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598A -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 Google Patents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598A
KR20190052598A KR1020180051254A KR20180051254A KR20190052598A KR 20190052598 A KR20190052598 A KR 20190052598A KR 1020180051254 A KR1020180051254 A KR 1020180051254A KR 20180051254 A KR20180051254 A KR 20180051254A KR 20190052598 A KR20190052598 A KR 2019005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layer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chip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706B1 (ko
Inventor
오화섭
이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057,0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43919B2/en
Priority to JP2018148939A priority patent/JP2019087731A/ja
Priority to TW107127573A priority patent/TWI695465B/zh
Priority to CN201811257876.9A priority patent/CN109755191B/zh
Publication of KR2019005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3Redistribution layers [RDL] for bonding areas
    • H01L2224/0237Disposition of the redistribution layers
    • H01L2224/02379Fan-out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접속패드가 배치된 활성면과 활성면의 반대측인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부착된 방열부재, 반도체칩 및 방열부재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봉합재, 및 반도체칩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의 두께가 상기 반도체칩의 두께보다 두꺼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FAN-OUT SEMICONDUCTOR PACKAGE}
본 개시는 반도체 패키지, 예를 들면, 전기연결구조체를 반도체칩이 배치된 영역 외로도 확장할 수 있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칩에 관한 기술 개발의 주요한 추세 중의 하나는 부품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며, 이에 패키지 분야에서도 소형 반도체칩 등의 수요 급증에 따라 소형의 크기를 가지면서 다수의 핀을 구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기 위하여 제안된 반도체 패키지 기술 중의 하나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이다. 팬-아웃 패키지는 전기연결구조체를 반도체칩이 배치된 영역 외로도 재배선하여, 소형의 크기를 가지면서도 다수의 핀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최근 팬-아웃 패키지는 프리미엄 AP(Application Processor)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방열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방열 특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워피지 제어에도 효과적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를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반도체칩 보다 두꺼운 방열부재를 부착하여 패키징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일 효과로서 방열 특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워피지 제어에도 효과적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기기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다.
도 3a 및 도3b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4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5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6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다.
도 8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9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0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Ⅰ-Ⅰ' 절단 평면도다.
도 11a는 방열부재에 유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다.
도 11b 및 도 11c는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방열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공정도다.
도 12a 및 도 12b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다.
도 13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4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5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6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7은 일례에 따라 제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방열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전자기기
도 1은 전자기기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00)는 메인보드(1010)를 수용한다. 메인보드(1010)에는 칩 관련부품(1020),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 및 기타부품(1040) 등이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후술하는 다른 부품과도 결합되어 다양한 신호라인(1090)을 형성한다.
칩 관련부품(1020)으로는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DRAM),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칩; 센트랄 프로세서(예컨대, CPU), 그래픽 프로세서(예컨대, 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칩;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SIC(application-specific IC) 등의 로직 칩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형태의 칩 관련 부품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들 부품(1020)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으로는, Wi-Fi(IEEE 802.11 패밀리 등), WiMAX(IEEE 802.16 패밀리 등), IEEE 802.20, LTE(long term evolution), Ev-DO, HSPA+, HSDPA+, HSUPA+, EDGE, GSM, GPS, GPRS, CDMA, TDMA, DECT, Bluetooth, 3G, 4G, 5G 및 그 이후의 것으로 지정된 임의의 다른 무선 및 유선 프로토콜들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다수의 무선 또는 유선 표준들이나 프로토콜들 중의 임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관련부품(1030)이 칩 관련 부품(1020)과 더불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타부품(1040)으로는, 고주파 인덕터, 페라이트 인덕터, 파워 인덕터, 페라이트 비즈, LTCC(low Temperature Co-Firing Ceramics),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MLCC(Multi-Layer Ceramic Condenser)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기타 다른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사용되는 수동부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타부품(1040)이 칩 관련 부품(1020) 및/또는 네트워크 관련 부품(1030)과 더불어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기기(1000)의 종류에 따라, 전자기기(1000)는 메인보드(1010)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품의 예를 들면, 카메라(1050), 안테나(1060), 디스플레이(1070), 배터리(1080), 오디오 코덱(미도시), 비디오 코덱(미도시), 전력 증폭기(미도시), 나침반(미도시), 가속도계(미도시), 자이로스코프(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대량 저장 장치(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미도시), CD(compact disk)(미도시),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미도시) 등이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외에도 전자기기(10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타 부품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기기(10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태블릿(tablet), 랩탑(laptop),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외에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기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다양한 용도로써 적용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1100)의 바디(1101) 내부에는 마더보드(1110)가 수용되어 있으며, 마더보드(1110)에는 다양한 부품(1120) 들이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1130)와 같이 메인보드(1010)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부품이 바디(1101) 내에 수용되어 있다. 부품(1120) 중 일부는 칩 관련부품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반도체 패키지(112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기는 반드시 스마트 폰(1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전자기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반도체 패키지
일반적으로 반도체칩은 수많은 미세 전기 회로가 집적되어 있으나 그 자체로는 반도체 완성품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외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충격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래서 반도체칩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칩을 패키징하여 패키지 상태로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고 있다.
