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113Y1 - 받침용 다리 - Google Patents

받침용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113Y1
KR200364113Y1 KR20-2004-0018740U KR20040018740U KR200364113Y1 KR 200364113 Y1 KR200364113 Y1 KR 200364113Y1 KR 20040018740 U KR20040018740 U KR 20040018740U KR 200364113 Y1 KR200364113 Y1 KR 200364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tallation
mounting portion
hole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18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설치물의 장착부에 조립되는 받침용 다리가 개시된다. 개시된 받침용 다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설치물의 장착부에 삽입되는 돌기체와, 상기 돌기체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물의 장착부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받침용 다리{LEGS FOR A MATERIAL OBJECT}
본 고안은 받침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물체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받침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가구/주방가구 또는 산업기계와 같은 각종 물체(이하, 설치물이라 칭함.)들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그 설치장소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물은 설치장소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물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용 다리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받침용 다리가 고정되는 장착부는 설치물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설치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받침용 다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주방가구인 쌀통이 설치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설치물인 쌀통(200)은 별도의 지지부재(T), 예컨대 철판으로 된 지지부재(T)를 이용하여 설치장소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T)는 단순히 쌀통(200)의 바닥면을 지지해주는 형태뿐만 아니라, 쌀통(200)을 서랍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레일(G)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지부재(T)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부(210)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장착부(210)는 원형통공(220)과, 이 원형통공(220)을 중심으로 대각선방향에 형성된 걸림부재(230)와, 상기 원형통공(220)의 외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나사삽입공(2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10)에 고정되는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그 본체(110)의 상부에 판형 지지체(120)가 형성되고, 이 지지체(120)의 중앙에는 상기 원형통공(220)에 삽입되는 삽입구(130)가 돌출되며, 상기 지지체(120)의 외둘레 4방향에는 상기 나사삽입공(240)과 대응하는 나사설치홈(140)이 마련된다. 아울러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체(150)가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기존의 받침용 다리가 설치물의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상태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기존의 받침용 다리가 설치물의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상기 지지체(120)에 구비된 삽입구(130)를 상기 장착부(210)의 원형통공(220)에 삽입한 후, 상기 본체(1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체(120)가 상기한 걸림부재(230)에 각, 각 걸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각 나사삽입공(240) 및 나사설치홈(140)에 나사(N)를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T)에 고정된다.
하지만,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상기 지지체(120)가 단순히 한 조의 걸림부재(230)에 억지끼움형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본체(110)가 외력에 의해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지체(120)가 걸림부재(230)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도 1c에서와 같이 각 나사삽입공(240)과 나사설치홈(140)에 다수의 나사(N)를 고정하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데, 이러한 나사고정작업은 대개의 지지부재(T)가 철판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지지부재(T)에는 이미 설치물, 즉 쌀통(200)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그 작업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상기 지지체(120)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재(230)를 필수적으로 장착부(210)에 마련해야하는데, 이러한 걸림부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10)가 철판으로 된 지지부재(T)에 형성되는 경우 프레스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재(T)가 목재인 경우 또는 지지부재(T)자체가 상당한 두께를 갖는 경우에는 지지부재(T)를 장착부(210)에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받침용 다리(100)는 장착부(210)의 구조에 의해 그 적용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고안은 설치물의 장착부에 고정되는 기존 받침용 다리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물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설치한 이후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받침용 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장착부의 구조에 제약 없이 그 설치가 가능토록하므로써 적용범위를 확충할 수 있는 받침용 다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종래 받침용 다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주방가구인 쌀통이 설치물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받침용 다리가 설치물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상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기존의 받침용 다리가 설치물의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에 있어,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돌기체 및 고정체가 장착부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구성도이다.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지지체가 장착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가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받침용 다리 2 : 본체
3 : 지지체 4,4' : 돌기체
5 : 고정체 6 : 높이조절체
10,10' : 설치물(쌀통) 11,11' : 장착부
12 : 설치공 13,13' : 걸림공
14,14' : 나사결합공 15 : 나사삽입공
31 : 제 1 연장편 32 : 제 2 연장편
33 : 나사설치홈 34 : 지지돌기
311 : 관통공 321 : 걸림돌기
T : 지지부재 G : 가이드레일
N : 나사 R : 보강리브
t : 지지체의 상부면에서 고정체의 하부면까지의 높이
t',t" : 장착부의 두께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설치물의 장착부에 삽입되는 돌기체; 및
