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80A - 물품 재배열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재배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80A
KR20190086380A KR1020190002239A KR20190002239A KR20190086380A KR 20190086380 A KR20190086380 A KR 20190086380A KR 1020190002239 A KR1020190002239 A KR 1020190002239A KR 20190002239 A KR20190002239 A KR 20190002239A KR 20190086380 A KR20190086380 A KR 2019008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articles
upstream
storag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809B1 (ko
Inventor
마사루 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8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fixed commissioning areas remote from the storag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65G47/51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 B65G47/510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 B65G47/5109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 B65G47/5113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according to unprogrammed signals, e.g. influenced by supply situation at destination for articles first In - First Out systems: FIFO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부에 의해 물품을 받아들이고 나서 가능한 한 단시간으로 내보낼 수 있는 물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이 동일한 상류 분기 저류부(U)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이 상이한 상류 분기 저류부(U)에 저류되도록, 수용부(L1)가 받아들인 물품(B)을 상류 저류부(60)로 반송하고,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이 상이한 최종 분기 저류부(V)에 저류되고 또한 지정 순서가 앞인 물품군이 지정 순서가 뒤인 물품군보다도 반송 방향 X의 하류 측 X2에 저류되도록, 상류 저류부(60)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을 최종 저류부(70)로 반송하고, 최종 저류부(70)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을 지정 순서로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도록, 정렬부(A) 및 송출 컨베이어(C30)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물품 재배열 장치{ARTICLE REARRAN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품을 받아들이는 수용부와, 물품을 내보내는 송출부(send-out unit)와,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을 송출부로 반송(搬送)하고, 또한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의 순서를 지정된 지정 순서로 재배열하는 정렬부와, 제어부를 포함한 물품 재배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평4-361918호 공보에는, 물품을 받아들이는 수용부로서의 반입 영역과, 물품을 내보내는 송출부로서의 취출 영역을 구비하고, 물품을 반입 영역과 취출 영역을 경유하는 형태로 순환하여 반송하는 반송 라인이 설치되고, 또한 반송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상기 반송 라인이 다른 개소에 합류하는 10개의 버퍼 라인을 구비한 보관 영역이 형성된 물품 재배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물품 재배열 장치에서는, 반송 대상의 복수의 물품의 각각에 지정 순서를 따라서 연속된 2자리의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물품은, 상기 식별번호에 관계없이 처리가 종료된 것부터 반송 라인으로 건네지기 때문에, 반입 영역에 의해 물품을 받아들인 시점에서는, 물품이 지정 순서와는 상이한 재배열 순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물품 재배열 장치에서는, 반송 라인에 있어서 반송되는 물품에 대하여, 식별번호의 일의 자리가 같은 물품을 동일한 버퍼 라인에 저류(貯留)하는 1차 분류를 행하고, 일시 분류가 완료되면, 이어서, 일의 자리의 수가 작은 버퍼 라인으로부터 순서대로 반송 라인에 물품을 재투입하고, 식별번호의 십의 자리가 같은 물품을 동일한 버퍼 라인에 저류하는 2차 분류를 행한다.
상기 물품 재배열 장치에서는, 물품의 순서를 지정 순서를 따라서 재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1차 분류에서 재배열되어 반송 라인에 반송된 물품이, 일의 자리가 동일한 물품으로 구성되는 물품 그룹 단위이고, 또한 십의 자리의 숫자 순으로 배열되게 되고, 2차 분류에 있어서는, 일의 자리의 숫자에 기초하여 상기의 물품 그룹마다 각 버퍼 라인으로 분산시켜 가게 되기 때문에, 각 버퍼 라인에 있어서, 연속된 번호의 물품이 축적되는 데에 시간이 걸리고, 물품을 반입 영역에서 받아들이고 나서 취출 영역에서 내보낼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에, 수용부에 의해 물품을 받아들이고 나서 가능한 한 단시간으로 내보낼 수 있는 물품 재배열 장치가 요망된다.
상기를 감안한, 물품 재배열 장치는 하나의 태양(態樣)으로서, 물품을 받아들이는 수용부와, 물품을 내보내는 송출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송출부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의 순서를 지정된 지정 순서로 재배열하는 정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복수의 물품을 저류 가능하고 또한 반송 가능한 저류 반송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송출부로 향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반송 방향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최종 저류부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최종 저류부의 하나의 상류 측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상류 저류부로 하여, 상기 최종 저류부 및 상기 상류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렬에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상류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최종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설정수와 상기 제2 설정수는 같은 수 또는 다른 수이며, 상기 수용부는 그룹 단위로 그룹 내의 순서가 상기 지정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물품을 받아들이고, 상기 복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제2 설정수 이상의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제1 설정수 이상의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그룹의 물품수는 상기 제2 설정수에 상기 제1 설정수를 곱한 수 이하이고, 상기 그룹의 물품은,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의 물품부터 상기 제2 설정수씩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동일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도록, 상기 수용부가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로 반송하고,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의 상기 물품군이 상기 지정 순서가 뒤의 상기 물품군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저류되도록, 상기 상류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최종 저류부로 반송하고, 상기 최종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를 제어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 받아들인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은,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로 반송된다. 이 때,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동일한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을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함으로써, 이들 물품을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로 반송하는 경우에,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지정 순서가 앞인 물품군이 지정 순서가 뒤인 물품군보다도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저류되도록 반송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을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함으로써, 이들 물품을 송출부로부터 지정 순서로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이 지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 않았다고 해도, 정렬부에 있어서 소정의 순서로 재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에 의해 물품을 받아들이고 나서 가능한 단시간으로 내보내는 것이 가능한 물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물품 재배열 장치를 구비하는 물품 보관 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정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물품 보관 설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물품의 지정 순서, 그룹 및 소팅 부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상류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이 반송되는 반송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정렬부에 의한 물품의 정렬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1차 소팅용 컨베이어의 물품의 수가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물품 재배열 장치를 물품 보관 설비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보관 설비는, 제조업자 등으로부터 납입된 복수 종류의 물품(예를 들면, 골판지 포장이나 팰릿 등)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 개의 화물을, 상이한 복수의 출하처마다 필요한 종류 및 필요한 양만큼 모아서 출하하는 재고형 물류 센터(디스트리뷰션 센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물품(B)을 도 1에 나타내는 보관고(1)에 보관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고(1)에는 물품(B)을 수납하는 수용부가 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구비된 물품 수납 선반(K)이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물품 수납 선반(K)과 출고용 컨베이어(C1) 사이에서 물품(B)을 반송하는 스태커 크레인(S)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출고용 컨베이어(C1)의 하류 측 단부(端部)에는, 상기 출고용 컨베이어(C1)로부터 수취한 물품(B)을 하류를 향하여 반송하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고용 컨베이어(C1) 및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각각은, 반송 경로를 따라 물품(B)이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물품(B)을 반송한다.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는, 출고용 컨베이어(C1)로부터 수취한 물품(B)을 반송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전후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출고용 컨베이어(C1)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반송 방향 X로 이격되는 복수의 개소에서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와 합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출고용 컨베이어(C1) 중 하류 측의 출고용 컨베이어(C1)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넘겨준 물품(B)이,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 상을 먼저 반송되기 쉽다. 예를 들면, 복수의 출고용 컨베이어(C1) 중 상대적으로 상류 측의 출고용 컨베이어(C1)가, 상대적으로 하류 측의 출고용 컨베이어(C1)보다 먼저 물품(B)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넘겨준 경우라도, 상대적으로 하류 측의 출고용 컨베이어(C1)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넘겨준 물품(B)이 먼저 반송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는 수취한 순서대로 물품(B)을 반송할 뿐이며, 반송하고 있는 물품(B)의 순서를 바꾸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보관고(1)로부터 출고된 물품(B)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보다 하류의 송출 컨베이어(C30)의 단부 Ce로 반송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는, 정렬부(A)로 반송되고, 정렬부(A)로부터 내보내어진 물품(B)을 송출 컨베이어(C30)가 상기 송출 컨베이어의 단부 Ce까지 반송한다. 그리고, 피킹 로봇(R)이, 단부 Ce에 위치하는 물품(B)으로부터 필요한 수의 화물을 취출하고, 취출한 화물을 예를 들면, 적하 개소 T에서 대기하고 있는 집품(集品) 케이스(D)에 투입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집품 케이스(D)란 자주식(自走式) 대차에 지지된 컨테이너나 반송 벨트 상에 탑재된 케이지 카트 등이다.