반도체 패키징이 필요한 이유는, 전기적인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반도체칩과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의 회로 폭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칩의 경우, 접속패드의 크기와 접속패드간의 간격이 매우 미세한 반면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메인보드의 경우, 부품 실장 패드의 크기 및 부품 실장 패드의 간격이 반도체칩의 스케일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반도체칩을 이러한 메인보드 상에 바로 장착하기 어려우며 상호간의 회로 폭 차이를 완충시켜 줄 수 있는 패키징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키징 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반도체 패키지는 구조 및 용도에 따라서 팬-인 반도체 패키지(Fan-in semiconductor package)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Fan-out semiconductor package)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팬-인 반도체 패키지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팬-인 반도체 패키지)
도 3a 및 도3b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4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의 패키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칩(2220)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 등을 포함하는 바디(2221), 바디(2221)의 일면 상에 형성된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속패드(2222), 및 바디(2221)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접속패드(222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산화막 또는 질화막 등의 패시베이션막(2223)을 포함하는, 예를 들면, 베어(Bare) 상태의 집적회로(IC)일 수 있다. 이때, 접속패드(2222)는 매우 작기 때문에, 집적회로(IC)는 전자기기의 메인보드 등은 물론, 중간 레벨의 인쇄회로기판(PCB)에도 실장 되기 어렵다.
이에, 접속패드(2222)를 재배선하기 위하여 반도체칩(2220) 상에 반도체칩(2220)의 사이즈에 맞춰 연결부재(2240)를 형성한다. 연결부재(2240)는 반도체칩(2220) 상에 감광성 절연수지(PID)와 같은 절연물질로 절연층(2241)을 형성하고, 접속패드(2222)를 오픈시키는 비아홀(2243h)을 형성한 후, 배선패턴 (2242) 및 비아(2243)를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연결부재(2240)를 보호하는 패시베이션층(2250)을 형성하고, 개구부(2251)를 형성한 후, 언더범프금속층(2260) 등을 형성한다. 즉,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예를 들면, 반도체칩(2220), 연결부재(2240), 패시베이션층(2250), 및 언더범프금속층(2260)을 포함하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의 접속패드, 예컨대 I/O(Input / Output) 단자를 모두 소자 안쪽에 배치시킨 패키지형태이며,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전기적 특성이 좋으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많은 소자들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소형이면서도 빠른 신호 전달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I/O 단자를 모두 반도체칩 안쪽에 배치해야 하는바 공간적인 제약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많은 수의 I/O 단자를 갖는 반도체칩이나 크기가 작은 반도체칩에 적용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취약점으로 인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직접 실장 되어 사용될 수 없다. 반도체칩의 I/O 단자를 재배선 공정으로 그 크기와 간격을 확대하였다 하더라도,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직접 실장 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간격을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도 5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 6은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되어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는 반도체칩(2220)의 접속패드들(2222), 즉 I/O 단자들이 인터포저 기판(2301)을 통하여 다시 한 번 재배선되며, 최종적으로는 인터포저 기판(2301) 상에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가 실장된 상태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솔더볼(2270) 등은 언더필 수지(2280)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외측은 몰딩재(2290) 등으로 커버될 수 있다. 또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2200)는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2302) 내에 내장(Embedded) 될 수 도 있으며, 내장된 상태로 인터포저 기판(2302)에 의하여 반도체칩(2220)의 접속패드들(2222), 즉 I/O 단자들이 다시 한 번 재배선되고, 최종적으로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직접 실장 되어 사용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상에 실장된 후 다시 패키징 공정을 거쳐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실장되거나, 또는 인터포저 기판 내에 내장된 채로 전자기기 메인보드에 실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도 7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예를 들면, 반도체칩(2120)의 외측이 봉합재(2130)로 보호되며, 반도체칩(2120)의 접속패드(2122)가 연결부재(2140)에 의하여 반도체칩(2120)의 바깥쪽까지 재배선된다. 이때, 연결부재(2140) 상에는 패시베이션층(220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층(2202)의 개구부에는 언더범프금속층(2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언더범프금속층(2160) 상에는 솔더볼(2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칩(2120)은 바디(2121), 접속패드(2122), 패시베이션막(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집적회로(IC)일 수 있다. 연결부재(2140)는 절연층(2141), 절연층(2241) 상에 형성된 재배선층(2142), 접속패드(2122)와 재배선층(214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2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 상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반도체칩의 바깥쪽에 까지 I/O 단자를 재배선하여 배치시킨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인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의 I/O 단자를 모두 반도체칩 안쪽에 배치시켜야 하고 이에 소자 사이즈가 작아지면 볼 크기와 피치를 줄여야 하므로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없다. 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이와 같이 반도체칩 상에 형성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반도체칩의 바깥쪽에 까지 I/O 단자를 재배선하여 배치시킨 형태인바 반도체칩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없이도 실장될 수 있다.
도 8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가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솔더볼(2170) 등을 통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2100)는 반도체칩(2120) 상에 반도체칩(2120)의 사이즈를 벗어나는 팬-아웃 영역까지 접속패드(2122)를 재배선할 수 있는 연결부재(2140)를 형성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볼 레이아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등 없이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2500)에 실장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별도의 인터포저 기판 없이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 될 수 있기 때문에, 인터포저 기판을 이용하는 팬-인 반도체 패키지 대비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는바 소형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열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모바일 제품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CB)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POP(Package on Package) 타입 보다 더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휨 현상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는 이와 같이 반도체칩을 전자기기의 메인보드 등에 실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반도체칩을 보호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는 스케일, 용도 등이 상이하며, 팬-인 반도체 패키지가 내장되는 인터포저 기판 등의 인쇄회로기판(PCB)과는 다른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방열 특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워피지 제어에도 효과적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일례를 대략 나타낸 단면도다.
