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32B1 -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32B1
KR101893732B1 KR1020180037729A KR20180037729A KR101893732B1 KR 101893732 B1 KR101893732 B1 KR 101893732B1 KR 1020180037729 A KR1020180037729 A KR 1020180037729A KR 20180037729 A KR20180037729 A KR 20180037729A KR 101893732 B1 KR101893732 B1 KR 10189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frame
fasten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8003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32B1/ko
Priority to CN201980009341.6A priority patent/CN111683564B/zh
Priority to PCT/KR2019/000845 priority patent/WO20191469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와 제2 프레임 부재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3 프레임 부재에 각각 체결하여 상기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성능을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말단부에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11, 12, 21, 22)이 대향되게 구비된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되며,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결합공(46)이 구비된, 삽입 보강브라켓(40);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1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 관통공(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되고,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2 관통공(3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와 결합되는 제3 프레임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abl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와 제2 프레임 부재를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3 프레임 부재에 각각 체결하여 상기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성능을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책상 및 사무용 가구, 식탁용 가구, 작업대, 전시대 등으로 널리 쓰이는 구조물로서,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어셈블리는 길이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이 전체 테이블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길이부재로 목재가 채용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가 많이 사용되며, 상판으로는 목재, 합성수지, 유리 등이 사용된다.
이렇게 프레임 어셈블리의 길이부재로 금속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갖는 관형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하는데, 이때 견고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 구조를 채용하거나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추가적인 프레임 부재를 외적으로 부가하여 보강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용접을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이용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견고한 결합을 얻을 수는 있으나 별도의 용접 지그가 필요하여 비용이 발생하고 용접시 열변형으로 인한 뒤틀림 및 치수변경 등의 문제와 용접의 흔적이 외관 성능을 낮추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프레임 부재들 사이에 추가적인 프레임 부재를 외적으로 부가하여 보강하는 방식은 기존 프레임 부재들에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추가되는 프레임 부재에 의한 재료비와 체결작업 소요시간 등이 상승되며 체결구조가 복잡하여 여전히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용접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견고한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작업자가 테이블 프레임의 조립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간편한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9874호(2015.03.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한 작업으로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성능이 확보된 우수한 결합부로 구성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결합부의 체결력을 지지하는 관형부재에 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 및 체결력을 더욱 보강하고자 한다.
또한,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외관성능 등을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더불어, 결합부에서 하중전달 분포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부의 구조 성능을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말단부에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11, 12, 21, 22)이 대향되게 구비된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되며,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결합공(46)이 구비된, 삽입 보강브라켓(40);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1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 관통공(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되고,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2 관통공(3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와 결합되는 제3 프레임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70)는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의 상기 제1 관통공(31) 또는 제2 관통공(32) 측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되고,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상기 구멍(11, 12; 또는 21, 22)과, 상기 보강브라켓(40)의 상기 구멍(44, 45)을 함께 관통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핀부재(60)의 머리부와 근접한 부분에 나사산이 구비된 스크류 형태 또는 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한 체결구조를 보강하도록 체결 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서 상기 제1 관통공(31) 및 제2 관통공(32)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70)에 체결력을 인가하기 위한 체결공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구출입공(33, 34)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한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31)을 막을 수 있는 마감 커버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부에 포함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는 단면 규격이 동일한 사각 관형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와 제2 프레임 부재의 말단부에 ‘ㄷ’자 단면형상의 삽입 보강브라켓을 각각 삽입 고정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3 프레임 부재와 결합하는 구조로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핀부재 등에 의하여 간편하게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더불어,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으로 인하여 제1 프레임 부재와 제2 프레임 부재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되고 결합부의 체결 결합력이 현저하게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핀부재가 제1 프레임 부재와 삽입 보강브라켓 사이, 제2 프레임 부재와 삽입 보강브라켓 사이에서 각각 핀 걸림구조에 의하여 이탈방지되는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삽입 보강브라켓의 제1 보강 날개부와 제2 보강 날개부를 각각 외측으로 더욱 밀착시켜 마찰 결합력이 상승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추가적인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관형의 제3 프레임 부재 내측에 체결 보강브라켓을 삽입하여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구조를 더욱 보강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관형의 제3 프레임 부재에 공구출입공이 구비됨으로써 결합부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의 편리성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조립작업 후 상기 공구출입공을 막는 마감 커버부재를 부가함으로써 외관성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성, 이물질의 유입 방지, 어린이 안전사고 등의 측면에서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결합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들을 단면 규격이 동일한 사각 관형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결합부에서 분산되게 전달되는 작용력의 분포가 프레임 부재의 재료 밀도가 높은 지역에 더 많이 배치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결합부에서 하중전달 분포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부의 구조 성능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의 세부 구조.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프레임 부재의 세부 구조.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삽입 보강 브라켓의 세부 구조.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삽입 보강 브라켓의 삽입 고정 구조.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3 프레임 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 보강브라켓을 부가한 실시예.
