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800A - 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코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800A
KR20190051800A KR1020180126700A KR20180126700A KR20190051800A KR 20190051800 A KR20190051800 A KR 20190051800A KR 1020180126700 A KR1020180126700 A KR 1020180126700A KR 20180126700 A KR20180126700 A KR 20180126700A KR 20190051800 A KR20190051800 A KR 2019005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
coat layer
fine particles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도다카
히로키 호시노
하루카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기재 필름 (30) 과, 기재 필름 (30) 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된 코트층 (10) 을 구비한 코트 필름 (1) 으로서, 코트층 (1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32°이하인 코트 필름 (1). 이러한 코트 필름 (1) 은, 부착된 지지 (指脂) 를 닦아내기 쉽다.

Description

코트 필름{COAT FIL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에 수반하여,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오염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오염된 경우, 외관이 나빠짐과 함께, 표시되는 내용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첩부 (貼付) 되는 필름 또는 디스플레이의 표층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오염의 부착을 억제하는 성능이나, 부착된 오염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 성능을 갖는 코트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그러한 코트 필름의 예로서, 투명 기판과, 하드 코트층과, 소정의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 방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반사 방지 필름은, 방오염성이 우수한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하고 있다. 당해 반사 방지 필름에서는, 반사 방지층을, 소정의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방오염성을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4601호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는, 반사 방지 필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층측의 면에 유성펜으로 선을 그리고, 당해 선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방오염성의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당해 유성펜으로는, 휘발성 용제에 염료를 용해시킨 잉크를 구비하는 유성펜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반사 방지 필름에 쓰여진 상기 선은, 잉크로부터 휘발성 용제가 휘발하여 남은 염료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특허문헌 1 의 실시예에서는, 당해 염료를 닦아낼 수 있는지의 여부가 시험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표면에는 손가락이 닿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해 표면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염료가 부착되는 경우보다도, 손가락으로부터 생긴 지지 (指脂) 가 부착되는 경우쪽이 많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널인 경우에는, 그러한 지지가 매우 높은 빈도로 부착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반사 방지 필름은, 지지의 닦아내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착된 지지를 닦아내기 쉬운 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된 코트층을 구비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3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을 제공한다 (발명 1).
상기 발명 (발명 1) 에 관련된 코트 필름은, 코트층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당해 면에 지지가 잘 융화되지 않는 것이 되어, 당해 면에 부착된 지지를 닦아내기 쉬운 것이 된다.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 상기 코트 필름의 토털 헤이즈값이 3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2).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있어서, 상기 코트층이, 미립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
상기 발명 (발명 3) 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0.5 ㎛ 이상,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
상기 발명 (발명 3, 4) 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유기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
상기 발명 (발명 3 ∼ 5) 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미립자와 함께, 평균 입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이고, 굴절률이 1.6 이상, 3.0 이하인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
상기 발명 (발명 1 ∼ 6) 에 있어서, 상기 코트층이,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 근위 (近位) 에 위치하는 제 1 코트층과,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 원위 (遠位) 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코트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코트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
본 발명에 관련된 코트 필름은 부착된 지지를 닦아내기 쉽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코트 필름 (1) 은, 기재 필름 (30) 과, 기재 필름 (30)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코트층 (10) 으로 이루어진다.
또, 도 2 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코트 필름 (2) 은, 기재 필름 (30) 과, 기재 필름 (30)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코트층 (20) 으로 이루어진다. 또, 코트층 (20) 은, 기재 필름 (30) 에 대해 근위에 위치하는 제 1 코트층 (21) 과, 기재 필름 (30) 에 대해 원위에 위치하고, 제 1 코트층 (21) 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코트층 (22) 을 포함한다.
1. 물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에서는, 코트층 (10,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32°이하이고, 28°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올레산 활락각이 32°이하임으로써, 상기 면에 손가락이 닿아 지지가 부착되었을 경우에도, 당해 면에 지지가 잘 융화되지 않는 것이 되어, 당해 면에서 지지를 닦아내기 쉬운 것이 된다. 한편, 상기 올레산 활락각이 32°를 초과하면, 부착된 지지가 급격하게 닦아내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부착된 지지를 닦아내기 어려우면, 코트 필름을 사용한 디스플레이의 외관이 나빠짐과 함께, 표시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버린다.
