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40B1 -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40B1
KR102597840B1 KR1020230048656A KR20230048656A KR102597840B1 KR 102597840 B1 KR102597840 B1 KR 102597840B1 KR 1020230048656 A KR1020230048656 A KR 1020230048656A KR 20230048656 A KR20230048656 A KR 20230048656A KR 102597840 B1 KR102597840 B1 KR 10259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ixing member
fixing
way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근
Original Assignee
곽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인근 filed Critical 곽인근
Priority to KR102023004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관의 내부에 삽입하며 각관의 각 면(방향)을 선택하여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해 연결하는 과정에서서 무용접으로 각 면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정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관의 내경에 중공이 형성되어 4방 고정부재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각 면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을 고정볼트로 연결하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중공의 내경 각 방향에 삽입되어 일치되도록 "+"자 형태의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고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의 각 방향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각 방향의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삽입된 후 용접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각관에 형성하는 체결구멍은 너트의 중앙과 일치되어 고정볼트로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어 용접하지 않고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Non-welding fixing member for each pipe}
본 발명은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관의 내부에 삽입하며 각관의 각 면(방향)을 선택하여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해 연결하는 과정에서서 무용접으로 각 면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정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관(사각 파이프)은 다양한 구조물의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4면으로 이루어진 각 방향으로부터 다양한 방향 및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각관이 연결되어 구조물의 형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각관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성형하는 경우,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각관을 연결할 때 서로 맞대기하여 용접에 의해 연결하게 되지만, 각관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경우 상호 간에 맞대기를 하고, 맞대기한 부분을 용접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정확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지그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일되고 정확한 연결을 제공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하므로 고정밀도를 유지하는 용도로는 활용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9-0010522호(2009. 10. 15. 공개)를 출원하여 각관의 선단에서 마감과 용접하지 않고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너트의 한쪽으로 각관의 사각 홀 선단에 마개를 조립하고 마개와 대응되는 사각 파이프에 용접 구멍을 형성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마개를 사각 파이프의 내부에 고정하여 사각 파이프의 선단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각관을 다양한 방향에서 연결할 때 밀봉한 마개를 이용하여 탭을 형성하고 접시머리 볼트로 용접하지 않고 안정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각관의 선단에서만 마감작업이 이루어질 뿐, 각관의 깊은 내부에서 연결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작업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9-0010522호(2009. 10. 15. 공개)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923593호(2018. 11. 2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964447호(2010. 06. 09.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943460호(2010. 02. 12.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각관으로부터 다양한 면(방과)과 위치로부터 연결이 가능하도록 중공에 고정부재를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정부재의 면 방향에 너트를 결합해 고정시킨 후 각관의 중공에 결합해 용접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활용해 각관으로부터 다양한 구조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관의 4방향과 3방향, 2방향 및 1방향 중 다양한 방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수지 사출물로 사출해 선단에 너트를 조립하는 것으로 미리 성형한 체결구멍에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관의 내경에 중공이 형성되어 4방 고정부재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각 면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을 고정볼트로 연결하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중공의 내경 각 방향에 삽입되어 일치되도록 "+"자 형태의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고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의 각 방향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각 방향의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삽입된 후 용접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각관에 형성하는 체결구멍은 너트의 중앙과 일치되어 고정볼트로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어 용접하지 않고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내부공간이 "ㅗ"형태가 되도록 3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너트와 체결되는 3방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내부공간이 일자형과 "ㄴ"형과 "ㄷ"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너트와 체결되는 2방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내부공간이 일자형과 "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1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너트가 설치되지 않는 한 방향에는 차단판으로 막히고,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너트와 체결되는 1방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고정몸체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4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각 방향 선단에 너트와 크기가 일치하는 육각너트 고정홈을 사출 성형한 4방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4방 고정부재는 육각너트 고정홈에 너트를 삽입해 움직이지 않도록 접합시키어 고정볼트가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것과;