도 10은 도 9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개략적인 Ⅰ-Ⅰ' 절단 평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접속패드(122)가 배치된 활성면과 활성면의 반대측인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120),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부착된 방열부재(125), 반도체칩(120) 및 방열부재(125)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봉합재(130), 및 반도체칩(120)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142)을 포함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방열부재(125)가 부착되어 있어 반도체칩(120)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방열부재(125)는 방열 효과가 우수한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 덩어리(Cu lump)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은 비용으로 고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단단한 금속의 성질 및 열팽창계수 미스매치 개선 등을 통하여 워피지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구리 덩어리 등을 이용하는 경우 봉합재(130)와의 밀착력 개선을 위하여 방열부재(125)의 표면에는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례에서와 같이 방열부재(125)의 표면은 실란 처리와 같은 유기물 코팅 처리로 표면처리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열부재(125)의 표면에는 실란 코팅층과 같은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방열부재(125)는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접착필름(124)을 통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접착필름(124)은 통상의 다이부착필름(DAF: Die Attach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필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다이부착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필름(124)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방열 효과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0㎛ 이하, 즉 1㎛ 내지 10㎛ 정도일 수 있다.
한편, 방열부재(125)의 두께(t2)는 반도체칩(120)의 두께(t1) 보다 클 수 있으며, 이 경우 고 방열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봉합재(130)로 봉합할 때 후술하는 코어부재(110)와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봉합 두께 불균일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칩(120)을 그라인딩하지 않은 상태로 방열부재(125)를 부착하는 경우 부착 후 전체 두께가 코어부재(110)의 두께보다 커지게 됨으로써 봉합 두께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열부재(125)의 두께(t2)를 낮추는 경우에는 방열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칩(120)의 두께(t1)를 방열부재(125)의 두께(t1) 보다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반도체칩(120)의 두께(t1)는 방열부재(125)의 두께(t2)의 0.4배 내지 0.6배 정도일 수 있다.
한편, 봉합재(130)는 절연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기필러의 함량을 일반적인 몰딩재나 봉합재에 비하여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재(130)는 무기필러의 함량이 60중량% 내지 80중량%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관통홀(110H)을 갖는 코어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가 도입되는 경우 워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코어부재(110)에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이 형성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강성 유지가 가능하다. 접착필름(124) 및 방열부재(125)는 반도체칩(120)과 마찬가지로 코어부재(110)의 관통홀(110H)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이퍼 상태에서 방열부재(125)가 접착필름(124)을 매개로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부착된 후 다이싱 공정으로 절단되고, 이러한 부착 상태로 관통홀(110H)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칩(120)의 측면과 접착필름(124)의 측면과 방열부재(125)의 측면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관통홀(110H)을 봉합재(130)로 채울 때 보이드 불량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방열부재(125)의 측면에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되는 경우는 유기 코팅층(127)의 측면이 반도체칩(120)의 측면 및 접착필름(124)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봉합재(130) 상에 배치된 방열 패턴층(132B) 및 봉합재(13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방열 패턴층(132B)과 방열부재(125)를 연결하는 방열 비아(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패턴층(132B)과 방열 비아(133B)를 도입하는 경우 방열부재(125)를 통하여 방출된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패키지(100A) 상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봉합재(130) 상에 배치된 백사이드 배선층(132A)과 봉합재(13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백사이드 배선층(132A)과 코어부재(110)의 복수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 중 최상측에 배치된 배선층(112d)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백사이드 비아(13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합재(130) 상에 배치되며, 백사이드 배선층(132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80h)를 갖는 커버층(1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노출되는 백사이드 배선층(132A)의 표면에는 귀금속 도금과 같이 금속 도금에 의하여 형성되는 표면처리층(P)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0)의 하측에 배치되며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 중 최하측에 배치된 재배선층(14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50h)를 갖는 패시베이션층(150)과, 패시베이션층(150)의 개구부(150h)에는 노출된 재배선층(142)과 연결되는 복수의 언더범프금속(160)과, 패시베이션층(150)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언더범프금속(160)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연결구조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층(150)의 하면에 표면 실장(SMT)된 표면실장부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코어부재(110)는 구체적인 재료에 따라 패키지(100A)의 강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으며, 봉합재(130)의 두께 균일성 확보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에 배선층(112a, 112b, 112c, 112d)과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 등을 형성하는 경우,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가 POP(Package on Package) 타입의 패키지로 활용될 수 있다. 코어부재(110)는 관통홀(110H)을 가진다. 