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619B1 - 조립식 진열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619B1
KR102005619B1 KR1020170068106A KR20170068106A KR102005619B1 KR 102005619 B1 KR102005619 B1 KR 102005619B1 KR 1020170068106 A KR1020170068106 A KR 1020170068106A KR 20170068106 A KR20170068106 A KR 20170068106A KR 102005619 B1 KR102005619 B1 KR 102005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post
strut
displ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290A (ko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17006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6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진열판부와, 진열판부를 지지하고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부와, 지주부에 장착되고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부와, 지주부에 장착 가능하고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조립성을 개선하고 다단의 진열판부 적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립식 진열장{ASSEMBLING TYPE DISPLAY CASE}
본 발명은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성이 개선되고, 강성을 증대시켜 다단 적재가 가능한 조립식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장은 판매하고자 하는 여러 상품들을 진열 내지 전시할 수 있도록 하나 내지 복수의 진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규격에 맞추어 제작된 수평조립판재와 수직조립판재 및 배면조립판재 등을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이는 조립볼트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조립하는 조립작업이 어렵고 힘들 뿐 아니라 숙련된 기술을 요하게 되므로 비숙련자는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설계에 맞추어 조립하는데 힘들고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단 조립되었던 진열장을 다른 모양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분리 해체하였을 경우 한번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를 재사용할 수 없고 새로운 조립판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일단 조립식 진열장에 사용했던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으로 다시 박아주는 조립볼트 또는 나사못은 헐겁게 박히게 되므로 조립식 진열장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며, 또는 나사구멍을 피해서 조립볼트 내지 나사못을 박아주게 될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 조립판재가 손상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78098호(2010.07.08. 공개, 발명의 명칭 : 조립식 진열장)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성이 개선되고, 강성을 증대시켜 다단 적재가 가능한 조립식 진열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진열판부; 상기 진열판부를 지지하고,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부; 및 상기 지주부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내부가 비워진 기둥 형상을 하고, 양측단부가 이격된 지주기둥부; 상기 지주기둥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지주돌기부; 및 상기 지주기둥부의 타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돌기부에 걸려 고정되는 지주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기둥부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오목한 형상을 하는 지주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기둥부의 상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에 삽입되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주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기둥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에 삽입되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주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제한부에 안착되고, 상기 지주제한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지주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주부에 삽입되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센터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사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지지하는 받침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진열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센터부와 결합되는 체결센터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사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사이드부와 결합되는 체결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금속재질의 지주부가 진열판부를 지지함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지주기둥부의 양단부가 용접 대신 걸림 고정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지주강성부가 형성되어 지주기둥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지주절곡부가 지주기둥부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지주기둥부에 삽입된 받침부와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지주제한부가 지주기둥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주기둥부에 삽입된 받침부와 체결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은 지주완충부가 지주제한부에 안착되어 받침부와 체결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지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진열판부(10)와, 지주부(20)와, 받침부(30)와, 체결부(40)를 포함한다.
진열판부(10)는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을 하고,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진열판부(10)에는 진열대상물이 진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진열판부(10)는 사각판재 형상을 할 수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는 진열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진열홀부(11)는 센터홀부(111)와, 사이드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주부(20)는 금속재질로 성형되고, 각각의 진열판부(10)를 지지하여 진열판부(10)가 다단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각각의 진열판부(10)는 4개의 지주부(20)에 의해 지지되고, 지주부(20)가 진열판부(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진열판부(10)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30)는 지주부(20)에 각각 장착되고, 진열판부(10)를 관통한다. 일 예로, 받침부(30)는 지주부(2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30)는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될 수 있고, 지주부(20)의 상단부에 압입되어 일부가 진열판부(10)에 형성되는 진열홀부(11)를 관통할 수 있다.
체결부(40)는 지주부(20)에 장착 가능하고, 진열판부(10)를 관통하는 받침부(30)와 결합된다. 일 예로, 체결부(40)가 지주부(20)의 하단부에 장착되면, 지주부(20)가 진열판부(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추가로 진열판부(10)의 적층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최상단의 진열판부(10)에는 체결부(40) 단독으로 받침부(30)와 결합되어 받침부(30)에 대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지주부(2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되고, 지주부(20)의 상하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받침부(30)와 체결부(40)는 플라스틱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될 수 있다. 즉, 받침부(30)와 체결부(40)는 서로간의 결합을 위해 정교한 형상을 하므로, 가볍고 자유로운 형상 제작이 가능한 플라스틱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30)와 체결부(40)가 지주부(20)의 상하단부에 삽입되면, 외부에서는 지주부(20)가 진열판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지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는 지주기둥부(21)와, 지주돌기부(22)와, 지주걸림부(23)를 포함한다.
