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81B1 -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181B1
KR102003181B1 KR1020190011506A KR20190011506A KR102003181B1 KR 102003181 B1 KR102003181 B1 KR 102003181B1 KR 1020190011506 A KR1020190011506 A KR 1020190011506A KR 20190011506 A KR20190011506 A KR 20190011506A KR 102003181 B1 KR102003181 B1 KR 10200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einforcing
frame
reinforcing bracket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이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복 filed Critical 이정복
Priority to KR102019001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상호 결합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의 결합 강도 및 결합 편리성 등이 개선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결합부는, 선형 부재로 각각 형성되며, 상판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된, 제1 수평프레임(10)와 제2 수평프레임(20); 및 절곡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다리프레임(30); 보강 결합부(42)의 양 단부에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일측 말단부 단면이 각각 맞대어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보강 결합부(52)가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리프레임(30)의 상부에서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에 결합된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결합부 체결부재(61)를 이용하여 상기 사잇각을 형성한 공간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를 순서대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상기 결합부(A)의 조립이 완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Table frame assemblies having leg frames of a bending plate shape}
본 발명은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의 상부를 복수의 수평프레임과 상호 결합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의 결합 강도 및 결합 편리성 등이 개선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책상 및 사무용 가구, 식탁용 가구, 작업대, 전시대 등으로 널리 쓰이는 구조물로서 물건을 두기 위한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어셈블리는 길이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결합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이 전체 테이블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길이부재로 목재가 채용될 수도 있으나 최근에는 지지력과 내구력 향상을 위해 금속재가 많이 사용되며, 상판으로는 목재, 합성수지, 유리, 금속 등이 사용된다.
테이블에 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287403호 (2013.07.19.; ‘특허문헌 1’이라 함)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753호 (2005.03.14.; ‘특허문헌 2’라 함) 등이 제공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조립식 테이블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비를 줄이고 테이블 상판과 상부프레임과 다리를 비숙련공인 소비자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중공의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를 갖는 중공의 프레임과, 프레임 내측으로 밀착되게 끼워진 후 고정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끼움부가 형성되어 프레임 복수 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프레임의 연결부위에서 이음매가 최소화되고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은 연결부품들에 의한 외관 손상이 전혀 없으면서도 프레임들을 원하는 구조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하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쉽게 빠지거나 불안정한 구조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된 형상이 구비되어 심미적 요소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는 외관상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단단한 결합 구조를 갖고 있으나, 나사 등의 결합 부재를 깊숙이 넣어 체결해야 하며, 체결 작업을 수행할 공간이 적어 조립 작업이 어려워진다.
한편, 테이블의 다리프레임은 통상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관재를 이용하는데 관재로는 외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형상을 갖는 다리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판재를 이용하여 다리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프레임 구성 또는 상판 등과의 결합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판재로 형성된 다리프레임을 이용하되 다른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세부 기술이 필요하고, 결합강도 및 조립작업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향상된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7403호 (2013.07.1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753호 (2005.03.1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외관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용이한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포함시켜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를 구성하되, 강력한 결합력으로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손쉬운 체결 고정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판을 면접촉으로 지지하여 상판의 국부적인 훼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세부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판을 면접촉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상판과 인접한 수평프레임 혹은 다리프레임이 상판과 유격을 가지지 않으며 밀착하여 지지함으로써 분산 지지 성능, 이물질 등의 내입 방지 등의 효과 측면에서 더욱 향상된 추가적인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평프레임의 다양한 단부 형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견고한 결합부를 구성할 수 있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견고한 결합부를 형성하면서도 구성간 세부 결합관계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국부 체결결합을 위한 세부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결합부는, 선형 부재로 각각 형성되며, 상판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된, 제1 수평프레임(10)와 제2 수평프레임(20); 및 절곡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다리프레임(30); 보강 결합부(42)의 양 단부에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일측 말단부 단면이 각각 맞대어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보강 결합부(52)가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리프레임(30)의 상부에서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에 결합된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결합부 체결부재(61)를 이용하여 상기 사잇각을 형성한 공간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를 순서대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상기 결합부(A)의 조립이 완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접촉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프레임(30)의 길이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반력을 제공하며, 상기 보강 결합부들(42, 52)은 상기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으로 진입된 위치에서 상기 면접촉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상기 일측 말단부는 각각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으로 진입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A)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판(1)을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41, 5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은 상판(1)을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부(41)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지지면부(51)는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부(41)의 두께만큼 다리프레임(3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에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부에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단면 또는 직각 단면으로부터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는, 관형부재인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하여 설치된 삽입 보강브라켓(70)에 매립체결부재(90)에 의하여 체결 결합되며,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70)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되어 핀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되며, 중앙면부(7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80)를 설치하기 위한 핀 결합공(74, 7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71)에 체결 결합공(77)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함으로써 다리프레임에 대한 외관의 다양성 및 성형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며, 제1 결합보강브라켓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을 포함하여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결합부의 결합성능 및 결합작업 편리성 등이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판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에 의해서 상판의 접촉지지 부분의 훼손 또는 변형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킨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판을 면접촉 지지하면서도 구성간 유격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성능 및 분산지지 성능을 확보하는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평프레임의 단부를 경사진 단면 또는 직각 단면으로부터 선택하여 결합부를 구성할 수 있는 세부 기술수단을 제시함으로써 구성요소의 가공 다양성 및 공용성 등의 측면에서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삽입 보강브라켓을 구비하여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의 체결 결합력이 현저하게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저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
도 5.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
도 6.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결합부의 변형 실시예.
