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781B1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 프레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8781B1 KR102398781B1 KR1020210140553A KR20210140553A KR102398781B1 KR 102398781 B1 KR102398781 B1 KR 102398781B1 KR 1020210140553 A KR1020210140553 A KR 1020210140553A KR 20210140553 A KR20210140553 A KR 20210140553A KR 102398781 B1 KR102398781 B1 KR 1023987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rizontal member
- vertical
- vertical frame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은 각각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재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 체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식탁, 실험실 실험대 등과 같은 테이블은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상판 하부에서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험실 실험대의 경우에는 무거운 장비를 올려두어야 하는 사정상 대부분 금속제 프레임이 사용된다. 이때, 상판은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테이블의 프레임으로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직선 프레임 4개의 단부를 서로 맞붙여 사각형태로 배열한 후 용접을 하여 지지 프레임을 제작하였고, 지지 프레임과 다리 프레임도 용접으로 부착시켰다.
이에 따라, 별도의 용접 지그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발생하고, 용접시 열변형으로 인한 뒤틀림 및 치수변경이 발생하며, 용접의 흔적이 남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상공정에 의하더라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 후 결함이 생기면 프레임 전체를 폐기해야 하고, 상하 및 좌우 편차로 인해 프레임 사이에 패널을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작업 시간도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며, 작업장에서 용접을 한 완제품을 납품하여야 하므로 운반상 어려움과 운반시 제품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시 결합력이 견고한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완료시 외관이 미려한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는,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은 각각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재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 체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가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의 폭은 수직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연결브라켓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의 폭은 수직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체결 가이드 홈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가 더 포함되고, 하부지지부는, 하부에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부에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되되, 끼움부는 사각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다른 대향하는 두 모서리는 끼움부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 후 정지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사각 중공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킴으로써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테이블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 연결브라켓에 의해 체결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이 벤딩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브라켓에 체결방향을 따라 연장된 체결 가이드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체결 작업시 체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원할하게 수행되며 결합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위치로 보다 정확하고 빨리 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서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구비된 하부지지부가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서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구비된 하부지지부가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서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100)는, 테이블 상판(미도시)을 지지하도록 테이블 상판(미도시)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20)과, 상단이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20) 및 수직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50)과, 수직프레임(13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140)를 포함한다.
테이블 상판(미도시)은 목재, 세라믹, 페놀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 가능하고, 책상이나 식탁, 실험실 실험대 등과 같은 물건을 두거나 실험을 위한 받침대로 활용된다.
상부프레임(12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4개로 구성된 프레임(120)들의 끝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대략 'ㅁ'형태의 사각형으로 배치되어 테이블 상판(미도시)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프레임(13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이 상부프레임(120)과 결합되며, 상부프레임(120)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30)의 하단은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하부지지부(140)이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100)은, 수직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20)과의 연결부에 연결브라켓(150)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프레임들을 체결하도록 한다.
연결브라켓(150)은, 상부프레임(120)의 일측 끝단과 수직프레임(130)의 상단을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1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53)와, 수직부재(153)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재(151) 및 하부 수평부재(157)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ㄷ'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테이블 상판(미도시)의 자중에 의한 벤딩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브라켓(150)의 수직부재(153)는, 체결볼트(180)에 의해 수직프레임(130)과 체결된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30)은, 연결브라켓(150)의 수직부재(153)가 결합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공구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프레임(130)의 외부에서 공구 삽입홀을 통해서 공구를 삽입하여 연결브라켓(150)의 체결볼트(18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구 삽입홀에 삽입되어 외관을 마감하는 덮개(190)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연결브라켓(150)의 수직부재(153)는, 전술한 체결볼트(180)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에 의해 수직프레임(130)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공구 삽입홀 및 덮개(190)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 마련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결합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30)과 연결브라켓(150)이 체결된 이후 공구 삽입홀이나 덮개(190)가 구비되지 않아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부 수평부재(151)와 하부 수평부재(157)는, 그 폭이 수직프레임(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30)의 중공부에 연결브라켓(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150)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120)의 폭은 수직프레임(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평부재(151)와 하부 수평부재(157)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지만, 자유단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끼움 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격거리의 감소폭은 크지 않아야 하며, 특히 상부 수평부재(151)는 체결되는 상부프레임(12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150)의 상부 수평부재(151)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120) 체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가이드 홈부(15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가이드 홈부(151a)에는 볼트(17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51b)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에는 상기 체결홀(151b)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미도시)가 형성되어 볼트(170)가 관통홀(미도시)와 체결홀(151b)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20)에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게 되면 관통홀(미도시)의 하단부 주위에는 관통 절삭작업으로 인해 하방 돌출된 잔재물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미도시) 주위도 관통 절삭시 발생된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부프레임(1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 잔재물 및 관통홀(미도시) 주위가 체결 가이드 홈부(151a)를 따라 안내되며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끼움작업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며 연결브라켓(150)을 손상시킬 수 있는 돌출 잔재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체결 가이드 홈부(151a)를 따라 안내되는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없이 돌출 잔재물과 관통홀(미도시) 주위가 돌출부로써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 가이드 홈부(151a)는 벤딩 보강부로 기능하게 되어 상부 수평부재(151)의 벤딩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상부 수평부재(151) 및 하부 수평부재(157)의 자유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프레임(120)에 끼워질 때 상부프레임(120) 내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브라켓(150)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120)의 폭은 수직프레임(1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각각 소정간격(G1,G2)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데, 결과적으로 수직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20)이 연결브라켓(15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120)이 수직프레임(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모서리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데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장치에 구비된 하부지지부가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지지부(140)는 수직프레임(130)의 하단에 결합되는데, 하부지지부(140)는, 하부에 지지부재(141)가 배치되고, 상부에 수직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끼움부(143)가 구비된다.