이와 같이 피킹 로봇(R)에 의해 집품 케이스(D)에 화물을 투입함에 있어서, 그 투입 순서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집품 케이스(D)에 물의 페트병 등의 중량물과 상자 내의 약제를 투입하는 경우, 상자 내의 약제를 먼저 투입하고 그 후에 페트병을 투입하면, 약제 상자가 페트병에 눌려 으깨질 우려가 있다. 또한, 집품 케이스(D)로의 화물의 투입 순서에 의해, 집품 케이스(D) 내에서의 화물의 수납 효율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와 같이, 중량이나 안정성 등의 관계 또는 수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집품 케이스(D)로의 화물의 투입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B)의 순서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에는, 송출 컨베이어(C30)의 단부 Ce로의 물품(B)의 도달 순서를 적절한 순서로 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송출 컨베이어(C30)의 단부 Ce에 도달하는 물품(B)의 순서를 적정한 순서로 바꾸기 위해 물품 재배열 장치(E)가 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재배열 장치(E)는, 물품(B)을 받아들이는 수용부로서의 상류 리프터(L1)와, 물품(B)을 내보내는 송출부로서의 송출 컨베이어(C30)와, 물품 수납 선반(K)으로부터 반출된 물품(B)을 상류 리프터(L1)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로서의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와, 상류 리프터(L1)로부터 받아들인 물품(B)의 순서를 지정된 지정 순서 G2로 재배열하는 정렬부(A)를 포함하고 있다. 정렬부(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저류부(60)(저류 반송부)와 중간 리프터(L2)와 하류 저류부(70)(저류 반송부)와 하류 리프터(L3)를 구비하고 있다.
상류 저류부(60)는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저류부(60)는,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1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U4)의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가지고 있다. 하류 저류부(70)는 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저류부(70)는,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가지고 있다. 상류 리프터(L1)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받은 물품(B)을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중 어느 하나에 건네도록 물품(B)을 반송한다. 중간 리프터(L2)는,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받은 물품(B)을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중 어느 하나에 건네도록 물품(B)을 반송한다. 하류 리프터(L3)는,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받은 물품(B)을 송출 컨베이어(C30)에 건네도록 물품(B)을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리프터(L1), 상류 저류부(60), 중간 리프터(L2), 하류 저류부(70), 하류 리프터(L3) 및 송출 컨베이어(C30)가, 반송 방향 X의 상류 측 X1로부터 하류 측 X2로 기재된 순으로 배열되도록, 평면에서 볼 때 직선형으로 배열되는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재배열 장치(E)에서는,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가 물품(B)을 반송하는 방향[정렬부(A)에 있어서의 상류 리프터(L1)로부터 송출 컨베이어(C30)로 향하는 방향]을 반송 방향 X로 하고 있다. 또한, 반송 방향 X의 상류 측을 상류 측 X1로 하고, 반송 방향 X의 하류 측을 하류 측 X2로 하고 있다.
상류 리프터(L1)는 지주(Ls)와, 상기 지주(Ls)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 Z로 이동 가능한 승강 반송부(Lf1)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는 상류 리프터(L1)에 대하여 하류 측 X2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류 리프터(L1)의 승강 반송부(Lf1)과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상류 측 X1의 단부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하류 측 단부도,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와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 리프터(L1)는 승강 반송부(Lf1)의 승강에 의해,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받은 물품(B)을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1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U4) 중 어느 하나에 건넬 수 있게 되어 있다.
중간 리프터(L2)는 상류 리프터(L1)와 마찬가지로, 지주(Ls)와 승강 반송부(Lf2)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는, 중간 리프터(L2)에 대하여 상류 측 X1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간 리프터(L2)의 승강 반송부(Lf2)와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하류 측 X2의 단부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는, 중간 리프터(L2)에 대하여 하류 측 X2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간 리프터(L2)의 승강 반송부(Lf2)와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상류 측 X1의 단부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는,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중복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리프터(L2)는 승강 반송부(Lf2)의 승강에 의해,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받은 물품(B)을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중 어느 하나에 건넬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류 리프터(L3)는 상류 리프터(L1)나 중간 리프터(L2)와 마찬가지로, 지주(Ls)와 승강 반송부(Lf3)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는, 하류 리프터(L3)에 대하여 상류 측 X1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류 리프터(L3)의 승강 반송부(Lf3)와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하류 측 X2의 단부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 리프터(L3)는 승강 반송부(Lf3)의 승강에 의해,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받은 물품(B)을 송출 컨베이어(C30)에 건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 리프터(L3)는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순서로 물품(B)을 받아서 송출 컨베이어(C30)에 넘겨주게 되어 있다. 또한,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물품(B)을 주고받은 후에는,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에 되돌아가는 형태로,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물품(B)을 주고받는다.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는, 물품(B)을 정지 상태에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피킹 로봇(R)은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B)으로부터 화물을 취출하게 된다. 그리고, 화물의 취출이 종료된 물품(B)은, 반송 컨베이어(C20) 및 입고용 컨베이어(C2)(도 1 참조)를 통하여 보관고(1)로 반송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는, 도 3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B)이 반송된다.