도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공구출입공을 부가한 실시예.
도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결합부의 다른 배치 자세.
도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삽입 보강브라켓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
도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각 프레임 부재의 단면 형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
도 1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하여 조립순서를 변경한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상판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의 세부 구조한 것으로서 도 1(a)에서 결합부의 하나인 “A”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각 프레임 부재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의 세부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투시도로 표시한 것이고, 도 3(b)는 제3 프레임 부재의 세부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투시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삽입 보강 브라켓의 세부 구조를 사시도로 표시한 것으로서 핀부재와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삽입 보강브라켓의 삽입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 상부는 제1 프레임 부재 또는 제2 프레임 부재의 말단부에 삽입 보강브라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핀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구조를 수직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좌측 하부는 상기 핀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구조를 하부에서 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우측은 핀부재의 세부 구조와 상기 핀부재의 머리부에 형성된 공구홈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여 상하로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제3 프레임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제3 프레임 부재를 관형부재가 아닌 중실부재로 한 경우에 결합부에서 세부 조립구조를 제시한 것이고, 도 6(b)는 제3 프레임 부재를 중실부재로 한 경우에 체결부재를 이용하기 위한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 공구출입공 등의 구조를 평면 투시도로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 보강브라켓을 부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체결 보강브라켓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이고 도 7(b)는 관형의 제3 프레임 부재 내부에 체결 보강브라켓을 덧대어 보강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와 체결하는 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공구출입공을 부가한 실시예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a)는 공구출입공을 통하여 공구를 이용함으로써 체결부재의 체결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관형의 제3 프레임 부재의 일측 개구부로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결합부의 다른 배치 자세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9(a)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가 상판 측에 배치되고 제3 프레임 부재가 다리프레임으로 배치된 자세이고, 도 9(b)는 제2 프레임 부재 및 제3 프레임 부재가 상판 측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 부재가 다리프레임으로 배치된 자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삽입 보강브라켓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0(a)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삽입 보강브라켓의 중앙면이 제3 프레임 부재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결합부를 구성하는 구조임에 비하여, 도 10(b)는 삽입 보강브라켓의 중앙면이 제1 프레임 부재 또는 제2 프레임 부재의 내측을 향하고 제1 보강 날개부 및 제2 보강 날개부가 제3 프레임 부재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결합부를 구성하는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각 프레임 부재의 단편 형상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1(a)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 제3 프레임 부재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한 경우이고, 도 11(b)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고 제3 프레임 부재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한 경우이고, 도 11(c)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고 제3 프레임 부재를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한 경우이고, 도 11(d)는 제1 프레임 부재 및 제2 프레임 부재, 제3 프레임 부재를 모두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하여 조립순서를 변경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부 프레임 부재를 먼저 상판에 결합한 후 나머지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여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가 완성되는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1)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4개의 결합부(A)를 이용한 사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3개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삼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5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다각형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스크류(2)를 이용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판(1)을 결합하여 테이블을 완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체결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체결구조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판(1)의 크기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테이블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1 및 2에서는,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부에서 상판(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기능을 하고, 제3 프레임 부재(3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다리프레임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는 특정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를 형성하는 세부 구조로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에 구비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는 모두 관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들의 결합부분에서의 구조적인 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말단부에 후술하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삽입하여 이용하며,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멍(11, 12; 21, 22)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A)로 향하는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핀부재(60)는 양단부의 측면이 상기 구멍(11, 12; 21, 22)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형은 단순 원 기둥형태, 사각 기둥형태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나사산이 구비된 스크류 형태 또는 볼트 형태 등도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되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제3 프레임 부재(30)와 체결결합을 위한 결합공(46)이 구비된다.
