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761B1 -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 Google Patents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761B1
KR101598761B1 KR1020150117204A KR20150117204A KR101598761B1 KR 101598761 B1 KR101598761 B1 KR 101598761B1 KR 1020150117204 A KR1020150117204 A KR 1020150117204A KR 20150117204 A KR20150117204 A KR 20150117204A KR 101598761 B1 KR101598761 B1 KR 101598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ood
male
hollow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선
Original Assignee
대흥우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우드산업(주) filed Critical 대흥우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1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집성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1 철재각관(10)과,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집성원목부(20)와, 상기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에 내재홈(31)을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암결합부(30)와,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 중공부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암결합구(40),로 구성되는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2 철재각관(110)과,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집성원목부(120)와, 상기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에 상기 외측 암결합부(30)에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 삽입체(131)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숫결합부(130)와, 상기 내측 암결합구(40)와 결합가능하도록 상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 중공부에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숫결합구(140),로 구성되는 제2 단위 집성 원목(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Description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 Wood Columns Corporate Body }
본 발명은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928683호 : 집성원목 및 그 제조 방법(본 출원인 : 대흥우드산업(주))은, 사각단면의 철재각관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철재각관의 표면에 제1 접착제를 매개로 네 개의 합판들을 압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합판들의 표면에 제2 접착제를 매개로 네 개의 집성목판들을 압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집성목판들의 표면에 제3 접착제를 매개로 네 개의 목재마감판들을 압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목재마감판들의 표면을 원주면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성목판들은 복수의 각목들을 맞대어 접합하고, 상기 제2 접착제와 상기 제3 접착제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각목들의 이면과 상기 목재마감판들의 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들을 각각 형성하는 집성원목의 제조 방법을 게시한다.
등록특허 제10-1255246호 : 금속 결구체가 구비된 집성원목 결합체, 및 조립식 정자 또는 한옥(본 출원인 : 대흥우드산업(주)은, 집성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1 철재각관과, 상기 제1 철재각관의 외주를 둘러싸며 상단 일측에 결속구 안치홈이 형성되는 제1 집성목판부와, 상기 결속구 안치홈에 안치되며 숫결속구 삽입홈을 형성하는 금속재 암결속구로 구성되는 수직기둥부와;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2 철재각관과, 상기 제2 철재각관의 외주를 둘러싸는 제2 집성목판부와, 상기 제2 철재각관의 양측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숫결속구 삽입홈에 삽입되는 금속재 숫결속구로 구성되는 수평기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결구체가 구비된 집성원목 결합체를 게시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분리된 단위 집성 원목을 결합함에 있어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함으로써 결합 부위의 결합 강도가 우수하고 결합에 의한 길이 증가로 결합체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해결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현장에서 길이가 긴 원목 결합체 또는 기둥이 필요한 경우, 길이가 짧아 취급 및 탑재가 용이한 단위 집성 원목을 차량으로 현장까지 이동 후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단위 집성 원목을 서로 결합하여 길이가 긴 집성 원목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에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전체적인 원목 결합체의 강성이 단위 결합체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결합구의 몸체가 심부 각관에 삽입되고 단위 집성 원목의 양단 맞물림에 의해 결합체 또는 길이가 연장된 기둥의 결합 부위의 내 좌굴 특성, 내 굽힘 모멘트 특성이 비 결합부위와 초대한 근사하게 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장된 암 수 결합구를 이용한 회전에 의한 결합 방식으로 양 단위 원목의 센터 일치 및 센터 일치성 유지(즉, 양 단위 기둥의 중심선이 일치) 특성이 다른 방식(예를들어, 주먹장 방식)보다 우수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집성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1 철재각관(10)과,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집성원목부(20)와,
상기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에 내재홈(31)을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암결합부(30)와,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 중공부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암결합구(40),
로 구성되는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2 철재각관(110)과,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집성원목부(120)와,
상기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에 상기 외측 암결합부(30)에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 삽입체(131)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숫결합부(130)와,
상기 내측 암결합구(40)와 결합가능하도록 상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 중공부에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숫결합구(140),
로 구성되는 제2 단위 집성 원목(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별도의 분리된 단위 집성 원목을 결합함에 있어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함으로써 결합 부위의 결합 강도가 우수하고 결합에 의한 길이 증가로 결합체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을 해결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가 제공된다.
또힌, 현장에서 길이가 긴 원목 결합체 또는 기둥이 필요한 경우, 길이가 짧아 취급 및 탑재가 용이한 단위 집성 원목을 차량으로 현장까지 이동 후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하나의 단위 원목을 잡고 다른 단위 원목의 후방 각관에 육각 렌치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단위 집성 원목을 서로 결합하여 길이가 긴 집성 원목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에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전체적인 원목 결합체의 강성이 단위 결합체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가 제공된다.