그리고, 피킹 로봇(R)의 상방, 또는 피킹 로봇(R)의 피킹 핸드부에는, 화상인식용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피킹 대상이 되는 물품(B) 내부에 화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킹 로봇(R)에 의해 화물을 취출한 결과, 상기 물품(B)의 화물이 비게 된 경우에는, 상기 물품(B)(이하, 빈 상자라고 함)을 빈 상자용 라인으로 반송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자동 반송 대차를 사용해도 되고, 송출 컨베이어(C30) 하류 측의 단부 Ce로부터 빈 상자 집적 개소를 향하여 빈 상자용 라인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류 저류부(60)는, 반송 방향 X로 병렬로 분기되는 제1 설정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저류부(60)는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가지고 있고, 제1 설정수는 「4」로 되어 있다. 하류 저류부(70)는 반송 방향 X로 병렬로 분기되는 제2 설정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저류부(70)는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가지고 있고, 제2 설정수는 「4」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저류부(60)가 가지는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수인 제1 설정수와, 하류 저류부(70)가 가지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수인 제2 설정수는 동일한 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방향 X로 병렬로 분기됨」이란, 상류 저류부(60)이면, 상류 리프터(L1)로부터 받은 물품(B)을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분기되도록 반송되고, 이들 분기되도록 반송된 물품(B)이 상하 방향 Z로 병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각각은,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상에 제2 설정수 이상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각각은,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상에 6개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류 저류부(60)는 24개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각각은,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상에 제1 설정수 이상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각각은,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상에 4개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류 저류부(70)는 16개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 가능한 물품(B)의 수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저류 가능한 물품(B)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류 저류부(60) 및 하류 저류부(70)의 각각은, 적어도 제1 설정수에 제2 설정수를 곱한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 소팅용 컨베이어(U)가, 상류 분기 저류부(분기 저류부)에 상당하고, 2차 소팅용 컨베이어(V)가 최종 분기 저류부(분기 저류부)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정렬부(A)는, 상류 저류부(60)와 하류 저류부(70)의 복수의 저류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복수의 저류 반송부는, 상류 리프터(L1)로부터 송출 컨베이어(C30)로 향하는 반송 방향 X를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 저류부(70)는,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반송 방향 X에서 가장 하류 측 X2에 배치된 최종 저류부에 상당한다. 상류 저류부(60)는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최종 저류부의 하나의 상류 측 X1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재배열 장치(E)는 제1 판독 장치(S1)와 제2 판독 장치(S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판독 장치(S1) 및 제2 판독 장치(S2)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B)에 부여된 물품 정보를 판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B)을 식별하는 코드가 바코드에 의해 인쇄나 첩부에 의해 물품(B)에 첨부되어 있고, 제1 판독 장치(S1)나 제2 판독 장치(S2)는, 물품(B)에 첨부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판독 장치(S1)는, 제2 판독 장치(S2)보다 반송 방향[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물품(B)이 반송되는 방향]의 상류 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 판독 장치(S2)보다 상류 측에서 물품(B)의 물품 정보를 판독한다. 즉,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B)은,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 후,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물품 재배열 장치(E)는 배출 장치(F)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장치(F)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제1 판독 장치(S1)와 제2 판독 장치(S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 장치(F)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를 그대로 하류 측으로 반송하는 상태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 컨베이어(C40)에 건네도록 반송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일부가 배출 장치(F)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물품(B)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하여 배출 컨베이어(C40)에 건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 장치(F)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았던 물품(B)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한다.
다음에, 도 3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의 물품 보관 설비의 제어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부(H)는 예를 들면 연산 장치와 기억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억 장치에 기억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를 실행하게 되어 있다.
보관고(1)에는 복수의 스태커 크레인(S)와, 상기 스태커 크레인(S)로부터 물품(B)을 수취하여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건네는 복수의 출고용 컨베이어(C1)와, 반송 컨베이어(C20)로부터 받은 물품(B)을 스태커 크레인(S)과의 수수 개소로 반송하는 복수의 입고용 컨베이어(C2)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H)는 보관고(1)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H)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 송출 컨베이어(C30), 반송 컨베이어(C20),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상류 리프터(L1), 중간 리프터(L2) 및 하류 리프터(L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 송출 컨베이어(C30), 반송 컨베이어(C20), 4개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4개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 상류 리프터(L1), 중간 리프터(L2) 및 하류 리프터(L3)는 제어부(H)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H)는 보관고(1)로부터 출고하는 물품(B)에 대하여, 도 4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B)을 식별하기 위한 물품 코드 G1[물품 정보에 상당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JAN 코드(Japanese Article Number Code)나, EAN 코드(European Article Number Code) 등의 상품 식별 코드]과,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도달시키는 순서인 지정 순서 G2[즉, 피킹 로봇(R)에 의해 화물을 피킹하는 순서]와, 물품(B)이 속하는 그룹 G3과, 후술하는 소팅 부호 G4를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제어부(H)에는, 우수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도달시키는 물품(B)의 정보(여기서는 물품 코드 G1) 및 이들 물품(B)의 지정 순서 G2가 입력되어 있다. 이들 정보는, 물품 수납 선반(K)으로부터 배출되는 물품(B)의 정보(반출 정보)에 대응한다. 제어부(H)는 물품(B)의 지정 순서 G2로부터, 제3 설정수 이하의 물품(B)이 속하는 그룹 G3(예를 들면, α, β)과,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소팅 부호 G4(예를 들면, A∼D 및 1∼4)를 설정한다(제3 설정 수에 대해서는 후술함). 그리고, 제어부(H)는, 이들 물품 코드 G1, 지정 순서 G2, 그룹 G3, 소팅 부호 G4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H)는,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도달시키는 물품(B)에 대하여, 지정 순서 G2가 앞인 물품(B)부터 미리 설정된 제3 설정수 이하의 그룹 G3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각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수는, 제1 설정수에 제2 설정수를 곱한 수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설정수 「4」에 제2 설정수 「4」를 곱한 수 「16」 이하인 「12」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H)는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도달시키는 물품(B)에 대하여, 지정 순서 G2가 앞인 물품(B)부터 12개 단위로 그룹 G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H)는, 송출 컨베이어(C30)의 하류 측 단부 Ce에 도달시키는 물품(B)의 정보 및 그룹 G3의 정보(예를 들면, 도 4의 표에 나타내어진 정보)를 보관고(1)에 송신한다. 보관고(1)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의 어느 지점(예를 들면, 제1 판독 장치(S1)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 있어서, 동일한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이 연속된 순서로 되는 상태에서 물품(B)이 반송되도록 물품(B)을 출고한다.