관통홀(110H) 내에는 접착필름(124)을 매개로 방열부재(125)가 부착된 반도체칩(120)이 코어부재(110)와 소정거리 이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의 측면 주위는 코어부재(110)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는 연결부재(140)와 접하는 제1절연층(111a), 연결부재(140)와 접하며 제1절연층(111a)에 매립된 제1배선층(112a), 제1절연층(111a)의 제1배선층(112a)이 매립된측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배선층(112b), 제1절연층(111a) 상에 배치되며 제2배선층(112b)을 덮는 제2절연층(111b), 제2절연층(111b) 상에 배치된 제3배선층(112c), 제2절연층(111b) 상에 배치되며 제3배선층(112c)을 덮는 제3절연층(111c), 및 제3절연층(111c) 상에 배치된 제4배선층(112d)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은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은 제1 내지 제3접속비아층(113a, 113b, 113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배선층(112a)을 제1절연층(111a) 내에 매립하는 경우, 제1배선층(112a)의 두께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차가 최소화 되는바, 연결부재(140)의 절연거리가 일정해진다. 코어부재(110)의 제1배선층(112a)의 하면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배선층(112a)이 제1절연층 내부로 리세스되어 제1절연층(111a)의 하면과 제1배선층(112a)의 하면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재(130) 형성물질이 블리딩되어 제1배선층(112a)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및 제3배선층(112b, 112c)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는 충분한 두께로 기판 공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연결부재(140)는 얇게 반도체 공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는바, 코어부재(110)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 각각의 두께는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절연층(111a, 111b, 111c)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수지가 무기필러와 혼합되거나, 또는 무기필러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 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감광성 절연(Photo Imagable Dielectric: PID)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의 형성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은 해당 층의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 GND) 패턴, 파워(PoWeR: PWR) 패턴, 신호(Signal: S)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S) 패턴은 그라운드(GND) 패턴, 파워(PWR) 패턴 등을 제외한 각종 신호,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비아 패드, 와이어 패드, 전기연결구조체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 결과 코어부재(110) 내에 전기적 경로를 형성시킨다.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 역시 형성물질로는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는 도전성 물질로 완전히 충전될 수 있으며, 또는 도전성 물질이 비아 홀의 벽면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공정상의 이유로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는 모두 동일한 방향의 테이퍼 형상, 즉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보다 큰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칩(120)은 소자 수백 내지 수백만 개 이상이 하나의 칩 안에 집적화된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이때 집적회로는, 예를 들면, 센트랄 프로세서(예컨대, CPU), 그래픽 프로세서(예컨대, GPU),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암호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의 프로세서칩,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나 전력관리소자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집적회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반도체칩(120)은 액티브 웨이퍼를 기반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121)를 이루는 모재로는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디(121)에는 다양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속패드(122)는 반도체칩(120)을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형성물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디(121)의 활성면에는 접속패드(122)를 노출시키는 패시베이션막(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막(123)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 등일 수 있고, 또는 산화막과 질화막의 이중층일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막(123)을 통하여 접속패드(122) 하면은 봉합재(130) 하면과 단차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봉합재(130)는 패시베이션막(123)과 연결부재(140)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봉합재(130)가 접속패드(122) 하면으로 블리딩 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필요한 위치에 절연막(미도시)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반도체칩(120)은 베어 다이(bare die)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접속패드(122)가 연결부재(140)의 접속비아(143)와 물리적으로 접할 수 있다. 다만, 반도체칩(120)의 종류에 따라서 반도체칩(120)의 활성면 상에 별도의 재배선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범프(미도시) 등이 접속패드(122)와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접착필름(124)은 통상의 다이부착필름(DAF: Die Attach Fil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필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다이부착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필름(124)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방열 효과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0㎛ 이하, 즉 1㎛ 내지 10㎛ 정도일 수 있다.
방열부재(125)는 방열 효과가 우수한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리 덩어리(Cu lump)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적은 비용으로 고 방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단단한 금속의 성질 및 열팽창계수 미스매치 개선 등을 통하여 워피지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구리 덩어리 등을 이용하는 경우 봉합재(130)와의 밀착력 개선을 위하여 방열부재(125)의 표면에는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례에서와 같이 방열부재(125)의 표면은 실란 처리와 같은 유기물 코팅 처리로 표면처리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열부재(125)의 표면에는 실란 코팅층과 같은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재(125)의 두께(t2)는 반도체칩(120)의 두께(t1) 보다 클 수 있으며, 이 경우 고 방열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봉합재(130)로 봉합할 때 후술하는 코어부재(110)와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봉합 두께 불균일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칩(120)을 그라인딩하지 않은 상태로 방열부재(125)를 부착하는 경우 부착 후 전체 두께가 코어부재(110)의 두께보다 커지게 됨으로써 봉합 두께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열부재(125)의 두께(t2)를 낮추는 경우에는 방열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칩(120)의 두께(t1)를 방열부재(125)의 두께(t1) 보다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반도체칩(120)의 두께(t1)는 방열부재(125)의 두께(t2)의 0.4배 내지 0.6배 정도일 수 있다.