또한, 지지는, 수분, 지방산, 단백질, 아미노산, 염분 등, 성질이 상이한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지지의 닦아내기는, 전술한 특허문헌 1 에서 시험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성펜 유래의 염료를 닦아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곤란한 것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착된 지지를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에 의하면, 지지뿐만 아니라, 유성펜에서 유래하는 염료나 안료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올레산 활락각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올레산 활락각이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을, 코트층 (10,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이 위가 되도록, 평평하고 또한 수평인 대 (臺) 위에 둔 후, 상기 면에 올레산의 액적을 정치 (靜置) 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대를 서서히 기울여가, 상기 액적이 활락을 시작했을 때의 상기 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한다. 상기 올레산 활락각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에서는, 코트층 (10,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접촉각이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8°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올레산 접촉각은 1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8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산 접촉각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올레산 활락각이 상기 서술한 범위를 만족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올레산 접촉각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토털 헤이즈값이,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토털 헤이즈값은, 6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토털 헤이즈값이 3 % 이상임으로써, 코트 필름 (1, 2) 을 디스플레이에 사용했을 때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반짝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토털 헤이즈값이 60 % 이하임으로써, 코트 필름 (1, 2) 을 디스플레이에 사용했을 때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토털 헤이즈값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에서는, 코트층 (10,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율이 10 % 이하임으로써, 코트 필름 (1, 2) 이 사용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낮은 반사율은, 제 1 코트층 (21) 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코트층 (22) 을 구비하는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율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2. 각 부재
(1)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의 코트층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의 코트층 (10) 은, 올레산 활락각이 전술한 범위가 되는 한, 어떠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코트층 (10) 이, 경화성 성분과, 미립자 (후술하는 나노 입자 및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를 제외한다) 와, 원하는 바에 따라 소정의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 C1 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경화성 성분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이나 열 등의 트리거에 의해 경화되는 성분이고,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열 경화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성되는 코트층 (10) 의 경도나, 기재 필름 (30) 의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소정의 경도를 발휘하고, 또한 미립자와의 관계에서 전술한 물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동일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프리폴리머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로는,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에, 실란 커플링제 등을 개재하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물질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가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는, 후술하는 미립자 및 나노 입자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형성되는 코트층 (10) 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2) 미립자
미립자는,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유기 미립자이어도 되고, 또는 무기 미립자이어도 된다.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미립자의 예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을 재료로 하는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 미립자로는, 아크릴계 수지를 재료로 하는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 중합체나, 메타크릴산메틸과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의 예로는,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을 재료로 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미립자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C1 은, 부정형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 C1 이 부정형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당해 코팅 조성물 C1 을 사용하여,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는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미립자의 형상은,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구상 등의 정형이어도 되고, 또는 형상이 특정되지 않는 부정형이어도 된다. 그러나,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미립자의 형상은,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진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평균 입경은,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상기 서술한 범위임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기 미립자의 하기 식 (1)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 (표준 편차 입경/평균 입경) × 100 … (1)
로 나타내는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10 ∼ 8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CV 값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보다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분산매인 메틸에틸케톤에 의해 조제한 5 질량% 농도의 분산액을 샘플로서 사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코팅 조성물 C1 중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6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60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성이 양호해져, 균일한 막두께의 코트층 (10) 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1-3) 나노 입자
코팅 조성물 C1 은, 전술한 미립자와 함께, 당해 미립자와 비교하여 평균 입경이 작은 나노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당해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 C1 을 사용하여 코트층 (10) 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토털 헤이즈값을 갖는 코트 필름 (1) 을 형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특히, 나노 입자는, 미립자와 미립자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외부 헤이즈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내부 헤이즈를 상승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토털 헤이즈값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상기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이 100 ㎚ 이하임으로써, 나노 입자가 전술한 미립자에 대해 충분히 작은 것이 되어, 코트층 (10) 중에 나노 입자를 효과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의 하한값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나노 입자의, 하기 식 (1)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 (표준 편차 입경/평균 입경) × 100 … (1)
로 나타내는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 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CV 값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보다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 및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구한 것으로 한다.
