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71B1 -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171B1
KR102071171B1 KR1020190037355A KR20190037355A KR102071171B1 KR 102071171 B1 KR102071171 B1 KR 102071171B1 KR 1020190037355 A KR1020190037355 A KR 1020190037355A KR 20190037355 A KR20190037355 A KR 20190037355A KR 102071171 B1 KR102071171 B1 KR 10207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enter
frame
shelf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욱 한
Original Assignee
재 욱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욱 한 filed Critical 재 욱 한
Priority to KR102019003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A47B2087/0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the shelves being held in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s between the tubular members
    • A47B2087/0238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the shelves being held in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s between the tubular member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elements supporting more than one shelf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물의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를 상호 회전 방식으로 결속 가능하게 하되 금속 소재의 프레임(40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를 상호 고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대폭 증가시켜서 무거운 중량의 물건까지 진열 가능하면서 포스트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Vertical connection block using synthetic resin and metal, and prefabricated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물의 수직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수직프레임과 호환되는 선반을 자유자재로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수직프레임의 내구성과 강도를 증가시켜서 진열대의 조립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진열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53462호(특허문헌 1)와 같이 각종 물품을 보관 및 진열하기 위해 설치되는 진열대의 선반을 다단 조립되는 다수의 몸체를 이용해 고정지지하기 위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에 있어서, 조립식 블록 형태로 다단조립되는 구조를 통해 상기 선반을 고정지지하며, 수직방향의 길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 조절되게 제작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양측 또는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일측 부분이 개구되는 삽입홈을 이용해 몸체결착돌기가 삽입고정되는 몸체결합부재와; 상기 몸체결합부재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몸체결착돌기와 몸체결합부재의 상호 결합위치를 유도하는 몸체결합홈과; 상기 몸체결합홈의 내측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다단조립되면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되어 다단으로 조립되는 각각의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몸체결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열대용 수직프레임을 제안한바 있으며, 이러한 수직프레임을 이용하여 그물망 형태의 선반을 연결함으로써 진열대를 조립식으로 설치한 것을 제시하였다.
그뿐 아니라,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254호(특허문헌 2)와 같은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를 비롯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0137호(특허문헌 3)와 같이 '조립식 선반을 이용한 수납형 복층 구조물'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열대의 수직프레임, 즉 포스트 구조는 조립식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진열대의 높이와 크기 등을 임의로 조립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진열대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포스트 요소들이 합성수지로 소재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다소 약하고, 또한 수직 높이를 크게 하는 경우 여러 개의 부품을 연속해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현장 상황이나 여건 등에 맞게 부품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462호 등록공보(2013.04.04.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5254호 등록공보(2016.10.11. 공고)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0137호 등록공보(2019.02.19.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열대의 포스트를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금속 소재의 프레임을 접목하여 조립 부분을 단순화하면서 내구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부품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추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연결 기둥블럭은,
제1몸체 하단에 제1프레임고정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의 테두리에 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선반체결홈 및 제1결속수단이 구비된 제1커넥터;
제2몸체 상단에 제2프레임고정부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의 테두리에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의 하부에 제2결속수단이 구비된 제2커넥터;
