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71Y1 -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71Y1
KR200467871Y1 KR2020120007373U KR20120007373U KR200467871Y1 KR 200467871 Y1 KR200467871 Y1 KR 200467871Y1 KR 2020120007373 U KR2020120007373 U KR 2020120007373U KR 20120007373 U KR20120007373 U KR 20120007373U KR 200467871 Y1 KR200467871 Y1 KR 200467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flanges
pipes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성
Original Assignee
이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성 filed Critical 이치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16B12/42Joints for furniture tubing connecting furniture tubing to non-tubula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47B47/027Racks or shelf units with fram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12/50Metal corner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이너; 및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Connecting assembly for angle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를 이용하여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원하는 각을 정확히 구현하며,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은, 관통공이 형성된 L빔 형상의 앵글들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볼트 및 너트를 손으로 양쪽에서 끼워 맞추어 가조립하고, 다시 별도의 조임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조립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양손으로 볼트와 너트를 잡고 조립하다 보면 너트를 분실하거나 볼트를 놓치기 쉽고, 두 개의 앵글 결합 각도를 일정하게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조립식 구조물의 전체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조립을 직접 하지 않고 전문업자에게 맡기는 실정이다. 즉, 종래의 조립식 구조물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최근 사용량이 급증하는 DIY(Do it yourself) 가구 제작용으로는 사용이 적절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편, 파이프를 이용하여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할 경우 대개 연결되는 부위를 용접하거나 전술한 앵글 등을 붙여 구성하고 있는 바, 공정이 번거롭고,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함에 따라 외부 미관을 해치며, 용접불량이나 앵글의 부설등에 의해 파이프 상호간의 정확한 각도(예를 들어 직각)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금속성 파이프 내지 금속성 앵글을 접합하기 위한 용접용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원형의 파이프 내지 사각 파이프, 90도로 절곡된 앵글과 같은 자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x, y, z 축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용접 연결부재(100,100')를 사용하여 원형의 파이프 내지 사각 형상 파이프(1)를 서로 결합시킨 것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접 연결부재(100,100')는 구조물의 외부로 상시 노출되므로 외부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용접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원하는 각을 정확히 구현하며,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조립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11293호(2010. 02. 03), 배경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84971호(2005. 05. 16),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도 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음매의 돌출이 없이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에 의해 원하는 각(직각)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이너; 및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 및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조이너;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너트 부재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 및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조이너;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1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순히 렌치볼트와 너트 부재에 조립함에 따라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되므로 파이프의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고, 조임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쐐기 부재의 내측면이 연결 플랜지의 테이퍼진 형상에 매칭되게 서로 일직선 형태를 이루므로 이음매의 돌출이 없이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된다.
셋째, 파이프가 조이너 본체부에 밀착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를 가지므로 원하는 각(직각)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금속성 파이프 내지 금속성 앵글을 접합하기 위한 용접용 연결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조이너(200), 및 파이프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이너(200)에는 적어도 1개의 파이프(100)(110)(120)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조이너(200)에 결합된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0)(110)(120)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중공의 다각형상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이너(200)는, 바디부(210), 및 다수개의 연결 플랜지(220)(230)(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는, 상기 바디부(210)의 서로 인접하는 3개의 면,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면상 상기 바디부(210)의 상면 및 2개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1)의 단면이 상기 바디부(210)에 인접하는 일단에서 그 타단을 향하여 감소되도록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이너(20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32)(24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32)(242)는, 상기 바디부(210) 및 연결 플랜지(220)(230)(240)을 각각 관통,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210)의 일면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32)(242)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에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것이다.
한편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상기 조이너(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체결 부재(310),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 부재(310)는 상기 조이너(200),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다. 상기 체결 부재(310)로는, 렌치 볼트(wrench bol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310)는, 상기 바디부(210)에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다. 상기 체결 부재(3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너트 부재(320)는,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위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너트 부재(320)의 일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접촉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 부재(320)에는, 상기 관통공(232)(242)를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310)의 선단이 체결되는 체결공(322)이 각각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공(322)은, 상기 너트 부재(32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32)(242)과 연통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3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310)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 부재(330)(34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에 각각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에 위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에 접촉 또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과 접촉하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은, 각각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2개의 면과 형합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는 삽입홈(332)(34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32)(342)은, 상기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너트 부재(32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파이프(100)(110)(120)의 일단부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연결 플랜지(220)(230)(240)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연결 플랜지(22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상기 파이프(100)(110)(120)을 경사지게 기울임으로써,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의 선단 및 테이퍼진 면에 각각 위치된다. 물론, 서로 결합된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연결 플랜지(220)의 선단 및 테이퍼진 면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와 상기 너트 부재(320) 및 쐐기 부재(330)(340)를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일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삽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 부재(310)가 조이너(200), 실질적으로 관통공(232)(242)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에 체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310)의 선단이, 상기 너트 부재(320)의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너트 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면, 상기 너트 부재(320)가 바디부(210)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 부재(32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쐐기 부재(330)(340)에 의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상기 조이너(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이프(100)(110)(120)를 조이너(200)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양자의 용접이나 앵글 부설과 같은 공정이 삭제됨으로써,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 고정부(300)가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파이프(100)(110)(120) 및 조이너(200)의 연결 부위가 매끄럽게 되어 외부 미관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조이너(400)가 바디부(410) 및 다수개의 연결 플랜지(420)(430)(4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10)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바디부(210)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에 1개의 테이퍼진 면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각기둥을 경사지게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기둥을 경사지게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이너(400)에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관통공(5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522)의 선단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22)의 직경은, 후술할 제1부재(510)의 직경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100)(110)(120)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 고정부(500)가 제1 및 제2부재(510)(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510)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체결 부재(310)와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부재(520)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에 형합하는 테이퍼진 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부재(520)는,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와 형합하여 육각기둥 또는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부재(520)는, 그 테이퍼진 면이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과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520)에는 체결공(5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22)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 및 제2부재(520)의 테이퍼진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522)과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공(522)에는, 상기 관통공(522)의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510)의 선단이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공(5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부재(5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제2부재(5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410)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520)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및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상기 조이너(4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110,120 : 파이프 200 : 조이너 본체부
210 : 몸체 220,230,240 : 연결 플랜지
300 : 파이프 고정부 310,320 : 쐐기 부재
330 : 너트 부재 340 : 체결 부재