또한, 결합구의 몸체가 심부 각관에 삽입되고 단위 집성 원목의 양단 맞물림에 의해 결합체 또는 길이가 연장된 기둥의 결합 부위의 내 좌굴 특성, 내 굽힘 모멘트 특성이 비 결합부위와 초대한 근사하게 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가 제공된다.
또한, 내장된 암 수 결합구를 이용한 회전에 의한 결합 방식으로 양 단위 원목의 센터 일치 및 센터 일치성 유지(즉, 양 단위 기둥의 중심선이 일치) 특성이 다른 방식(예를들어, 주먹장 방식)보다 우수한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가 제공된다.
서로 상응하는 한쌍의 목재로부터 형성된 외측 결합부와, 서로 상응하는 한쌍의 금속재 내측 결합구가 강도 측면 및 외관 측면에서 서로 보완 작용을 하면서 정자, 한옥 등 건축물에 있어서 미관과 내구성과 강도, 및 결합시 현장 작업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집성 원목 주요부 및 결합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집성 원목 주요부 및 결합부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의 각관 삽입식 암, 수 결합구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집성 원목 주요부 및 결합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집성 원목 주요부 및 결합부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의 각관 삽입식 암, 수 결합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는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제2 단위 집성 원목(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단위 집성 원목(100)은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1 철재각관(10)과,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집성원목부(20)와, 상기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에 내재홈(31)을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암결합부(30)와,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 중공부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암결합구(4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집성 원목(200)은,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2 철재각관(110)과, 제2 철재각관(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집성원목부(120)와,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에 상기 외측 암결합부(30)에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 삽입체(131)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숫결합부(130)와, 내측 암결합구(40)와 결합가능하도록 상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 중공부에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숫결합구(14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내측 암결합구(40),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철재각관(10)에 내주면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중공 사각통상의 제1 사각몸체(41)와, 제1 사각몸체(141)의 내측 중공부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암나사부(43)로 구성된다. 내측 숫결합구(140)는,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내주면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사각통상의 제2 사각몸체(141)와, 제2 사각몸체(141)의 상부에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수나사부(143)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제1 사각몸체(41)와 제2 사각몸체(141)의 상면 모서리에 측면으로 연장된 제1, 제2 피스 체결부(42, 142)가 형성되고, 제1 피스 체결부(42)는 내재홈 바닥면(32)에 접면 결합되고, 제2 피스 체결부(142)는 외측 삽입체(131)의 선단면에 접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외측 암결합부(30)는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을 내경 절삭하여 형성된 내재홈(31)과 상기 내재홈(31)을 둘러싸며 제1 집성원목부(20)과 일체를 이루는 홈형성벽(33)으로 구성된다. 외측 숫결합부(130)는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을 외경 절삭하여 성형된 외측 삽입체(131)와 상기 외측 삽입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132)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제1 사각몸체(41)는 전체가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에 삽입되어 제1 사각몸체(41)의 상면이 내재홈 바닥면(32)과 수평하게 되고, 제2 사각몸체(141)는 전체가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에 삽입되어 제2 사각몸체(141)의 상면이 외측 삽입체(131)의 선단면에 수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제2 단위 집성 원목(200)은 외주면 형상의 원통형상 또는 사각통체 형상이며, 내측 암결합구(40)의 최대 내경, 내측 숫결합구(140)의 최대 외경은 제1 단위 집성 원목(100)의 외경의 1/5 ~ 1/2 인 것이 강도 확보 및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제1 철재각관
20 : 제1 집성원목부
30 : 외측 암결합부
31 : 내재홈
40 : 내측 암결합구
100 : 제1 단위 집성 원목
110 : 제2 철재각관
120 : 제2 집성원목부
130 : 외측 숫결합부
131 : 외측 삽입체
140 : 내측 숫결합구
200 : 제2 단위 집성 원목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집성원목 결합체에 있어서,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1 철재각관(10)과,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집성원목부(20)와,
    상기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에 내재홈(31)을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암결합부(30)와,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 중공부에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암결합구(40),
    로 구성되는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사각 단면 형상의 중공인 제2 철재각관(110)과,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집성원목부(120)와,
    상기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에 상기 외측 암결합부(30)에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 삽입체(131)를 형성하는 목재 재질의 외측 숫결합부(130)와,
    상기 내측 암결합구(40)와 결합가능하도록 상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 중공부에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내측 숫결합구(140),
    로 구성되는 제2 단위 집성 원목(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측 암결합구(40)는,
    상기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철재각관(10)에 내주면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중공 사각통상의 제1 사각몸체(41)와,
