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232B1 - 각파이프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각파이프 연결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4232B1 KR102054232B1 KR1020190058114A KR20190058114A KR102054232B1 KR 102054232 B1 KR102054232 B1 KR 102054232B1 KR 1020190058114 A KR1020190058114 A KR 1020190058114A KR 20190058114 A KR20190058114 A KR 20190058114A KR 102054232 B1 KR102054232 B1 KR 102054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olt
- connecting body
- connecting member
- addi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09—Joints for pipes with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파이프간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 용접 없이 빠르고 쉬우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각파이프 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면적을 가지는 연결몸체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연결몸체는 일 연결몸체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파이프간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 용접 없이 빠르고 쉬우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이음방식의 일종으로서 잇고자 하는 재료들을 접근시키거나 맞대고 그 이음부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합함으로써 재료간 이어지도록 하며, 접합강도가 높고 기밀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반면, 용접은 숙련 기술이 필요하여 초보자가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내부에 크랙 등이나 균열이 발생할 경우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각파이프는 가구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이프로서 각파이프의 이음은 주로 용접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은 초보자가 하기에는 어려워 용접기술자를 불러 이음을 실시해야 했는데, 단순한 이음에도 용접기술자를 부르는 것이 매우 비효율적이었으며, 균열 등을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없어 안전성 문제가 뒤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파이프간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 용접 없이 빠르고 쉬우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용접 없이 각파이프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로서, 각파이프 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면적을 가지는 연결몸체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연결몸체는 일 연결몸체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각파이프에 삽입되는 면들 중 적어도 1개의 면에 'ㄱ'자형의 보조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브라켓은 수평부가 연결몸체와 상기 각파이프의 면 두께만큼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수직부의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파이프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가 2개로 마련되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에는 하부면을 제외한 다른 연결몸체와 연결되지 아니한 모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마련된 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구형의 축방향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축방향조절구에 연결축을 삽입 후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몸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추가 연결몸체의 조립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와 추가 연결몸체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의 볼트관통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각파이프간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 용접 없이 빠르고 쉬우며,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연결몸체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연결 형태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각파이프와 추가 연결몸체의 해체도 비교적 용이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각파이프 연결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각파이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각파이프의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조브라켓을 구성한 각파이프 연결부재의 각파이프 결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의 각 (a) 및 (b)는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조립 방향 변경과 조립 개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볼트를 구성한 각파이프의 이탈 시 추가 연결몸체와 볼트의 다양한 상태 시뮬레이션화한 도면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각파이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각파이프의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조브라켓을 구성한 각파이프 연결부재의 각파이프 결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의 각 (a) 및 (b)는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조립 방향 변경과 조립 개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볼트를 구성한 각파이프의 이탈 시 추가 연결몸체와 볼트의 다양한 상태 시뮬레이션화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각파이프 연결부재의 예시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각파이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각파이프의 연결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용접 없이 각파이프(10)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이다. 여기서, 각파이프(10)는 원통형 파이프가 아닌 모서리가 형성되는 각진 파이프로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파이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파이프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용이 사각형 파이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파이프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각파이프(10)는 종래에는 용접을 실시하여 연결하였으나, 본 발명은 용접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탈피하여 각파이프간의 연결을 조립식으로 구현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로서 보다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각파이프를 연결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2개 이상의 연결몸체(20)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연결몸체(20)는 일 연결몸체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의 (a)와 같이 베이스가 되는 일 연결몸체(20a)를 기준으로 양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평면방향에서 보면 일자형인 형태이다. 또한, 도 1의 (b)와 같이 베이스가 되는 일 연결몸체(20a)를 기준으로 양측면과 상면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정면이나 후면방향에서 보면 '凸'인 형태이다. 또한, 도 1의 (c)와 같이 베이스가 되는 일 연결몸체(20a)를 기준으로 모든면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모든 방향에서 볼 때에 '+'인 형태이다.