Claims (10)

  1. 삭제
  2.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300)(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적어도 일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500)는,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테이진 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플렌지(220)(230)(240)(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3.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300)는,
    상기 조이너(20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310);
    상기 체결 부재(3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부재(320); 및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330)(340); 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외면에 각각 접촉되는 상기 쐐기 부재(330)(340)의 일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테이퍼진 외면에 형합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바디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 부재(3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21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6. 바디부(210)(410), 및 상기 바디부(210)(410)의 외면에 구비되고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를 포함하는 조이너(200)(400); 및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조이너(200)(40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파이프 고정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고정부(500)는,
    상기 조이너(400)를 관통하는 제1부재(510); 및
    상기 제1부재(51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520); 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은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2부재(520)의 일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테이퍼진 일면에 형합되게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바디부(41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부재(520)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을 따라서 상기 바디부(410)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9.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220)(230)(240),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32)(242)을 포함하는 조이너(200);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310);
    상기 관통공(232)(24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 부재(310)에 체결되는 너트 부재(320); 및
    상기 너트 부재(3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쐐기 부재(330)(340);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310)가 상기 너트 부재(3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쐐기 부재(330)(340)가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10. 파이프(100)(110)(120)의 단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플랜지(420)(430)(440),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22)을 포함하는 조이너(200);
    상기 관통공(522)을 관통하는 제1부재(510); 및
    상기 관통공(52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플랜지(220)(230)(240)의 선단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부재(510)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일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에 각각 접촉되는 1개의 제2부재(5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510)가 상기 제2부재(5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재(520)가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플랜지(420)(430)(440)의 외면 및 상기 파이프(100)(110)(120)의 내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KR2020120007373U 2012-05-02 2012-08-20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KR2004678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09 2012-05-02
KR20120003609 2012-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871Y1 true KR200467871Y1 (ko) 2013-07-08

Family

ID=5139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73U KR200467871Y1 (ko) 2012-05-02 2012-08-20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9954A (zh) * 2018-08-31 2018-11-23 江苏科瑞恩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载重机架
CN109567387A (zh) * 2019-01-10 2019-04-05 震旦(中国)有限公司 一种诊桌结构及诊桌的设备架
KR102570493B1 (ko) * 2023-06-22 2023-08-23 최일주 파이프 연결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320A (ja) * 2001-12-10 2003-06-20 Sus Corp プロファイ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2320A (ja) * 2001-12-10 2003-06-20 Sus Corp プロファイル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9954A (zh) * 2018-08-31 2018-11-23 江苏科瑞恩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式载重机架
CN109567387A (zh) * 2019-01-10 2019-04-05 震旦(中国)有限公司 一种诊桌结构及诊桌的设备架
KR102570493B1 (ko) * 2023-06-22 2023-08-23 최일주 파이프 연결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1433B1 (en) Joining elements for channelled structural members
KR200467871Y1 (ko) 파이프 연결용 조립체
KR101456359B1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KR101598761B1 (ko)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JP2010281192A (ja)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JP6649922B2 (ja) 接合金具セット、同接合金具セットを使用した木造建築物の構造躯体の接合構造及び木造建築物
JP3112549U (ja) 建築用接合金具
CN211421387U (zh) 一种棚式建筑物用的配件
US958316A (en) Miter-joint for tubes.
JP2008064235A (ja) フレームユニット及びフレーム装置
KR20190082344A (ko)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20150088126A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테넌 조인트
JP3103189U (ja) 管体の端部に結合し得る部材
JP2000110129A (ja) 外柵の接続具
JP3113443U (ja) カーポートの連結部材
JP2020056431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RU160307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филей и профильных труб
KR200312369Y1 (ko) 난간용 연결구
JP3119315U (ja) 木構構造用側接金物
JP5437856B2 (ja) 柱梁接合構造
JPH0332185Y2 (ko)
JP6847377B2 (ja) 手摺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47378B2 (ja) 構築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6695557B2 (ja) 終端保持具
KR101041029B1 (ko) 와샤너트 및 그 와샤너트의 설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