한편, 그룹 G3 내의 물품(B)의 반송 순서는, 반드시 지정 순서 G2대로 반송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의 표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지정 순서 G2가 "4"인 물품(B)(제1 소팅 부호 G41이 "A", 제2 소팅 부호 G42가 "4": 이하 소팅 부호 G4가 "A-4"등으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최초로 반송되고, 다음에, 지정 순서 G2가 "9"인 물품(B)(소팅 부호 G4이 "C-1")이 반송되고, 그 후에도 지정 순서 G2에 관계없이 물품(B)이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류 리프터(L1)는, 지정 순서 G2와 상이한 순서로 물품(B)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다. 즉, 상류 리프터(L1)는 그룹 G3의 단위로, 상기 그룹 G3 내의 순서가 지정 순서 G2와는 상이한 순서로 물품(B)을 받아들이는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또는, 상류 리프터(L1)는 그룹 G3의 단위로, 상기 그룹 G3 내의 순서가 지정 순서 G2와는 상이한 순서라도(상기 그룹 G3 내의 순서가 지정 순서 G2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물품(B)을 받아들이는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H)는 보관고(1)로부터 출고하는 물품(B)에 대하여, 전술한 소팅 부호 G4에 기초하여, 물품 재배열 장치(E)에 의해 물품(B)을 지정 순서 G2로 재배열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H)는, 물품 수납 선반(K)으로부터 반출되는 시점에 있어서 물품 수납 선반(K)으로부터 반출된 물품(B)의 정보인 반출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따라서,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B)의 물품 정보가 판독되기 전에,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 순서 G2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H)는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 중,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있어서 가장 상류 측의 물품(B)의 물품 정보가,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판독되기 전에[즉, 반출된 모든 물품(B)의 물품 정보가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판독되기 전에], 상기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에 관한 지정 순서 G2를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제어부(H)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은, 배출 장치(F)에 의해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하도록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를 제어한다. 상기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한 물품(B)은, 배출 컨베이어(C40)에 건네지고, 이 배출 컨베이어(C40), 반송 컨베이어(C20), 입고용 컨베이어(C2)의 순으로 반송되어, 물품 수납 선반(K)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어부(H)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 물품(B)은 배출 장치(F)에 의해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를 제어한다. 상기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물품(B)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계속해서 반송되어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상류 리프터(L1)에 건네진다.
제어부(H)는, 또한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 물품(B)에 대해서는,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 순서 G2로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도록 정렬부(A) 및 송출 컨베이어(C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H)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고 또한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에 대해서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 순서 G2로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도록 정렬부(A) 및 송출 컨베이어(C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 도 6도 참조하여 정렬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표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6에 있어서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 상을 지정 순서에 관계없이 물품(B)이 반송되고 있다. 그리고, 반송 순서는, 도 5에 예시하는 형태와 도 6에 예시하는 형태에서 상이하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소팅 부호 G4는, 제1 소팅 부호 G41과 제2 소팅 부호 G42의 2개의 부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B)과, 상류 저류부(60)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과, 하류 저류부(70)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은 동일한 물품(B)을 나타내고 있다. 즉, 상류 저류부(60)나 하류 저류부(70)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B)을 저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물품(B)에는, 상기 물품에 붙여 있는 제1 소팅 부호 G41과 제2 소팅 부호 G42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H)는, 지정 순서 G2가 배정된 물품(B)에 대하여, 상기 지정 순서 G2가 빠른 물품(B)[앞의 물품(B)]부터 제2 설정수씩을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으로 하고,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에는 동일한 제1 소팅 부호 G41(물품군 식별 정보)을 붙인다. 여기서는, 제2 설정수가 "4"이므로, 지정 순서 G2가 "1∼4"인 물품(B)에는, 제1 소팅 부호 G41로서 "A"가 할당된다. 이하, 지정 순서 G2가 "5∼8"인 물품(B)에는 "B", 지정 순서 G2가 "9∼12"인 물품(B)에는 "C"가 제1 소팅 부호 G41로서 할당된다.
그리고, 제어부(H)는, 동일한 제1 소팅 부호 G41을 가지는 물품(B)에 대하여, 지정 순서 G2가 빠른 물품(B)부터 순서대로, 설정 배분 순서를 나타내는 제2 소팅 부호 G42(순서 식별 정보)를 붙인다. 여기서는,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은, 지정 순서 G2가 "1∼4"인 물품(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정 순서 G2가 "1"인 물품(B)에는, 제2 소팅 부호 G42로서 "1"이 할당된다. 이하, 지정 순서 G2가 "2"인 물품(B)에는 "2", 지정 순서 G2가 "3"인 물품(B)에는 "3", 지정 순서 G2가 "4"인 물품(B)에는 "4"가 제2 소팅 부호 G42로서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인 물품군은, 지정 순서 G2가 "5∼8"인 물품(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장 지정 순서 G2가 빠른 "5"의 물품(B)에는, 제2 소팅 부호 G42로서 "1"이 할당된다. 이하, 지정 순서 G2가 "6"인 물품(B)에는 "2", 지정 순서 G2가 "7"인 물품(B)에는 "3", 지정 순서 G2가 "8"인 물품(B)에는 "4"가 제2 소팅 부호 G42로서 할당된다. 제1 소팅 부호 G41이 "C"인 물품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설정 배분 순서란, 상류 저류부(60)의 각 단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되어 있는 동일한 제1 소팅 부호 G41의 물품(B)을, 중간 리프터(L2)가 하류 저류부(70)의 각 단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배분하는 순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배분 순서는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순으로 설정된다.
제어부(H)는, 상류 리프터(L1)에 의해 받아들여진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을,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분산하여 저류시키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1 소팅 부호 G41의 물품(B)[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이 동일한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제1 소팅 부호 G41의 물품(B)[상이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B)]이 상이한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되도록, 상류 리프터(L1)가 받아들인 물품(B)을 상류 저류부(60)로 반송하도록, 상류 리프터(L1) 및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저류부(60)에 있어서는 제1 소팅 부호 G41(A, B, C)에 기초하여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물품(B)이 저류된다.
여기서는,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에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이 저류되고, 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에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인 물품군이 저류되고, 1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U3)에 제1 소팅 부호 G41이 "C"인 물품군이 저류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물품군의 수가 "3"이고, 제1 설정수 "4" 미만이므로, 1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U4)에는 어떠한 물품(B)도 저류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의 상류 저류부(60)에 있어서 원 문자로 나타낸 숫자는, 물품(B)이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될 때의 반송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반송 순서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 상의 반송 순서와 동일하다.