도 7.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결합부의 다른 변형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리프레임과 제1, 2 수평프레임의 상호 결합된 부분인 결합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결합부의 조립 완성된 상태의 결합부를, 도 2(b)는 결합부의 분해상태를 각각 저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세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점을 달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분해 상태의 결합부를 저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분해 상태의 결합부를 사시도로 도시하되 다리프레임을 투시하여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코너 생략부가 적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결합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와 도 6(b)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단된 구조의 단부를 갖는 제1,2 수평프레임을 이용하여 결합부를 구성하면서 결합보강브라켓의 세부 구조를 다르게 형성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결합부의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삽입보강브라켓을 이용한 결합부에 대하여 도 7(a)는 분해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투시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길이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1)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A)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수평프레임(10)와, 제2수평프레임(20)는 단순 길이부재로서 중공 또는 중실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A)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다리프레임(30)은 절곡 판재 형상을 갖는 길이부재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다리프레임(30)의 바닥측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바닥지지체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4개의 결합부(A)를 이용한 사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3개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삼각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5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부(A)를 이용하는 다각형 형상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여러 결합부 중에 상기 결합부(A)가 일부 포함되어 전체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서 다리프레임이 ‘절곡 판재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다리프레임이 관재 형상이 아닌 판재 형상을 가지며 판재의 중간부분이 절곡된 구조를 형상으로서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판재를 직접적으로 절곡(bending) 가공하여 절곡된 구조를 구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형 등을 이용한 성형 공정에 의하여 절곡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러한 절곡 판재 구조의 다리프레임을 이용하여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경우에 단순 판재 구조에 비하여 절곡 구조로 인하여 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도 1 등에 예시적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다리프레임(30)의 외형을 다양한 디자인적인 요소로 이용할 수 있어 제품의 외관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다리프레임(30)을 다른 구성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기술수단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경우에 협소한 접촉면적을 통하여 지지반력이 상판에 작용하게 되어 상판 외표면의 손상, 상판의 파손 등의 가능성이 대두되며, 수평프레임 등과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세부구조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절곡 판재 구조의 다리프레임(30)을 단순 길이부재인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과 상호 결합하여 견고한 결합부(A)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A)에 제1 결합보강브라켓(40)과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는 향상된 결합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A)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은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을 상호 소정의 사잇각을 갖는 자세에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과 결합하여 결합부(A)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결합부(A)에서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다리프레임(30) 상단 내측에서 다리프레임(30)과 결합하여 결합부(A)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부(A)의 일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결합부(A)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때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은 지지면부(41) 및 보강 결합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면부(41)는 결합부(A)에서 상판(1)과 면접촉에 의하여 지지반력을 제공하며, 상기 보강 결합부(42)는 상기 지지면부(42)의 일단에 직각으로 기립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과 각각 결합관계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면부(41)에는 지지면 체결공(43)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결합부(42)에는 결합부 체결공(44)이 구비되어 결합부 조립시 이용된다.