상기 나노 입자의 굴절률은, 1.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나노 입자의 굴절률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입자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코트층 (10) 에 있어서의 내부 헤이즈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지고, 전술한 토털 헤이즈값을 갖는 코트 필름 (1) 을 보다 형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상기 나노 입자는, 전술한 미립자와 비교하여 평균 입경이 작은 입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산화지르코늄 입자, 산화주석 입자, 산화티탄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안티몬 입자와 같은 금속 산화물 입자나, 금 입자, 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입자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산화지르코늄 입자 또는 산화티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 C1 중에 있어서의 상기 나노 입자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나노 입자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6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4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코트 필름 (1) 의 토털 헤이즈값을 전술한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1-4) 그 밖의 성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팅 조성물 C1 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분산제, 표면 조정제, 레벨링제, 광 중합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열중합 금지제, 착색제, 계면 활성제, 보존 안정제, 가소제, 활제, 소포제, 유기계 충전재, 젖음성 개량제, 도면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코팅 조성물 C1 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경화성 성분의 가교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코팅 조성물 C1 은, 전술한 미립자나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분산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술포기, 1 급 아미노기, 2 급 아미노기, 3 급 아미노기, 아미드기, 제 4 급 암모늄염기, 피리듐염기, 술포늄염기 및 포스포늄염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극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극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극성기는, 분자 내에 1 개 도입되고 있어도 되고, 복수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분산제로서의 화합물이 복수의 극성기를 갖는 경우, 당해 화합물의 기본 골격은, 에스테르 연쇄, 비닐 연쇄, 아크릴 연쇄, 에테르 연쇄, 우레탄 연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알키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기는, 분자 중에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측사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산제로서의 화합물은, 측사슬에 카르복실기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코팅 조성물 C1 은, 줄무늬상의 결점이나 불균일 등이 없고, 균일한 막두께를 갖는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표면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 불소계 표면 조정제, 아크릴계 표면 조정제, 비닐계 표면 조정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레벨링성이나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가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조정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5) 코트층의 물성 등
코트층 (10) 의 굴절률은, 통상 1.4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또, 당해 굴절률은, 통상 1.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코트층 (10) 의 굴절률이 상기의 범위임으로써,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 전술한 바람직한 반사율의 값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코트층 (10) 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트층 (10) 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트층 (10) 의 두께가 1 ㎛ 이상임으로써, 코트층 (10) 은 원하는 경도를 갖기 쉬워짐과 함께,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쉬워져, 코트 필름 (1) 이 양호한 지지 닦아냄성을 발휘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코트층 (10) 의 두께가 30 ㎛ 이하임으로써, 코트 필름 (1) 의 취급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2)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의 제 1 코트층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트 필름 (2) 은, 제 1 코트층 (21) 및 제 2 코트층 (22) 을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여, 지지 닦아냄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제 1 코트층 (21) 은, 코트층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전술한 범위가 되는 한, 어떠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는, 제 1 코트층 (21)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트 필름 (1) 의 코트층 (10) 과 동일하게, 전술한 코팅 조성물 C1 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코트층 (21) 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C1 에 함유되는 경화성 성분, 미립자, 나노 입자, 및 그 밖의 성분은, 각각,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C1 에 함유되는 각 성분으로서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코팅 조성물 C1 중에 있어서의 미립자 및 나노 입자의 각각의 함유량도,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C1 에 대해 전술한 함유량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제 1 코트층 (21) 의 굴절률은, 통상 1.4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또, 당해 굴절률은, 통상 1.8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제 1 코트층 (21) 의 굴절률이 상기의 범위임으로써,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전술한 바람직한 반사율의 값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제 1 코트층 (21) 의 두께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코트층 (21) 의 두께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코트층 (21) 의 두께가 1 ㎛ 이상임으로써, 제 1 코트층 (21) 은 원하는 경도를 갖기 쉬워짐과 함께,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쉬워져, 코트 필름 (2) 이 양호한 지지 닦아냄성을 발휘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 제 1 코트층 (21) 의 두께가 30 ㎛ 이하임으로써, 코트 필름 (2) 의 취급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3)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의 제 2 코트층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은, 제 1 코트층 (21) 과, 당해 제 2 코트층 (22) 보다 굴절률이 작은 제 2 코트층 (22) 을 구비함으로써, 코트 필름 (2) 이 사용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코트층 (22) 은, 코트층 (20) 의 표면에 있어서의 올레산 활락각이 전술한 범위가 됨과 함께, 제 2 코트층 (22) 의 굴절률이 제 1 코트층 (21) 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이 되는 한, 어떠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특히,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달성하기 쉬움과 함께, 제 2 코트층 (22) 의 굴절률을 제 1 코트층 (21) 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으로 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제 2 코트층 (22)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및 원하는 바에 따라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 C2 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1)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광 중합성 프리폴리머 및 광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광 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라디칼 중합형과 카티온 중합형이 있고, 라디칼 중합형의 광 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은 것이어도 된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은 것이어도 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은 것이어도 된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은 것이어도 된다.
