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709B1 -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709B1
KR102061709B1 KR1020190066829A KR20190066829A KR102061709B1 KR 102061709 B1 KR102061709 B1 KR 102061709B1 KR 1020190066829 A KR1020190066829 A KR 1020190066829A KR 20190066829 A KR20190066829 A KR 20190066829A KR 102061709 B1 KR102061709 B1 KR 10206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vertical frame
coupled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필 filed Critical 정종필
Priority to KR102019006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6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hree-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는,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일단이 수직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 하부프레임은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전체적으로 'ㄱ'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 내측면에 볼트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일단 내측에 끼워져 볼트 체결된다.

Description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TABLE FRAM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식탁, 실험실 실험대 등과 같은 테이블은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서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험실 실험대의 경우에는 무거운 장비를 올려두어야 하는 사정상 대부분 금속제 프레임이 사용된다. 이때, 상판은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의 프레임으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직선 프레임 4개의 단부를 서로 맞붙여 사각형태로 배열한 후 용접을 하여 지지 프레임을 제작하였고,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도 용접으로 부착시켰다.
이에 따라, 별도의 용접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발생하고, 용접시 열변형으로 인한 뒤틀림 및 치수변경이 발생하며, 용접의 흔적이 남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상공정에 의하더라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 후 결함이 생기면 프레임 전체를 폐기해야 하고, 상하 및 좌우 편차로 인해 프레임 사이에 패널을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작업 시간도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장에서 용접을 한 완제품을 납품하여야 하므로 운반상 어려움과 운반시 제품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68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용접에 의하지 않고 조립 및 분리 가능한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시 결합력이 견고한 테이블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완료시 외관이 미려한 테이블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일단이 수직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 하부프레임은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전체적으로 'ㄱ'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 내측면에 볼트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일단 내측에 끼워져 볼트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보다 돌출되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거나, 수직프레임의 하단보다 돌출되어 하부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프레임의 상단 부근 또는 하단 부근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끼움홈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가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은,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공구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구 삽입홀에 삽입되어 외관을 마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은, (a)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b)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상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c)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및 (d)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지 않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끼움프레임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에 의하면, 프레임들이 공구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 공구에 의해 나사 결합되므로,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결합/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들이 연결브라켓에 의해 나사결합됨으로써 용접에 의하지 않아 프레임에 열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움프레임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수평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에서 끼움프레임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100)는, 테이블 상판(110)과, 테이블 상판(110)을 지지하도록 테이블 상판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20)과, 상단이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30)과, 수직프레임(130)의 하단과 일측단이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테이블 상판(110)은 목재, 세라믹, 페놀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 가능하고, 책상이나 식탁, 실험실 실험대 등과 같은 물건을 두거나 실험을 위한 받침대로 활용된다. 그리고 테이블 상판(110)을 지지하는 테이블 프레임(100)은 무거운 장비를 올려둘 수 있는 금속제 프레임이 사용된다.
상부프레임(120)은, 3개로 구성된 프레임들(120a,120b,120c)의 끝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 형태로 배치된다. 상부프레임(120)은 프레임(120b)의 양 끝단에 2개의 프레임(120a,120c)을 각각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하부프레임(140)은, 상부프레임(120)과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부프레임(120)과 대응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형태로 배치된다. 하부프레임(140)은 3개로 구성된 프레임들(140a,140b,140c)이 결합됨으로써 상부프레임(120)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부프레임(140)은 프레임(140b)의 양 끝단에 2개의 프레임(140a,140c)을 각각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40)은 대략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수직프레임(130)은 그 상단이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부프레임(140)과 결합됨으로써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40)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수직프레임(130)은 2개로 구성된 프레임들(130a,130b)로 구성되고, 프레임(130a)의 일측 끝단은 상부프레임(120a,120b)에 결합되고, 프레임(130a)의 다른 측 끝단은 하부프레임(140a,140b)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프레임(130b)의 일측 끝단은 상부프레임(120b,120c)에 결합되고, 프레임(130b)의 다른측 끝단은 하부프레임(140b,140c)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20)과의 연결부, 수직프레임(130)과 하부프레임(140)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연결브라켓(170)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있다.
연결브라켓(170)은 상부프레임(120b)의 일측 끝단과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 끝단을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연결브라켓(180)은, 후술되는 도 4를 참조하면, 상부프레임(120a)의 일측 끝단과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연결브라켓(170)은 모든 프레임들의 결합위치에서 두개의 프레임들의 결합을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도면 상에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결합위치에는 모두 프레임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이 나사 결합되어진다.
즉, 수직프레임(130a)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40a)의 일측 끝단과 하부프레임(140b)의 일측 끝단에도 각각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수직프레임(130b)의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120c)의 일측 끝단과 상부프레임(120b)의 일측 끝단에도 각각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프레임(130b)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40b)의 일측 끝단과 하부프레임(140c)의 일측 끝단에도 각각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테이블 프레임(100)에 사용되는 프레임들은 중공 사각 파이프로 각 파이프의 일측면에 다른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브라켓을 나사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 프레임(100)에 사용되는 프레임들은 프레임들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테이블 상판(110)의 지지를 적합하도록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공 사각 파이프 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또는 팔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고 있는 도 2에서는 상부프레임(120), 수직프레임(130), 하부프레임(140)은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있고,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수직프레임(130a)의 중공 사각 파이프를 오픈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수직프레임(130a)은 중공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단 일측면에 연결브라켓(170)을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b)의 끝단과 결합하고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30a)은 끝단 제2측면에 연결브라켓(180)을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a)의 끝단과 결합하고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30a)에 연결브라켓(170)이 장착되는 일측면(130a', 도 3에 도시)과 수직프레임(130a)에 연결브라켓(180)이 장착되는 다른 측면(130a", 도 3에 도시)은 서로 인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30)의 상단이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하부프레임(140) 일단이 수직프레임(130)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테이블 프레임(1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30), 또는 수직프레임(130)과 하부프레임(140)은 연결브라켓(170)에 의해서 볼트 결합된다.
