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922B1 -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 Google Patents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922B1
KR101675922B1 KR1020150034201A KR20150034201A KR101675922B1 KR 101675922 B1 KR101675922 B1 KR 101675922B1 KR 1020150034201 A KR1020150034201 A KR 1020150034201A KR 20150034201 A KR20150034201 A KR 20150034201A KR 101675922 B1 KR101675922 B1 KR 10167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ortion
frame
table frame
engag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551A (ko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필 filed Critical 정종필
Priority to KR102015003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하지 않고 테이블의 다리 프레임을 간단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일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몸체의 다른 일면에서 제1 결합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A fixture for table legs}
본 발명은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에 의하지 않고 테이블의 다리 프레임을 간단하게 조립·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식탁, 실험실 실험대 등과 같은 테이블은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서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험실 실험대의 경우에는 무거운 장비를 올려두어야 하는 사정상 대부분 금속제 프레임이 사용된다. 이때, 상판은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의 프레임으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직선 프레임 4개의 단부를 서로 맞붙여 사각형태로 배열한 후 용접을 하여 지지 프레임을 제작하였고,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도 용접으로 부착시켰다.
이에 따라, 별도의 용접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발생하고, 용접시 열변형으로 인한 뒤틀림 및 치수변경이 발생하며, 용접의 흔적이 남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상공정에 의하더라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 후 결함이 생기면 프레임 전체를 폐기해야 하고, 상하 및 좌우 편차로 인해 프레임 사이에 패널을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작업 시간도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장에서 용접을 한 완제품을 납품하여야 하므로 운반상 어려움과 운반시 제품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결합력이 뛰어나고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외관도 확보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 연결구조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접에 의하지 않고 테이블의 상판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완료시 테이블의 외관이 미려한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끝단면 중앙부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는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의 끝단면이 지지되는 제1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대응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공구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구 삽입홀의 외측에 상기 공구 삽입홀을 개폐하는 덮개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에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3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표면에 자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의하면, 테이블의 상판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이 결착구에 의해 결합되므로,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테이블 프레임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의하면, 결착구의 결합부가 프레임 내부에 끼워져서 볼트 체결되므로,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에 의하면, 결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공구 삽입홀이 덮개판에 의해 마감되므로, 미려한 외관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조립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조립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이하, '결착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블록 형상의 몸체(200)와, 몸체(200)의 외측면에서 서로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결합부(300)는 육면체 형상이며, 몸체(20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즉, 결합부(300)는 몸체(200)의 외측면에 단차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부(30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테이블 프레임(400, 도 2 참조)의 내부로 삽입된다.
예컨대, 테이블 프레임(400)은 상판(미도시)의 둘레를 따라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판 프레임(410)과, 상판의 코너부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판 프레임(410)과 직각을 이루는 다리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판 프레임(410)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411, 도 5 참조)과, 각각의 가로 프레임(411)과 직각으로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412,도 5 참조)을 포함하며, 각각의 테이블 프레임(400)은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결착구(100)는 육면체 블록 형상의 몸체(200)와, 몸체(200)의 일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결합부(310)와, 몸체(200)의 다른 일면에서 제1 결합부(3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결합부(310)는 상판 프레임(4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2 결합부(320)는 다리 프레임(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물론, 제1 결합부(310)가 다리 프레임(4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제2 결합부(320)가 상판 프레임(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 결합부(310)와 제2 결합부(320)가 상판 프레임(410)의 가로 프레임(411)과 세로 프레임(412)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제1,제2 결합부(310,320)는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제2 결합부(310,320)가 테이블 프레임(400)으로부터 예기치 못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제2 결합부(310,320)의 표면에 자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 결합부(310,320)는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테이블 프레임(400)과 자력에 의해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고무 재질의 코팅층이 흡수하게 되므로, 테이블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테이블 프레임(400)이 목재나 합성수지 등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측면에 철판 등 자성을 가진 별도의 금속판(미도시)을 미리 덧대어 놓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구(100)의 제1 결합부(310)가 상판 프레임(41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2 결합부(320)가 다리 프레임(420)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판 프레임(410)과 다리 프레임(4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판 프레임(410)과 다리 프레임(42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결합부(310,320)가 상판 프레임(410)과 다리 프레임(420)의 내부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300)의 끝단면 중앙부에 나사홈(301)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테이블 프레임(400) 내부에는 체결홀(51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00)가 결합부(300)와 대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서, 지지플레이트(500)는 외측 테두리가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측벽에 용접 고정되는 플랜지부(520)와, 플랜지부(520)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절곡되어 결합부(3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30)를 포함하며, 돌출부(530)의 중앙에 체결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측벽과 돌출부(53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를 통해 플랜지부(520)의 용접 고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결합부(300)가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부로 삽입되면, 결합부(300) 외측의 단턱(302)이 테이블 프레임(400)의 단면 테두리(401)에 지지된다. 결합부(300)의 나사홈(301)과 지지플레이트(500)의 체결홀(510)은 서로 연통하며, 볼트(10)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부(300)와 지지플레이트(5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테이블 프레임(4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외관상 보이지 않는 내측면 쪽에 공구 삽입홀(402)이 관통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 공구 삽입홀(402)을 통해 볼트(10) 등의 체결구와 체결공구(미도시)를 테이블 프레임(400) 내부로 삽입하여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 작업 이후에는 공구 삽입홀(402)에 덮개판(600)을 덮어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외관상 덮개판(600)이 테이블 프레임(4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끔, 공구 삽입홀(402)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홈(403)이 함몰 형성되고, 이 안착홈(403)에 덮개판(6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600) 결합시 덮개판(600)의 외측면이 테이블 프레임(400)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안착홈(403)의 깊이와 덮개판(600)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덮개판(600)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안착홈(403)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금속 재질의 덮개판(600)을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안착홈(403)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착구(100')는 몸체(200)와 제1,제2 결합부(310,320)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몸체(200)의 다른 일면에서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320)에 대하여 수직하게 제3 결합부(330)가 연장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착구(100')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착구(100')는 서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3개의 결합부(300)를 가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중 2개의 결합부(300)는 상판 프레임(410)의 가로 프레임(411)과 세로 프레임(412)에 각각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300)는 다리 프레임(4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테이블 프레임(400) 내부로 삽입된 결합부(300)는 공구 삽입홀(402)을 통해 삽입된 볼트(10) 등의 체결구에 의해, 테이블 프레임(400) 내부의 지지플레이트(50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 이때, 표면에 형성된 자성 고무 재질의 코팅층이 테이블 프레임(400) 또는 테이블 프레임(4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금속판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 : 결착구
200 : 몸체
300 : 결합부
301 : 나사홈
302 : 단턱
400 : 테이블 프레임
402 : 공구 삽입홀
403 : 안착홈
410 : 상판 프레임
420 : 다리 프레임
500 : 지지 플레이트
510 : 체결홀
520 : 플랜지부
530 : 돌출부
600 : 덮개판