봉합재(130)는 코어부재(110), 반도체칩(120), 접착필름(124), 방열부재(125)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봉합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코어부재(110), 반도체칩(120), 접착필름(124), 방열부재(125) 등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봉합재(130)는 코어부재(110) 및 방열부재(125)의 상부를 덮을 수 있으며, 관통홀(110H)의 적어도 일부를 채움으로써 접착필름(124) 및 반도체칩(120)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봉합재(130)가 관통홀(110H)을 채움으로써, 구체적인 물질에 따라 접착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버클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봉합재(13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수지가 무기필러와 혼합되거나, 또는 무기필러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 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감광성 절연(Photo Imagable Encapsulant: PIE)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봉합재(130)는 절연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기필러의 함량을 일반적인 몰딩재나 봉합재에 비하여 높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합재(130)는 무기필러의 함량이 60중량% 내지 80중량%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사이드 배선층(132A) 및 백사이드 비아(133A)의 형성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방열 패턴층(132B) 및 방열 비아(133B) 역시 형성물질로 상술한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백사이드 배선층(132A)은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 GND) 패턴, 파워(PoWeR: PWR) 패턴, 신호(Signal: S)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사이드 비아(133A) 및 방열 비아(133B)의 형상은 각각 코어부재(110)의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과 동일한 방향의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수십 수백의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가 재배선 될 수 있으며, 전기연결구조체(170)를 통하여 그 기능에 맞춰 외부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코어부재(110) 및 반도체칩(120)의 활성면 상에 배치된 절연층(141)과 절연층(141) 상에 배치된 재배선층(142)과 절연층(141)을 관통하며 접속패드(122)와 재배선층(142)을 연결하는 접속비아(143)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연결부재(140)를 복수의 절연층과 재배선층과 비아층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설계에 따라서 보다 적은 수의 또는 보다 많은 수의 절연층과 재배선층과 비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층(141)의 물질로는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절연물질 외에도 PID 수지와 같은 감광성 절연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절연층(141)은 각각 감광성 절연층일 수 있다. 절연층(141)이 감광성의 성질을 가지는 경우, 절연층(141)을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접속비아(143)의 파인 피치를 달성할 수 있다. 절연층(141)은 각각 절연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감광성 절연층일 수 있다. 절연층(141)이 다층인 경우, 이들의 물질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절연층(141)이 다층인 경우, 이들은 공정에 따라 일체화 되어 이들 자체로는 경계가 불분명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선층(142)은 실질적으로 접속패드(122)를 재배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형성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재배선층(142)은 해당 층의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 GND) 패턴, 파워(PoWeR: PWR) 패턴, 신호(Signal: S)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S) 패턴은 그라운드(GND) 패턴, 파워(PWR) 패턴 등을 제외한 각종 신호, 예를 들면, 데이터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각종 패드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비아(143)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재배선층(142), 접속패드(122)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 결과 패키지(100A) 내에 전기적 경로를 형성시킨다. 접속비아(143)의 형성 물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b),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접속비아(143)는 도전성 물질로 완전히 충전될 수 있으며, 또는 도전성 물질이 비아의 벽을 따라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재(140)의 접속비아(143)의 형상은 코어부재(110)의 접속비아층(113a, 113b, 113c)과는 반대 방향의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즉, 상측의 직경이 하측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50)은 연결부재(140)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50)은 연결부재(140)의 최하측의 재배선층(14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50h)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50h)는 패시베이션층(150)에 수십 내지 수천 개 형성될 수 있다. 노출된 재배선층(142)의 표면에는 귀금속 도금과 같은 도금으로 형성된 표면처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5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수지가 무기필러와 혼합되거나, 또는 무기필러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 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솔더레지스트(Solder Resist)가 사용될 수도 있다.
언더범프금속(160)은 전기연결구조체(170)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켜주며, 그 결과 패키지(100A)의 보드 레벨 신뢰성을 개선해준다. 언더범프금속(160)은 패시베이션층(150)의 개구부(150h)를 통하여 노출된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과 연결된다. 언더범프금속(160)은 패시베이션층(150)의 개구부(150h)에 공지의 도전성 물질, 즉 금속을 이용하여 공지의 메탈화(Metallization)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연결구조체(170)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를 외부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는 전기연결구조체(170)를 통하여 전자기기의 메인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전기연결구조체(170)는 저융점 금속, 예를 들면, 주석(Sn)-알루미늄(Al)-구리(Cu) 등의 솔더(sold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재질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연결구조체(170)는 랜드(land), 볼(ball), 핀(pin) 등일 수 있다. 전기연결구조체(170)는 다중층 또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구리 필라(pillar) 및 솔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주석-은 솔더나 구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역시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연결구조체(170)의 개수, 간격, 배치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설계 사항에 따라 충분히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연결구조체(170)의 수는 접속패드(122)의 수에 따라서 수십 내지 수천 개일 수 있으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수를 가질 수도 있다. 전기연결구조체(170)가 솔더볼인 경우, 전기연결구조체(170)는 언더범프금속(160)의 패시베이션층(150)의 일면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접속 신뢰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전기연결구조체(170) 중 적어도 하나는 팬-아웃 영역에 배치된다. 팬-아웃 영역이란 반도체칩(120)이 배치된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을 의미한다. 팬-아웃(fan-out) 패키지는 팬-인(fan-in) 패키지에 비하여 신뢰성이 우수하고, 다수의 I/O 단자 구현이 가능하며, 3D 인터코넥션(3D interconnection)이 용이하다. 또한, BGA(Ball Grid Array) 패키지, LGA(Land Grid Array) 패키지 등과 비교하여 패키지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커버층(180)은 백사이드 배선층(132A) 및/또는 방열 패턴층(132B)을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층(180)은 백사이드 배선층(132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80h)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180h)는 커버층(180)에 수십 내지 수천 개 형성될 수 있다. 노출된 백사이드 배선층(132A)의 표면에는 표면처리층(P)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층(18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절연물질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 수지가 무기필러와 혼합되거나, 또는 무기필러와 함께 유리섬유(Glass Fiber, Glass Cloth, Glass Fabric) 등의 심재에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솔더레지스트(Solder Resist)가 사용될 수도 있다.
표면실장부품(190)은 표면실장기술(SMT)을 통하여 패시베이션층(150)의 하면에 실장될 수 있다. 표면실장부품(190)은 커패시터, 인덕터 등의 공지의 수동부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능동부품일 수도 있다. 표면실장부품(190)은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을 통하여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통홀(110H) 내에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반도체칩(120)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관통홀(110H) 내에 별도의 수동부품, 예컨대 인덕터나 커패시터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방열부재에 유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방열부재(125)는 실란 처리와 같은 유기물 처리에 의하여 표면처리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방열부재(125)의 표면에 실란 코팅층과 같은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처리를 통하여 방열부재(125)와 봉합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방열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난 공정도다.