상기 돌기체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물의 장착부에 고정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는 받침용 다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설치물의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체와 상기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는 설치공이 천공되고, 이 설치공의 일측과 타측에는 걸림공과 나사결합공을 각, 각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상기 돌기체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하되, 그 일단과 타단에는 제 1 연장편과 제 2 연장편을 마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연장편은 적어도 상기 제 2 연장편보다 길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연장편에는 상기 나사결합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연장편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돌기체는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서 상기 고정체의 하부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장착부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는 설치물, 예컨대 일반가구/주방가구 또는 산업기계와 같은 각종 물체의 장착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설치물의 바닥면에 마련되거나, 설치물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치물의 일례로써 쌀통을 적용함과 아울러 장착부가 별도의 지지부재에 마련된 경우의 받침용 다리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에 있어,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용 다리(1)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체(3), 돌기체(4) 및 고정체(5)와, 상기 본체(2)의 하부에 나사결합구조로써 결합된 공지의 높이조절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2)는 봉상체, 예컨대 원형봉상체로 구성되며, 그 구성재질로는 합성수지재는 물론 철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를 합성수지재로 제조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고, 철재를 적용할 경우에는 본체(2)에 각 구성요소(지지체, 돌기체, 고정체)를 용접 또는 볼트조립 등을 통해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3)는 사각판상체로 구성되는데, 적어도 상기 돌기체(4)보다 넓은 면적이 부여되며, 그 일단과 타단에는 제 1 연장편(31)과 제 2 연장편(32)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장편(31)은 적어도 상기 제 2 연장편(32)보다 길게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연장편(31)에는 관통공(311)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연장편(32)에는 걸림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3)의 외둘레 4방향에는 나사설치홈(33)을 마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나사설치홈(33)은 설치물의 종류 및 설치물자체가 갖는 중량에 따라 견고한 조립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의 저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지지돌기(34)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돌기체(4)는 상기 지지체(3)의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체(4)는 원판형 돌기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돌기체(4)의 양단에는 고정체(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3)의 상부면에서 상기 고정체(5)의 하부면까지의 높이(t)는 후술하게 될 장착부(11)자체 두께(t')와 동일하게 설계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돌기체(4)는 장착부(11)의 두께에 따라 그 돌출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체(3)와 상기 고정체(5)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R)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보강리브(R)는 본 고안의 받침용 다리(1)를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할 경우, 상기 지지체(3) 및 고정체(5)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른 수축현상을 방지하는 기능, 즉 살빼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쌀통(10)의 장착부(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T)에 마련되는데, 이와 같은 장착부(11)에는 상기 돌기체(4)와 상기 고정체(5)가 삽입될 수 있는 설치공(12)이 천공되고, 이 설치공(12)의 일측과 타측에는 걸림공(13,13')과 나사결합공(14,14')이 각각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공(13,13')은 상기한 제 2 연장편(32)의 걸림돌기(321)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고, 상기 나사결합공(14,14')은 나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한 제 1 연장편(31)의 관통공(311)과 대응하게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12)의 외둘레 4방향에는 상기한 나사설치홈(33)과 대응하는 나사삽입공(15)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T)는 단순히 쌀통(10)의 바닥면을 지지해주는 형태뿐만 아니라, 쌀통(10)을 서랍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레일(G)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돌기체 및 고정체가 장착부의 설치공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구성도이고,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지지체가 장착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가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T)의 장착부(11)에 마련된 설치공(12)에 받침용 다리(1)의 돌기체(4)와 고정체(5)를 삽입한 후, 받침용 다리 (1) 본체(2)를 소정각도, 예컨대 90°로 정, 역회전시켜서 제 2 연장편(32)에 구비된 걸림돌기(321)가 장착부(11)의 걸림공(13,13')에 고정시키므로써 그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걸림공(13,13')은 도 4a에서와 같이 설치공(12)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어 있어서 본체(2)를 90°로 정, 역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걸림돌기(321)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도 4b에서와 같이 장착부(11)의 나사결합공(14,14')또한 설치공(12)의 일측과 타측에 마련되어 있어서 제 1 연장편(31)의 관통공(311)이 일치될 수 있으며, 지지체(3)에 구비된 나사설치홈(33)은 장착부(11)에 마련된 나사삽입공(15)과 일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체(3)는 장착부(11)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됨과 아울러 지지체(3)와 고정체(5)의 사이공간에는 장착부(11)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되므로 받침용 다리(1)는 장착부(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걸림공(13,13')에 고정된 걸림돌기(321)는 받침용 다리(1) 본체(2)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받침용 다리(1)는 설치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서 부가적인 나사고정을 통해 장착부(11)에 받침용 다리(1)를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나사고정작업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연장편(31)에 마련된 관통공(311)과 장착부(11)의 나사결합공(14,14')을 통해 나사(N)를 고정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지지체(3)에 구비된 나사설치홈(33)과 장착부(11)에 마련된 나사삽입공(15)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용 다리(1')는 설치물(10')의 바닥면에 마련된 장착부(11')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설치물(10')의 바닥면은 상당한 두께(t")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장착부(11')는 설치물(10')의 바닥면에 설치공(12)을 천공함과 아울러 이 설치공(12)의 일측과 타측에 걸림공(13,13')과 나사결합공(14,14')을 천공하고, 상기 설치공(12)의 외둘레 4방향에 나사삽입공(도면에 미도시됨.)