계속해서, 제어부(H)는, 상류 저류부(60)[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저류되어 있는 복수의 물품(B)을 하류 저류부(70)[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1 소팅 부호 G41(동일한 물품군)의 물품(B)이 상이한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저류되고 또한 지정 순서 G2가 앞인 제1 소팅 부호 G41인 물품(B)이, 지정 순서 G2가 뒤인 제1 소팅 부호 G41의 물품(B)보다 하류 측 X2에 저류되도록,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중간 리프터(L2) 및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이 가장 지정 순서 G2가 앞인 물품(B)을 포함하는 물품군이고, 제1 소팅 부호 G41이 "C"인 물품군이 가장 지정 순서 G2가 뒤인 물품(B)을 포함하는 물품군이다. 따라서,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을 저류하는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인 물품군을 저류하는 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 제1 소팅 부호 G41이 "C"인 물품군을 저류하는 1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U3)의 순으로,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단위로 하류 저류부(70)[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물품(B)이 넘겨진다.
그리고, 상류 저류부(60)에 저류되어 있는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의 하류 저류부(70)로의 반송은, 상기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 전부가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에 있어서의 제2 판독 장치(S2)에 대응하는 위치를 통과한 후에 개시된다. 즉, 상기 반송은,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 전부가 상류 저류부(60)에 저류되기 전에 개시된다.
물품(B)은, 도 6의 하류 저류부(70)에 있어서 원 문자로 나타낸 숫자의 순서로,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저류된다.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의 가장 하류 측에 저류된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이고 또한 제2 소팅 부호 G42가 "4"인 물품(B)이 최초로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로 반송되어 저류된다. 이하,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 중, 제2 소팅 부호 G42가 "2"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에, 제2 소팅 부호 G42가 "3"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에, 제2 소팅 부호 G42가 "1"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에 기재된 순으로 반송되어 저류된다.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에 저류된 물품군]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음에,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인 물품군[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에 저류된 물품군]이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 반송되어 저류된다. 마찬가지로,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인 물품군[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에 저류된 물품군]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음에, 제1 소팅 부호 G41이 "C"인 물품군[1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U3)에 저류된 물품군]이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 반송되어 저류된다.
이와 같이, 늦어도 제2 소팅 부호 G42의 개수(제2 설정수)분의 물품(B)이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분배된 시점에서, 지정 순서 G2에 따른 연속된 순서의 물품(B)이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하나씩 저류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저류된 선두(하류 측)의 물품(B)을 하류 리프터(L3)에 의해 하나씩 송출 컨베이어(C30)에 넘겨줌으로써, 피킹 로봇(R)은 지정 순서 G2대로 물품(B)으로부터 화물을 피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류 리프터(L3)에 의해,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순으로 가장 하류 측의 물품(B)을 송출 컨베이어(C30)에 넘겨줌으로써, 피킹 로봇(R)은 지정 순서 G2대로 물품(B)으로부터 화물을 피킹할 수 있다.
즉, 제어부(H)는, 지정 순서 G2가 배정된 정렬 대상의 복수의 물품(B)을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분산하여 저류시키고, 그 후,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로부터 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정렬부(A)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H)는, 정렬 대상의 복수의 물품(B)을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의 수(제2 설정수)와 동일한 수의 물품(B)으로 이루어지는 물품군으로 구분한 상태이고, 또한 각 물품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물품(B)에 배정되어 있는 지정 순서 G2가 물품군 내에서 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품군 단위로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분산하여 저류시킨다. 그리고, 「지정 순서 G2가 물품군 내에서 연속되어 있는 상태」란, 지정 순서 G2를 나타내는 값(번호)이 연속된 1군의 번호인 것을 나타내고,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순번대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소팅 부호 G41이 "A"인 물품군을 구성하는 물품(B)의 지정 순서 G2는 "1∼4"이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에는 하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지정 순서 G2가 "4", "2", "3", "1"인 물품(B)이 저류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물품(B)의 지정 순서 G2는 "1∼4"로 연속되어 있고, 이와 같은 상태가 「지정 순서 G2가 물품군 내에서 연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어부(H)는, 정렬 대상의 복수의 물품(B)을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로부터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물품군에 포함되는 물품(B) 중 지정 순서 G2가 빠른 물품(B)이, 먼저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물품(B)이 내보내어지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저류되도록, 지정 순서(G)에 따라서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분산하여 저류시키도록 정렬부(A)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가장 먼저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물품(B)이 내보내어지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는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고, 가장 나중에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물품(B)이 내보내어지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는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다. 따라서, 1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U1)의 가장 하류 측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B)[지정 순서 G2가 "4"(물품군 중에서의 지정 순서에 상당하는 제2 소팅 부호 G42도 "4")인 물품(B)]이, 최초로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에 저류된다. 이하, 지정 순서(G)에 따라서, 지정 순서 G2가 "2"(여기서는 제2 소팅 부호 G42도 "2")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에 저류되고, 지정 순서 G2가 "3"(여기서는 제2 소팅 부호 G42도 "3"]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에 저류되고, 지정 순서 G2가 "1"(여기서는 제2 소팅 부호 G42도 "1")인 물품(B)이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에 저류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리프터(L1)에 의해 받아들여진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B)에, 상기 그룹 G3에 속하지 않는 물품(B)[예정 외 물품(BB)]이 혼동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배출 컨베이어(C40)의 측으로 반송되지 않고 정렬부(A) 측으로 예정 외 물품(BB)이 반송되어 버린 경우 등]. 이 경우에는, 예정 외 물품(BB)을, 상류 저류부(60)와 하류 저류부(70)에 순차 반송하여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낸다. 그리고, 이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어진 예정 외 물품(BB)은 피킹 로봇(R)에 의한 피킹 작업의 대상이 되지 않고, 송출 컨베이어(C30)를 통과하여 반송 컨베이어(C20) 및 입고용 컨베이어(C2)를 통하여 물품 수납 선반(K)으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예정 외 물품(BB)을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과는 상이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고, 예정 외 물품(BB)에는 제1 소팅 부호 G41이나 제2 소팅 부호 G42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또한, 도 7에 예시하는 형태에서는, 도 4∼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형태와는 상이하게, 하나의 그룹 G3의 물품수는 「16」으로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그룹 G3은 4개(A, B, C, D)의 물품군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H)는 예정 외 물품(BB)을 상류 저류부(60)와 하류 저류부(70)로 반송함으로써,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또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에 존재하는 물품(B)의 수가 각 분기 저류부에 있어서의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품(B)의 반송을 정지하여 이상(異常)을 통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저류부(60)에 있어서의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 중 저류되어 있는 물품(B)의 수가 가장 적은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예를 들면, 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1차 소팅용 컨베이어(U)에 예정 외 물품(BB)을 반송한다. 여기에서, 예정 외 물품(BB)을 반송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소팅 부호 G41이 "B"이고 또한 제2 소팅 부호 G42가 "3"인 물품(B)]을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로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물품(B)을 반송하려고 하는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1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U2)]의 물품수가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H)는, 물품 재배열 장치(E)를 정지시켜 물품(B)의 반송을 정지하고, 또한 통지 장치(M)(도 3 참조)를 작동시켜서 에러를 통지한다. 그리고, 통지 장치(M)는 버저나 회전등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작동시킴으로써 소리나 빛에 의해 주위의 작업자에게 에러를 통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물품 재배열 장치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에 있어서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고 또한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을,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B)을 지정 순서 G2로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도록 정렬부(A) 및 송출 컨베이어(C30)의 작동이 제어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2 판독 장치(S2)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을 예정 외 물품(BB)과 마찬가지로, 상류 저류부(60)와 하류 저류부(70)에 순차 반송하여 송출 컨베이어(C30)로부터 내보내어, 물품 수납 선반(K) 또는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 되돌아가도록, 정렬부(A) 및 송출 컨베이어(C30)의 작동이 제어되는 형태여도 된다.
