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110B1 - 파티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티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110B1
KR101654110B1 KR1020150158584A KR20150158584A KR101654110B1 KR 101654110 B1 KR101654110 B1 KR 101654110B1 KR 1020150158584 A KR1020150158584 A KR 1020150158584A KR 20150158584 A KR20150158584 A KR 20150158584A KR 101654110 B1 KR101654110 B1 KR 10165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ion
partition
main bod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to KR102015015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파티션본체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측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면을 가지는 체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들에 상기 연결본체들을 각각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파티션본체들을 연결하도록 된 파티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기 파티션본체의 측면이 결속하여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과 대면하여 맞춤되게 접속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ㄱ' 자 형상의 결합편들이 대칭되도록 관통되면서 배치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편을 각각 가지며 서로 사이간격을 형성하면서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된 한 쌍의 가동체들이 직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동체들의 사이로 진퇴하여 상기 가동체들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도록 된 운동체가 마련되며, 상기 운동체와 연결되며 상단외부에서 상기 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된 연결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본체에서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편들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결합편들의 사이가 이격될때 단부가 결속하는 결속홈이 형성된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티션 연결장치{A connecting device for partitions}
본 발명은, 복수의 파티션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주어진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은 구획하고 분할하는 판재이다.
이러한 파티션은, 특히 사무공간 및 제품의 판매공간을 분할하여 아늑한 전용공간을 연출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제품의 전시 및 배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단순히 공간을 분할 구확하는 칸막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사무 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에 따른 복잡하게 전선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파티션은 규격, 재질, 설계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용도 및 업무특성 등에 따라 하나의 파티션을 단일 설치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파티션을 복합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L형 구조는 코너부분이나 책상 측면의 마감 시 사용되고, T형 구조는 전체공간에서 부서와 부서, 개인과 개인의 독립공간 구성 시 사용되며, 십자형 구조는 중심 공간에서 다양한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구성으로 공간을 보다 세분화하여 독립공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파티션과 파티션 사이를 결합하여 복합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체결수단의 조임력과 시공자의 시공성 등에 따라 파티션과 파티션의 결합의 견고성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제품의 품질과 공사기간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파티션의 상호 연결구조방식은 일반적으로 파티션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상하단 연결구조방식과, 파티션의 측면 전체가 연결봉이나 평단면상 장구형의 수지판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을 이루는 측면연결 구조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 연결구조의 하나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5732호(명칭: 칸막이의 하부구조)가 있으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칸막이의 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상호 연결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연결구 몸체와 이 연결구 몸체의 내측에 회동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구 몸체는 칸막이 프레임을 형성하는 수직부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나사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는 고리홈과 고리가 암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접하는 연결구의 일측 연결체는 고리홈이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이 고리홈에 타측 연결체의 고리가 세워진 상태에서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5151호(명칭: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티션 패널의 연결에 사용되는 결합체로서, 일측면의 상부와 중간부에 ㅗ형 홈 및 ㅜ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방향 체결부재 결합 홈이 별개로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위치이동 홈을 갖고 ㅣ형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직방향 체결부재 장착 홈이 형성되는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수평방향 체결부재 결합 홈에 장착 및 결합되며, 슬롯을 갖는 브래킷과 결합돌기를 갖는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방향 체결부재와; 상기 수직방향 체결부재 장착 홈에 장착되어 용이한 결합과 분리를 위한 결합홈을 갖는 