본 발명의 상기 4방 고정부재는 고정몸체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4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각 방향 선단에 암나사부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고정볼트가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4방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각관으로부터 다양한 면(방과)과 위치로부터 연결이 가능해 다양한 구조물의 성형이 가능하며, 중공에 고정부재를 공급하고 각관의 외부에서 고정볼트를 연결하는 것으로 구조물의 연결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면 방향에 너트를 결합해 고정시킨 후 각관의 중공에 결합해 미리 성형한 체결구멍과 일치시켜 용접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활용해 각관으로부터 다양한 구조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매우 미려하고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관의 4방향과 3방향, 2방향 및 1방향 중 다양한 방향을 선택하여 연결방향을 선택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수지 사출물로 사출해 선단에 너트를 조립하는 것으로 미리 성형한 체결구멍에 정확하게 일치될 수 있도록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아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3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에 고정날개를 설치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너트 분리상태 평면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각관에 4방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형의 관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의 각관(40)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며, 각관(40)은 내경에 중공(41)이 형성되어 4방 고정부재(10)가 삽입되어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필요한 위치의 각 면에 체결구멍(4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중공(41)의 내경 각 방향에 삽입되어 일치되도록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자 형태가 되도록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정몸체(11)로 이루어지고, 각 방향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각 방향의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 등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4방 고정부재(10)가 끼워지는 중공(41)에 구조물이 설치되기 위한 위치에서 각관(42)의 필요한 면에 체결구멍(4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멍(40)은 너트(30)의 중앙과 일치되어 고정볼트(50)로 체결구멍(40)을 관통하여 너트(30)과 결합되어 용접하지 않고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3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에 대한 평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4방 고정부재(10)는 4방향으로 너트(30)가 고정되는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는 것이나, 3방 고정부재(20)는 "ㅗ"자 형태가 되도록 내부공간(13)이 3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2방 고정부재(20)는 일자 형태가 되도록 내부의 내부공간(13) 양쪽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2방 고정부재(20)는 일자 형태로 구성되나 "ㄴ"형과 같이 형성되는 내부의 내부공간(13) 선단에서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는 2방 고정부재(21a)를 포함한다.
상기 2방 고정부재(20, 21a)는 일자형태와 "ㄴ"자 형태가 되도록 하였으나, "ㄷ"형과 같이 형성되는 내부의 내부공간(13) 선단에서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는 2방 고정부재(21b)를 포함한다.
또한, 일자형태가 되어 내부공간(13)을 일자로 갖고, 한쪽방향의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고 반대편의 선단은 차단판(25)으로 막아 한 방향에서만 연결이 가능한 1방 고정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1방 고정부재(22)와 같이 하나의 너트(30)를 체결하기 위해 "ㄴ"형과 같이 내부공간(13)을 갖고, 한쪽방향의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결합된 후 용접고정되고 반대편의 선단은 차단판(25)으로 막아 한 방향에서만 연결이 가능한 1방 고정부재(22a)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에 고정날개를 설치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몸체(11)의 각 방향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고정되어 중공(41)에 삽입된 후 체결구멍(40)과 너트(30)가 일치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너트(50)를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너트(50)를 체결하기 이전에 4방 고정부재(10)를 삽입한 후 체결구멍(40)과 일치되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너트(50)를 미리 조립해 놓아야 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몸체(11)의 각 면중 어느 한 면의 양쪽으로 고정날개(31)가 돌출되도록 고정한 후 체결구멍(40)의 양쪽으로 용접구멍(43)을 성형해 4방 고정부재(10a)를 중공(41)에 공급해 고정날개(31)가 용접구멍(43)에 일치되면 용접을 통하여 설치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로 다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너트 분리상태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4방 고정부재(10)는 금속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출성형으로 고정몸체(11)를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몸체(11)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내부공간(13)이 형성되며, 각 방향의 선단에는 너트(30)와 크기가 일치하는 육각너트 고정홈(15)을 형성하는 사출성형을 수행하여 4방 고정부재(10b)를 성형하는 것이다.
사출성형된 4방 고정부재(10b)는 육각너트 고정홈(15)에 너트(30)를 삽입해 움직이지 않도록 접합시키어 각관(40)의 필요한 위치에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4방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4방 고정부재(10)는 금속재질을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출성형으로 고정몸체(11)를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몸체(11)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내부공간(13)이 형성되며, 각 방향의 선단에는 암나사부(16)가 형성되는 4방 고정부재(10c)를 성형하는 것이다.