Claims (5)

  1.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몸체의 다른 일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제1,제2 결합부의 단턱이 상기 제1,제2 테이블 프레임의 단면 테두리에 지지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끝단면 중앙부에 나사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표면에 자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의 끝단면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대응하여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외측 테두리가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측벽에 용접 고정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공구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구 삽입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제1 테이블 프레임의 외측면에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상기 공구 삽입홀을 개폐하는 덮개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또 다른 일면에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3 테이블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3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5. 삭제
KR1020150034201A 2015-03-12 2015-03-12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KR10167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01A KR101675922B1 (ko) 2015-03-12 2015-03-12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201A KR101675922B1 (ko) 2015-03-12 2015-03-12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551A KR20160109551A (ko) 2016-09-21
KR101675922B1 true KR101675922B1 (ko) 2016-11-14

Family

ID=5708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201A KR101675922B1 (ko) 2015-03-12 2015-03-12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597A1 (ko) * 2018-12-11 2020-06-18 김명호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KR102054232B1 (ko) * 2019-05-17 2019-12-10 주식회사 주상산업 각파이프 연결부재
KR102633805B1 (ko) * 2022-12-29 2024-02-02 임수영 조적 벽체용 다목적박스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1636U1 (ko) * 1993-02-08 1993-05-13 Erfi Ernst Fischer Gmbh & Co, 7290 Freudenstadt, 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705A (en) * 1957-08-26 1960-10-18 Gen Motors Corp Cabinet framework
KR20120078681A (ko) * 2012-05-24 2012-07-10 홍덕인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1636U1 (ko) * 1993-02-08 1993-05-13 Erfi Ernst Fischer Gmbh & Co, 7290 Freudenstadt,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551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745B1 (ko)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KR101675922B1 (ko)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KR101775012B1 (ko)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RU200911431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2061709B1 (ko)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US20120031667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KR101224244B1 (ko)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조
KR200484808Y1 (ko)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US20030010261A1 (en) Table frame for fastening loading member
KR101639803B1 (ko) 컨트롤 센터의 캐비닛 골조용 코너부재
JP3124079U (ja) マグネット付フリーフック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KR101561173B1 (ko) 파티션
KR20180036946A (ko) 조립식 탁자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09118908A (ja) 家具及び部材の連結構造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101925099B1 (ko) 가구용 금속제 다리의 무 볼트 조립구조
JP2016195664A (ja) シンクの取付方法および取付構造
JP2015107805A (ja) 室外機運搬体および運搬用枠体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2266521B1 (ko) 조립 시공성이 향상된 욕실용 선반
KR200475883Y1 (ko) 가구 프레임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