즉, 도 5의 좌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10)의 말단부에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제1 프레임 부재(10)에 고정되어 준비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제2 프레임 부재(20)에 고정되어 준비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1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 관통공(31)과,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2 관통공(32)이 형성된 제3 프레임 부재(30)가 준비된다.
상기 준비된 제1 프레임 부재(10)를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70)가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1 관통공(31)을 거쳐 제1 프레임 부재(10)의 말단부에 고정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4)에 체결됨으로써 제1 프레임 부재(10)가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1 방향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준비된 제2 프레임 부재(20)를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70)가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2 관통공(32)을 거쳐 제2 프레임 부재(10)의 말단부에 고정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4)에 체결됨으로써 제2 프레임 부재(20)가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2 방향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결합부(A)를 형성할 수 있고, 도 1(a)는 이러한 결합부(A)를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완성한 것이고, 도 1(b)는 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상판(1)을 배치하고 체결스크류(2)에 의하여 체결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이용하여 결합부(A)를 구성함으로써,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도, 삽입 보강브라켓(40) 및 핀부재(60),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조립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삽입 보강브라켓(40)은 체결부재(70)를 이용한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핀부재(60)에 의하여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때, 삽입 보강브라켓(4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가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서 소정의 깊이 이상의 지점에서 핀 지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결합부(A)는 인장 강도 측면에서 용접결합 이상의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도 5의 좌측 상부에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종단부와 일치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종단부보다 내측으로 위치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도 체결부재(70)에 의한 체결력이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 및 핀부재(60)를 통하여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전달되어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가 결합부(A)로부터 느슨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결합부(A)를 유효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삽입 보강브라켓(4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게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는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수평 보(beam) 기능을 보완하는 효과도 갖게 되어, 결합부(A)에서 구조적인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구비된 핀부재(60)는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이탈되지 않도록 단순 핀 걸림 구조로 형성하는 것 외에, 아래와 같은 세부 구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더욱 상승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핀부재(60)는,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1)의 일단에 머리부(62)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부(62)와 인접되게 몸체(61)의 표면보다 돌출된 외경을 갖는 돌출나사산(63)이 구비되며, 몸체(61)의 타단 구간에는 몸체(61)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걸림단부(6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구조의 핀부재(40)와 대응되어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상기 구멍(44, 45)들은 각각 핀 체결공(44)과 핀 관통공(45)으로 구성된다. 세부구조를 살펴보면, 핀 체결공(44)은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크며 상기 돌출나사산(6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핀 관통공(45)은 상기 제2 보강 날개부(43)에 상기 핀부재(60)의 몸체(61) 외경보다 작으며 걸림단부(6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이러한 세부 구조를 갖는 핀부재(60)와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이용하여 더욱 상승된 결합구조를 갖는 결합부(A)를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프레임 부재(10)의 말단부에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삽입하여, 제1 프레임 부재(10)의 핀 도입공(11)과,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의 핀 체결공(44)을 일치시키면, 대향된 위치에서는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2 보강 날개부(43)의 핀 관통공(45)과, 제1 프레임 부재(10)의 핀 걸림공(22)이 동심구조로 서로 일치된 위치에 자리 잡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핀부재(60)를 핀 종단부(66)부터 제1 프레임 부재(10)의 핀 도입공(11)으로 삽입하여 전진시키면 핀부재(60)의 몸체(61)는 핀 체결공(44)을 자유롭게 통과하되 돌출나사산(63)은 핀 체결공(44)으로 쉽게 통과할 수 없는 저항상태에 있게 되고 대향된 위치에서는 핀부재(60)의 걸림단부(65)가 적어도 핀 관통공(45)에 삽입된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공구(P)를 이용하여 핀부재(60)를 조이게 되면 돌출나사산(63)은 핀 체결공(44)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전진하며 핀부재(60)의 걸림단부(65)를 핀 관통공(45)을 통과하여 제1 프레임 부재(10)의 핀 걸림공(12)에까지 진출시키되 몸체(61)는 핀 관통공(45)에 삽입되지 못하고 걸리는 상태에서 제2 보강 날개부(43)를 미는 힘을 지속적으로 부여하게 된다. 