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71Y1 -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7871Y1 KR200467871Y1 KR2020120007373U KR20120007373U KR200467871Y1 KR 200467871 Y1 KR200467871 Y1 KR 200467871Y1 KR 2020120007373 U KR2020120007373 U KR 2020120007373U KR 20120007373 U KR20120007373 U KR 20120007373U KR 200467871 Y1 KR200467871 Y1 KR 2004678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onnection
- flanges
- pipes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7—Racks or shelf units with frame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0—Metal corner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이너; 및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를 이용하여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원하는 각을 정확히 구현하며,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은, 관통공이 형성된 L빔 형상의 앵글들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볼트 및 너트를 손으로 양쪽에서 끼워 맞추어 가조립하고, 다시 별도의 조임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조립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양손으로 볼트와 너트를 잡고 조립하다 보면 너트를 분실하거나 볼트를 놓치기 쉽고, 두 개의 앵글 결합 각도를 일정하게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조립식 구조물의 전체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조립을 직접 하지 않고 전문업자에게 맡기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조립식 구조물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최근 사용량이 급증하는 DIY(Do it yourself) 가구 제작용으로는 사용이 적절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파이프를 이용하여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할 경우 대개 연결되는 부위를 용접하거나 전술한 앵글 등을 붙여 구성하고 있는 바, 공정이 번거롭고,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함에 따라 외부 미관을 해치며, 용접불량이나 앵글의 부설등에 의해 파이프 상호간의 정확한 각도(예를 들어 직각)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금속성 파이프 내지 금속성 앵글을 접합하기 위한 용접용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원형의 파이프 내지 사각 파이프, 90도로 절곡된 앵글과 같은 자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x, y, z 축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용접 연결부재(100,100')를 사용하여 원형의 파이프 내지 사각 형상 파이프(1)를 서로 결합시킨 것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접 연결부재(100,100')는 구조물의 외부로 상시 노출되므로 외부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용접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원하는 각을 정확히 구현하며,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조립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음매의 돌출이 없이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에 의해 원하는 각(직각)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이너; 및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 및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조이너;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너트 부재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 및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조이너;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순히 렌치볼트와 너트 부재에 조립함에 따라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되므로 파이프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쐐기 부재의 내측면이 연결 플랜지의 테이퍼진 형상에 매칭되게 서로 일직선 형태를 이루므로 이음매의 돌출이 없이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된다.
셋째,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원하는 각(직각)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금속성 파이프 내지 금속성 앵글을 접합하기 위한 용접용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조이너(200), 및 파이프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이너(200)에는 적어도 1개의 파이프(100)(110)(120)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조이너(200)에 결합된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0)(110)(120)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중공의 다각형상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이너(200)는, 바디부(210), 및 다수개의 연결 플랜지(220)(230)(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는, 상기 바디부(210)의 서로 인접하는 3개의 면,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면상 상기 바디부(210)의 상면 및 2개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1)의 단면이 상기 바디부(210)에 인접하는 일단에서 그 타단을 향하여 감소되도록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이너(2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32)(24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2)(242)는, 상기 바디부(210) 및 연결 플랜지(220)(230)(240)을 각각 관통,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210)의 일면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32)(242)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에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것이다.
한편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상기 조이너(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체결 부재(310),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310)는 상기 조이너(200),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다. 상기 체결 부재(310)로는, 렌치 볼트(wrench bol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310)는, 상기 바디부(210)에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다. 상기 체결 부재(3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너트 부재(320)는,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위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너트 부재(320)의 일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접촉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 부재(320)에는,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310)의 선단이 체결되는 체결공(322)이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공(322)은, 상기 너트 부재(32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32)(242)과 연통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3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310)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 부재(330)(34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에 위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에 접촉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과 접촉하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은, 각각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과 형합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는 삽입홈(332)(34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32)(342)은, 상기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너트 부재(3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파이프(100)(110)(120)의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연결 플랜지(220)(230)(2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연결 플랜지(22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상기 파이프(100)(110)(120)을 경사지게 기울임으로써,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의 선단 및 테이퍼진 면에 각각 위치된다. 