소정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각 프레임고정부가 내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을 포함함으로써 프레임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각 프레임고정부의 외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여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의 각 폭은 각각 상기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열대의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되 금속 소재의 프레임을 접목하여 조립 부분을 단순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을 크게 증가시켜서 무거운 중량의 물건도 진열 가능하면서 복층 구조의 진열대를 형성하여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소재의 프레임은 압출로 형성되어 필요 길이를 임의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둥블럭의 높이를 손쉽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진열대 조립시 현장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 부품의 종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하므로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의 요소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의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2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3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4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5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6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 구성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또는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의 요소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의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의 기둥블럭 구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프레임(400), 상기 프레임(4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100)의 상부가 제2커넥터(300)의 하부에 결속되는 형태로 하여 다단 조립되어 기둥블럭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텍터(100)는 대략 육면체 형태의 제1몸체(110) 하단에 제1프레임고정부(112)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112)의 테두리에 프레임(4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턱(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10)의 상부에는 선반체결홈(160) 및 제1결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300)는 대략 육면체 형태의 제2몸체(310) 상단에 제2프레임고정부(312)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312)의 테두리에 프레임(4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3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310)의 하부에 제2결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400)은 예컨대 압출로 성형되어 직사각 관 형태로 이루어져서 소정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의 각 프레임고정부(112)(312)가 내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400)의 일측(상측) 단부 및 타측(하측) 단부에 각각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가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의 각 프레임고정부(112((312)의 외면이 상기 프레임(400)의 내면과 접촉하여 억지 끼움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턱(111) 및 제2지지턱(311)의 각 폭을 각각 상기 프레임(400)의 두께와 동일하게 마련하면, 프레임(400)의 외면과 제1몸체(110)의 외면 및 제2몸체(310)의 외면이 상호 일치하게 되어 돌출 부분 없이 기둥블럭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블럭이 다단 조립될 때 제1커넥터(100)의 선반체결홈(160)에 선반(200)의 수평프레임(200')(도 3 참조)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100)의 센터고정부재(150)에 상부에 위치한 제2커넥터(300)의 센터부재삽입홀(370)을 끼움 결합하면 하부에 위치한 제1커넥터(100)의 센터고정부재(150)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홈(121)으로 상부의 제2커넥터(300)의 센터부재삽입홀(370)에 돌출된 센터결합돌기(371)가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100)의 상부에 제2커넥터(300)가 수직방향으로 상호 적층된다.
이때, 제2커넥터(300)의 센터부재삽입홀(370) 내에 상기 제1커넥터(100)의 센터고정부재(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터고정부재(150)를 중심으로 사용자가 직접 회동시킴에 따라 센터고정부재(150)에 형성된 센터결합홈(151)을 통해 제1커넥터(100)의 삽입홈(121)의 개구된 방향으로 제2커넥터(300)의 몸체결착돌기(340)가 끼움결합되며, 상기와 같이 몸체결합부재(120)와 몸체결착돌기(340)의 상호 결합작용을 통해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몸체결합부재(120)는 " C "자 형상으로 상기 제1몸체(110)의 상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결합부재(120)가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됨은 제조상의 편의 및 포스트의 결합력을 늘이거나 줄이는 등의 기능적인 효과를 갖는다.
상기 몸체결합부재(120)가 상기와 같이 " C "자 형상으로 몸체(110)의 상면에서 돌출됨에 따라 몸체결합부재(120)의 내측으로 일측 부분이 개구되는 삽입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21)은 제2커넥터(3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몸체결착돌기(34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결합홈(330)은 상기 몸체결착돌기(340)와 몸체결합부재(120)의 상호 결합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결합홈(330)은 몸체결합부재(120)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몸체(310)의 저면에서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제2몸체(310) 상에 요입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의 둘레면이 상기 몸체결합홈(230)의 내측면을 따라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결합홈(3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몸체결착돌기(340)가 몸체결합부재(120)의 삽입홈(121)에 끼움결합되도록 유도된다.
상기 몸체결착돌기(340)는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의 삽입홈(121)에 끼워지는 결합작용을 통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300)가 상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결착돌기(340)는 상기 몸체결합홈(330)의 내측에서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121)에 끼움결합되면 고정될 수 있도록 " 오 "자 형상으로 삽입홈(121)의 직경과 동일하게 돌출됨에 상호 조립된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의 상면 중앙에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의 조립을 회동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하기 위한 센터고정부재(150)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310)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센터고정부재(150)가 끼움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센터부재삽입홀(370)이 형성되되, 상기 센터고정부재(150)는 원통형태로 제1몸체(110) 중앙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센터부재삽입홀(370)은 