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83Y1 - 가구 프레임 결속구 - Google Patents

가구 프레임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83Y1
KR200475883Y1 KR2020140004441U KR20140004441U KR200475883Y1 KR 200475883 Y1 KR200475883 Y1 KR 200475883Y1 KR 2020140004441 U KR2020140004441 U KR 2020140004441U KR 20140004441 U KR20140004441 U KR 20140004441U KR 200475883 Y1 KR200475883 Y1 KR 200475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ieces
vertical
sid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니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니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니올
Priority to KR2020140004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프레임을 상호 수직되게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결속구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이웃하는 두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을 연결하는 수평편을 구비하며, 단부가 어느 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편에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편과, 상기 측벽편을 연결하는 바닥편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편들과 바닥편의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수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결속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가구 프레임 결속구{Connector for frame}
본 고안은 가구 프레임을 상호 수직되게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결속구에 관련된다.
테이블과 같은 일부의 가구는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는 테이블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리를 구비한다. 통상 다리는 지면에 세워지는 네 개의 수직 기둥으로 제작된다. 평탄한 판재인 테이블판에 의해서만 수직 기둥이 고정되는 경우, 구조적 안정성이 낮아지므로 수직한 기둥들을 수평되게 연결하는 보강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수직으로 놓이는 두 기둥 사이에 수평한 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5994호에는 수직한 프레임과 수평한 프레임에 각기 나사결합되는 격자진 브래킷을 개시하고 있다. 각 프레임과 접하는 브래킷의 일면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어, 나사에 의해 프레임들과 브래킷이 하나로 결속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 기간이 늘어나면서 마모에 의한 유격이 발생되기 쉽고, 그로 인해 가구가 흔들리면서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견고한 프레임의 연결방식 중 하나는 프레임이 금속인 경우, 이어지는 부분을 용접하는 것이다. 용접 방식은 수직되게 연결되는 프레임들을 매우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나, 목재나 합성수지와 같이 용접이 불가능한 소재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4669호 (2013.04.0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5994호 (2012.08.02)
본 고안은 서로 수직하게 만나는 프레임들을 온전히 연결할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이웃하는 두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을 연결하는 수평편을 구비하며, 단부가 어느 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편에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편과, 상기 측벽편을 연결하는 바닥편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편들과 바닥편의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수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편에는 복수의 돌출편이 나란히 돌출되어 있고, 상기 측벽편에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착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직편과 상기 측벽편은 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편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편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하는 끼움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를 제시한다.
여기서 서로 결합된 상기 수직편과 상기 측벽편에는, 상기 돌출편 또는 상기 장착편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틈이 상기 돌출편의 단부 또는 상기 장착편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편과 상기 장착편이 길게 접촉하는 수직 접촉면에는 벗겨진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의 폭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편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하게 만나는 두 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와 체결부재의 결속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 결속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 프레임 결속구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프레임 결속구(100)는 이웃하는 두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수직한 프레임(이하, '기둥(F1)'이라 함)과, 기둥의 측면에 연결되는 수평한 프레임(이하, '보강프레임(F2)'이라 함)을 연결 대상으로 한다.
결속구(100)는 서로 물림 결합하는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두 파트로 나뉘어진다. 결합부재(10)는 기둥(F1)에 단부가 연결되는 부재이고, 체결부재(20)는 보강프레임(F2)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결합부재(10)는 기둥(F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결합부재에 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관통공을 통해 기둥에 나사체결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와 보강프레임 또한 용접, 나사체결 등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0)는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수직편(11)과, 수직편들(11)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편(12)을 포함하여, 상부로 개방된 'ㄷ' 자 형상이다. 결합부재(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조하거나, 주물로 제작할 수 있다.
수직편(11)에는 상부를 향하여 길게 나란히 돌출된 돌출편(111)이 구비된다. 도면에서 하나의 수직편(11)에 2개의 돌출편(111)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편(111)은 3 이상이 될 수 있다.
돌출편들(111)은 이격되어 있어, 함몰된 골(112)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편들(111) 사이에는 후술하는 장착편(211)이 진입하게 된다.