사출성형된 4방 고정부재(10c)는 암나사부(16)가 각 방향에 형성되어 각관(40)의 필요한 위치에 공급해 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정볼트(50)로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는, 4방 고정부재(10)를 각관(42)의 중공(41)에 공급해 너트(30)와 체결구멍(40)이 일치되도록 하고 각관(42)의 외측에서 고정볼트(50)를 체결구멍(40)에 공급해 너트(30)와 만나 나사식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고정몸체(11)와 내부공간(13)이 각관(42)의 각면과 일치되는 4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관(42)의 각면에서 구조물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고정몸체(11)의 선단에 형성된 사각너트 고정홈(12)으로 너트(30)를 결합하고 용접을 통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4방 고정부재(10)와 각관(42)을 이용한 구조물의 고정 및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4방 고정부재(10)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과 구조물의 연결 작업에서 전혀 용접을 수행하지 않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편리함은 각관(42)과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작업시 작업의 지연 및 위치의 틀어짐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이 체결구멍(40)을 미리 성형한 상태에서 연결작업이 수행되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구조물의 치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각면의 4방향에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되지만. 필요에 따라 3방향에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경우에는 3방 고정부재(20)를 적용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13)이 "ㅗ"자와 같이 3방향에서 형성된 후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를 결합해 용접 고정시킴으로 각관(42)의 중공(41) 3방향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2방향에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경우에는 2방 고정부재(21, 21a, 21b)를 적용하는 것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13)이 일자형과 "ㄴ"자 및 "ㄷ"자와 같이 2방향에서 형성된 후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를 결합해 용접 고정시킴으로 각관(42)의 중공(41) 2방향에서 선택적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1방향에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경우에는 1망 고정부재(22, 22a)를 적용하는 것으로, 도 10과 도 11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13)이 일자형과 "ㄴ"자와 같이 1방향에서 형성된 후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를 결합해 용접 고정시킴으로 각관(42)의 중공(41) 2방향에서 선택적로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1방 고정부재(22, 22a)와 2방 고정부재(21, 21a, 21b) 및 3방 고정부재(20), 4방 고정부재(10)와 같이 각관(42)의 중공(41)에서 다양한 면을 선택 적용할 수 잇으며, 필요에 따라 각 면의 어느 한 방향으로 추가하거나 구조물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그 개수와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통상적인 기술 범위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22, 22a)와 2방 고정부재(21, 21a, 21b) 및 3방 고정부재(20), 4방 고정부재(1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몸체(11)의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날개(31)를 더 형성함으로써 체결구멍(40)과 너트(30)가 일치되도록 한 후 용접구멍(43)을 통하여 용접을 수행하면 상기 고정날개(31)가 용접구멍(43)의 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용접을 통하여 고정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설치한 후 고정너트(50)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22, 22a)와 2방 고정부재(21, 21a, 21b) 및 3방 고정부재(20), 4방 고정부재(10, 10a, 10b, 10c)는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한 후 내부공간(13)의 선단에 육각너트 고정홈(15)을 형성시켜 너트(30)의 외부에 접착제를 발라 육각너트 고정홈(15)에 결합해 움직이지 않도록 접합 고정시킨 후 각관(42)의 중공(41)에 공급해 고정볼트(50)의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 사출성형을 수행한 후 너트(30)를 결합사키는 것으로 매우 저렴하게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4방 고정부재(10c)는 고정몸체(11)의 각 방향 선단에 고정볼트(50)가 직접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16)가 형성되어 너트(30)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1방 고정부재(22, 22a)와 2방 고정부재(21, 21a, 21b) 및 3방 고정부재(20), 4방 고정부재(10)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이상을 막아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의 경우에는 너트(30)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를 형성하여 사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1-4방의 고정부재를 선택 공급하여 각관의 중공에 설치한 후 다양한 구조물의 연결 선택에 따라 각관의 각 면을 선택하여 다양한 방향과 위치 및 구조를 고정부재의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고정볼트를 통해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10a, 10b, 10c : 4방 고정부재 11 : 고정몸체
12 : 사각너트 고정홈 13 : 내부공간
15 : 육각너트 고정홈 16 : 암나사부
20 : 3방 고정부재 21, 21a, 21b : 2방 고정부재
22, 22a : 1방 고정부재 25 : 차단판
30 : 너트 40 : 체결구멍
41 : 중공 42 : 각관
43 : 용접구멍 50 : 고정너트

Claims (7)