이때, 몸체(61)와 걸림단부(65)의 경계지점에 단턱(64)을 형성하면 핀 관통공(45)이 단턱(6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안정적인 내력작용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더욱 향상된 지지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돌출나사산(63)의 삽입 진전에 비례하게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 사이의 거리는 더욱 이격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제1 프레임 부재(10)의 내벽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어, 삽입 보강브라켓(40)을 제1 프레임 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강력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삽입결합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삽입 보강브라켓(40)이 삽입결합된 제2 프레임 부재(20)를 준비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70)을 이용하여 제3 프레임 부재(30)의 제1 관통공(31) 및 제2 관통공(32)에 상기 준비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를 체결 결합함으로써, 앞의 실시예보다 더욱 향상된 결합관계를 갖는 결합부(A)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결합구조에서는,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와 삽입 보강브라켓(40)은 단순 핀 걸림 구조뿐만 아니라 마찰력에 의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이를 이용한 결합부(A)로 구성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더욱 견고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시간이 증가하더라도 세부 결합부분에서 헐거워짐이 최소화되는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한편, 이제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제3 프레임 부재(30)는 관형 부재 여부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는 관형 부재로 구성되지만, 제3 프레임 부재(30)는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중공 부재로 구성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실(中實, solid)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 부재(30)를 관형 부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7(a)처럼 단순히 결합부(A)를 구성하는 것 외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 내측에 후술하는 체결 보강브라켓(50)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한 체결구조를 보강할 수도 있다. 도 7(b)에서는 ‘ㄴ’자 단면을 가지며 체결부재(70)용 관통공(51, 52)이 형성된 체결 보강브라켓(50)를 구비하여, 제3 프레임 부재(30)를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과 체결부재(70)에 의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체결 보강브라켓(50)을 관형의 제3 프레임 부재(30) 내측으로 삽입하여 제3 프레임 부재(30)의 내벽에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70)에 의한 결합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가 더욱 향상된 결합부(A)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는,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서 상기 제1 관통공(31) 및 제2 관통공(32)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70)에 체결력을 인가하기 위한 체결공구(P)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구출입공(33, 3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공구출입공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도 8(b)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공구(P1)에 의한 체결부재(70)의 체결 작업이 가능하기는 하나, 도 8(a)와 같이, 공구출입공(33, 34)이 구비됨으로써 체결작업의 편리성이 현저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 공구출입공(33, 34)을 형성하여 테이블 어셈블리의 조립작업을 수행한 경우에, 조립작업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33, 34)이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면, 그 자체로 외관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물질, 곤충 등의 유입 가능성과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손가락 등을 삽입하다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여지도 있으므로, 도 2 등에 제시된 바와 같이, 체결 공구(P)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출입공(31)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한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31)을 막을 수 있는 마감 커버부재(80)로 상기 공구출입공(31)을 막음으로써 외관 성능이 더욱 향상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2, 7 등에 제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A)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들(10, 20, 30)에 대하여 단면 규격이 동일한 사각 관형 부재를 채용하여 결합부(A)를 형성하는 경우에 더욱 향상된 결합성능을 갖는다. 