한편 체결부재(2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편(21)과, 측벽편들(21)의 하단을 잇는 바닥편(22)을 포함한다. 체결부재(20)는, 전술한 결합부재(10)와 마찬가지로, 상부로 개방된 'ㄷ'자 형태의 브래킷이며, 금속판을 절곡하거나 주조하여 제작할 수 있다.
측벽편(21)의 이격 간격은, 결합부재(10)의 양 수직편(11)의 이격간격에 대응한다. 즉 측벽편들(21)의 이격 간격은 수직편들(11)의 이격간격과 동일하다.
두 측벽편들(21)과 바닥편(22)이 형성하는 내측에는 보강프레임(F2)이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프레임(F2)의 폭 사이즈에 맞추어, 체결부재(20)의 내면들이 보강프레임(F2)의 바닥과 양 측면에 접촉되게 한다.
측벽편(21)에는, 결합부재(10)의 수직편(11)에 형성된 돌출편(1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착편(211)이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서 한 쌍의 장착편(211)이 하부로 나란히 돌출되어 있으며, 장착편들(211) 사이에는 상부로 함몰된 골(21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10)의 돌출편(111)과 체결부재(20)의 장착편(211)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체결부재(20)를 결합부재(10)의 상부에서 수직되게 하강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은 서로 맞물림된다. 즉 돌출편(111)은 장착편들(211) 사이에 형성된 골(212)에 수용되고, 장착편들(211)은 돌출편들(111) 사이에 형성된 골(112)에 수용되는 것이다. 이로써 보강프레임(F2)의 길이 방향(도면의 수평 방향)으로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가 결합되면, 수평편(12)과 바닥편(22)은 하나의 평면을 형성한다.
나아가 수평편(12)에는 끼움홈(121)이 형성되고, 바닥편(22)에는 끼움홈(1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끼움홈(121)에 결합되는 끼움편(221)이 돌출되어 있다.
끼움홈(121)과 끼움편(22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T'자 형상이다. 체결부재(20)가 하강하여 결합부재(10)와 결합될 때에, 'T'자형 끼움편(221)은 끼움홈(121)에 맞춰 간섭 없이 하강하여, 하나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후 보강프레임(F2)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부재(20)가 당겨지더라도, 끼움편(221)이 끼움홈(121)에 간섭되어, 보강프레임(F2)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부재(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끼움편(221)과 끼움홈(121)은, 두께를 형성하는 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수직편에 수직한 방향(도 3의 X 방향)으로 체결부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끼움편(221)과 끼움홈(121)은,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의 결합과 함께,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가능케 한다.
다시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서로 결합된 수직편(11)과 측벽편(21)에는, 돌출편(111) 또는 장착편(211)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틈(30)이 돌출편(111)의 단부 또는 상기 장착편(211)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틈(30)은 돌출편(111) 또는 장착편(211)의 돌출된 단부를 일부 깎거나, 돌출편들(111)이 형성하는 골(112) 또는 장착편들(211)이 형성하는 골(212)의 더 깊게 깎아 형성할 수 있다.
수용틈(30)은 돌출편(111)(또는 장착편)의 단부와 장착편(211)들의 골(212)(돌출편들의 골)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제조 오차에 의한 돌출편(111)(또는 장착편)의 길이 변화가 있더라도, 수직편(11)과 측벽편(21)의 결합이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이 길게 접촉하는 수직 접촉면(40)에는 벗겨진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는 각기 기둥(F1)과 보강프레임(F2)에 고정된 이후, 도색될 수 있다. 도색에 의해 형성된 페인트의 두께는 돌출편들(111)의 이격간격이나 측벽편들(21)의 이격간격을 좁히게 되는데, 결합부재(10)에 체결부재(20)를 결합하는 과정 중에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이 서로 만나면서 접촉면(40)이 비벼져 페인트가 벗겨질 소지가 있다. 수용홈(41)은 체결 과정 중 벗겨진 페인트가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체결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좁아진 장착편들(211)(또는 돌출편들) 사이로 진입하는 돌출편(111)(또는 장착편)이 말린 페인트 찌꺼기로 인해 외력을 크게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수용홈(41)은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어느 한 쪽에만 형성될 수 있고,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하나의 수직편(11)에 복수의 돌출편(111)이 구비될 때에, 돌출편(111)의 폭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결합부재(10)의 왼쪽 선단부에 기둥이 연결되며, 돌출편(111)의 폭은 왼쪽 선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넓어지고 있다(D1<D2). 한편 결합부재(10)의 돌출편(111)과 대응하게 형성된 장착편들(211)의 폭은, 도면의 오른쪽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된다(d1<d2). 그 결과, 폭이 좁게 형성된 돌출편들과 장착편들이, 결속구(100)의 중앙 부분에서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돌출편(111)과 장착편(211)의 일부를 다른 나머지보다 폭을 좁게 하여,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결합시에 발생 가능한 변형이 가능한 폭을 좁게 형성한 돌출편(111)이나 장착편(211)에 반영되도록 한다. 즉 돌출편이나 측벽편이 제조 공차 등에 의해 다소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결합시 돌출편이 측벽편을 변형시키는 힘이 발생되는데, 폭이 좁게 형성되어 변형이 용이한 돌출편과 장착편이 이를 수용하면서 적절히 변형되며 서로 물림결합하게 된다. 변형이 일어나지 아니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의도한 바에 따른 맞물림 결합이 온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결합부재(10)의 수직편(11)에는 보강프레임(F2)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홀(113)의 위치는 체결부재(20)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F2)에 나사(S)가 관통하는 위치이면 충분하다. 또한 나사홀(113)의 수는 복수가 될 수 있다.
나사 체결은 기둥(F1)에 견고하게 고정된 결합부재(10)와, 연결대상 프레임인 보강프레임(F2)을 직결하는 수단이므로, 기둥(F1)에 보강프레임(F2)을 결합하는 강력한 보조 고정수단이 된다.
나사 체결에 의한 보강프레임(F2)의 고정은 부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프레임의 크기와 강도 또는 결합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결합력 정도에 따라 나사체결은 생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결속구
10 : 결합부재
11 : 수직편 111 : 돌출편 112 : 골 113 : 나사홀
12 : 수평편 121 : 끼움홈
20 : 체결부재
21 : 측벽편 211 : 장착편 212 : 골
22 : 바닥편 221 : 끼움편
30 : 수용틈 40 : 접촉면 41 : 수용홈
F1 : 기둥 F2 : 보강프레임 S : 나사