상기 센터고정부재(150)의 직경에 대응되어 제2몸체(310)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센터고정부재(150)가 센터부재삽입홀(17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센터고정부재(150)를 중심으로 제1커넥터(100)가 회전되어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와 몸체결착돌기(340)가 회동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몸체결합부재(120)와 몸체결착돌기(340)가 형성된 위치를 일일이 맞추면서 결합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센터고정부재(1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의 삽입홈(121)이 개구된 반대 반향으로 라운드를 갖도록 요입되는 센터결합홈(151)이 형성되며, 상기 센터부재삽입홀(370)의 내측에는 상기 센터결합홈(151)에 대응되는 위치로 센터결합돌기(371)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제1, 2커넥터(100,3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터결합홈(151)과 센터결합돌기(371)의 상호 결합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의 삽입홈(121)이 개구된 방향으로 몸체결착돌기(340)가 회동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선반(200)의 수평프레임(200')을 선반체결홈(160)에 끼운 상태에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300)를 상호 조립하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300) 사이에 선반(200)이 고정되고, 또한 제1커넥터(100)의 하부와 제2커넥터(300)의 상부에 각각 프레임(400)을 연결하면, 다수의 포스트의 길이가 연장되며, 그로와 같은 다단 조립 방식을 통해 다층의 선반(200)을 갖춘 진열대를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400)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기둥블럭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의 상면 내측에는 선반(200)의 수평프레임(200')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선반체결홈(160)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체결홈(160)은 선반의 수평프레임(200') 형상에 대응되어 제1몸체(110)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됨에 따라 다단조립되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 사이로 선반(200)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선반체결홈(160)이 제1몸체(110)의 상면에 양측으로 형성되면 상기 선반체결홈(160)의 양측으로 선반을 각각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식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2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3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4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선반(200)은 일정 두께의 평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선반(200)은 4개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코너 홀(210)이 천공되며, 상기 코너 홀(210)은 상기 몸체결합부재(120) 또는 센터고정부재(150)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코너 홀(210)에서 상기 꼭지점을 이루는 2개의 변 중 제1변(201) 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1보조 홀(211)이 천공되는 동시에 제2변 방향으로도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2보조 홀(212)이 천공된다.
상기 코너 홀(210)과 제1보조 홀(211)의 이격 거리는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와 센터고정부재(15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코너 홀(210)과 제2보조 홀(212)의 이격 거리 역시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와 센터고정부재(15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1보조 홀(211)과 제2보조 홀(212)은 상기 코너 홀(210)에서 상기 몸체결합부재(120)와 센터고정부재(150)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천공됨으로써 코너 홀(210)에 센터고정부재(150)가 삽입되었을 때 각 보조 홀(211)(212)에는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 홀(211)과 제2보조 홀(212)은 상기 코너 홀(210)을 중심으로 90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변(201)과 제2변(202)에는 각각 상기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 가능하게 된 제1측변 홀(220)과 제2측변 홀(230)이 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변 홀(220)과 제2측변 홀(230)은 각각 상기 코너 홀(21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2개의 선반을 90도 각으로 배치시 각 측변 홀(220)(230)로 상기 제1몸체(110)의 각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평판형 선반(200)이 연결되는 지점은, 각 코너 홀(210)에 각각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되고, 각 선반(200)의 사이 공간으로 센터고정부재(150)가 돌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게 배치된 제1측변 홀(220)과 제2측변 홀(230)에 각각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측변 홀(220)과 제2측변 홀(230)은 각각 코너 홀(210)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2개의 선반(200)을 90도 방향으로 배치하더라도 제1측변 홀(220)과 제2측변 홀(230)이 나란히 이웃하게 배치됨으로써 몸체(110)의 각 몸체결합부재(120)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센터고정부재(150)의 외주면에 'L'자 형으로 요입되는 센터결합홈(151)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센터부재삽입홀(370)의 내측에는 상기 센터결합홈(151)에 대응되는 위치로 센터결합돌기(371)가 돌출 형성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30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센터부재삽입홀(370)에 센터고정부재(150)가 삽입 및 회전할 때 상기 센터결합홈(151)에 상기 센터결합돌기(371)가 내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터결합홈(151)은, 상기 센터고정부재(15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홈(151a)과, 상기 수직홈(151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홈(151b)을 포함함으로써 'L'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센터결합돌기(371)가 수직홈(151a)에 내입된 후 제1몸체(110) 회전시 상기 수평홈(151b)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홈(151a)과 수평홈(151b)이 만나는 직각 부분에 라운드부(151c)가 형성되면, 제1몸체(110)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부드럽고 용이하다.