즉, 단면 규격이 동일한 사각 관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부를 형성하게 되면,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서 접촉점이 각 프레임 부재에서 이면에 중공이 존재하는 부분보다는 이면에 재료가 존재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결합부에서 분산되게 전달되는 작용력의 분포가 프레임 부재의 재료 밀도가 높은 지역에 더 많이 배치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결합부에서 하중전달 분포 구조를 개선하게 되어 결합부의 구조 성능을 더욱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부에서 상판(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기능을 하고, 제3 프레임 부재(3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다리프레임 기능을 함으로써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 부재(20) 및 제3 프레임 부재(3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부에서 상판(1)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기능을 하고, 제1 프레임 부재(1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다리프레임 기능을 함으로써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 및 제2 보강 날개부(43)가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자세로 각각 삽입되고 핀부재(60)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핀부재(60)의 자세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핀부재(60)가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 핀부재(60)가 우측에서 좌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 핀부재(60)가 좌측에서 우방향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제1 보강 날개부(42) 및 제2 보강 날개부(43)가 내측을 향하고 중앙면부(41)가 외측을 향하는 자세로 관형의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변형 실시예로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중앙면부(41)가 내측을 향하고 제1 보강 날개부(42) 및 제2 보강 날개부(43)가 외측을 향하는 자세로 관형의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부(A)를 형성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핀부재(60)와 체결부재(70)가 상호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핀부재(60) 및 체결부재(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측 방향으로 이동된 배치 위치를 갖도록 시켜 세부 구조를 적절하게 변경하여야 하며, 체결부재(70)는 도 10(a)의 경우보다 긴 것을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를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고 제3 프레임 부재(30)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여 연결부(A)를 구성하거나,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를 사각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고 제3 프레임 부재(30)를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여 연결부(A)를 구성하거나,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를 모두 원형 단면의 관형 부재로 구성하여 연결부(A)를 구성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단면 형상에 부합되는 삽입 보강브라켓(40) 및 체결 보강브라켓(50), 핀부재(60)를 준비하여 연결부(A)를 형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 어셈블리(100)는 조립순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A)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를 도 1(a)에서와 같이 먼저 완성한 후에 도 1(b)처럼 상판(1)을 배치하여 결합함으로써 테이블을 완성하는 방식 외에도, 도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A)를 형성할 프레임 부재들의 일부를 상판(1)에 먼저 결합한 후에 결합부(A)를 형성하는 나머지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결합부(A)를 완성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및 테이블을 동시에 완성하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순서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 발명에서 제시한 결합부(A)를 포함하고 있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 12에서 프레임 부재들의 사이에 보강용 웹(web) 브라켓(91)을 더 구비한 것처럼, 본 발명의 구성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을 더 부가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서 여전히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10 : 제1 프레임 부재 11 : 핀 도입공
12 : 핀 걸림공
20 : 제2 프레임 부재 21 : 핀 도입공
22 : 핀 걸림공
30 : 제3 프레임 부재 31 : 제1 관통공
32 : 제2 관통공 33, 34 : 공구출입공
40 : 삽입 보강브라켓 41 : 중앙면부
42 : 제1 보강 날개부 43 : 제2 보강 날개부
44 : 핀 체결공 45 : 핀 관통공
46 : 결합공
50 : 체결 보강브라켓 51, 52 : 관통공
60 : 핀부재 61 : 몸체
62 : 머리부 63 : 돌출나사산
64 : 단턱 65 : 걸림단부
66 : 핀 종단부 67 : 공구홈
70 : 체결부재 80 : 마감 커버부재
P, P1 : 체결 공구

Claims (6)