지주기둥부(21)는 내부가 비워진 기둥 형상을 하고, 양측단부가 이격된다. 일 예로, 지주기둥부(21)는 사각 기둥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제1기둥부(211)와, 제1기둥부(211)의 양단부에서 각각 구부러져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2,제3기둥부(212,213)와, 제2,제3기둥부(212,213)의 단부에서 각각 구부러져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제5기둥부(214,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제5기둥부(214,215)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지주돌기부(22)는 지주기둥부(2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고, 지주걸림부(23)는 지주기둥부(21)의 타측단부에 형성된다. 지주걸림부(23)는 지주돌기부(22)에 걸려 고정된다.
일 예로, 지주돌기부(22)는 제4기둥부(214)의 단부에서 제2기둥부(212)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걸림부(23)는 제5기둥부(215)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갈고리 형상을 하여 지주돌기부(2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4기둥부(214)와 제5기둥부(215)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돌기부(22)와 지주걸림부(23)를 록킹시킬 수 있다. 한편, 지주돌기부(22)가 제4기둥부(214)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지주걸림부(23)가 지주돌기부(22)에 걸리도록 제5기둥부(215)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는 지주강성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강성부(24)는 지주기둥부(21)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지주기둥부(21)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오목한 형상을 한다. 일 예로, 제1기둥부(211) 내지 제5기둥부(215) 각각에 하나 이상의 지주강성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는 지주절곡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주절곡부(25)는 지주기둥부(21)의 상하단부에 형성되고, 지주기둥부에 삽입되는 받침부(30)와 체결부(40) 방향으로 구부러져 받침부(30)와 체결부(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예로, 지주기둥부(21)의 상하단부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절곡되어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되는 대상물에 대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는 지주제한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주제한부(26)는 지주기둥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되는 받침부(30)와 체결부(40)를 지지한다. 즉, 지주제한부(26)는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되는 받침부(30)와 체결부(4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주기둥부(2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지주제한부(26) 까지의 거리는 받침부(30)와 체결부(40)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0)는 지주완충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완충부(27)는 지주제한부(26)에 안착되고, 지주제한부(26)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한다. 일 예로, 지주완충부(27)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되어 지주제한부(26)에 도달할 수 있다. 지주완충부(27)는 플라스틱재질의 받침부(30)와 체결부(40)가 금속재질인 지주제한부(26)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받침몸체부(31)와, 받침센터부(32)와, 받침사이드부(33)를 포함한다.
받침몸체부(31)는 지주부(20)에 삽입된다. 일 예로, 받침몸체부(31)는 지주기둥부(31)와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하여 지주기둥부(31)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받침센터부(32)는 받침몸체부(31)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진열판부(10)를 관통한다. 일 예로, 받침센터부(32)는 받침몸체부(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진열판부(10)를 지지하는 받침센터돌기부(321)와, 받침센터돌기부(321)에서 연장되어 센터홀부(111)를 관통하는 받침센터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사이드부(33)는 받침몸체부(31)의 사이드에서 돌출되고 진열판부(10)를 지지한다. 일 예로, 받침사이드부(33)는 받침몸체부(31)의 양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진열판부(10)를 지지하는 받침사이드돌기부(331)와, 받침사이드돌기부(331)에서 연장되어 체결부(40)가 걸림 고정되는 받침사이드걸림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센터돌기부(321)와 한 쌍의 받침사이드돌기부(331)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한 쌍의 받침사이드돌기부(331) 사이에 받침센터돌기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받침사이드돌기부(331) 중 어느 하나는 진열판부(10)의 저면을 지지하여 받침사이드걸림부(332)가 사이드홀부(112)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받침사이드돌기부(331) 중 다른 하나는 진열판부(10)의 외측을 지지하여 진열판부(10)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에서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40)는 체결몸체부(41)와, 체결센터부(42)와, 체결사이드부(43)를 포함한다.
체결몸체부(41)는 진열판부(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일 예로, 체결몸체부(41)는 지주기둥부(21)와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하여 지주기둥부(21)의 내측에 압입될 수 있다.