도 2 등에 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선의 밴드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보강 결합부(42)와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은 그 단부가 소정의 경사단면으로 준비되어 보강 결합부(42)와 결합된다. 상기 보강 결합부(42)와,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 사이의 결합관계는 단순히 용접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다리프레임(30) 상단 내측에서 결합되어 결합부(A)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하는데,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지지면부(51) 및 보강 결합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부(51)는 결합부(A)에서 상판(1)과 면접촉에 의하여 지지반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부(41)와 면접촉에 의하여 지지반력을 제공하고, 상기 보강 결합부(52)는 상기 지지면부(5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기립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결합부 체결부재(61)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함께 결합된다. 상기 지지면부(51)에는 지지면 체결공(53)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결합부(52)에는 결합부 체결공(54)이 구비되어 결합부 조립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이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과 선결합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하고,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이 다리프레임(30)과 선결합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한 것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A)를 구성한다. 즉,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결합부 체결공(44, 54)에 결합부 체결부재(61)를 설치하여 양 보강 결합부(42, 52)를 상호 결합하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지지면 체결공(43, 53)에 지지면 체결부재(62)를 설치하여 양 지지면부(41, 51)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결합부(A)를 완성한다. 이때, 지지면 체결부재(62)는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양 지지면부(41, 51)를 단순히 상호 체결하는 구조 외에도 양 지지면부(41, 51)를 관통하여 상판(1)에 체결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부(A)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우측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프레임(30)의 상단부에 결합관계로 구비된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41)에 설치되어 결합부(A)를 형성하게 되므로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상기 지지면(41)의 두께만큼 다리프레임(3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다리프레임(30)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다리프레임(30)의 단부는 상판(1)과의 유격이 감소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의 심미성 향상, 이물질 등의 내입 방지 등 추가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서 상기 결합부(A)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30)을 이용하면서도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판(1)과 면접촉에 의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판(1)에 지지반력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판(1)에 과도한 집중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상판(1)의 훼손 또는 국부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결합부 체결부재(61)를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의 사잇각 내측에서 보강 결합부(42)의 결합부 체결공(44)으로 진입시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체결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지지면 체결부재(62)의 체결작업도 다른 구성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체결작업의 용이성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성을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앞선 실시예에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각각 지지면부(41, 51)를 포함하여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느 한 지지면부를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일실예에서는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에만 지지면부(51)가 구비되고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에는 별도의 지지면부가 구비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된 결합부(A)를 분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다리프레임(30)의 단부에서 이격되지 않고 말단 위치에 결합되어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지지면부(51)가 상판(1)에 면접촉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또는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지지면부(41, 51)에 대하여 어느 일부분을 생략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특히, 도 5에 도시된 다리프레임(3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코너 생략부(56)를 포함시킴으로써 면접촉 지지 구조를 크게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재료비 절감, 중간 공정의 작업 편리성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함께 추구할 수 있다. 아울러, 완성된 결합부(A)에 끼움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결합부 커버(65)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준비하여 결합 완성된 결합부(A)에 장착함으로써 외관의 심미성능 및 사용자 안전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관한 앞선 설명에서 제1,2 결합보강브라켓(40, 50)의 각 보강 결합부(42, 5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선의 밴드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A)에 포함되는 제1 수평프레임(10) 및/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말단부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단면을 갖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도록 제1,2 결합보강브라켓(40, 50)의 보강 결합부(42, 52)를 직선이 아닌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구조로 변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A) 구조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의 말단부에 대한 가공 및 관리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추가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결합부 체결부재(61) 및 지지면 체결부재(62)의 체결작업 편리성 측면에서도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에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은 제1 수평프레임(10) 및 제2 수평프레임(20)과 먼저 결합되어 결합부(A)의 일부분을 구성하는데, 이때 제1 결합보강브라켓(40)과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 사이의 결합관계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용접에 의한 결합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7은 삽입 보강브라켓(70)을 