2587725B1 (ko) * 2022-09-27 2023-10-11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가구 뒤판 및 옆판 지지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983B1 (ko) 진열보관대
US4930643A (en) Display unit with modular capability
US20160120307A1 (en) Wine Bottle Rack-Building Kit, Packaging, and Method
US6253933B1 (en) Shelving rack
US4955485A (en) Display device
US20030034320A1 (en) Display rack
WO2011010212A2 (es) Base plegable para mostradores
KR200482311Y1 (ko) 상품 진열대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US20120298606A1 (en) Sectional rack
MX2009012756A (es) Cubierta para base de mostradores.
KR101712494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AU783468B2 (en) Modular display rack
US3164108A (en) Display racks
US20190082831A1 (en) Modular rack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KR200483670Y1 (ko) 망 진열대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20180100769A (ko) 진열 보관대용 기둥 연결장치
US20180064248A1 (en) V-Lock Shelving System For Storage Of Retail Good And Bottles
KR200288113Y1 (ko) 조립식 가구
JP3165269U (ja) 眼鏡陳列用の回転式ディスプレイ
CN210471705U (zh) 一种果蔬架
KR200321928Y1 (ko) 조립식 서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