물론, 서로 결합된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연결 플랜지(220)의 선단 및 테이퍼진 면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와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일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조이너(200), 실질적으로 관통공(232)(242)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에 체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310)의 선단이, 상기 너트 부재(320)의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너트 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너트 부재(320)가 바디부(210)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 부재(3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상기 조이너(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조이너(200)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양자의 용접이나 앵글 부설과 같은 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고정부(30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파이프(100)(110)(120) 및 조이너(200)의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조이너(400)가 바디부(410) 및 다수개의 연결 플랜지(420)(430)(4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10)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바디부(210)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에 1개의 테이퍼진 면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각기둥을 경사지게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기둥을 경사지게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이너(400)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관통공(5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522)의 선단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22)의 직경은, 후술할 제1부재(510)의 직경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100)(110)(120)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부(500)가 제1 및 제2부재(510)(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510)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체결 부재(310)와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재(520)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에 형합하는 테이퍼진 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부재(520)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와 형합하여 육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부재(520)는, 그 테이퍼진 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과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520)에는 체결공(5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22)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 및 제2부재(520)의 테이퍼진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522)과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공(522)에는, 상기 관통공(522)의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510)의 선단이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공(5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부재(5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제2부재(5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410)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520)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및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상기 조이너(4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110,120 : 파이프 200 : 조이너 본체부
210 : 몸체 220,230,240 : 연결 플랜지
300 : 파이프 고정부 310,320 : 쐐기 부재
330 : 너트 부재 340 : 체결 부재
210 : 몸체 220,230,240 : 연결 플랜지
300 : 파이프 고정부 310,320 : 쐐기 부재
330 : 너트 부재 340 : 체결 부재
Claims (10)
- 삭제
-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300)(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적어도 일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50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테이진 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플렌지(220)(230)(240)(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조이너(20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310);
상기 체결 부재(3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320); 및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330)(340); 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외면에 각각 접촉되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외면에 형합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바디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500)는,
상기 조이너(400)를 관통하는 제1부재(510); 및
상기 제1부재(51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520); 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2부재(520)의 일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에 형합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바디부(41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부재(5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41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32)(242)을 포함하는 조이너(200);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310);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310)에 체결되는 너트 부재(320); 및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330)(340);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너트 부재(3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420)(430)(440),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22)을 포함하는 조이너(200);
상기 관통공(522)을 관통하는 제1부재(510); 및
상기 관통공(52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부재(510)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5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제2부재(5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609 | 2012-05-02 | ||
KR20120003609 | 2012-05-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7871Y1 true KR200467871Y1 (ko) | 2013-07-08 |
Family
ID=5139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7373U KR200467871Y1 (ko) | 2012-05-02 | 2012-08-20 |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87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69954A (zh) * | 2018-08-31 | 2018-11-23 | 江苏科瑞恩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拼接式载重机架 |
CN109567387A (zh) * | 2019-01-10 | 2019-04-05 | 震旦(中国)有限公司 | 一种诊桌结构及诊桌的设备架 |
KR102570493B1 (ko) * | 2023-06-22 | 2023-08-23 | 최일주 | 파이프 연결 구조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2320A (ja) * | 2001-12-10 | 2003-06-20 | Sus Corp | プロファイルコネクタ |
-
2012
- 2012-08-20 KR KR2020120007373U patent/KR2004678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2320A (ja) * | 2001-12-10 | 2003-06-20 | Sus Corp | プロファイルコネクタ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69954A (zh) * | 2018-08-31 | 2018-11-23 | 江苏科瑞恩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拼接式载重机架 |
CN109567387A (zh) * | 2019-01-10 | 2019-04-05 | 震旦(中国)有限公司 | 一种诊桌结构及诊桌的设备架 |
CN109567387B (zh) * | 2019-01-10 | 2024-06-11 | 震旦(中国)有限公司 | 一种诊桌结构及诊桌的设备架 |
KR102570493B1 (ko) * | 2023-06-22 | 2023-08-23 | 최일주 | 파이프 연결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21433B1 (en) | Joining elements for channelled structural members | |
KR200467871Y1 (ko) |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
KR101456359B1 (ko) |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 |
JP2009085384A (ja) | 管継手 | |
JP2010281192A (ja) |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 |
KR20150088126A (ko) |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테넌 조인트 | |
JP6649922B2 (ja) | 接合金具セット、同接合金具セットを使用した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及び木造建築物 | |
JP3112549U (ja) | 建築用接合金具 | |
JP3168630U (ja) | 鉄筋接続器 | |
CN211421387U (zh) | 一种棚式建筑物用的配件 | |
US958316A (en) | Miter-joint for tubes. | |
JP2008064235A (ja) | フレームユニット及びフレーム装置 | |
KR20190082344A (ko) |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 |
JP3103189U (ja) | 管体の端部に結合し得る部材 | |
JP2000110129A (ja) | 外柵の接続具 | |
JP3113443U (ja) | カーポートの連結部材 | |
JP2020056431A (ja) | パイプジョイント | |
KR200480132Y1 (ko) |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부재 | |
KR200312369Y1 (ko) | 난간용 연결구 | |
JP3119315U (ja) | 木構構造用側接金物 | |
JP5486559B2 (ja) |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接合装置 | |
JP5437856B2 (ja) | 柱梁接合構造 | |
JPH0332185Y2 (ko) | ||
JP6847377B2 (ja) | 手摺り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695557B2 (ja) | 終端保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