이용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0, 20)과 체결결합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의하여 세부구조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일측에는 핀부재(80)를 도입하기 위하여 핀 도입공(11, 21)(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핀 도입공(11, 21)의 반대 위치에는 핀 걸림공(12, 22)이 형성되며, 상기 핀 도입공(11, 21)(미도시)으로 삽입된 핀부재(80)는 삽입 보강브라켓(70)의 핀결합공(74, 75)를 통하여 핀 걸림공(12, 22)에까지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핀부재(80)는 양단부의 측면이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핀 도입공(11, 21)(미도시) 및 핀 걸림공(12, 22)과 삽입 보강브라켓(70)의 핀 결합공(74, 75)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핀부재(80)는 임의의 단면을 갖는 선형 기둥 형태로 준비하면 충분하지만, 통상적인 회동형 공구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의 몸체이면서 핀부재(80)의 일단부에는 체결작업용 공구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다각형 머리 또는 공구홈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부재(80)의 몸체에는 필요에 따라 나사산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는 삽입 보강브라켓(70)을 이용하여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과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 결합부(A)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삽입 보강브라켓(70)은 핀부재(80)에 의하여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매립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강력한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매립체결부재(90)는 상기 보강 결합부(42)의 삽입부 체결공(45)과, 삽입 보강브라켓(70)의 체결결합공(77)을 이용하여 양 구성을 상호 체결 결합한다. 이때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 또는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에는 체결 후 매립체결부재(90)의 머리부를 매립상태로 보유할 수 있는 추가적인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삽입 보강브라켓(7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가 수평프레임(10, 20)에서 소정의 깊이 이상의 지점에서 핀부재(80)에 의하여 걸림 지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결합부(A)는 인장 강도 측면에서 용접결합 이상의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삽입 보강브라켓(70)의 중앙면부(71)가 수평프레임(10, 20)의 종단부보다 내측으로 더 진입된 위치에서 핀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매립체결부재(90)에 의하여 수평프레임(10, 20)의 종단부에 배치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삽입 보강브라켓(7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 사이에 인장 내력이 잔류하게 되어 더욱 향상된 견고한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삽입 보강브라켓(40)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게 구비된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가 수평프레임(10, 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그 삽입된 길이만큼 하중 또는 외력을 지지하는 기능에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평프레임(10, 20)의 수평 보(beam) 기능을 보완하는 효과도 갖게 되어, 결합부(A)에서 구조적인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판(1)의 결합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판의 재질 및 요구되는 결합력,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여 세부 구조 및 위치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수평프레임들(10, 20) 등에 체결관통공을 형성하여 상판(1)과의 체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앞선 설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보면, 도 7에 제시된 변형실시예에 대하여 삽입 보강브라켓(70)의 삽입방향을 다르게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평프레임(10, 20)의 단부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삽입 보강브라켓(70)의 자세가 앞선 일실시예와 반대로 되도록 삽입 보강브라켓(70)의 중앙면부(71)가 보강 날개부들(72, 73)보다 먼저 수평프레임(10, 20)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어 핀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된 후 앞선 일실시예보다 긴 치수를 가지는 매립체결부재(90)를 준비하여 결합함으로써 결합부(A)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핀부재(80)와 매립체결부재(90)가 상호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핀부재(80) 및 매립체결부재(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수평프레임(10, 20)에 삽입된 삽입 보강브라켓(70)을 고정하는 핀부재(80)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재(80)를 연장 형성하여 상판(1)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결합부(A)를 구성하는 핀부재(80)의 단부에 연장 체결부(81)를 구비하여 상판(1)을 함께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테이블의 전체 조립구조 및 조립작업, 부품관리 등이 단순화되는 향상된 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전체가 더욱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력 지지 및 분산 측면에서 더욱 향상된 구조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앞선 설명에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결합부(A)에 구비된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은 사각단면 부재 또는 중공부재로 형성되어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결합부(A)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는데,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10, 20)에 있어서 단면의 사각 여부, 중공 여부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와 제2 수평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중실부재(中實, solid)로 준비하여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에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A)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앞선 설명의 도면에서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가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 공간으로 수평진입하여 결합된 구조로 결합부(A)의 세부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결합부(A)에 있어서 수평프레임(10, 20)과 제1결합보강브라켓(40)의 결합부분이 다리프레임(30)의 외측 경계와 나란히 접하는 구조 등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여전히 본 발명을 유효하게 이용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그 전체가 완성된 후에 테이블 상판(1)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100)의 초기 또는 중간 형성 과정에서 일부 구성과 테이블 상판(1)을 먼저 결합하고 나머지 구성을 결합하여 완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유효하게 이용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10 : 제1 수평프레임 11 : 핀 도입공
12 : 핀 걸림공
20 : 제2 수평프레임 21 : 핀 도입공
22 : 핀 걸림공
30 : 다리프레임
40 : 제1 결합보강브라켓 41 : 지지면부
42 : 보강 결합부 43 : 지지면 체결공
44 : 결합부 체결공 45 : 삽입부 체결공
50 : 제2 결합보강브라켓 51 : 지지면부