(2) 상기에 있어서는, 배출 장치(F)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만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내보내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배출 장치(F)는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B)에 더하여, 제1 판독 장치(S1)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 것의 전후 물품(B)의 양쪽과 그룹 G3이 상이한 물품(B)을 상류 반송 컨베이어(C10)로부터 내보내도록 해도 된다.
(3) 상기에 있어서는,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제2 설정수를 초과하는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류 저류부(6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수를 초과하는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상류 저류부(6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수와 동일한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류 저류부(6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을 초과하는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하는 경우,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제1 설정수의 2배 이상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류 저류부(60)에 2개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제1 설정수와 제2 설정수를 동일한 수로 하였으나, 제1 설정수와 제2 설정수를 상이한 수로 해도 된다.
(4) 상기에 있어서는,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제1 설정수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류 저류부(7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수와 동일한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제1 설정수를 초과하는 수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류 저류부(7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수를 초과하는 수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제1 설정수의 미만의 물품(B)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하고, 하류 저류부(70)에 하나의 그룹 G3에 속하는 물품(B)의 수 미만의 물품(B)을 저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하류 저류부(70)로부터 송출 컨베이어(C30)로의 물품(B)의 반송과, 상류 저류부(60)로부터 하류 저류부(70)로의 물품(B)의 반송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5) 상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설치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복수의 1차 소팅용 컨베이어(U)를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평행하게 배열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설치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복수의 2차 소팅용 컨베이어(V)를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평행하게 배열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상류 리프터(L1), 중간 리프터(L2) 및 하류 리프터(L3)의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물품(B)을 합류 또는 분기 반송 가능한 컨베이어나 자주 대차로 할 수 있다.
(6) 상기에 있어서는, 저류 반송부를, 반송 방향 X로 최하류에 배치된 최종 저류부[하류 저류부(70)]와, 상기 최종 저류부의 하나의 상류 측 X1에 배치된 상류 저류부(60)의 2단으로 구성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반송 저류부를 3개 이상 구비하여 3단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정 순서 G2가 배정된 물품(B)에 대하여, 지정 순서 G2에 따라서, 하나의 순서 식별 정보와 2개의 물품군 식별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3단계의 저류 반송부의 각각에 있어서, 각 컨베이어 대하여 물품(B)을 분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최종 분기 저류부에 있어서 지정 순서 G2가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정렬 대상의 복수의 물품(B)을 분산하여 저류시킴으로써, 수용부에 의해 물품(B)을 받아들이고 나서 가능한 한 단시간으로 물품(B)을 내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저류 반송부를 n단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지정 순서 G2가 배정된 물품(B)에 대하여, 하나의 순서 식별 정보와 "n-1"개의 물품군 식별 정보를 부여하게 된다.
(7) 상기에 있어서는, 물품 재배열 장치(E)를, 물품(B)으로부터 화물을 피킹하는 피킹 로봇(R)을 포함한 물품 보관 설비에 구비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물품 재배열 장치(E)를 구비하는 설비는 이와 같은 설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물품(B)을 처리하는 처리 설비에 있어서, 처리 대상의 물품(B)을 다음의 처리 공정에 필요한 순서로 재배열하기 위해 이용하는 등, 각종 설비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8) 상기에 있어서는, 상류 리프터(L1), 상류 저류부(60), 중간 리프터(L2), 하류 저류부(70) 및 송출 컨베이어(C30)를, 평면에서 볼 때 직선형으로 배열되는 배치로 설치하고, 물품(B)을 평면에서 볼 때 곧은 위선형(緯線形)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류 저류부(60)의 반송 방향과 하류 저류부(70)의 반송 방향을 반대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또는 측면에서 볼 때 물품(B)의 반송 방향이 되돌아가는 형태로 하거나, 상류 저류부(60)의 반송 방향과 하류 저류부(70)의 반송 방향을 평면에서 볼 때 교차시키는 형태로 배치하여, 평면에서 볼 때 물품(B)의 반송 방향 X를 굴곡시키는 형태로 하거나 해도 된다.
(9) 상기에 있어서는, 설정 배분 순서를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의 순서로 설정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설정 배분 순서는 이와 같은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의 순서로 설정해도 되고, 2차 소팅용 제4 컨베이어(V4), 2차 소팅용 제1 컨베이어(V1), 2차 소팅용 제2 컨베이어(V2), 2차 소팅용 제3 컨베이어(V3)의 순서로 설정해도 된다.