도 11a를 참조하면, 표면처리에 의하여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된 방열부재(125)의 하측에 접착필름(124)을 부착하고, 그 후 접착필름(124)을 매개로 이들을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부착하여, 방열부재(125)가 부착된 반도체칩(120)을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일련의 과정은 웨이퍼 상태의 반도체칩(120)에 코팅된 방열부재(125)를 접착필름(124)을 매개로 부착하고, 그 후 다이싱 공정을 통하여 절단하여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접착필름(124)을 반도체칩(120)의 비활성면에 먼저 부착한 후, 표먼처리에 의하여 유기 코팅층(127)이 형성된 방열부재(125)를 접착필름(124)에 부착하여, 방열부재(125)가 부착된 반도체칩(120)을 얻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일련의 과정은 웨이퍼 상태의 반도체칩(120)에 접착필름(124)을 부착하고, 그 후 코팅된 방열부재(125)가 접착필름(124)을 부착하고, 그 후 다이싱 공정을 통하여 절단하여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다.
도 12a를 참조하면, 먼저 코어부재(110)를 준비한다. 코어부재(110)는 코어리스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어리스 기판 상에 제1배선층(112a)을 도금 공정으로 형성하고, ABF 등을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으로 제1절연층(111a)을 형성하고, 제1배선층(112a)의 일부 패드패턴을 스타퍼로 이용하여 제1절연층(111a)에 레이저 비아 홀을 형성한 후, 도금 공정으로 제2배선층(112a)과 제1접속비아층(113a)을 형성하고,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코어리스 기판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준비할 수 있다. 코어리스 기판의 분리 후에 코어부재(110)의 하면에 남아있는 금속층을 에칭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코어부재(110)의 제1절연층(111a)의 하면 및 제1배선층(112a)의 하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및/또는 기계적 드릴 등을 이용하여 코어부재(110)에 관통홀(110H)을 형성하고, 코어부재(110)의 하측에 테이프(210)를 부착한다. 다음으로, 방열부재(125)가 부착된 반도체칩(120)을 관통홀(110H) 내의 테이프(210) 상에 부착하고 ABF 라미네이션 등으로 봉합재(130)를 형성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테이프(210)를 제거하고, 테이프(210)를 제거한 영역에 연결부재(140)를 형성한다. 연결부재(140)는 PID 코팅으로 절연층(141)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으로 절연층(141)에 포토 비아 홀을 형성하고, 도금공정으로 재배선층(142)과 접속비아(143)를 형성하고,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봉합재(130)에 레이저 비아 홀을 형성한 후 도금하는 방법으로 백사이드 배선층(132A), 방열 패턴층(132B), 백사이드 비아(133A), 방열 비아(133B) 등을 형성하며, 또는 패키지의 양측에 ABF 라미네이션 등을 통하여 패시베이션층(150)과 커버층(180)을 형성하고, 또한 레이저 드릴 등을 이용하여 각각에 개구부(150h, 180h)를 형성한 후 도금으로 언더범프금속(160)을 형성하고, 또한 솔더 물질로 전기연결구조체(170)를 형성하며, 리플로우 공정을 거친다.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상술한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를 형성한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은 대면적 사이즈, 즉 판넬 사이즈의 코어부재(110)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판넬 사이즈의 코어부재(110)를 통하여 복수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가 형성될 수 있고, 다이싱 공정으로 이들을 분리하면, 한 번의 공정으로 복수의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B)는 관통홀(110H)의 벽면에 형성된 금속층(115)을 더 포함한다. 금속층(115)은 코어부재(110)의 상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부재(110)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의 그라운드 패턴 및/또는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의 그라운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층(115)을 통하여 반도체칩(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패키지(100B) 사이드 부분으로도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궁국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금속층(115)은 코어부재(110)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와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설명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C)는 보강층(181)을 더 포함한다. 보강층(181)은 봉합재(130)와 배사이드 배선층(132A) 및 방열 패턴층(132B) 사이에 배치된다. 보강층(181)을 배치함으로써 패키지(100C)의 워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강층(181)은 봉합재(130) 및 커버층(180) 대비 엘라스틱 모듈러스가 클 수 있다. 예컨대, 보강층(181)으로는 절연수지, 무기필러, 및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예컨대 프리프레그나 언클레드 동박적층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봉합재(130) 및 커버층(180)으로는 절연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예컨대 AB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백사이드 비아(133A)와 방열 비아(133B)는 보강층(181) 역시 관통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층(181)에 개구부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층(181)과 배사이드 배선층(132A) 및 방열 패턴층(132B) 사이에 레진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설명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D)는 코어부재(110)에 제3절연층(111c)과 제3접속비아층(113c)과 제4배선층(112d)이 생략되었다. 즉, 코어부재(110)의 절연층과 배선층과 접속비아층은 다양한 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부재(110)의 두께가 달라지는바, 반도체칩(120)과 방열부재(125) 역시 그라인딩 공정 등을 통하여 변경된 코어부재(110)의 두께에 맞춰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반도체칩(120)의 두께가 방열부재(125)의 두께의 0.4배 내지 0.6배 정도인 것이 방열 효과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 외에 다른 설명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다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E)는 코어부재(110)가 제1절연층(111a), 제1절연층(111a)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된 제1배선층(112a) 및 제2배선층(112b), 제1절연층(112a)의 하면에 배치되며 제1배선층(112a)을 덮는 제2절연층(111b), 제2절연층(111b)의 하면에 배치된 제3재배선층(111c), 제1절연층(11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2배선층(112b)을 덮는 제3절연층(111c), 및 제3절연층(111c)의 상면에 배치된 제4배선층(112d)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배선층(112a, 112b, 112c, 112d)는 접속패드(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어부재(110)가 많은 수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을 포함하는바, 연결부재(140)를 간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40)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에 따른 수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배선층(112a, 112b, 112c, 112d)은 제1 내지 제3 절연층(111a, 111b, 111c)을 각각 관통하는 제1 내지 제3접속비아층(113a, 113b, 113c)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절연층(111a)은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제1절연층(111a)은 기본적으로 강성 유지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으며,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은 더 많은 수의 배선층(112c, 112d)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제1절연층(111a)은 제2절연층(111b) 및 제3절연층(111c)과 상이한 절연물질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절연층(111a)은 유리섬유, 무기필러, 및 절연수지를 포함하는, 예컨대, 프리프레그일 수 있고, 제2절연층(111c) 및 제3절연층(111c)은 무기필러 및 절연수지를 포함하는 ABF 필름 또는 PID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한 관점에서, 제1절연층(111a)을 관통하는 제1접속비아층(113a)은 제2 및 제3절연층(111b, 111c)을 관통하는 제2및 제3접속비아층(113b, 113c)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코어부재(110)의 