원추형의 결합부가 형성된 수직방향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05026호(명칭: 친환경 다용도 파티션 조립 큐브블록)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레일과 중앙 체결공을 형성하는 프로파일을 조립블록으로 조립시켜 육면 구조체를 구성하는 조립블록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은 중앙공을 뚫은 일체의 3면판에 형성된 중앙공 외주면으로 외향 돌출된 결합날개를 돌출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의 공간부를 감싸게 체결되는 뚜껑부재로 구성시켜 결합날개에 프로파일이 조립되는 파티션 조립큐브블록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08698호(명칭: 파티션의 연결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패널; 이웃한 상기 패널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각각에 연결되는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 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빔은 대응되는 상기 패널의 가장자리를 억지 끼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탄성요입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빔 사이에 구비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의 양측으로 각각 복수 개 돌출되고, 단부에 구(球) 형상의 끼움구를 갖는 끼움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빔은, 대응되는 상기 끼움돌부의 끼움구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하기 위해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파티션의 연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7086호(명칭: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택된 크기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수직된 각재로 사각프레임을 구성하고, 양측면에 판넬)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으로 전시용 부스를 구성하되, 상기 파티션은 사각체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게 내벽과 외벽으로 형성되는 이중벽이 상면으로 연장된 한쌍의 상면부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절개부와, 체결블록이 끼워지는 공간부 및 가이드편이 구성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성된 공간부와 가이드편에 체결블록을 체결시켜 체결된 체결블록에 조인트가 체결되고, 상기 조인트에 형성된 가이드편은 체결블록의 가이드공에 체결되고 조인트 몸체부에 관통된 볼트는 클램프의 장공에 결합되는 너트를 조임하는 체결을 이루며, 상기 클램프의 절곡끼움부는 상부프레임의 상면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하향된 단부가 끼워져 상면부와 내측면이 감싸지고 절곡끼움부로부터 연장된 몸체에서 볼트가 관통하는 장공이 구비되어 하강된 체결편에 상기 조인트의 볼트가 체결됨으로서 파티션을 일자, 직각, 열십자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파티션의 노출된 측면을 마감하고 내측으로 통신선, 전선이 배선될 수 있는 마감프레임을 상기 조인트로 체결하도록 된 부스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5732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35151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05026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08698호 5,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37086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 연결구조들은,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파티션들을 연결하는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편하여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장치는, 파티션본체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측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면을 가지는 체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들에 상기 연결본체들을 각각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파티션본체들을 연결하도록 된 파티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기 파티션본체의 측면이 결속하여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과 대면하여 맞춤되게 접속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ㄱ' 자 형상의 결합편들이 대칭되도록 관통되면서 배치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편을 각각 가지며 서로 사이간격을 형성하면서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된 한 쌍의 가동체들이 직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동체들의 사이로 진퇴하여 상기 가동체들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도록 된 운동체가 마련되며, 상기 운동체와 연결되며 상단외부에서 상기 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된 연결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본체에서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편들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결합편들의 사이가 이격될때 단부가 결속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운동체에서 상기 가동체측 방향에 접하는 부위는, 중앙이 꼭지점을 형성하면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동체는, 상기 연결본체에서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가동체들을 근접 및 이격시키는 상기 운동체는 상기 연결링크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로 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연결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이 결속되어 안내되는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티션 연결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링크를 잡고 상기 연결본체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가동시키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복수의 파티션들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효율이 