또한, 이외에 설명되지 아니한 형태라도 일 연결몸체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몸체(20)는 각파이프(10) 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파이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후에는 면마찰이 강하여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각파이프(10)가 연결몸체(20)에 연결될 시에는 고무망치 등으로 두들겨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각파이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조브라켓을 구성한 각파이프 연결부재의 각파이프 결합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몸체(20)는 각파이프(10)에 삽입되는 면들 중 적어도 1개의 면에 'ㄱ'자형의 보조브라켓(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브라켓(30)은 수직부(32)와 수평부(34)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부(34)는 각파이프(1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조브라켓(30)은 수평부(34)가 연결몸체(20)와 각파이프(10)의 면 두께만큼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수직부(32)의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각파이프(10)가 연결몸체(20)에 끼워질 시에 보조브라켓(30)과 연결몸체(20)의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브라켓(30)은 각파이프(1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수평부(34)의 내측면에 다수의 마찰돌기(3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수의 마찰돌기(36)는 각파이프(10)의 외측면과 마찰을 일으켜 고정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의 각 (a) 및 (b)는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의 조립 방향 변경과 조립 개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연결몸체(20)가 2개로 마련되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에는 하부면을 제외하고 다른 연결몸체(20c)와 연결되지 아니한 모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가이드홈(4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42)이 형성된 방향으로 결합공(40a)이 형성된 구형의 축방향조절구(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방향조절구(40)의 결합공(40a)에 연결축(44)을 삽입할 수 있고, 연결축(44)에는 축삽입공(46a)이 형성된 추가 연결몸체(46)를 조립할 수 있는데, 도 5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결합공(40a)에 연결축(44)을 삽입한 상태로 도 5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조절구(40)를 회전하여 연결축(44)에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추가 연결몸체(46)의 조립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5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공(40a)에 연결축(44)을 삽입한 상태로 조립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도 5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결합공(40a)에 연결축을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몸체(46)를 조립할 수 있으며, 추가 연결몸체(46)의 조립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각파이프(10)의 연결 개수와 연결 방향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42)은 길이가 일면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되는 추가 연결몸체(46)가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와의 단차를 이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와 추가 연결몸체(46)는 볼트(50)의 체결력으로 인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4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추가 연결몸체 조립 구성에 볼트를 더 구성한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볼트를 구성한 각파이프의 이탈 시 추가 연결몸체와 볼트의 다양한 상태 시뮬레이션화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와 추가 연결몸체(46)는 볼트(50)의 체결력으로 인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볼트관통홀(55-1, 5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에 형성되는 볼트관통홀(55-1)은 가이드홈(42)이 길이를 형성하는 면 즉, 하부면을 제외한 다른 연결몸체(20c)와 연결되지 아니한 모든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 연결몸체(46)에 형성되는 볼트관통홀(55-2)은 연결축(44)이 삽입되는 방향 즉, 축삽입공(46a)이 길이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의 볼트관통홀(55-1)과 상응하도록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 연결몸체(46)의 조립 후에는 볼트(50)를 각 볼트관통홀(55-2, 55-1)로 관통시킬 수 있는데, 이때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의 볼트관통홀(55-1)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된 볼트(50)가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의 볼트관통홀(55-1)에만 체결될 수가 있다.
즉, 추가 연결몸체(46)와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의 볼트관통홀(55-2, 55-1)은 모두 직경이 동일하게는 형성되나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20b)는 나사산의 형성으로 인해 볼트(50)와 체결될 수 있고, 추가 연결몸체(46)의 볼트관통홀(55-2)은 나사산의 미형성으로 인해 볼트(50)의 나사산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력을 갖지 않으며, 추가 연결몸체(46)의 고정은 볼트(50)의 체결력과 볼트머리의 걸림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추가 연결몸체(46)를 통해 연결된 각파이프(10)를 이탈 시킬 시에 추가 연결몸체(46)의 이탈이 같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탈이 진행되어도 억지끼움된 추가 연결몸체(46)를 각파이프(10)로부터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도 8의 (a)와 같이 볼트(50)의 단부와 머리로 고정력이 더해지는 추가 연결몸체(46)는 각파이프(10)의 이탈시에도 함께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혹여 이탈이 된다 하여도 도 8의 (b)와 같이 볼트(50)는 추가 연결몸체(46)의 볼트관통홀(55-2)과는 체결력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추가 연결몸체(46)로부터 쉽게 이탈되며, 도 8의 (c)와 같이 볼트(50)가 이탈된 볼트관통홀(55-2)에 렌치 등의 도구(60)를 삽입하여 추가 연결몸체(46)를 각파이프(10)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파이프 연결부재는 용접 없이도 각파이프 간을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 연결몸체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연결 형태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각파이프(10)와 추가 연결몸체(46)의 해체도 비교적 용이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각파이프
20 : 연결몸체
30 : 보조브라켓
32 : 수직부
34 : 수평부
36 : 마찰돌기
40 : 축방향조절구
40a : 결합공
42 : 가이드홈
44 : 연결축
46 : 추가 연결몸체
46a : 축삽입공
50 : 볼트
55-1, 55-2 : 볼트관통홀
60 : 도구