지지부재(141)는, 소정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움부(143)는, 사각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수직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143)은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의 다른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수직프레임(130)의 사각 중공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단턱부(143a)가 형성되어 끼움부(143)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 후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지부재(141)와 끼움부(143)는 나사(142)로 체결되어 지지부재(14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테이블 프레임 장치
120: 상부프레임
130: 수직프레임
140: 하부지지부
141: 지지부재
143: 끼움부
150: 연결브라켓
151: 상부 수평부재
153: 수직부재
157: 하부 수평부재
120: 상부프레임
130: 수직프레임
140: 하부지지부
141: 지지부재
143: 끼움부
150: 연결브라켓
151: 상부 수평부재
153: 수직부재
157: 하부 수평부재
Claims (3)
- 4개의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단이 상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부프레임, 수직프레임은 각각 중공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고,
연결브라켓은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ㄷ'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재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프레임 체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체결 가이드 홈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에는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의 폭은 수직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연결브라켓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의 폭은 수직프레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이격거리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며, 상부 수평부재는 체결되는 상부프레임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부가 더 포함되고,
하부지지부는,
하부에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부에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수직프레임의 내부공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끼움부가 구비되되,
끼움부는 사각형의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다른 대향하는 두 모서리는 끼움부가 소정 길이만큼 삽입 후 정지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사각 중공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0553A KR102398781B1 (ko) | 2021-10-20 | 2021-10-20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0553A KR102398781B1 (ko) | 2021-10-20 | 2021-10-20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8781B1 true KR102398781B1 (ko) | 2022-05-16 |
Family
ID=8179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0553A KR102398781B1 (ko) | 2021-10-20 | 2021-10-20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878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9415A (ja) * | 1993-06-01 | 1994-12-13 | Kokuyo Co Ltd | アジャスタ取付構造 |
KR101101395B1 (ko) * | 2011-01-26 | 2012-01-02 | 주식회사 애니퍼스 | 사무용책상의 프레임 연결구 |
KR101734681B1 (ko) | 2015-09-25 | 2017-05-11 | 최석기 |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
KR101893732B1 (ko) * | 2018-03-30 | 2018-10-04 | 이정복 |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
-
2021
- 2021-10-20 KR KR1020210140553A patent/KR1023987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39415A (ja) * | 1993-06-01 | 1994-12-13 | Kokuyo Co Ltd | アジャスタ取付構造 |
KR101101395B1 (ko) * | 2011-01-26 | 2012-01-02 | 주식회사 애니퍼스 | 사무용책상의 프레임 연결구 |
KR101734681B1 (ko) | 2015-09-25 | 2017-05-11 | 최석기 |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
KR101893732B1 (ko) * | 2018-03-30 | 2018-10-04 | 이정복 |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529881B (zh) | 用于桌的桌架 | |
KR101458745B1 (ko) |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 |
KR101397547B1 (ko) | 조립이 용이한 가구 | |
KR102061709B1 (ko) |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 |
KR20110057290A (ko) | 테이블 | |
US20180080489A1 (en) | Furniture assembly bracket, self-assembly furniture using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
KR102398781B1 (ko)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
KR102196132B1 (ko) | 조립식 작업대 | |
KR101212818B1 (ko) | 가구 | |
KR101380674B1 (ko) | 테이블다리 | |
KR101224244B1 (ko) |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조 | |
JP3737507B1 (ja) | 組立て構造 | |
KR101379311B1 (ko) | 테이블다리 | |
US2943898A (en) | Sheet metal table having hollow end panels supporting the table top | |
US2901301A (en) | Work bench including leg and frame construction | |
KR20240081972A (ko) | 테이블 프레임 장치 | |
EP3903644B1 (en) | Sofa backrest connecting structure and sofa assembly | |
CN211984287U (zh) | 一种分体式桌脚架结构 | |
JP7239888B2 (ja) | 治具 | |
KR20130104040A (ko) | 책상 | |
JP2012024732A (ja) | 化粧板の交換が可能な実験台および化粧板の固定方法 | |
CN221416359U (zh) | 一种测量用的固定夹具 | |
CN211487776U (zh) | 学校实验室教学用的实验操作台 | |
US20230061065A1 (en) | Retaining clip for securing a wall element of an item of furniture to a furniture structure and item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retaining clip | |
JP6595214B2 (ja) | 天板付き什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