한편, 카티온 중합형의 광 중합성 프리폴리머로는,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폭시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수지나 노볼락 수지 등의 다가 페놀류에 에피클로르하이드린 등으로 에폭시화한 화합물, 직사슬형 올레핀 화합물이나 고리형 올레핀 화합물을 과산화물 등으로 산화하여 얻어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광 중합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3-2)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
코팅 조성물 C2 가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코팅 조성물 C2 를 사용하여,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로는,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리카 졸,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 중공 실리카 미립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 졸로는, 실리카 미립자를, 알코올계나 셀로솔브계의 유기 용제 중에 콜로이드 상태로 현탁하여 이루어지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당해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해 평균 입경은,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하기 식 (1)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 (표준 편차 입경/평균 입경) × 100 … (1)
로 나타내는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10 ∼ 7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CV 값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보다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구한 것으로 한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는, 미립자 내에 미세한 공극을 개구한 상태 또는 폐구한 상태로 갖는 것이다. 이들 미립자는, 상기 공극 내에, 기체 (예를 들어, 굴절률 1 의 공기) 가 충전된 것이 되기 때문에, 미립자의 굴절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코트층 (22) 의 투명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제 2 코트층 (22) 의 굴절률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하기 식 (1)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 (표준 편차 입경/평균 입경) × 100 … (1)
로 나타내는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 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CV 값이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코트 필름 (1) 이 전술한 올레산 활락각을 보다 달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 및 입경의 변동 계수 (CV 값) 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구한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가 갖는 공극의 평균 구멍 직경은, 1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실리카 미립자 및 다공질 실리카 미립자는, 독립 기포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연속 기포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또는 독립 기포 및 연속 기포의 양방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코팅 조성물 C2 중에 있어서의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의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함유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15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원하는 굴절률을 갖는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하기 쉬운 것이 된다.
(3-3) 그 밖의 성분
코팅 조성물 C2 는, 상기의 성분 이외에, 광 중합 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당해 광 중합 개시제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코트층 (10) 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 C1 에 함유시켜도 되는 광 중합 개시제로서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4) 제 2 코트층의 물성 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제 2 코트층 (22) 의 굴절률은,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굴절률은, 1.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코트층 (22) 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제 1 코트층 (21) 보다 굴절률이 작은 것이 명확해지고, 코트 필름 (2) 이 사용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 제 2 코트층 (22) 의 두께는, 0.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코트층 (22) 의 두께는,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7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코트층 (22) 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코트 필름 (2) 이 사용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4) 기재 필름
기재 필름 (30) 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소정의 투명성을 갖는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술폰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술폰 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필름,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필름,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필름 등의 수지 필름 또는 그들의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등의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재 필름 (30) 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층 (코트층 (10), 제 1 코트층 (21), 후술하는 점착제층 등) 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법은 기재 필름 (30) 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밀착성 향상의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재 필름 (30) 의 두께는,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재 필름 (30) 의 두께는,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그 밖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기재 필름 (30) 에 있어서의 코트층 (10, 20) 과는 반대의 면측에 점착제층을 구비해도 된다. 당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소정의 투명성을 갖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이 상기 서술한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당해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도 된다. 당해 박리 시트는, 그 박리면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 에 있어서 원하는 박리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필름의 편면이 박리제에 의해 박리 처리된 것 등의 공지된 박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3.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술한 코팅 조성물 C1 과,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기재 필름 (30) 에 대해 도포하고, 경화시켜 코트층 (10) 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도공성의 개량, 점도 조정, 고형분 농도의 조정 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고, 경화성 성분 등이 용해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구체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에틸, γ-부티로락톤 등의 에스테르류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의 도포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하면 되고,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실시하면 된다. 코팅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포하면, 도막을 40 ∼ 120 ℃ 에서 30 초 ∼ 5 분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조성물 C1 과 같이 코팅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인 경우, 코팅 조성물의 경화는, 질소 분위기하에서, 코팅 조성물의 도막에 대해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한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 50 ∼ 1000 ㎽/㎠, 광량 50 ∼ 1000 mJ/㎠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 ∼ 1000 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2) 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기재 필름 (30) 의 편면측에 제 1 코트층 (21) 을 형성한 후, 제 1 코트층 (2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의 면측에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술한 코트층 (10) 과 동일하게, 기재 필름 (30) 상에 제 1 코트층 (21) 을 형성한 후, 제 1 코트층 (2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해, 예를 들어, 전술한 코팅 조성물 C2 와,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제 2 코트층 (22) 을 형성한다.