  1.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프레임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말단부에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11, 12, 21, 22)이 대향되게 구비된 관형 부재로 각각 형성된,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의 말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핀부재(60)에 의하여 고정되며, 중앙면부(4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42)와 제2 보강 날개부(4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6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44, 4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41)에 결합공(46)이 구비된, 삽입 보강브라켓(40);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1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 관통공(3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되고, 길이방향에 직각이 되는 제2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2 관통공(3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및 제2 프레임 부재(20)와 결합되는 제3 프레임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70)는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의 상기 제1 관통공(31) 또는 제2 관통공(32) 측에서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결합공(46)에 체결되고,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 또는 제2 프레임 부재(20)의 상기 구멍(11, 12; 또는 21, 22)과,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40)의 상기 구멍(44, 45)을 함께 관통하여 고정되며,
    상기 핀부재(60)는, 상기 핀부재(60)의 머리부와 근접한 부분에 나사산이 구비된 스크류 형태 또는 볼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70)에 의한 체결구조를 보강하도록 체결 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관형의 상기 제3 프레임 부재(30)에서 상기 제1 관통공(31) 및 제2 관통공(32)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70)에 체결력을 인가하기 위한 체결공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구출입공(33, 34)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는,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재(70)를 체결한 후에 상기 공구출입공(33, 34)을 막을 수 있는 마감 커버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포함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0)와 제2 프레임 부재(20), 제3 프레임 부재(30)는 단면 규격이 동일한 사각 관형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180037729A 2018-01-24 2018-03-30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9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29A KR101893732B1 (ko) 2018-03-30 2018-03-30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CN201980009341.6A CN111683564B (zh) 2018-01-24 2019-01-21 桌子框架组件
PCT/KR2019/000845 WO2019146979A1 (ko) 2018-01-24 2019-01-21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729A KR101893732B1 (ko) 2018-03-30 2018-03-30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39A Division KR101847798B1 (ko) 2018-01-24 2018-01-24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732B1 true KR101893732B1 (ko) 2018-10-04

Family

ID=6386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729A KR101893732B1 (ko) 2018-01-24 2018-03-30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571B1 (ko) 2020-08-31 2021-02-19 (주)베스툴 배선용 테이블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하는 회의 테이블
KR102398781B1 (ko) * 2021-10-20 2022-05-16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장치
KR102597840B1 (ko) * 2023-04-13 2023-11-03 곽인근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44A (ja) * 1998-06-16 2000-03-07 Kokuyo Co Ltd
CN102551343A (zh) * 2012-01-19 2012-07-11 广州百利文仪家具有限公司 一种支撑梁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044A (ja) * 1998-06-16 2000-03-07 Kokuyo Co Ltd
CN102551343A (zh) * 2012-01-19 2012-07-11 广州百利文仪家具有限公司 一种支撑梁
KR101458745B1 (ko) * 2014-05-21 2014-11-05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571B1 (ko) 2020-08-31 2021-02-19 (주)베스툴 배선용 테이블 프레임 및 그를 포함하는 회의 테이블
KR102398781B1 (ko) * 2021-10-20 2022-05-16 정종필 테이블 프레임 장치
KR102597840B1 (ko) * 2023-04-13 2023-11-03 곽인근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98B1 (ko)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93731B1 (ko) 상판 체결형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93732B1 (ko)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397547B1 (ko) 조립이 용이한 가구
US8272618B2 (en) Minimum bond thickness assembly feature assurance
US3885766A (en) Modular seating assembly
KR101933838B1 (ko)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CN111683564B (zh) 桌子框架组件
KR20140016746A (ko) 테이블다리
JP4478608B2 (ja) テーブル類における天板と脚部の連結構造
JP2005127359A (ja) 防振架台および防振架台用コーナー部材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JP2022135713A (ja) 板材の接合構造、板材の接合方法、及びキャビネット
JPH10121577A (ja) 木造軸組部材用接合具及び座金
KR101810361B1 (ko) 하이브리드형 목구조의 연결재
KR200364113Y1 (ko) 받침용 다리
JPH0574329U (ja) デスク
JP2006183427A (ja) 建築用接合金具
KR102095958B1 (ko) 용접이 필요 없는 파이프 철 구조의 결합 체계를 갖는 멀티 테이블
KR102675873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
KR20130000992U (ko) 테이블
JP4528602B2 (ja) 連結用基礎構造材
KR20140012371A (ko) 테이블용 레그 구조
KR20130104040A (ko) 책상
JP2022135712A (ja) 板材の接合構造、板材の接合方法、及び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