    상기 제1 사각몸체(141)의 내측 중공부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암나사부(43),
    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숫결합구(140)는,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철재각관(110)의 내주면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사각통상의 제2 사각몸체(141)와,
    상기 제2 사각몸체(141)의 상부에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수나사부(143),
    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암결합부(30)는 제1 집성원목부(20)의 일측을 내경 절삭하여 형성된 내재홈(31)과 상기 내재홈(31)을 둘러싸며 제1 집성원목부(20)과 일체를 이루는 홈형성벽(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숫결합부(130)는 제2 집성원목부(120)의 타측을 외경 절삭하여 성형된 외측 삽입체(131)와 상기 외측 삽입체(131)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1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사각몸체(41)는 전체가 제1 철재각관(10)의 일측에 삽입되어 제1 사각몸체(41)의 상면이 내재홈 바닥면(32)과 수평하게 되고,
    상기 제2 사각몸체(141)는 전체가 제2 철재각관(110)의 타측에 삽입되어 제2 사각몸체(141)의 상면이 외측 삽입체(131)의 선단면에 수평하게 되고,

    상기 제1 사각몸체(41)와 제2 사각몸체(141)의 상면 모서리에 측면으로 연장된 제1, 제2 피스 체결부(42, 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 체결부(42)는 내재홈 바닥면(32)에 접면 결합되고,
    상기 제2 피스 체결부(142)는 외측 삽입체(131)의 선단면에 접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집성 원목(100)과 제2 단위 집성 원목(200)은 외주면 형상의 원통형상 또는 사각통체 형상이며,

    내측 암결합구(40)의 최대 내경, 내측 숫결합구(140)의 최대 외경은 제1 단위 집성 원목(100)의 외경의 1/5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0150117204A 2015-08-20 2015-08-20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KR10159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04A KR101598761B1 (ko) 2015-08-20 2015-08-20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204A KR101598761B1 (ko) 2015-08-20 2015-08-20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761B1 true KR101598761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204A KR101598761B1 (ko) 2015-08-20 2015-08-20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7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52B1 (ko) * 2016-08-04 2017-01-09 대흥우드산업(주) 볼트 결합식 결구체를 갖는 수직기둥과 수평부재의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017419B1 (ko) 2018-04-05 2019-09-02 이치선 각관을 원터치 방식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094033B1 (ko) 2019-02-26 2020-03-26 유성하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학습용 부스
KR102094032B1 (ko) 2019-02-26 2020-03-26 유성하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목재 결합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3B1 (ko) * 2008-11-18 2009-11-27 대흥우드산업(주) 집성원목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7126U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보명 가로등주의 결합 지지장치
KR101255246B1 (ko) * 2013-02-07 2013-04-16 대흥우드산업(주) 금속 결구체가 구비된 집성원목 결합체, 및 조립식 정자 또는 한옥
KR101387362B1 (ko) * 2012-10-12 2014-04-21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3B1 (ko) * 2008-11-18 2009-11-27 대흥우드산업(주) 집성원목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7126U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보명 가로등주의 결합 지지장치
KR101387362B1 (ko) * 2012-10-12 2014-04-21 (주)제이에이치에너지 다단 구조의 신호등 또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조립형 지주
KR101255246B1 (ko) * 2013-02-07 2013-04-16 대흥우드산업(주) 금속 결구체가 구비된 집성원목 결합체, 및 조립식 정자 또는 한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52B1 (ko) * 2016-08-04 2017-01-09 대흥우드산업(주) 볼트 결합식 결구체를 갖는 수직기둥과 수평부재의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017419B1 (ko) 2018-04-05 2019-09-02 이치선 각관을 원터치 방식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094033B1 (ko) 2019-02-26 2020-03-26 유성하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학습용 부스
KR102094032B1 (ko) 2019-02-26 2020-03-26 유성하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목재 결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761B1 (ko)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US9003981B2 (en) Furniture connector and furniture using same
KR101456359B1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JP2014005587A (ja) 木材連結工法と連結木材パネル
KR102054232B1 (ko) 각파이프 연결부재
JP2014005694A (ja) コーチスクリューと、それを用いた連結具
CN106703195B (zh) 一种基于原竹骨架的梁柱刚性连接结构
JP5396663B2 (ja) 建材接続構造
KR200467871Y1 (ko)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CN204715685U (zh) 舞台地板
KR10136952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CN211421387U (zh) 一种棚式建筑物用的配件
CN110821923A (zh) 一种板式家具用燕尾榫连接结构
KR101506481B1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JP5191195B2 (ja) 家具天板の連結構造
CN203846614U (zh) 阳光房转角立柱与两侧斜梁及排水槽横梁的连接结构
JP6915807B2 (ja) 連結具
CN210397338U (zh) 板材平面拼接结构
KR20150058855A (ko) 기둥-기초 접합을 위한 목구조용 접합철물
CN216111617U (zh) 建材组合
KR102017419B1 (ko) 각관을 원터치 방식의 연결관으로 연결하는 집성 원목 결합체
KR102617433B1 (ko) 가구 조립용 원터치형 연결구
CN103981952A (zh) 一种阳光房转角立柱与两侧斜梁及排水槽横梁的连接结构
KR101691352B1 (ko) 볼트 결합식 결구체를 갖는 수직기둥과 수평부재의 집성 원목 결합체
WO2021132700A1 (ja) 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