코팅 조성물 C2 의 도공액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는,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을 조제하기 위한 용제로서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코팅 조성물 C2 의 도공액의 도포 방법, 및 얻어진 도막의 경화 방법은, 각각, 코팅 조성물 C1 에 관련된 도포 방법 및 경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4. 코트 필름의 사용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코트 필름 (1, 2) 은,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첩부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트 필름 (1, 2) 은 전술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것이고, 당해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을 디스플레이의 면에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트 필름 (1, 2) 은 디스플레이의 표층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코트 필름 (1, 2) 은, 그 코트층 (10, 20) 측의 면이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되도록, 디스플레이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코트층 (10, 20)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전술한 범위임으로써, 당해 면에 지지가 잘 융화되지 않게 되어, 당해 면에 부착된 지지를 닦아내기 쉬운 것이 된다. 이로써, 지지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우수한 시인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코트 필름 (1, 2)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지지의 닦아냄성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코트 필름 (1, 2) 은, 손가락이 닿는 경우가 매우 많은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터치 패널은, 주로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 터치 패널이어도 되고, 주로 터치펜으로 조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또, 상기 터치 패널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감압식, 전자 유도식, 초음파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어,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 코트층 (10)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되고, 또, 코트 필름 (2)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30) 과 제 1 코트층 (21) 사이나, 제 1 코트층 (21) 과 제 2 코트층 (22) 사이에는,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코팅 조성물 C1 의 조제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제품명 「옵스타 Z7530」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100 질량부 (고형분 환산값 ; 이하 동일) 와, 미립자로서의 제품명 「테크폴리머 XX-27L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아크릴계 미립자, 평균 입경 1.5 ㎛, 형상 : 구형) 12 질량부와, 분산제로서의 제품명 「플로렌 G700」 (쿄에이샤 제조) 0.2 질량부와, 표면 조정제로서의 제품명 「FS-7025」 (플로로 테크놀로지사 제조) 0.15 질량부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중에서 혼합함으로써, 제 1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형분 40 질량% 의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2) 코팅 조성물 C2 의 조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의 제품명 「빔 세트 575CB」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UV·EB 경화성 수지) 100 질량부와, 굴절률 조정용 미립자로서의 제품명 「스루리아 4320」 (닛키 촉매 화성사 제조, 중공 실리카 미립자, 평균 입경 : 60 ㎚) 75 질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제품명 「OMNIRAD 907」 (BASF 사 제조) 3 질량부와, 표면 조정제로서의 제품명 「FS-7025」 (플로로 테크놀로지사 제조) 10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과 시클로헥사논의 혼합 용매 (혼합비 1 : 1) 중에서 혼합함으로써, 제 2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형분 5 질량% 의 코팅 조성물 C2 의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3) 제 1 코트층의 형성
기재 필름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BRIGHT 사 제조, 제품명 「TACPHANP980RP」, 두께 : 80 ㎛) 의 편면에, 상기 공정 (1) 에서 얻어진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자외선 조사 장치 (아이그래픽스사 제조, 제품명 「아이그랜테이지 ECS-401GX 형」) 에 의해 하기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 1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기재 필름과 두께 3.5 ㎛ 의 제 1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자외선 조사 조건]
·광원 : 고압 수은등
·램프 전력 : 2 ㎾
·컨베이어 스피드 : 4.23 m/min
·조도 : 240 ㎽/㎠
·광량 : 307 mJ/㎠
(4) 제 2 코트층의 형성
상기 공정 (3) 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있어서의 제 1 코트층측의 면 상에, 상기 공정 (2) 에서 얻어진 코팅 조성물 C2 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자외선 조사 장치 (아이그래픽스사 제조, 제품명 「아이그랜테이지 ECS-401GX 형」) 에 의해 상기 공정 (3) 과 동일한 자외선 조사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100 ㎚ 의 제 2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기재 필름과 제 1 코트층과 제 2 코트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코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 9, 비교예 1 ∼ 3]