  1. 각관(42)의 내경에 중공(41)이 형성되어 4방 고정부재(10)가 상기 중공(41)에 삽입되어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각 면에 체결구멍(40)이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을 고정볼트(50)로 연결하되,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중공(41)의 내경 각 방향에 삽입되어 일치되도록 "+"자 형태의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고정몸체(11)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몸체(11)의 각 방향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열십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각 방향의 선단에는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으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41)에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각관(42)에 형성하는 체결구멍(40)은 너트(30)의 중앙과 일치되어 고정볼트(50)로 체결구멍(40)을 관통하여 너트(30)와 결합되어 용접하지 않고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내부공간(13)이 "ㅗ"형태가 되도록 3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중공(41)에 설치되어 고정볼트(50)가 너트(30)와 체결되는 3방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내부공간(13)이 일자형과 "ㄴ"형과 "ㄷ"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2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중공(41)에 설치되어 고정볼트(50)가 너트(30)와 체결되는 2방 고정부재(21, 21a, 2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내부공간(13)이 일자형과 "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1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 사각너트 고정홈(12)이 형성되어 너트(30)가 삽입된 후 용접 고정되며, 상기 내부공간(13)의 너트(30)가 설치되지 않는 한 방향에는 차단판(25)으로 막히고, 상기 중공(41)에 설치되어 고정볼트(50)가 너트(30)와 체결되는 1방 고정부재(22, 22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고정몸체(1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4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 너트(30)와 크기가 일치하는 육각너트 고정홈(15)을 사출 성형한 4방 고정부재(10b)를 포함하며, 상기 4방 고정부재(10b)는 육각너트 고정홈(15)에 너트(30)를 삽입해 움직이지 않도록 접합시키어 고정볼트(50)가 상기 너트(3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방 고정부재(10)는 고정몸체(1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4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3)의 각 방향 선단에 암나사부(16)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고정볼트(50)가 상기 암나사부(16)와 체결되는 4방 고정부재(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KR1020230048656A 2023-04-13 2023-04-13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KR10259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656A KR102597840B1 (ko) 2023-04-13 2023-04-13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656A KR102597840B1 (ko) 2023-04-13 2023-04-13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840B1 true KR102597840B1 (ko) 2023-11-03

Family

ID=88745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656A KR102597840B1 (ko) 2023-04-13 2023-04-13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60U (ko) * 1997-02-25 1998-10-26 공석태 조립식 프레임
KR20090010522A (ko) 2007-07-23 2009-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러프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107210A (ko) * 2008-04-08 2009-10-13 곽인근 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
KR100964447B1 (ko) 2008-04-08 2010-06-16 곽인근 이동식 중량 함
KR101893732B1 (ko) * 2018-03-30 2018-10-04 이정복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23593B1 (ko) 2017-07-27 2018-11-29 곽인근 구조물용 천막지의 주름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60U (ko) * 1997-02-25 1998-10-26 공석태 조립식 프레임
KR20090010522A (ko) 2007-07-23 2009-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러프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107210A (ko) * 2008-04-08 2009-10-13 곽인근 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
KR100943460B1 (ko) 2008-04-08 2010-02-22 곽인근 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
KR100964447B1 (ko) 2008-04-08 2010-06-16 곽인근 이동식 중량 함
KR101923593B1 (ko) 2017-07-27 2018-11-29 곽인근 구조물용 천막지의 주름방지 장치
KR101893732B1 (ko) * 2018-03-30 2018-10-04 이정복 관형부재를 이용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3450A1 (en) Self-locating feature for a pi-joint assembly
JP3272839B2 (ja) 接合用治具
KR102374875B1 (ko) 접합 철물
EP3382213A1 (en) Panel attachment fitting
KR102597840B1 (ko) 각관용 무용접 고정부재
EP3545144A1 (en) Node elements, kits, and methods
JPH07317153A (ja) 角形鋼管柱の接合構造
JP4642003B2 (ja) 建築構造物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JPS61225422A (ja) コンクリ−ト杭
JP7279987B1 (ja) 構造用木材
US3503639A (en) Construction of tubular frame works
KR100519174B1 (ko) 강구조물의 결합구조
JP3638054B2 (ja) 建築用構造材継手
JP3621508B2 (ja) 異径鋼管柱の柱・柱接合金物および接合構造
JPH03206225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2007303199A (ja) 木造建築における軸組接合金物及び同接合金物を用いた軸組接合の方法、並びにこれらを構成し用いる共通部材を組み合わせ用いた柱脚接合の方法。
KR102068974B1 (ko) 모서리부 결합장치
TW201727019A (zh) 接合板預先結合之斜撐桿件
US20220154752A1 (en) Self-aligning connector
JP3089184U (ja) 建築用接合金具
US20130277514A1 (en) Framing connector
JP4174713B2 (ja) 接合金物およびその取付方法
SK9893Y1 (sk) Vysokopevnostná spojka hliníkových profilov
JP6388177B1 (ja) 木造梁端接合金物及びこの木造梁端接合金物を用いた木造梁端接合構造
JPH08270083A (ja) 木材の連結方法及びその連結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