높은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구성들이 단순한 소수의 부품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높아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연결본체와 체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 수 있어 무단으로 결합된 상태가 해체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본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본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간을 분할하도록 된 판체로 이루어진 파티션본체(2)들을 서로 연결하여 공간을 분할 구획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는, 상기 파티션본체(2)의 양단면에 각각 결합하는 연결본체(3)와, 상기 연결본체(3)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결합면을 가지는 체결본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파티션본체(2)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연결본체(3)와 상기 연결본체(3)의 측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면을 가지는 체결본체(4)를 결합하여 복수의 파티션본체(2)들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에서 체결본체(4)에는, 상기 결합면이 하나 혹은 둘 이상이 구비되어 복수의 연결본체(3)와 연결되거나, 혹은 일 연결본체(3)와 결합하여 파티션본체(2)의 단부를 깔끔하게 마감처리 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본체(3)는, 상기 파티션본체(2)의 단부에 수직상 맞춤 결합하여 상기 파티션본체(2)의 측면을 마감 처리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결본체(4)와 수직상 길이방향을 가지면서 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연결본체(3)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가지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본체(3)의 일측면에는, 상기 파티션본체(2)의 측면이 결속하여 결합하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파티션본체(2)의 측단부가 상기 결합홈(31)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와 같은 미 도시된 별도의 체결요소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본체(3)에서 상기 결합홈(31)이 구비된 면과 대칭되는 타측면은, 상기 체결본체(4)의 결합면과 대면하여 맞춤되게 접속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ㄱ' 자 형상의 결합편(321)들이 대칭되도록 관통되면서 배치되는 통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편(321)을 통해 상기 체결본체(4)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체결본체(4)의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편(321)들이 수용되는 수용홈(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41)에는, 상기 결합편(321)들의 사이가 서로 이격될 때, 상기 결합편(321)들의 단부가 각각 결속하는 결속홈(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편(321)들이 서로 근접될 때에는 상기 결합편(321)들의 단부들이 상기 결속홈(43)에서 이탈하도록 되며, 상기 결합편(321)들이 서로 이격될 때에는 상기 결합편(321)들의 단부들이 상기 결속홈(42)에 끼움되도록 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용홈(41)과 결속홈(42)은, 상기 수용홈(41)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결합편(321)들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결속홈(4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연결본체(3)에서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편(321)을 각각 가지며 서로 사이 간격을 형성하면서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된 한 쌍의 가동체(32)들이 직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동체(32)들에는, 상기 가동체(32)들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길이를 가지는 장공(322)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322)에는 상기 연결본체(3)에 고정되는 고정핀(323)이 관통되면서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323)에 의해 안내되면서 왕복이동운동을 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본체(3)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로 진퇴하여 상기 가동체(32)들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도록 된 운동체(33)가 마련된다.
즉, 상기 운동체(33)가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에 진입하여 상기 가동체(32)들을 벌리거나,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에서 이탈하여 상기 가동체(32)들을 서로 좁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운동체(33)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결합편(321)들이 벌어지거나 좁혀져 상기 체결본체(4)의 결속홈(43)에 결속되거니 해제되어 결합 및 분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운동체(33)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잡고 상기 운동체(33)를 이동시키도록 된 연결링크(34)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연결링크(34)는, 상기 운동체(33)의 일단이 고정된 '봉' 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단이 상기 연결본체(3)의 내부에서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구동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본체(3)의 상단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덮개(5)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동체(33)가 상기 가동체(32)의 상부에서 진퇴하도록 되고, 상기 운동체(33)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동체(32)들이 서로 벌어지면서 상기 연결본체(3)와 체결본체(4)가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본체(3)와 상기 체결본체(4)가 결합될 때에, 상기 연결링크(34)의 종단이 상기 연결본체(3)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운동체(33)에서 