한편,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40)의 개방부에는 끼움프레임(150)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된 후 측면에서 보면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40), 끼움프레임(150)은 대략 'ㅁ'형태를 이룬다.
끼움프레임(15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100)과는 별개의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끼움프레임(150)은 후술되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40)에 끼워지거나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끼움프레임(150)은 플라스틱의 재질이나, 가벼운 스텐레스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고, 상부프레임(120) 상단의 테이블 상판(110)을 지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160은 테이블 프레임장치(100)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마감하기 위한 배면프레임이다. 상기 배면프레임은 양측 수직프레임(130)에 "ㄷ" 형상으로 삽입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수직프레임과 배면프레임(16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실험을 위한 전선, 배수 등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면프레임은 끼움프레임과 유사한 재질로 구성 가능하다.
다음은 연결브라켓(170)과 프레임들과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수평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브라켓(170)은 전체적으로 'ㄱ'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70b)와 수직부재(170a)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170a)는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 내측면에 나사구(170c)를 통해서 볼트(170e)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는 상부프레임(120b)의 일단 내측에 끼워져 나사구(170f)를 통해서 볼트(170g) 체결된다.
이때 수직프레임의 일측면(130a')의 상단에는 끼움홈(170d)이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가 상기 끼움홈(170d)을 통해서 상부프레임(120b)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 부근의 일측면(130a')이 절개되어 끼움홈(170d)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가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부프레임(120b)의 내측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브라켓(180)도 'ㄱ'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80b)와 수직부재(180a)로 구성되어서,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180a)는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면(130a")에 볼트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80b)는 끼움홈(180d)을 통해서 상부프레임(120a)의 일단 내측으로 끼워져서 볼트 체결된다.
따라서 이 경우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 부근의 일측면(130a")이 절개되어 끼움홈(180d)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80b)가 끼움홈(180d)에 삽입되어 상부프레임(120a)의 내측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 끝단에는 상부프레임(120b)와 결합을 위한 연결브라켓(170)과, 상부프레임(120a)와 결합을 위한 연결브라켓(180)이 구성된다. 이때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170a)는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 내측면(130a')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180a)도 수직프레임(130a)의 일측 내측면(130a")에 결합되고 있다. 즉, 양 연결브라켓(170,180)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130a)의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130a',130a")에 각각 결합하고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30a)은,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130a")과 대향되는 면에 공구 삽입홀(19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프레임(130a)의 외부에서 공구 삽입홀(190)을 통해서 공구를 삽입하고, 연결브라켓(180)의 볼트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공구 삽입홀(190)에 삽입되어 외관을 마감하는 덮개(195)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연결브라켓을 이용한 프레임들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모든 프레임들의 결합위치에서 앞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는,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보다 돌출되어 상부프레임(120b)의 외측으로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수직프레임(130a)의 하단보다 돌출되어 하부프레임(140a)의 외측으로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즉, 수직프레임의 상단 일측면(130a')에 끼움홈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가 상단프레임(120b)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볼트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수직프레임(130a)의 하단 일측면에 끼움홈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가 하단프레임(140b)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볼트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보다 돌출되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거나 수직프레임의 하단보다 돌출되어 하부프레임과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연결브라켓을 이용한 프레임들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모든 프레임들의 결합위치에서 앞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은, (a)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b)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상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c)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상부프레임(120)으로 구성할 세개의 프레임(120a,120b,120c), 수직프레임(130)으로 구성할 두개의 프레임(130a,130b), 하부프레임(140)으로 구성할 세개의 프레임(140a,140b,140c)을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170)을 8개 준비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연결브라켓과 각 프레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충분한 볼트를 준비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170a)를 볼트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170b)를 상부프레임(120a,120b)에 각각 볼트 결합하여, 수직프레임(130a)의 상단 일측에 연결브라켓(170)을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a,120b)와 결합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30b)의 상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볼트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를 상부프레임(120b,120c)에 각각 볼트 결합하여, 수직프레임(130b)의 상단 일측에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b,120c)와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수직프레임(130a)의 하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볼트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를 하부프레임(140a,140b)에 각각 볼트 결합하여, 수직프레임(130a)의 하단 일측에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40a,140b)와 결합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30b)의 하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볼트 결합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를 하부프레임(140b,140c)에 각각 볼트 결합하여, 수직프레임(130b)의 하단 일측에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하부프레임(140b,140c)와 결합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70)을 수직프레임(130), 상부프레임(120) 그리고 하부프레임(140)에 결합할 때, 수직프레임(130a)의 외부에서 공구 삽입홀(190)을 통해서 공구를 삽입하고, 연결브라켓의 볼트 체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든 테이블 프레임(100)이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결합이 완료되면,, 공구 삽입홀(190)에 덮개(195)를 삽입하여, 외관을 마감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에서 끼움프레임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은, (a)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공구 삽입홀에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b) 수직프레임의 상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상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c)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와 하부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및 (d)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지 않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끼움프레임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방법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20)와 하부프레임(140) 사이에 끼움프레임(150)을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테이블 상판(110)의 지지를 돕도록 한다.
끼움프레임(150)은, "ㄷ"형상으로 완성된 테이블 프레임에 상부프레임(120a)와 하부프레임(140a) 사이에 삽입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끼움프레임은 상부프레임(120c)와 하부프레임(140c) 사이에 삽입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앞서 설명되고 있는 테이블 프레임은 "ㄷ"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ㅁ" 형상으로 테이블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20)을 구성하고,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하부프레임(140)을 구성한다. 그리고 4개의 프레임을 수직프레임(130)으로 이용하여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40) 사이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테이블 프레임 110 : 테이블 상판
120 : 상부프레임 130 : 수직프레임
140 : 하부프레임 150 : 끼움프레임

