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27B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027B1
KR102022027B1 KR1020180039562A KR20180039562A KR102022027B1 KR 102022027 B1 KR102022027 B1 KR 102022027B1 KR 1020180039562 A KR1020180039562 A KR 1020180039562A KR 20180039562 A KR20180039562 A KR 20180039562A KR 102022027 B1 KR102022027 B1 KR 10202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elf member
prefabricated
coupled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규
Original Assignee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규 filed Critical 최문규
Priority to KR102018003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Abstract

조립식 선반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은, 조립식 선반으로서, 복수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각 종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개의 수직바 또는 상기 종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바들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프레임; 및 한 쌍의 안착 브래킷에 의해 양단부가 양쪽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선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브래킷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선반부재의 각 코너영역을 포함한 단부영역의 전체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결합부와, 상기 수평바 양쪽 종단부에 접한 상기 수직바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안착결합부의 양쪽 코너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공간의 확장 및 축소기능을 갖으며, 이중 프레임에 의해 선반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이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연결부재에 의해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로파일에 의해 선반부재의 비틀림 및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재는 습기에 강하고 가벼운 재질로 성형되고, 많은 조립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선반을 안정적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LF-ASSEMBLY SHELVES}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해 지지되되 수용공간의 확장 및 축소기능을 갖음은 물론 물이나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일정한 모듈을 적용받으며 크기의 증감을 자유로이 할 수 있고 부품 교환이 용이한 것으로, 최근 이케아(IKEA)와 같은 외국계 대형 가구업체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여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하는 조립식 가구와 관련한 다양한 제품군(선반, 책상, 의자, 탁자 등)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가구는 전동 드라이버 등의 조립도구를 사용해야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조립부품이 너무 많아 조립에 오랜 시간이 걸리며 혼자 조립 시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조립식이라 제조나 배송이 용이하지만 이미 그 구조가 규격화되어 있어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에는 조립식 선반 선반부재가 개시되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는 테이블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이격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평바, 수평바의 각 종단부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수직바로 구성된 프레임 사이로 끼움 결합되는 선반부재에 있어서, 프레임의 수직바 사이로 결합되는 패널; 및 패널의 각 모서리에 장착되고, 수직바의 외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고 소정 길이 연장되며, 반원을 이루는 호의 각도(θ)가 180˚보다 크고 190˚보다 작도록 성형된 수직바 체결부와, 수직바 체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패널의 모서리 측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함체 구조의 패널 수용부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재질의 체결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는 수직바를 둘 이상의 다중으로 결합한 프레임을 적어도 둘 이상 구비하고, 각 프레임 사이로 각 수직바와 끼움 결합하는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고, 제조 및 배송이 용이하고, 프레임을 수평으로 확장 배치하고 프레임 사이로 또 다른 패널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선반의 적재 용량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는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은 가능하나 (이격 공간의 크기를 유지한 채)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확장할 수 없으며, 또한 패널의 폭까지 확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는 패널 각 모서리에 4개의 체결클립을 결합하여야 선반으로서의 기능하기 때문에 조립부품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는 패널이 목재(MDF 등)로 이루어짐으로써 물기나 습기에 의한 부식 및 변형이 방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패널에 화분을 얹는 경우 또는 조립식 선반을 실외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화분에서 발생하는 물이나 빗물, 습기 등에 의해 목재로 이루어진 패널이 부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700호 (등록일: 2013.01.08)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해 지지되되 수용공간의 확장 및 축소기능을 갖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기나 습기에 강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많은 조립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은 쉬우면서 그 구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식 선반으로서, 복수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각 종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개의 수직바 또는 상기 종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바들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프레임; 및 한 쌍의 안착 브래킷에 의해 양단부가 양쪽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선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브래킷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선반부재의 각 코너영역을 포함한 단부영역의 전체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결합부와, 상기 수평바 양쪽 종단부에 접한 상기 수직바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안착결합부의 양쪽 코너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결합부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평바에 접한 상기 수직바가 두 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안착 브래킷은, 상기 끼움결합부와 단부면과의 두께가 상기 수평바의 절반 두께보다 작거나 같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바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바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상하부로 개구되어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부재는, 피엠아이(PMI, PolyMethacrylImide), 