또한 제1,2커넥터(100,300) 사이에 평판형 선반(200)이 끼워졌을 때 선반(200) 두께에 의해서 제1,2커넥터(100,300) 사이 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라운드(151c)에 의해 제1,2커넥터(100,300)의 체결이 가능하고, 선반(200)을 가압하면서 체결되기 때문에 선반(200)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판형 선반(200)의 가장자리 하단에는 상기 선반(200)을 사각 형태로 굽혀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시킨 선반지지프레임(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반지지프레임(240)이 상기 선반체결홈(160)에 내입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제1,2커넥터(100,300)와 평판형 선반(200)을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선반(200)의 코너 부분에 형성된 코너 홀(210)은 반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제1커넥터(100)를 조립할 때 그 방향성에 제한이 없으면서 제1커넥터(100)의 움직임(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5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크기가 큰 물품을 진열하기 위해서 상기 평판형 선반(200)은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 꼭지점 부분이 만나는 부분에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각 코너 홀(210)에 제1몸체(110)의 몸체결합부재(120)가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이 경우 2개의 선반(200)이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판형 선반(200)에 상기 제1커넥터(100)와 연계하여 코너 홀(210)과, 제1,2보조 홀(211)(212) 및 제1,2측변 홀(220)(230)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나 구도로 진열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연결 기둥블럭을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제6실시 형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 구성품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A'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조립식 구조물을 복층으로 조성할 수 있게 하여 계단(미도시)을 이용하여 복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선반(200), 제1,2커넥터(100,300) 및 프레임(400)의 각 연결 구조는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3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선반(200)의 가장자리, 즉 선반(200)의 수평프레임에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갈바 받침(40)을 지지한다.
상기 갈바 받침(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조일 수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지지부재 위에 놓임으로써 복층 구조의 진열대 중 복층 통로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의 결속력과 안정성을 위해 상기 지지부재(30)는 상하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 2개 층의 선반(20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0)는, 상측 선반(200)의 가장자리가 내입되는 공간(31)을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결속부(32)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결속부(32)의 하측 단부에서 수직 연장부(33)가 하향 연장되는 한편, 상기 수직 연장부(33)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연장부(34)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때 상기 갈바 받침(40)의 가장자리는 상기 수평 연장부(34) 상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갈바 받침(40)의 가장자리는 통로 양쪽 2개의 수평 연장부(34)에 놓인 상태로 지지되고, 동시에 통로 양쪽 2개의 지지부재(30) 간격은 갈바 받침(40)에 의해 그 체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구조로 체결된다. 따라서 임의로, 즉 갈바 받침(40)을 분리시키지 않는 한 각 구성요소의 체결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연장부(34)의 하단면이 하측에 위치한 선반(200)의 상단면과 접촉되게 하면, 지지부재(30)의 상부는 상측 선반(20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지지부재(30)의 하부는 하측 선반(200)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조립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 소재일 수 있으나 이 경우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금속 소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장에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길이만큼 임의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30 : 지지부재 31 : 공간
32 : 결속부 33 : 수직 연장부
34 : 수평 연장부 40 : 갈바 받침
100: 제1커넥터 110: 제1몸체
111: 제1지지턱 112: 제1프레임고정부
120: 몸체결합부재 150: 센터고정부재
151: 센터결합홈 160: 선반체결홈
200: 선반 210: 코너 홀
220: 제1측변 홀 230: 제2측변 홀
240: 선반지지돌기 300: 제2커넥터
310: 제2몸체 311: 제2지지턱
312: 제2프레임고정부 330: 몸체결합홈
340: 몸체결착돌기 370: 센터부재삽입홀
400: 프레임

Claims (9)

  1. 제1몸체 하단에 제1프레임고정부가 하향 돌출되고, 상기 제1프레임고정부의 테두리에 프레임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선반체결홈 및 제1결속수단이 구비된 제1커넥터;
    제2몸체 상단에 제2프레임고정부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제2프레임고정부의 테두리에 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의 하부에 제2결속수단이 구비된 제2커넥터;
    소정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각 프레임고정부가 내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을 포함함으로써 프레임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이며,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의 각 프레임고정부의 외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여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의 각 폭은 각각 상기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마련된 것이고,