Claims (7)

  1.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일단이 수직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 하부프레임은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전체적으로 'ㄱ'형태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 또는 하단 내측면에 볼트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일단 내측에 끼워져 볼트 체결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보다 돌출되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거나,
    수직프레임의 하단보다 돌출되어 하부프레임과 결합되고,
    수직프레임의 상단 부근 또는 하단 부근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끼움홈이 형성되고,
    연결브라켓의 수평부재가 끼움홈에 삽입되어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과 결합되고,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는,
    수직프레임의 서로 수직인 인접한 2개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프레임은,
    연결브라켓의 수직부재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공구 삽입홀이 형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공구 삽입홀에 삽입되어 외관을 마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66829A 2019-06-05 2019-06-05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06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29A KR102061709B1 (ko) 2019-06-05 2019-06-05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829A KR102061709B1 (ko) 2019-06-05 2019-06-05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709B1 true KR102061709B1 (ko) 2020-01-02

Family

ID=6915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829A KR102061709B1 (ko) 2019-06-05 2019-06-05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7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940B1 (ko) * 2020-07-06 2020-10-05 (주)그린오피스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200492567Y1 (ko)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20220057105A (ko) 2020-10-29 2022-05-09 임대용 테이블 프레임 연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67Y1 (ko) * 2020-05-20 2020-11-05 주식회사 나이스인퍼스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2161940B1 (ko) * 2020-07-06 2020-10-05 (주)그린오피스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20220005375A (ko) * 2020-07-06 2022-01-13 (주)그린오피스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102367050B1 (ko) * 2020-07-06 2022-02-25 (주)그린오피스 모니터의 수납이 가능한 책상
KR20220057105A (ko) 2020-10-29 2022-05-09 임대용 테이블 프레임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709B1 (ko)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458745B1 (ko)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JPS63285308A (ja) 四角錘状フレーム部材を結合するためのコーナーブロック
JPH05219612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組み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US20060225378A1 (en) Connection block with bar-adapting trenches for adapting and holding framing bars at fixed orientations
KR20200062017A (ko) 조립식 가구
KR101875895B1 (ko) 간편한 조립구조 및 이중 밀폐기능을 갖춘 납골안치단
JP3737507B1 (ja) 組立て構造
KR101654110B1 (ko) 파티션 연결장치
JP6562538B2 (ja) デスク装置
KR101675922B1 (ko) 테이블 다리용 결착구
KR101224244B1 (ko)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조
KR200493874Y1 (ko) 조립식 거치대 및 칸막이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150045279A (ko) 사무실 파티션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무실 파티션
KR102398781B1 (ko) 테이블 프레임 장치
KR102118686B1 (ko)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20170001736U (ko) 작업대의 선반 조립 구조
JP2017051401A (ja) 組立棚
KR20070059800A (ko) 텔레비젼 거치대
JP6666812B2 (ja) 建物ユニットの天井パネル取付け方法
JP2015195945A (ja) 展示ケース
JP6711593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0482702Y1 (ko) 탈착식 테이블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