Claims (5)

  1. 이웃하는 두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을 연결하는 수평편을 구비하며, 단부가 어느 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의 수직편에 대응하는 한 쌍의 측벽편과, 상기 측벽편을 연결하는 바닥편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편들과 바닥편의 내측에 연결대상이 되는 프레임을 수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편에는 복수의 돌출편이 나란히 돌출되어 있고, 상기 측벽편에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착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직편과 상기 측벽편은 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편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편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하는 끼움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
  2. 제1항에서,
    서로 결합된 상기 수직편과 상기 측벽편에는, 상기 돌출편 또는 상기 장착편의 변형을 수용하는 수용틈이 상기 돌출편의 단부 또는 상기 장착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
  3. 제1항에서,
    상기 돌출편과 상기 장착편이 길게 접촉하는 수직 접촉면에는 벗겨진 페인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
  4. 제1항에서,
    하나의 상기 수직편에는 복수의 돌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의 폭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
  5. 제1항에서,
    상기 수직편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구 프레임 결속구.
KR2020140004441U 2014-06-12 2014-06-12 가구 프레임 결속구 KR200475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41U KR200475883Y1 (ko) 2014-06-12 2014-06-12 가구 프레임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41U KR200475883Y1 (ko) 2014-06-12 2014-06-12 가구 프레임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83Y1 true KR200475883Y1 (ko) 2015-01-14

Family

ID=5258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41U KR200475883Y1 (ko) 2014-06-12 2014-06-12 가구 프레임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8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957A (ja) * 1997-02-27 1998-09-08 Housing Tamura:Kk 鋼材のジョイント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継手部材の製造方法
KR101212818B1 (ko) 2012-07-09 2012-12-14 박의상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957A (ja) * 1997-02-27 1998-09-08 Housing Tamura:Kk 鋼材のジョイント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継手部材の製造方法
KR101212818B1 (ko) 2012-07-09 2012-12-14 박의상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53B1 (ko) 조립식 선반
KR200475883Y1 (ko) 가구 프레임 결속구
KR101675922B1 (ko)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KR200442669Y1 (ko) 조립식 선반의 고정구
JP5399684B2 (ja) 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パネル取付構造
JP6694296B2 (ja) 棚装置
KR101836448B1 (ko) 조립식 서랍장
JP4782569B2 (ja) エンド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長尺物の連結構造
KR20170091283A (ko) 케이블 트레이
JP3933968B2 (ja) 連結装置
JP5984664B2 (ja) 柱接続構造
JP6888979B2 (ja) 連結構造体
JP4355626B2 (ja) コーナーポスト固定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ーナーポスト固定構造
JP6625414B2 (ja) 躯体の支持構造
JP5600010B2 (ja) 杆材の直線連結構造
KR101421404B1 (ko) 컴퓨터 본체의 수납을 위한 책상용 하부 선반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JP6336413B2 (ja) レール用ブラケット
JP5218237B2 (ja) 棚の連結部構造
JP2009178388A (ja) 重量物固定用壁
JP5061586B2 (ja) ガラスパネル装置
JP2008180041A (ja) 壁パネル
JP5832245B2 (ja) 連結具
JP4419708B2 (ja) 蹴込み板の取付け構造
KR20140057766A (ko) 선박용 걸레받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