20 : 연결몸체
30 : 보조브라켓
32 : 수직부
34 : 수평부
36 : 마찰돌기
40 : 축방향조절구
40a : 결합공
42 : 가이드홈
44 : 연결축
46 : 추가 연결몸체
46a : 축삽입공
50 : 볼트
55-1, 55-2 : 볼트관통홀
60 : 도구
Claims (5)
- 용접 없이 각파이프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로서,
각파이프 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면적을 가지는 연결몸체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연결몸체는 일 연결몸체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2개로 마련되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에는 하부면을 제외한 다른 연결몸체와 연결되지 아니한 모든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이 마련된 방향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구형의 축방향조절구가 구비되어,
상기 축방향조절구에 연결축을 삽입 후 하나 이상의 추가 연결몸체를 조립할 수 있으며, 추가 연결몸체의 조립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각파이프에 삽입되는 면들 중 적어도 1개의 면에 'ㄱ'자형의 보조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브라켓은 수평부가 연결몸체와 상기 각파이프의 면 두께만큼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수직부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수평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와 추가 연결몸체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가장 끝단에 위치한 연결몸체의 볼트관통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된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파이프 연결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114A KR102054232B1 (ko) | 2019-05-17 | 2019-05-17 | 각파이프 연결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114A KR102054232B1 (ko) | 2019-05-17 | 2019-05-17 | 각파이프 연결부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4232B1 true KR102054232B1 (ko) | 2019-12-10 |
Family
ID=6900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8114A KR102054232B1 (ko) | 2019-05-17 | 2019-05-17 | 각파이프 연결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42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4084A (ko) * | 2020-03-09 | 2021-09-23 | 최지윤 | 프레임 연결구 |
CN114352613A (zh) * | 2021-12-28 | 2022-04-15 | 安徽鑫铂铝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客车用连接铝材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5615U (ko) * | 1990-02-14 | 1991-11-01 | ||
KR200397048Y1 (ko) * | 2005-07-19 | 2005-09-28 | 이광희 | 사각파이프 연결구 |
KR20070056397A (ko) * | 2005-11-29 | 2007-06-04 | 일 광 하 | 조립식 구조물 |
KR101458745B1 (ko) * | 2014-05-21 | 2014-11-05 | 정종필 |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
KR20160109551A (ko) * | 2015-03-12 | 2016-09-21 | 정종필 |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
KR20160148163A (ko) * | 2015-06-16 | 2016-12-26 | 장근배 |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
KR20180052802A (ko) * | 2016-11-10 | 2018-05-2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관 용접 구조체 |
KR20180062664A (ko) * | 2016-12-01 | 2018-06-11 | (주) 레오플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
2019
- 2019-05-17 KR KR1020190058114A patent/KR102054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05615U (ko) * | 1990-02-14 | 1991-11-01 | ||
KR200397048Y1 (ko) * | 2005-07-19 | 2005-09-28 | 이광희 | 사각파이프 연결구 |
KR20070056397A (ko) * | 2005-11-29 | 2007-06-04 | 일 광 하 | 조립식 구조물 |
KR101458745B1 (ko) * | 2014-05-21 | 2014-11-05 | 정종필 |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
KR20160109551A (ko) * | 2015-03-12 | 2016-09-21 | 정종필 |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
KR20160148163A (ko) * | 2015-06-16 | 2016-12-26 | 장근배 |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
KR20180052802A (ko) * | 2016-11-10 | 2018-05-2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관 용접 구조체 |
KR20180062664A (ko) * | 2016-12-01 | 2018-06-11 | (주) 레오플 | 건축 골조의 프레임 연결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4084A (ko) * | 2020-03-09 | 2021-09-23 | 최지윤 | 프레임 연결구 |
KR102376346B1 (ko) * | 2020-03-09 | 2022-03-18 | 최지윤 | 프레임 연결구 |
CN114352613A (zh) * | 2021-12-28 | 2022-04-15 | 安徽鑫铂铝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客车用连接铝材 |
CN114352613B (zh) * | 2021-12-28 | 2023-08-29 | 安徽鑫铂铝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客车用连接铝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4232B1 (ko) | 각파이프 연결부재 | |
JP6310554B2 (ja) | 管コネクタ | |
CN100434731C (zh) | 管接头 | |
CN110388002A (zh) | 一种连接结构件 | |
US12102238B2 (en) | Chair and a kit of parts configured to be assembled into a chair | |
KR101598761B1 (ko) |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 |
JP3164320U (ja) | 足場固定具 | |
CN105051381B (zh) | 用于改进螺栓连接的系统和方法 | |
US20060024128A1 (en) | Multidirectional joint connector | |
KR101697423B1 (ko) |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 |
JP4642003B2 (ja) | 建築構造物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 |
JP4949180B2 (ja) | 締結具 | |
CN204715685U (zh) | 舞台地板 | |
JP2009526663A (ja) | 手工具又は用具用の柄固定システム | |
US20120023862A1 (en) | Internal post and beam connection assembly | |
JP5991622B2 (ja) | 杭の無溶接継手 | |
JP2018511008A (ja) | 立体構造 | |
CN210704515U (zh) | 防拆卸螺栓和装配套筒 | |
JP2021088901A (ja) | 木材の接合構造 | |
JP2007218076A (ja) | 連結金具,受け金具及び建築用接合金具 | |
KR200187816Y1 (ko) | 파이프 연결구 | |
CN218060748U (zh) | 一种装配式建筑用机械连接件及预制构件 | |
JP7297252B2 (ja) | 枠材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連結金具 | |
KR101289374B1 (ko) | 구조물용 조인트 | |
JP3192482U (ja) | 接合金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