    제1커넥터의 제1결속수단은, 제1몸체의 상면 중앙에서 상향 돌출되고 제2커넥터를 회동방식으로 결속하기 위한 센터고정부재와, 상기 센터고정부재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고 일측 부분이 개구된 삽입홈을 형성한 한 쌍의 몸체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제2커텍터의 제2결속수단은, 제2몸체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센터고정부재가 끼움결합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센터부재삽입홀과, 상기 몸체결합부재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2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몸체결착돌기와 상기 몸체결합부재의 상호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몸체결합홈과, 상기 몸체결합홈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제1커넥터가 결속되면 상기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결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센터고정부재의 외주면에 'L'자 형으로 요입되는 센터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부재삽입홀의 내측에는 상기 센터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센터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상호 연결 조립시 상기 센터결합홈과 센터결합돌기가 상호 결속 가능하게 된 것이며,
    상기 센터결합홈은, 상기 센터고정부재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홈과 수평홈이 만나는 직각 부분에 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사이에 평판형 선반이 고정되되,
    상기 평판형 선반은, 꼭지점 부분에 천공되어 상기 몸체결합부재 또는 센터고정부재가 삽입 가능하게 된 코너 홀과, 상기 각 코너 홀에서 상기 꼭지점을 이루는 제1변 방향으로 상기 몸체결합부재와 센터고정부재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천공되어 상기 몸체결합부재가 삽입 가능하게 된 제1보조 홀과, 상기 코너 홀에서 상기 꼭지점을 이루는 제2변 방향으로 상기 몸체결합부재와 센터고정부재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천공되어 상기 몸체결합부재가 삽입 가능하게 된 제2보조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홀은 반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판형 선반의 가장자리 하단에는 상기 선반을 사각 형태로 굽혀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시킨 선반지지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선반지지프레임은 상기 선반체결홈에 내입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37355A 2019-03-29 2019-03-29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207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355A KR102071171B1 (ko) 2019-03-29 2019-03-29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355A KR102071171B1 (ko) 2019-03-29 2019-03-29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171B1 true KR102071171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355A KR102071171B1 (ko) 2019-03-29 2019-03-29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74B1 (ko) * 2020-04-16 2020-11-09 김현성 칸막이 설치가 가능한 선반용 연결브라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670A (ja) * 2008-11-18 2010-06-03 Cleanup Corp 係合構造、着脱部材、および浴室
KR101253462B1 (ko)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101665254B1 (ko) 2015-06-19 2016-10-11 재 욱 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20170118528A (ko) * 2016-04-15 2017-10-25 이순호 물품 적재용 받침패널
KR101950137B1 (ko) 2018-06-14 2019-02-19 재 욱 한 조립식 선반을 이용한 수납형 복층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1670A (ja) * 2008-11-18 2010-06-03 Cleanup Corp 係合構造、着脱部材、および浴室
KR101253462B1 (ko) 2012-10-22 2013-04-10 재 욱 한 진열대용 수직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101609983B1 (ko) * 2015-06-12 2016-04-06 김철현 진열보관대
KR101665254B1 (ko) 2015-06-19 2016-10-11 재 욱 한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20170118528A (ko) * 2016-04-15 2017-10-25 이순호 물품 적재용 받침패널
KR101950137B1 (ko) 2018-06-14 2019-02-19 재 욱 한 조립식 선반을 이용한 수납형 복층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74B1 (ko) * 2020-04-16 2020-11-09 김현성 칸막이 설치가 가능한 선반용 연결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34B2 (en) Vertical frame for display stand and multipurpose prefabricated display stand using same
US7765942B2 (en) Interlocking component assembly for an expandable rack assembly
KR102071171B1 (ko)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이용한 수직연결 기둥블럭 및 이를 응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CA2838286C (en) Modular furniture system and modular furniture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KR101868818B1 (ko)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KR200473792Y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
WO2015099007A1 (ja) 組立式ブロック構造およびロック解除具
KR101950137B1 (ko) 조립식 선반을 이용한 수납형 복층 구조물
KR101306720B1 (ko) 조립식 캐비넷
KR20080073184A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N110537030A (zh) 用于组合产品的镶板
JP6796522B2 (ja) 組立家具
KR20190130256A (ko) 조립식 가구
KR20160088742A (ko) 조립식 가구 세트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6966736B2 (ja) 折り畳み陳列台
JP5379968B2 (ja)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KR102260427B1 (ko) 다용도 선반
KR20040038942A (ko) 레일 및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책선반(서가)
KR200482790Y1 (ko) 적층 조립식 서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