피브이씨(PVC, PolyVinlyChloride), 페트(PET, PolyEthyleneTerephthalete), 피에스(PS, PolyStyren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부재의 양쪽 길이방향 단부영역에는 상기 선반부재의 뒤틀림 및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제1 프로파일이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부재는, 상면의 수납면적을 폭반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선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확장선반부재는,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확장선반부재의 뒤틀림 및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제2 프로파일의 양쪽 끼움홈에 끼워져 연결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부재 및 확장선반부재의 양쪽 길이방향 상면 가장자리에는, 제1 프로파일 및 제2 프로파일의 상단 일부가 표면으로 단차지지 않도록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바닥면(2)에 접촉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직립하여 구비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조절부 및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형상의 나사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바의 끝단이 인입결합되는 인입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 브래킷에는, 상기 안착결합부를 보강하고 상기 선반부재와의 결합을 보강하도록 상기 선반부재의 절개홈에 끼워지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수직바의 자유단을 서로 연결하되, 하부는 자유단이고 상부는 연결된 형상의 마감프레임으로 연결 마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착 브래킷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프로파일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재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리브 부분확대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다양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안착 브래킷(300)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500)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프로파일(400, 410) 부분확대도이며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재(600)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리브(311)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의 다양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1에 표시된 방향(상,하,좌,우,전,후)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은, 프레임(100), 선반부재(200) 및 안착 브래킷(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0)은 선반을 바닥면(2)으로부터 지지해주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수직바(110)와 수평바(120)를 포함하여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본적으로 한 쌍이 선반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다. 즉, 복수개의 수평바(120)와 수평바(120)의 각 종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개의 수직바(110)로 이루어진 프레임(100)이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바(110)는 막대형상으로 바닥면(2)과 수직을 이루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열된다. 수직바(110)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의 한정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평바(120)는 막대형상으로 바닥면(2)과 수평을 이루도록 양단이 수직바(110)에 결합된다. 수평바(120)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의 한정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평바(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한 쪽(바깥쪽 또는 안쪽)으로만 수직바(110)에 용접결합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단이 번갈아가며 선반의 바깥쪽/안쪽으로 수직바(110)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물론 마주보는 수직바(110)와 동일면 상에도 용접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바(120)는 후술할 선반부재(200)에 장착되는 안착 브래킷(300)의 지지를 위함이므로 용접결합 외 수직바(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나사에 의한 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체결방식에 한정은 없다.
또한 충분한 하중에도 복수개의 수직바(110)와 수평바(1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면 재질(금속이나 플라스틱 따위)이나 두께의 한정도 없다.
또한 프레임(100)은 연결부재(500), 높이조절부재(600) 및 마감프레임(7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들을 높이 방향(상하방향)으로 연결해주는 것으로 수직바(110)를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결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수직바(110) 끝단이 일정 길이 인입되도록 수직바(110)에 대응되는 결합홈(501)이 상하부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합홈(501)의 깊이는 수직바(110)의 끝단이 각각 인입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면 된다.
연결부재(5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1개의 수직바(110)를 인입할 수 있는 연결부재(500)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2개의 수직바(110)를 인입할 수 있게 2개의 홈으로 마련(위 아래 총 4개의 결합홈(501))되는 연결부재(500)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방향으로 1개부터 4개까지 수직바(110)를 인입할 수 있는 결합홈(501)을 마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3개(위 아래 총 6개의 결합홈(501))의 홈은 기역(ㄱ)자의 형태로 배열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반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바닥면(2)과 접하는 수직바(110)의 끝단에 인입하여 받침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600)는 도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에 안착되는 받침부(610), 받침부(6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조절부(620) 및 조절부(62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결합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610)는 바닥면(2)에 접촉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단면은 원형이든 다각형이든 한정은 없지만 선반지지를 위한 최소한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받침부(610) 대신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절부(620)는 바닥면(2)에 대하여 선반부재(200)가 평행하도록 높이를 각각 조절해주는 것으로, 받침부(610) 중앙에서 위로 연장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부(620)의 나사산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630)는 조절부(620)와 수직바(110)를 결합해주는 것으로, 아래쪽으로는 조절부(62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소정길이 만큼의 나사홈과 위쪽으로는 하나의 수직바(110)의 끝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 개의 인입결합홈(6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이중으로 된 수직바(110)의 끝단이 인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인입결합홈(631)이 마련될 수 있다.