제3배선층(112c)의 하면은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과 코어부재(110)의 제3배선층(112c) 사이의 거리는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과 반도체칩(120)의 접속패드(12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배선층(112c)이 제2절연층(111b) 상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연결부재(140)와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어부재(110)의 제1배선층(112a) 및 제2배선층(112b)은 반도체칩(120)의 활성면과 비활성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의 배선층(112a, 112b, 112c, 112d) 각각의 두께는 연결부재(140)의 재배선층(142)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접속비아층(113a)은 모래시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및 제3접속비아층(113b, 113c)는 서로 반대 방향의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일례에 따라 제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방열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실험에서는 방열부재로 구리 덩어리를 사용하였으며, 접착필름으로는 다이부착필름(DAF)을 사용하였다. 이때 구리 덩어리와 다이부착필름의 두께의 합은 210㎛ 정도가 되도록 하였으며, 반도체칩의 두께는 100㎛ 정도로 고정하였다. 패키지의 기본 구조는 상술한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100A)의 구조를 적용하였다. 종래의 인터포저를 이용하는 패키지 온 패키지 구조(IPOP: Interposer Package on Package)는 20℃/W 수준의 열저항을 가진다. 반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일례에 따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경우는 17℃/W 수준 이하로 열저항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다이부착필름의 두께가 10㎛ 이하인 것이 17℃/W 이하의 열저항을 갖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측, 하부, 하면 등은 편의상 도면의 단면을 기준으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의 실장 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상측, 상부, 상면 등은 그 반대 방향으로 사용하였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상 방향을 정의한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방향에 대한 기재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개시에서 연결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된 것뿐만 아니라, 접착제 층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표현은 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례 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례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례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례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례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Claims (20)

  1. 접속패드가 배치된 활성면과 활성면의 반대측인 비활성면을 갖는 반도체칩;
    상기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부착된 방열부재;
    상기 반도체칩 및 상기 방열부재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봉합재; 및
    상기 반도체칩의 활성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재배선층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재의 두께가 상기 반도체칩의 두께보다 두꺼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칩의 두께는 상기 방열부재의 두께의 0.4배 내지 0.6배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접착필름을 매개로 상기 반도체칩의 비활성면에 부착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두께가 1㎛ 내지 10㎛인 다이부착필름(DAF)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구리 덩어리(Cu lump)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 덩어리의 표면에는 유기 코팅층이 형성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코팅층은 실란 코팅층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는 절연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봉합재의 무기필러의 함량은 60중량% 내지 80중량%인,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 상에 배치된 방열 패턴층; 및
    상기 봉합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방열 패턴층과 상기 방열부재를 연결하는 방열 비아; 를 더 포함하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 및 상기 방열 패턴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층; 및
    상기 보강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방열 패턴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은 상기 봉합재 및 상기 커버층 보다 엘라스틱 모듈러스가 큰,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관통홀을 갖는 코어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칩 및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며,
    상기 봉합재는 상기 코어부재와 상기 반도체칩과 상기 방열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복수의 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부재의 복수의 배선층은 상기 연결부재의 재배선층을 거쳐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 상에 배치된 백사이드 배선층; 및
    상기 봉합재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백사이드 배선층과 상기 코어부재의 복수의 배선층 중 최상측에 배치된 배선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백사이드 비아; 를 더 포함하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재 및 상기 백사이드 배선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층; 및
    상기 보강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백사이드 배선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은 상기 봉합재 및 상기 커버층 보다 엘라스틱 모듈러스가 큰,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접하는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에 매립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접하는 제1배선층, 상기 제1절연층의 상기 제1배선층이 매립된 측의 반대측 상에 배치된 제2배선층, 상기 제1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배선층을 덮는 제2절연층, 및 상기 제2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3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배선층은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2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배선층을 덮는 제3절연층, 및 상기 제3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배선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배선층은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선층의 하면과 상기 제1절연층의 하면은 단차를 갖는,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제1절연층, 상기 제1절연층의 하면에 배치된 제1배선층, 및 상기 제1절연층의 상면에 배치된 제2배선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배선층은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1절연층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선층을 덮는 제2절연층, 상기 제2절연층의 하면에 배치된 제3배선층, 상기 제1절연층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배선층을 덮는 제3절연층, 및 상기 제3절연층의 상면에 배치된 제4배선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배선층은 상기 반도체칩의 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상기 제2 및 제3절연층 보다 두께가 두꺼운,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20180051254A 2017-11-08 2018-05-03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218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57,023 US10643919B2 (en) 2017-11-08 2018-08-07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JP2018148939A JP2019087731A (ja) 2017-11-08 2018-08-07 ファン−アウト半導体パッケージ