52 : 보강 결합부 53 : 지지면 체결공
54 : 결합부 체결공 56 : 코너 생략부
61 : 결합부 체결부재 62 : 지지면 체결부재
65 : 결합부 커버
70 : 삽입 보강브라켓 71 : 중앙면부
72 : 제1 보강 날개부 73 : 제2 보강 날개부
74 : 핀 결합공 75 : 핀 결합공
77 : 체결 결합공
80 : 핀부재 81 : 연장 체결부
90 : 매립체결부재
A : 결합부

Claims (5)

  1.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을 지지하여 테이블을 형성하며, 복수의 부재(10, 20, 30)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결합부(A)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A)는,
    선형 부재로 각각 형성되며, 상판을 지지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의 사잇각을 갖도록 배치된, 제1 수평프레임(10)와 제2 수평프레임(20); 및
    절곡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다리프레임(30);
    보강 결합부(42)의 양 단부에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일측 말단부 단면이 각각 맞대어 결합되어 형성된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보강 결합부(52)가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다리프레임(30)의 상부에서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에 결합된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결합부 체결부재(61)를 이용하여 상기 사잇각을 형성한 공간에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를 순서대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상기 결합부(A)의 조립이 완성되고,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와,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보강 결합부(52)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면접촉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다리프레임(30)의 길이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반력을 제공하며,
    상기 보강 결합부들(42, 52)은 상기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으로 진입된 위치에서 상기 면접촉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2 수평프레임(20)의 상기 일측 말단부는 각각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으로 진입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A)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 및 제2 결합보강브라켓(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판(1)을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41, 5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은 상판(1)을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은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부(41)를 면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부(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보강브라켓(50)의 지지면부(51)는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지지면부(41)의 두께만큼 다리프레임(3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다리프레임(30)의 절곡 내측면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단면 또는 직각 단면으로부터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보강브라켓(40)의 보강 결합부(42)는, 관형부재인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하여 설치된 삽입 보강브라켓(70)에 매립체결부재(90)에 의하여 체결 결합되며,
    상기 삽입 보강브라켓(70)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 또는 제2 수평프레임(20)의 단부에 삽입되어 핀부재(80)에 의하여 고정되며, 중앙면부(71)의 양단부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된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날개부(72)와 제2 보강 날개부(73)에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핀부재(80)를 설치하기 위한 핀 결합공(74, 7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중앙면부(71)에 체결 결합공(7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190011506A 2019-01-29 2019-01-29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0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6A KR102003181B1 (ko) 2019-01-29 2019-01-29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6A KR102003181B1 (ko) 2019-01-29 2019-01-29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181B1 true KR102003181B1 (ko) 2019-07-23

Family

ID=6743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06A KR102003181B1 (ko) 2019-01-29 2019-01-29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49B1 (ko) * 2021-12-06 2022-04-20 주식회사 퍼맥스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0203U (ko) * 1977-03-02 1978-09-25
KR200377753Y1 (ko) 2004-12-21 2005-03-14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구조
KR101287403B1 (ko) 2013-01-02 2013-07-19 김태호 조립식 테이블
KR200473602Y1 (ko) * 2013-07-11 2014-07-15 (주)토파스 가구용 다리 조절장치
KR101847798B1 (ko) * 2018-01-24 2018-05-28 이정복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0203U (ko) * 1977-03-02 1978-09-25
KR200377753Y1 (ko) 2004-12-21 2005-03-14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구조
KR101287403B1 (ko) 2013-01-02 2013-07-19 김태호 조립식 테이블
KR200473602Y1 (ko) * 2013-07-11 2014-07-15 (주)토파스 가구용 다리 조절장치
KR101847798B1 (ko) * 2018-01-24 2018-05-28 이정복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749B1 (ko) * 2021-12-06 2022-04-20 주식회사 퍼맥스 테이블용 지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JP2018517880A (ja) 家具組立て用ブラケット、これを利用した組立て式家具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847798B1 (ko)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1933838B1 (ko)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JP2003028119A (ja) 木板に支柱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構造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JP2005087625A (ja)
JP6715574B2 (ja) 什器
CN111683564B (zh) 桌子框架组件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200273496Y1 (ko) 조립식 진열장
US20050144859A1 (en) Construction kit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JP3596455B2 (ja) 複合梁と木製柱との接続構造
KR102624314B1 (ko) 견고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KR200287632Y1 (ko) 탁자의 프레임과 다리의 조립 구조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JP4676649B2 (ja) 組立家具用補強材
JP7486330B2 (ja) 二段ベッド
JP7125693B1 (ja) 家具用接続部材および組み立て式家具
KR200339160Y1 (ko) 일체형 다리를 갖는 침대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조
KR102306170B1 (ko) 다용도 코너 브라켓
JP3161706U (ja) 組立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