(10)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각종 개변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재배열 장치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재배열 장치는 물품을 받아들이는 수용부와, 물품을 내보내는 송출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송출부로 반송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의 순서를 지정된 지정 순서에 재배열하는 정렬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복수의 물품을 저류 가능하고 또한 반송 가능한 저류 반송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송출부로 향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반송 방향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최종 저류부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최종 저류부의 하나의 상류 측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상류 저류부로 하여, 상기 최종 저류부 및 상기 상류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렬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상류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최종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설정수와 상기 제2 설정수는 동일한 수 또는 상이한 수이며, 상기 수용부는 그룹 단위로 그룹 내의 순서가 상기 지정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물품을 받아들이고, 상기 복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제2 설정수 이상의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그룹의 물품수는, 상기 제1 설정수에 상기 제2 설정수를 곱한 수 이하이고, 상기 그룹의 물품은,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인 물품부터 상기 제2 설정수씩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동일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도록, 상기 수용부가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로 반송하고,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인 상기 물품군이 상기 지정 순서가 뒤인 상기 물품군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저류되도록, 상기 상류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최종 저류부로 반송하고, 상기 최종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 받아들인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은,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로 반송된다. 이 때,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동일한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을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함으로써, 이들 물품을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로 반송하는 경우에,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지정 순서가 앞인 물품군이, 지정 순서가 뒤인 물품군보다도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저류되도록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물품을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함으로써, 이들 물품을 송출부로부터 지정 순서로 내보낼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이 지정 순서로 배열되어 있지 않았다고 해도, 정렬부에 있어서 소정의 순서로 재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에 의해 물품을 받아들이고 나서 비교적 단시간으로 내보내는 것이 가능한 물품 재배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류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물품의 수가, 상기 최종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물품의 수보다 많으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류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물품의 수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그룹 단위로 반송되는 복수의 물품 사이에, 별도의 그룹의 물품이나 그룹이 불분명한 물품 등의 예정 외의 물품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라도, 상기 예정 외의 물품을 상류 저류부에 저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정 외의 물품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라도, 상류 저류부가 물품으로 가득 차게 되는 것에 의해 물품을 최종 저류부로 반송할 수 없는 상태로 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을 상기 수용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동일한 상기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이 연속되도록 물품을 반송하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에서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이 연속하여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동일한 상기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이 연속되도록 재배열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물품의 수용부로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에 부여된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장치가 판독한 상기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와 상기 최종 저류부로 순차 반송하여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은, 상류 저류부와 최종 저류부로 순차 반송하여 송출부로부터 내보내고, 물품 수납 선반 또는 반송 컨베이어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그룹 단위로 반송되는 복수의 물품 사이에,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라도,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송출부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그러므로,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이 혼입되어 있던 경우라도, 물품 재배열 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고, 물품 재배열 장치에 있어서의 물품의 정렬을 계속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의 송출에 상류 저류부와 최종 저류부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물품을 내보내기 위한 전용 장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물품 재배열 장치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와 상기 최종 저류부로 반송함으로써,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 또는 상기 최종 분기 저류부에 존재하는 물품의 수가 각 분기 저류부에 있어서의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물품의 반송을 정지하여 이상을 통지하면 호적하다.
상류 분기 저류부 또는 최종 분기 저류부에 존재하는 물품의 수가 각 분기 저류부에 있어서의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류 분기 저류부나 최종 분기 저류부에 물품을 반송할 수 없게 되고, 정렬부에 있어서의 물품의 정렬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물품의 반송을 정지하고, 또한 이상을 통지하므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판독 장치를 제2 판독 장치로 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에 부여된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제2 판독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서 판독하는 제1 판독 장치와,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독 장치와 상기 제2 판독 장치 사이에 설치된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고 또한 상기 제2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한 상기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은, 수용부로 반송되기 전에 배출 장치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된다. 그러므로, 물품 정보가 불분명한 물품이 정렬부까지 반송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경우라도,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물품 정보가 판독된 경우에는, 상기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정렬을 행한다. 따라서, 정렬부에 있어서의 물품의 정렬을 원활하게 행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의 정보인 반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반출된 모든 물품의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기 전에, 상기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를 설정하면 호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한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 순서를 설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교적 빠른 단계로 지정 순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에 받아들인 물품의 정렬을 빠른 시기에 개시할 수 있다.
60 : 상류 저류부(저류 반송부)
70 : 하류 저류부(최종 저류부, 저류 반송부)
A : 정렬부
B : 물품
C10 : 상류 반송 컨베이어(반송 컨베이어)
C30 : 송출 컨베이어(송출부)
E : 물품 재배열 장치
F : 배출 장치
G1 : 물품 코드(물품 정보)
G2 : 물품 순서
G3 : 그룹
H : 제어부
L1 : 상류 리프터(수용부)
S1 : 제1 판독 장치(판독 장치)
S2 : 제2 판독 장치(판독 장치)
U : 일시 소팅용 컨베이어(상류 분기 저류부, 분기 저류부)
V : 2차 소팅용 컨베이어(최종 분기 저류부, 분기 저류부)
X : 반송 방향
X1 : 상류 측
X2 : 하류 측

Claims (9)

  1. 물품을 받아들이는 수용부;
    물품을 내보내는 송출부(send-out unit);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송출부로 반송(搬送)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에서 받아들인 물품의 순서를 지정된 지정 순서로 재배열하는 정렬부; 및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복수의 물품을 저류 가능하고 또한 반송 가능한 저류 반송부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송출부로 향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반송 방향으로 최하류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최종 저류부로 하고, 상기 복수의 저류 반송부 중 상기 최종 저류부의 하나의 상류 측에 배치된 저류 반송부를 상류 저류부로 하여,
    상기 최종 저류부 및 상기 상류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반송 방향으로 병렬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상류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1 설정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최종 저류부는 상기 분기 저류부로서 제2 설정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설정수와 상기 제1 설정수는 동일한 수 또는 상이한 수이며,
    상기 수용부는, 그룹 단위로 그룹 내의 순서가 상기 지정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물품을 받아들이고,
    상기 복수의 상류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상기 제2 설정수 이상의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최종 분기 저류부의 각각은, 물품을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로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그룹의 물품수는, 상기 제1 설정수에 상기 제2 설정수를 곱한 수 이하이며,
    상기 그룹의 물품은,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인 물품부터 상기 제2 설정수씩 동일한 물품군에 속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동일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이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도록, 상기 수용부가 받아들인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로 반송하고,
    동일한 상기 물품군에 속하는 물품이 상이한 상기 최종 분기 저류부에 저류되고 또한 상기 지정 순서가 앞인 상기 물품군이 상기 지정 순서가 뒤인 상기 물품군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 측에 저류되도록, 상기 상류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최종 저류부로 반송하고,
    상기 최종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를 제어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물품의 수가, 상기 최종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물품의 수보다 많은, 물품 재배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을 상기 수용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동일한 상기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물품이 연속되도록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에 부여된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장치가 판독한 상기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을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와 상기 최종 저류부로 순차 반송하여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상류 저류부와 상기 최종 저류부로 반송함으로써, 상기 상류 분기 저류부 또는 상기 최종 분기 저류부에 존재하는 물품의 수가 각 분기 저류부에 있어서의 저류 가능한 물품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물품의 반송을 정지하여 이상(異常)을 통지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물품에 부여된 물품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가 포함되고,
    상기 판독 장치는 제1 판독 장치와 제2 판독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판독 장치는, 상기 물품 정보를 상기 제2 판독 장치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 측에서 판독하고,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독 장치와 상기 제2 판독 장치 사이에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을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고 또한 상기 제2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물품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한 상기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로 상기 송출부로부터 내보내도록 상기 정렬부 및 상기 송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의 정보인 반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반출된 모든 물품의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기 전에, 상기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를 설정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의 정보인 반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반출된 모든 물품의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기 전에, 상기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를 설정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수납 선반으로부터 반출된 물품의 정보인 반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반출된 모든 물품의 상기 물품 정보가 판독되기 전에, 상기 반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순서를 설정하는, 물품 재배열 장치.