아래쪽의 나사홈과 위쪽의 인입결합홈(631)은 한 라인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라인에 구비되어야 수직바(110)의 하단부와 간섭없이 결합될 수 있어서 바닥면(2)에서 수직바(110)까지 이루는 거리가 짧아져 더 안정적으로 선반을 지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600)는 나사산과 나사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조절부재(600)의 인입결합홈(631)도 연결부재(500)의 결합홈(501)과 마찬가지로 1개에서 3개까지 구비될 수 있다.
마감프레임(700)은 한 쌍의 수직바(110)를 결속되게 하는 것으로, 연결부재(500)에 의해 두 개의 수직바(110) 자유단을 서로 연결하되 하부는 자유단이고 상부는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부재(20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반부재(200)의 재질은 가볍지만 강하고 습기에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부재(200)는 피엠아이(PMI, PolyMethacrylImide), 피브이씨(PVC, PolyVinlyChloride), 페트(PET, PolyEthyleneTerephthalete), 피에스(PS, PolyStyren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반부재(200)를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하는 것은, 선반부재(200)에 화분을 올려놓거나 조립식 선반(1)을 실외에 설치할 경우에 물기나 습기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선반부재의 양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A)이 형성된다. 이 수용홈(A)에는 후술할 제1 프로파일(400)의 끼움지지단(401)이 안착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지지단(401)이 선반부재(2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제1 프로파일(400)은 선반부재(200)의 양쪽 길이방향 단부영역에 선반부재(200)의 뒤틀림 휨변형 및 하중을 보강하기 위해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끼움지지단(40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프로파일(400)은 선반부재(200)의 길이 방향 단부 영역이 끼워지도록 끼움홈(411)과 끼움홈(4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지지부(402)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프로파일(400)의 단면은 디귿(ㄷ)자 형상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프로파일(400)은, 끼움지지단(401)이 선반부재(200)의 수용홈(A)에 삽입되므로 끼움지지단(401)이 선반부재(2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끼움지지단(401)의 (선반부재(200) 폭 방향으로의) 길이는 끼움지지부(402)의 (선반부재(200)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끼움의 용이함과 끼움홈(4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지지부(402)의 보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끼움지지부(402)의 단면은 관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제1 프로파일(400)의 무게는 가벼이 하면서 더 튼튼하게 선반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위함이다.
한편 선반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선반부재(210)에 의해 선반부재(200)와 같은 재질로 선반부재(200)의 상면의 수납면적을 폭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확장선반부재(210)는 한 개의 수직바(110) 구조 및 두 개의 수직바(110)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200)와 확장선반부재(210) 외에 추가적인 확장선반부재(210')로 선반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확장선반부재(210)에는 제2 프로파일(410)에 의해 선반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연결된다.
제2 프로파일(41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200)와 확장선반부재(210)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제1 프로파일(400)과 기능과 재질이 같지만 '工'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선반부재(200)와 확장선반부재(210)는 뒤틀림 및 하중을 보강하기 위해 제2 프로파일(410)의 양쪽 끼움홈(411)에 끼워져 연결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400) 및 제2 프로파일(410)의 상단 일부가 선반부재(200)의 표면으로 단차지지 않도록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b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로파일(410) 하부의 단면은 관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2 프로파일(410)의 무게는 가벼이 하면서 더 튼튼하게 선반부재(200) 및 확장선반부재(2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기 위함이다.