체결센터부(42)는 체결몸체부(41)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받침센터부(32)와 결합된다. 일 예로, 체결센터부(42)는 체결몸체부(41)의 저면에 형성되고, 받침센터축부(322)가 삽입되도록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체결사이드부(43)는 체결몸체부(41)의 사이드에 형성되고, 받침사이드부(33)와 결합된다. 일 예로, 체결사이드부(43)는 체결몸체부(41)의 저면에 형성되고 받침사이드걸림부(332)를 안내하는 체결사이드안내부(431)와, 체결사이드안내부(431)에 형성되고 체결몸체부(41) 회전시 받침사이드걸림부(332)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체결사이드걸림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개의 지주기둥부(21) 상단부에 받침부(30)를 삽입한 다음 진열장부(10)를 지지하도록 하면, 받침센터돌기부(321)와 받침사이드돌기부(331) 중 어느 하나가 진열장부(10)의 저면을 지지하고, 받침사이드돌기부(331) 중 다른 하나가 진열장부(10)의 외측을 지지한다. 이때, 받침센터축부(322)와 받침사이드걸림부(332) 중 어느 하나가 진열장부(10)를 관통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추가로 진열장부(10)를 장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체결부(40)가 진열장부(10)를 관통하는 받침부(30)와 결합되어 마감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추가로 진열장부(1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4개의 지주기둥부(21) 하단부에 체결부(40)를 삽입한 다음 지주기둥부(21)를 회전시켜 받침부(30)와 체결부(4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받침부(30)와 체결부(40)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면, 지주기둥부(21)에 진열장부(10)를 장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의 진열장부(1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금속재질의 지주부(20)가 진열판부(10)를 지지함으로써,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지주기둥부(21)의 양단부가 용접 대신 걸림 고정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지주강성부(24)가 형성되어 지주기둥부(21)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지주절곡부(25)가 지주기둥부(21)의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된 받침부(30)와 체결부(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지주제한부(26)가 지주기둥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주기둥부(21)에 삽입된 받침부(30)와 체결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장(1)은 지주완충부(27)가 지주제한부(26)에 안착되어 받침부(30)와 체결부(40)의 충격을 완화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진열장부 20 : 지주부
21 : 지주기둥부 22 : 지주돌기부
23 : 지주걸림부 24 : 지주강성부
25 : 지주절곡부 26 : 지주제한부
27 : 지주완충부 30 : 받침부
31 : 받침몸체부 32 : 받침센터부
33 : 받침사이드부 40 : 체결부
41 : 체결몸체부 42 : 체결센터부
43 : 체결사이드부

Claims (8)

  1. 진열판부;
    상기 진열판부를 지지하고,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장착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부; 및
    상기 지주부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는
    내부가 비워진 기둥 형상을 하고, 양측단부가 이격된 지주기둥부;
    상기 지주기둥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지주돌기부;
    상기 지주기둥부의 타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돌기부에 걸려 고정되는 지주걸림부;
    상기 지주기둥부의 상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에 삽입되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주절곡부;
    상기 지주기둥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에 삽입되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주제한부; 및
    상기 지주제한부에 안착되고, 상기 지주제한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지주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기둥부는
    제1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구부러져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2,제3기둥부;
    상기 제2기둥부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제4기둥부; 및
    상기 제3기둥부의 단부에서 구부러져 상기 제4기둥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돌기부는 상기 제4기둥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기둥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돌출되며,
    상기 지주걸림부는 상기 제5기둥부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갈고리 형상을 하여 상기 지주돌기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기둥부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기둥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오목한 형상을 하는 지주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주부에 삽입되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관통하는 받침센터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사이드에서 돌출되고, 상기 진열판부를 지지하는 받침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진열판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센터부와 결합되는 체결센터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사이드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사이드부와 결합되는 체결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진열장.
KR1020170068106A 2017-05-31 2017-05-31 조립식 진열장 KR10200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06A KR102005619B1 (ko) 2017-05-31 2017-05-31 조립식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06A KR102005619B1 (ko) 2017-05-31 2017-05-31 조립식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90A KR20180131290A (ko) 2018-12-10
KR102005619B1 true KR102005619B1 (ko) 2019-07-30

Family

ID=6467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106A KR102005619B1 (ko) 2017-05-31 2017-05-31 조립식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6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101665254B1 (ko) * 2015-06-19 2016-10-11 재 욱 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3B1 (ko) * 2010-08-10 2012-06-08 주식회사 퍼스코 침대의 지지다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101665254B1 (ko) * 2015-06-19 2016-10-11 재 욱 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90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686B2 (en)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US8002124B2 (en) Tool rack set fastener
CA2958308A1 (en) Multiple shelving apparatus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KR102005619B1 (ko) 조립식 진열장
JP6806929B2 (ja) 取り付け板組立体と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484969Y1 (ko) 선반 조립체
JP5679223B2 (ja) ラック用の物品はみ出し防止機構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JP2006020742A (ja) 組立ラック
JP201206751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CN111348328B (zh) 衣物处理装置
JP7028846B2 (ja) 支持装置
KR20190052316A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구
JP2007161438A (ja) ラック
KR100458942B1 (ko) 책상 서랍프레임의 고정장치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3580157B2 (ja) 収納棚の防震装置
KR101591068B1 (ko) 조립식 책상
JP2005143686A (ja) 組立式ラックの棚板取付構造
JP4800005B2 (ja) 家具の脚体
JP6999921B2 (ja) 天井下地材補強構造
JP7220053B2 (ja) 什器
JP6939348B2 (ja) 支柱の配線構造
KR200290075Y1 (ko) 책상 서랍프레임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