TW107127573A TWI695465B (zh) 2017-11-08 2018-08-08 扇出型半導體封裝
CN201811257876.9A CN109755191B (zh) 2017-11-08 2018-10-26 扇出型半导体封装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16 2017-11-08
KR20170148216 2017-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98A true KR20190052598A (ko) 2019-05-16
KR102185706B1 KR102185706B1 (ko) 2020-12-02

Family

ID=6667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54A KR102185706B1 (ko) 2017-11-08 2018-05-03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087731A (ko)
KR (1) KR102185706B1 (ko)
TW (1) TWI6954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5817A (zh) * 2020-03-13 2021-09-14 重庆达方电子有限公司 薄膜电路板
US11355445B2 (en) 2019-12-26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94B1 (ko) 2018-08-27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2584991B1 (ko) * 2019-06-14 2023-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102574409B1 (ko) * 2019-07-01 2023-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20210078952A (ko) * 2019-12-19 202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내장기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267A (ko) * 2008-02-18 2009-08-21 신코 덴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반도체 장치 및 배선 기판
JP2009194189A (ja) * 2008-02-15 2009-08-27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3120A (ko) * 2009-06-22 2012-03-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패키지 및 당해 반도체 패키지의 실장구조
KR20140059514A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전기연구원 투명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KR20170121666A (ko) * 2016-04-25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8716A (en) * 1994-07-07 1997-11-18 Tessera, Inc. Fan-out semiconductor chip assembly
JP2625398B2 (ja) * 1995-03-17 1997-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冷却装置
JP2002016173A (ja) * 2000-06-30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2006269594A (ja) * 2005-03-23 2006-10-05 Cmk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9784B2 (ja) * 2006-03-27 2012-05-09 富士通株式会社 多層配線基板、半導体装置およびソルダレジスト
JP5165207B2 (ja) * 2006-03-29 2013-03-21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8210912A (ja) * 2007-02-26 2008-09-11 Cmk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217511B2 (en) * 2007-07-31 2012-07-1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distributed chip packaging with thermal contact to device backside
TWI352410B (en) * 2007-10-31 2011-11-11 Chipmos Technologies Inc Cdim package structure with pre-setting fan out st
TWI358804B (en) * 2007-11-30 2012-02-21 Chipmos Technologies Inc Multichip package structure and the forming method
TWI345276B (en) * 2007-12-20 2011-07-11 Chipmos Technologies Inc Dice rearrangement package structure using layout process to form a compliant configuration
TWI358808B (en) * 2008-03-20 2012-02-21 Chipmos Technologies Inc Chip package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1165741A (ja) * 2010-02-05 2011-08-25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87473A (ja) * 2010-03-04 2011-09-22 Nec Corp 半導体素子内蔵配線基板
US20140175633A1 (en) * 2012-08-14 2014-06-26 Bridge Semiconductor Corporation Thermally enhanced semiconductor assembly with embedded chip and interpos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985695B (zh) * 2014-05-19 2017-07-25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一种扇出型封装结构及其制作工艺
JP2016025143A (ja) * 2014-07-17 2016-02-08 イビデン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6119B1 (ko) * 2015-03-19 2022-03-17 인텔 코포레이션 이면 도전성 플레이트를 가진 무선 다이 패키지
CN105161466B (zh) * 2015-07-08 2018-04-17 华进半导体封装先导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高功率器件扇出型封装结构及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4189A (ja) * 2008-02-15 2009-08-27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89267A (ko) * 2008-02-18 2009-08-21 신코 덴키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반도체 장치 및 배선 기판
KR20120023120A (ko) * 2009-06-22 2012-03-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패키지 및 당해 반도체 패키지의 실장구조
KR20140059514A (ko) * 2012-11-08 2014-05-16 한국전기연구원 투명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KR20170121666A (ko) * 2016-04-25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445B2 (en) 2019-12-26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s
CN113395817A (zh) * 2020-03-13 2021-09-14 重庆达方电子有限公司 薄膜电路板
CN113395817B (zh) * 2020-03-13 2023-03-24 重庆达方电子有限公司 薄膜电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706B1 (ko) 2020-12-02
TWI695465B (zh) 2020-06-01
JP2019087731A (ja) 2019-06-06
TW201919167A (zh)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55191B (zh) 扇出型半导体封装件
KR101939046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63292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82044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TWI758571B (zh) 扇出型半導體封裝
KR101901713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82049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42742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2029100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94748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82047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42744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20180064743A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2016491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22875B1 (ko) 전자부품 패키지
KR102185706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42745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20170112343A (ko) 전자부품 패키지
KR101901712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73431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20200016624A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20190030972A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101963278B1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9623A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KR20190075647A (ko) 팬-아웃 반도체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