안착 브래킷(3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200)를 프레임(100)에 끼움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부재(200)의 양단에 결합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안착결합부(310) 및 끼움결합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결합부(310)는 선반부재(200)의 각 코너영역을 포함한 단부영역의 전체가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선반부재(200)의 단부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반부재(200)의 단부와 저면 일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끼움결합부(320)는 양쪽 종단부에 접한 수직바(110)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안착결합부(310)의 양쪽 코너영역에 서로 반대 반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수직바(110)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태의 끼움결합홈(3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110)의 단면은 직경이 c인 원이고, 끼움결합홈(321)의 수직바(110)가 끼움결합되는 방향으로의 너비가 c'라면, c'는 c보다 크거나 같은게 바람직하다(c ≤ c'). 이는 수직바(110)가 끼움결합부(320)에 체결이 가능하되 유격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안착 브래킷(300)과 선반부재(200)의 더 큰 고정력을 갖기 위해 안착 브래킷(300)의 하부에 나사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관통홀(H)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관통홀(H)을 통하여 나사가 선반부재(20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안착 브래킷(300)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어 프레임(100)과 억지끼움 결합시 약간의 탄성에 의해 안착 브래킷(300)의 마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브래킷(300)은 이탈방지단(F) 및 리브(311)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탈방지단(F)은 안착 브래킷(300)의 안착결합부(310)에 선반부재(200)가 안착하였을 때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결합부(310)의 상부에서 선반부재(200)를 감싸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리브(311)들은 안착 브래킷(300)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리브(311)들은 안착결합부(310)를 보강하고 선반부재(200)와의 결합을 보강하도록 선반부재(200)에 형성되는 절개홈(B)에 끼워질 수 있다. 절개홈(B)은 리브(311)와 대응되는 형태로 선반부재(200)의 단부영역에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은,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해 지지되되 수용공간의 확장 및 축소기능을 갖는 것으로, 많은 조립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은 쉬우면서 그 구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한 조립식 선반(1)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이 수평바(120)의 종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바(110)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의 프레임(100)은, 프레임(100)을 구성하고 있는 수직바(110)가 수평바(120)를 중심으로 이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수평바(120)와 수평바(120)의 각 종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바(11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선반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조립식 선반(1)의 안정적인 확장을 위함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20)의 절반 두께를 t1이라고 하고 안착 브래킷(300)의 끼움결합부(320)와 단부면(E) 사이의 두께를 t2라고 하면, t2는 t1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2 ≤ t1). 즉, 안착 브래킷(300)은 끼움결합부(320)와 단부면(E)과의 두께가 수평바(120)의 절반 두께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립식 선반(1)이 선반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때, 하나의 수평바(120)에 두 개의 안착 브래킷(300)을 지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공간의 낭비됨을 막기 위함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프레임(100)으로 상하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선반부재(200)들을 2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조립식 선반(1)은, 이중 프레임(100)에 의해 선반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이 안정적으로 가능하고, 연결부재(500)에 의해 프레임(100)의 높이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로파일(410)에 의해 선반부재(200)의 비틀림 및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다르게 (안착 브래킷(300)을 일체화하면서) 많은 조립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은 쉬우면서 그 구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한 조립식 선반(1)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1)은 물건을 얹어 두기 위해 지지되되 수용공간의 확장 및 축소기능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1)의 다양한 사용예를 볼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선반부재(200)에 안착 브래킷(300)을 장착하고 끼움결합부(320)을 프레임(100)의 수직바(110)에 끼워 수평바(120)에 안착 시키고, 연결부재(500)를 사용하여 마감프레임(700)을 연결할 수 있다. 바닥면(2)이 고르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높이조절부재(600)를 조절하여 바닥면(2)과 조립식 선반(1)이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200)에 확장선반부재(210)를 결합하여 선반부재(200)의 폭 방향으로 확장(조립식 선반(1 및 1'')) 및 축소(조립식 선반(1')) 시킬 수 있어, 선반부재(200)에 올려놓는 물건의 크기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연결부재(500)를 사용하여 하부쪽의 수직바(110) 상단에 상부쪽 수직바(110)를 연결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립식 선반(1)과 다른 조립식 선반(1')을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안정적이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조립식 선반 2: 바닥면
100: 프레임 110: 수직바
120: 수평바 200: 선반부재
201: 마감재 210: 확장선반부재
300: 브래킷 310: 안착결합부
311: 리브 320: 끼움결합부
321: 끼움결합홈 400: 제1 프로파일
401: 끼움지지단 402: 끼움지지부
410: 제2 프로파일 411: 끼움홈
500: 연결부재 501: 결합홈
600: 높이조절부재 610: 받침부
620: 조절부 630: 결합부
631: 인입결합홈 700: 마감프레임
A: 수용홈 B: 절개홈
H: 관통홀 E: 단부면
F: 이탈방지단

Claims (10)

  1. 조립식 선반으로서,