상기 가동체(32) 측 방향에 접하는 부위는, 중앙이 꼭지점을 형성하면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운동체(33)가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에 진입하는 중에 상기 가동체(32)들이 상기 경사면에서 안내되어 서로 이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동체(32)들은 상기 연결본체(3)에 고정된 코일스프링(35)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어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에서, 상기한 가동체(32)에서 상기 운동체(33)가 접하는 면에는, 요철홈(3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동체(33)에서 상기 가동체(32)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요철홈(324)과 맞춤되게 결합하는 돌부(331)가 형성되어, 상기 운동체(33)와 상기 가동체(32)가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요철홈(324)은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부(331)는 상기 '톱니' 형상과 맞춤되게 결속하는 '삼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에서, 상기한 가동체(32)는, 상기 연결본체(3)에서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가동체(32)들을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된 상기 운동체(33)들은 상기 연결링크(34)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로 운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본체(3)와 상기 체결본체(4)가 다수의 지점에서 각각 결속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본체(3)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링크(5)의 일측면이 결속되어 안내되는 안내레일(36)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링크(34)가 상기 안내레일(36)을 통해 수직상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를 통해 복수의 파티션본체(2)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연결본체(3)와 상기 체결본체(4)를 서로 밀착되게 하여 접속시켜 상기 결합편(321)들이 상기 수용홈(41)에 수용되게 한 후, 상기 연결링크(34)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운동체(33)가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로 진입하면서 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체(32)들이 서로 이격되면, 상기 결합편(321)들이 서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편(321)들의 이동방향에 형성된 상기 결속홈(42)에 끼움 결합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본체(3)와 체결본체(4)가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본체(3)의 상부를 덮개(5)를 통해 폐쇄하면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상기 연결본체(3)와 상기 체결본체(4)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5)를 상기 연결본체(3)에서 분리하여 내부를 개방시킨 후, 상기 연결링크(34)를 상부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면, 상기 운동체(33)가 상기 가동체(32)들의 사이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분리되고, 상기 가동체(32)들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서오 근접되어, 상기 결합편(321)들이 상기 결속홈(42)에서 이탈하여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편(321)들이 상기 결속홈(42)에서 해지되면, 상기 연결본체(3)와 상기 체결본체(4)를 이격시키면 분리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파티션 연결장치(1)는,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가동체(32)와 상기 가동체(32)를 근접 및 이격시키도록 되는 상기 운동체(33)를 가지는 연결본체(3)와 상기 가동체(32)의 결합편(321)에 결속 및 해제되는 결속홈(42)을 가지는 체결본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연결장치 2 : 파티션본체
3 : 연결본체 31 : 결합홈
32 : 가동체 321 : 결합편
322 : 장공 323 : 고정핀
324 : 요철홈 33 : 운동체
331 : 돌부 34 : 연결링크
35 : 탄성스프링 36 : 안내레일
37 : 통공 4 : 체결본체
41 : 수용홈 42 : 결속홈
5 : 덮개

Claims (4)

  1. 파티션본체의 측면에 수직상으로 결합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측면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면을 가지는 체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들에 상기 연결본체들을 각각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파티션본체들을 연결하도록 된 파티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본체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상기 파티션본체의 측면이 결속하여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체결본체의 결합면과 대면하여 맞춤되게 접속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ㄱ' 자 형상의 결합편들이 대칭되도록 관통되면서 배치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편을 각각 가지며 서로 사이간격을 형성하면서 서로 근접하려는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된 한 쌍의 가동체들이 직선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동체들의 사이로 진퇴하여 상기 가동체들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도록 된 운동체가 마련되며; 상기 운동체와 연결되며 상단외부에서 상기 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된 연결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본체에서 상기 결합면에는,
    상기 결합편들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결합편들의 사이가 이격될때 단부가 결속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운동체에서 상기 가동체측 방향에 접하는 부위는,
    중앙이 꼭지점을 형성하면서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동체는,
    상기 연결본체에서 수직상으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가동체들을 근접 및 이격시키는 상기 운동체는,