을 천공하므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용 다리(1')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지지체(3)의 상부면에서 고정체(5)의 하부면까지의 높이가 설치물(10')의 바닥면두께(t")와 대응하도록 돌기체(4')를 높게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장착부(11')에 받침용 다리(1')를 조립할 경우,지지체(3)와 고정체(4)의 사이공간에는 장착부(11')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되므로 받침용 다리(1')를 장착부(1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1)는 설치물(10,10')의 장착부(11,11')에 구멍(설치공, 걸림공, 나사결합공, 나사삽입공)을 천공하면 그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물(10,10')의 장착부(11,11')가 철재는 물론 목재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돌기체(4,4')는 그 돌출높이를 가변하는 단순 설계변경을 통해 설치물(10,10')의 장착부(11,11')두께에 대응할 수 있어서 장착부(11,11')의 두께에 따른 제약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받침용 다리는 지지체와 고정체의 사이공간에는 장착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시켜서 장착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걸림공에 고정된 걸림돌기는 받침용 다리 본체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받침용 다리는 설치물의 장착부에 설치공과 같은 구멍만을 천공하면 그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장착부의 구조에 제약 없이 조립할 수 있으므로써, 설치물의 적용범위를 확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설치물의 장착부에 삽입되는 돌기체; 및
    상기 돌기체의 양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설치물의 장착부에 고정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는 받침용 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물의 장착부에는 상기 돌기체와 상기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는 설치공이 천공되고, 이 설치공의 일측과 타측에는 걸림공과 나사결합공이 각, 각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용 다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상기 돌기체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 일단과 타단에는 제 1 연장편과 제 2 연장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용 다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편은 적어도 상기 제 2 연장편보다 길게 구성되며, 상기 제 1 연장편에는 상기 나사결합공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연장편에는 상기 걸림공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용 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체는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서 상기 고정체의 하부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장착부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용 다리.
KR20-2004-0018740U 2004-07-01 2004-07-01 받침용 다리 KR200364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40U KR200364113Y1 (ko) 2004-07-01 2004-07-01 받침용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40U KR200364113Y1 (ko) 2004-07-01 2004-07-01 받침용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113Y1 true KR200364113Y1 (ko) 2004-10-11

Family

ID=494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40U KR200364113Y1 (ko) 2004-07-01 2004-07-01 받침용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1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10Y1 (ko) * 2013-12-30 2015-03-11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0476511Y1 (ko) * 2013-12-30 2015-03-12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1866530B1 (ko) * 2017-01-06 2018-06-11 김종원 가구용 받침다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10Y1 (ko) * 2013-12-30 2015-03-11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0476511Y1 (ko) * 2013-12-30 2015-03-12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WO2015102276A1 (ko) * 2013-12-30 2015-07-09 박석곤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101866530B1 (ko) * 2017-01-06 2018-06-11 김종원 가구용 받침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8214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набженный им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US20070227994A1 (en) Build-Up Furniture
US20030001470A1 (en) Mechanical joint including an angle bracket connector
EP3228219B1 (en) Cabinet foot system
KR101847798B1 (ko)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DK179858B1 (en) Multifunctional mounting bracket
KR200364113Y1 (ko) 받침용 다리
KR101893732B1 (ko)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US2905422A (en) Attaching bracket for furniture legs and the like
US6070940A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backrest, armrest, and seat of a chair
KR101933838B1 (ko)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US3594056A (en) Furniture assembly and connector therefor
EP1369060B1 (en) Connection system for furniture structural elements
US20180220798A1 (en) System of tool-less attachment of drawer slides and method thereof
JP7472061B2 (ja) 板材の接合構造、板材の接合方法、及びキャビネット
CN111683564B (zh) 桌子框架组件
CN114096180A (zh) 家具板和家具
KR20190000913U (ko) 조립식 책상프레임
JP2022507884A (ja) ノックダウン家具のためのロック装置
KR200363971Y1 (ko) 조립식 가구
JP3227641U (ja) 載置棚
JP2003000361A (ja) 組立家具用パネル及び組立家具
US7007987B2 (en) Spindle for a door handle assembly
US20020148180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oors and walls of shelves or box cabinets
KR200186553Y1 (ko) 가구용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