    복수개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각 종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한 개의 수직바 또는 상기 종단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바들로 이루어진 한 쌍의 프레임;
    양단부의 저면에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의 각 코너영역을 포함한 단부영역의 전체가 안착되고, 상기 선반부재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절개홈에 대응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안착결합부와, 상기 수평바 양쪽 종단부에 접한 상기 수직바에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안착결합부의 양쪽 코너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결합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안착 브래킷;
    단면이 관형태로 이루어진 끼움지지부가 상기 선반부재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선반부재의 양쪽 길이방향 단부영역에 각각 끼움결합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뒤틀림 및 하중을 보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프로파일; 및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직립하여 구비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조절부, 및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형상의 나사홈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홈의 형성 라인과 다른 라인에 상기 수직바의 끝단이 인입결합되는 인입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재는, 상면의 수납면적을 폭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선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확장선반부재는, 상기 선반부재와 상기 확장선반부재의 뒤틀림 및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제2 프로파일의 양쪽 끼움홈에 끼워져 연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 접한 상기 수직바가 두 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안착 브래킷은, 상기 끼움결합부와 단부면과의 두께가 상기 수평바의 절반 두께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바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직바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홈이 상하부로 개구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는, 피엠아이(PMI, PolyMethacrylImide), 피브이씨(PVC, PolyVinlyChloride), 페트(PET, PolyEthyleneTerephthalete), 피에스(PS, PolyStyren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 및 확장선반부재의 양쪽 길이방향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프로파일 및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상단 일부가 표면으로 단차지지 않도록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8. 삭제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개의 수직바의 자유단을 서로 연결하되, 하부는 자유단이고 상부는 연결된 형상의 마감프레임으로 연결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1020180039562A 2018-04-05 2018-04-05 조립식 선반 KR10202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62A KR102022027B1 (ko) 2018-04-05 2018-04-05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62A KR102022027B1 (ko) 2018-04-05 2018-04-05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027B1 true KR102022027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62A KR102022027B1 (ko) 2018-04-05 2018-04-05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17U (ko) * 2020-07-03 2022-01-11 김재민 선반 받침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29A (ja) * 1991-03-13 1993-08-03 Intermetro Ind Corp 棚装置並びにこれに組み込む棚及び垂直支持体の製造方法
KR970026754U (ko) * 1997-04-22 1997-07-24 다용도 조립식 선반
KR20034901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리노 드레스실용 선반
KR100464700B1 (ko) 2002-09-27 2005-01-05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377296Y1 (ko) * 2004-12-06 2005-03-11 이종화 조립식 다용도 선반
JP2014064658A (ja) * 2012-09-25 2014-04-17 Gifu Plast Ind Co Ltd 組立棚
KR101470875B1 (ko) * 2013-11-29 2014-12-09 정영길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29A (ja) * 1991-03-13 1993-08-03 Intermetro Ind Corp 棚装置並びにこれに組み込む棚及び垂直支持体の製造方法
KR970026754U (ko) * 1997-04-22 1997-07-24 다용도 조립식 선반
KR100464700B1 (ko) 2002-09-27 2005-01-05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34901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리노 드레스실용 선반
KR200377296Y1 (ko) * 2004-12-06 2005-03-11 이종화 조립식 다용도 선반
JP2014064658A (ja) * 2012-09-25 2014-04-17 Gifu Plast Ind Co Ltd 組立棚
KR101470875B1 (ko) * 2013-11-29 2014-12-09 정영길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17U (ko) * 2020-07-03 2022-01-11 김재민 선반 받침대
KR200495198Y1 (ko) 2020-07-03 2022-03-28 김재민 선반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6781A1 (en) Bottle rack and kit for bottle-supporting assembly
US5405192A (en) Modular booth display assembly
US7744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furniture assembly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US20070132345A1 (en) Furnitu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JP3227232U (ja) 組み立て式金属製棚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US10595632B2 (en) Furniture frame structural system with interlocking members
CA2529638C (en) Cantilever shelving for utility shed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US20160273568A1 (en) Diy leg frame and diy furniture using same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KR200381800Y1 (ko) 상품진열대
KR101731268B1 (ko) 자체 조립식 가구 및 그 조립방법
KR101772980B1 (ko)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CN218279115U (zh) 一种组装便捷的餐凳
KR102589252B1 (ko) 모듈형 조립식 가구
KR102528380B1 (ko) 간편 조립구조의 선반가구
KR102532858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