    상기 연결링크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로 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면이 결속되어 안내되는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KR1020150158584A 2015-11-12 2015-11-12 파티션 연결장치 KR10165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584A KR101654110B1 (ko) 2015-11-12 2015-11-12 파티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584A KR101654110B1 (ko) 2015-11-12 2015-11-12 파티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110B1 true KR101654110B1 (ko) 2016-09-06

Family

ID=5694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584A KR101654110B1 (ko) 2015-11-12 2015-11-12 파티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84B1 (ko) * 2020-06-01 2020-11-13 유연순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파티션 결착구
CN112166220A (zh) * 2018-03-06 2021-01-01 Pr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固定在建筑元件上、用于保持与另一建筑元件的相对距离并用于限制在相对于另一建筑元件的位置周围的运动的间隔件
CN115306066A (zh) * 2022-09-19 2022-11-08 吉林建筑大学 一种装配式楼板的连接结构及方法
CN115354776A (zh) * 2022-09-19 2022-11-18 长春工程学院 一种建筑墙体连接节点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0Y2 (ja) * 1990-05-30 1995-01-18 コマニー株式会社 パネル支持部材及び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1503828A (ja) * 1996-11-12 2001-03-21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ヨン 多数パネル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連結具組立体
JP2005002667A (ja) * 2003-06-12 2005-01-06 Yamada Kogyo Kk パネルの連結装置
JP2006194436A (ja) * 2004-12-14 2006-07-27 Ns Planning Kk 結合金具
KR200435732Y1 (ko) 2006-09-29 2007-02-12 이성원 칸막이의 하부 연결구
KR100935151B1 (ko) 2008-08-28 2010-01-06 정형택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
KR101005026B1 (ko)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파티션 조립 큐브블록
KR101108698B1 (ko) 2011-09-29 2012-01-30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1537086B1 (ko) 2014-05-27 2015-07-16 (주) 나라디자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0Y2 (ja) * 1990-05-30 1995-01-18 コマニー株式会社 パネル支持部材及びパネルの連結構造
JP2001503828A (ja) * 1996-11-12 2001-03-21 シエイプ コーポレイシヨン 多数パネル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連結具組立体
JP2005002667A (ja) * 2003-06-12 2005-01-06 Yamada Kogyo Kk パネルの連結装置
JP2006194436A (ja) * 2004-12-14 2006-07-27 Ns Planning Kk 結合金具
KR200435732Y1 (ko) 2006-09-29 2007-02-12 이성원 칸막이의 하부 연결구
KR100935151B1 (ko) 2008-08-28 2010-01-06 정형택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기능을 갖는 파티션 패널 결합체
KR101005026B1 (ko)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파티션 조립 큐브블록
KR101108698B1 (ko) 2011-09-29 2012-01-30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1537086B1 (ko) 2014-05-27 2015-07-16 (주) 나라디자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6220A (zh) * 2018-03-06 2021-01-01 Pr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固定在建筑元件上、用于保持与另一建筑元件的相对距离并用于限制在相对于另一建筑元件的位置周围的运动的间隔件
CN112166220B (zh) * 2018-03-06 2023-01-31 Pr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固定在建筑元件上的间隔件
KR102178484B1 (ko) * 2020-06-01 2020-11-13 유연순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파티션 결착구
CN115306066A (zh) * 2022-09-19 2022-11-08 吉林建筑大学 一种装配式楼板的连接结构及方法
CN115354776A (zh) * 2022-09-19 2022-11-18 长春工程学院 一种建筑墙体连接节点装置
CN115354776B (zh) * 2022-09-19 2023-11-17 长春工程学院 一种建筑墙体连接节点装置
CN115306066B (zh) * 2022-09-19 2023-11-21 吉林建筑大学 一种装配式楼板的连接结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110B1 (ko) 파티션 연결장치
US8689705B2 (en) Reconfigurable table assemblies
CA2741905C (en) Split top table assemblies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KR101436965B1 (ko) 실험 테이블의 조립 시스템
RU2013106489A (ru)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корпуса
KR100826478B1 (ko) 파티션 조립 장치
KR102061709B1 (ko) 테이블 프레임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201675364U (zh) 一种拆装式框架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KR101359906B1 (ko) 모듈형 조립식 파티션
JP4773808B2 (ja) 配線受け樋
KR200486872Y1 (ko) 가변형 조립식 책상
KR20190130256A (ko) 조립식 가구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JP2009121225A (ja) 積上げ式間仕切装置
KR101108698B1 (ko) 파티션의 연결장치
JP5252359B1 (ja) チャンネル材用ボルト保持具
KR101711559B1 (ko) 칸막이 판넬 코너 연결용 고정 프레임
KR101047962B1 (ko) 복합 레이스웨이 엘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KR20060131066A (ko) 프레임 조립용 결합구
KR20160000210U (ko)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JP3179141U (ja) パーティショ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