KR1020190002239A 2018-01-12 2019-01-08 물품 재배열 장치 KR102657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3627A JP6841243B2 (ja) 2018-01-12 2018-01-12 物品並べ替え装置
JPJP-P-2018-003627 2018-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80A true KR20190086380A (ko) 2019-07-22
KR102657809B1 KR102657809B1 (ko) 2024-04-15

Family

ID=6501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39A KR102657809B1 (ko) 2018-01-12 2019-01-08 물품 재배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40291B2 (ko)
EP (1) EP3511269B1 (ko)
JP (1) JP6841243B2 (ko)
KR (1) KR102657809B1 (ko)
CN (1) CN110027881B (ko)
DK (1) DK3511269T3 (ko)
ES (1) ES2926204T3 (ko)
PT (1) PT3511269T (ko)
TW (1) TWI7760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47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임의의 순서로 배출되는 물품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다시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2322A (ko) * 2021-04-13 2022-10-21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임의의 순서로 배출되는 물품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다시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1024B (zh) * 2020-03-13 2023-10-0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工件装载系统及工件装载方法
JP7392635B2 (ja) * 2020-11-18 2023-12-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AT526124A2 (de) * 2022-04-28 2023-11-15 Tgw Logistics Group Gmbh Ladungsträger-Übergabestation sowie Verfahren zum Beladen und Entladen eines Transportgestel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1309A1 (de) * 2005-12-21 2007-07-05 Siemens Ag Sortiervorrichtung
US20150158677A1 (en) * 2012-08-07 2015-06-11 Rotzinger Ag Product-flow generator
US9205981B2 (en) * 2012-04-04 2015-12-08 Savoy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mmand
EP3272680A1 (en) * 2016-07-21 2018-01-24 Daifuku Co., Ltd. Article rearranging device and article storage facility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2307A (en) * 1966-09-13 Conveyor system
DE1975576U (de) * 1967-08-28 1967-12-21 Herkules Papiersackfabriken B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aecken aus papier, kunststoff od. dgl.
EP0244805B1 (en) * 1986-05-09 1992-12-09 Kao Corporation Method of sorting goods and system therefor
JPH04361918A (ja) * 1991-06-07 1992-12-15 Toyo Kanetsu Kk 仕分け装置及びピッキング方法
JPH0687503A (ja) * 1992-09-09 1994-03-29 Hitachi Ltd ストッカ装置
JPH06182301A (ja) * 1992-12-18 1994-07-05 Hitachi Ltd 物品の取扱システム
JP4815067B2 (ja) * 2001-05-31 2011-11-16 株式会社イトーキ 自動倉庫
JP2003300604A (ja) * 2002-04-09 2003-10-21 Murata Mach Ltd 自動倉庫
JP4046038B2 (ja) * 2003-07-28 2008-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CA2542760A1 (en) * 2003-10-15 2005-04-28 Gordon Brothers Industries Pty Ltd Accumulating refrigeration apparatus
JP2005280965A (ja) * 2004-03-31 2005-10-13 Daifuku Co Ltd 仕分け設備
NL1030617C2 (nl) * 2005-12-08 2007-06-11 Specialty Conveyor Bv Inrichting voor het bufferen van producten.
WO2012101718A1 (ja) * 2011-01-26 2012-08-02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搬出方法
DE102011050437A1 (de) * 2011-05-17 2012-11-22 Swisslog Ag Verfahren zum Lagern und/oder Kommissionieren von Wareneinheiten
CN102320467B (zh) * 2011-06-09 2014-04-16 普天物流技术有限公司 备货系统和方法
JP5908266B2 (ja) * 2011-11-30 2016-04-2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陽極化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陽極化成システム並びに半導体ウエハ
JP5983343B2 (ja) * 2012-11-20 2016-08-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吸気制御弁および吸気装置
JP3197141U (ja) * 2015-02-09 2015-04-23 株式会社イシダ 組合せ計量装置
CH710929A1 (de) * 2015-03-31 2016-10-14 Rotzinger Ag Puffereinrichtung.
CN105217204B (zh) * 2015-09-30 2018-02-06 李世凡 一种储配一体化处理系统
FR3051948B1 (fr) * 2016-05-30 2021-01-01 Savoye Systeme de stockage tampon et de sequencement de charges comprenant deux elevateurs.
US9938079B1 (en) * 2016-08-12 2018-04-10 North Central Door Company, LLC Automated accumul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1309A1 (de) * 2005-12-21 2007-07-05 Siemens Ag Sortiervorrichtung
US9205981B2 (en) * 2012-04-04 2015-12-08 Savoy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mmand
US20150158677A1 (en) * 2012-08-07 2015-06-11 Rotzinger Ag Product-flow generator
EP3272680A1 (en) * 2016-07-21 2018-01-24 Daifuku Co., Ltd. Article rearranging device and article storage facility includ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347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임의의 순서로 배출되는 물품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다시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2322A (ko) * 2021-04-13 2022-10-21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임의의 순서로 배출되는 물품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다시 배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269B1 (en) 2022-08-03
CN110027881A (zh) 2019-07-19
JP6841243B2 (ja) 2021-03-10
EP3511269A1 (en) 2019-07-17
US10640291B2 (en) 2020-05-05
PT3511269T (pt) 2022-09-28
JP2019123573A (ja) 2019-07-25
TWI776006B (zh) 2022-09-01
ES2926204T3 (es) 2022-10-24
TW201930163A (zh) 2019-08-01
US20190218040A1 (en) 2019-07-18
KR102657809B1 (ko) 2024-04-15
CN110027881B (zh) 2022-02-11
DK3511269T3 (da)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7115B2 (ja) 物品並べ替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保管設備
CN108146948B (zh) 用于存入和取出物体的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仓储系统
JP6435463B2 (ja) 保管設備からの運搬ユニット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KR20190086380A (ko) 물품 재배열 장치
US9309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der picking
US8494673B2 (en) Warehous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6349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JP2016526519A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で保管ユニットを調製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CN114701792B (zh) 拣选系统
JP2019505454A (ja) 選別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所望の順序で保管ユニットを保管設備から利用可能にすることによる注文調達方法
JP2007076831A (ja) 搬送システム
JP4388595B2 (ja) ピッキング方法及びピッキング装置
JP2002002928A (ja) ランダム仕分けによる自動積み付けシステム
JPH10175710A (ja) 商品の仕分方法、その方法を用いた水平循環ソータ及びそれを使用したピッキング装置
JP2009298600A (ja) ピッキング方法及びピッキング装置
JP2005306497A (ja) 仕分け保管システム
JP6737227B2 (ja) 仕分け設備及び仕分け設備における物品の仕分け方法
KR20100048161A (ko) 물류시스템
JPH01172104A (ja) 物品の荷揃え方法
CN115867500A (zh) 用于订单履行的系统
JP2012006763A (ja) ピッキング方法及びピッキング装置
JPH10120164A (ja) 順番並べ替え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ピッ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