코팅 조성물 C1 의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코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기재 필름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TACBRIGHT 사 제조, 제품명 「TACPHANP980RP」, 두께 : 80 ㎛) 의 편면에, 실시예 1 의 공정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자외선 조사 장치 (아이그래픽스사 제조, 제품명 「아이그랜테이지 ECS-401GX 형」) 에 의해 실시예 1 의 공정 (3) 과 동일한 자외선 조사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 3.5 ㎛ 의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기재 필름과 단층의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코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 14, 비교예 4 ∼ 6]
코팅 조성물 C1 의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코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경화성 성분 A1 : 제품명 「옵스타 Z7530」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경화성 성분 A2 : 제품명 「HCA-150D 클리어」 (토쿠시키사 제조)
미립자 : 제품명 「테크폴리머 XX-27L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평균 입경 1.5 ㎛, 형상 : 구형)
나노 입자 : 제품명 「NANON5 ZR-020」 (솔라사 제조, 산화지르코늄 입자, 평균 입경 10 ∼ 20 ㎚, 굴절률 약 1.9, 형상 : 구형)
분산제 : 제품명 「플로렌 G700」 (쿄에이샤 제조)
표면 조정제 : 제품명 「FS-7025」 (플로로 테크놀로지사 제조)
부정형 실리카 미립자 : 제품명 「HCA-150H」 (토쿠시키사 제조, 부정형 실리카 미립자 (평균 입경 1.5 ㎛) 를 함유하는 경화제, 경화제와 부정형 실리카 미립자의 배합비는 7 : 1)
[시험예 1] (굴절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조제한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 코팅 조성물 C2 의 도공액 및 코팅 조성물 C1' 의 도공액의 각각을, 편면에 접착 용이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보사 제조,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 50 ㎛) 의 접착 용이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도공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각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각 코트층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 측정 온도 23 ℃ 의 조건으로, 분광 엘립소미터 (J. A. WOOLLAM 사 제조, 제품명 「M-2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2] (헤이즈값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것을 코트 필름의 토털 헤이즈값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광학 투명 점착재 (린텍사 제조, 제품명 「OPTERIA MO-T015」) 로부터 일방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광학 투명 점착재의 노출면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코트층측의 면에 첩부하고, 측정 샘플로 하였다. 당해 측정 샘플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것을 코트 필름의 내부 헤이즈값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토털 헤이즈값 (%) 으로부터 상기 내부 헤이즈값 (%) 을 뺌으로써, 코트 필름의 외부 헤이즈값 (%) 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제 1 코트층과 제 2 코트층을 구비하는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3 에 관련된 코트 필름에 대해서는, 제 1 코트층과 기재 필름의 적층체 (코트 필름의 제조 도중에 얻어지는, 제 2 코트층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의 것) 를,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하고, 당해 적층체에 있어서의 토털 헤이즈값 (%), 내부 헤이즈값 (%) 및 외부 헤이즈값 (%) 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도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3] (접촉각 및 활락각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측의 면을, 유리판의 편면에 첩부하였다. 그 후, 당해 유리판을, 코트 필름을 첩부한 면이 위가 되도록, 접촉각계 (KYOWA 사 제조, 제품명 「DH350 시험대」) 의 시험대 상에 설치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코트층측의 면에 2 ㎕ 의 물을 적하하고, 적하 직후의 접촉각 (°) 을 상기 접촉각계에 의해 측정하고, 이것을 물 접촉각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상기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코트층측의 면에 7 ㎕ 의 물을 적하한 후, 상기 시험대를 1°씩 경사시켜가, 물의 액적이 활락하기 시작하는 각도를 상기 접촉각계에 의해 측정하고, 이것을 물 활락각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상기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코트층측의 면에 2 ㎕ 의 올레산을 적하하고, 적하 직후의 접촉각 (°) 을 상기 접촉각계에 의해 측정하고, 이것을 올레산 접촉각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코트층측의 면에 7 ㎕ 의 올레산을 적하한 후, 상기 시험대를 1°씩 경사시켜가, 올레산의 액적이 활락하기 시작하는 각도를 상기 접촉각계에 의해 측정하고, 이것을 올레산 활락각 (°)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4] (지지 닦아냄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당해 코트 필름의 코트층측의 표면에, 3 회 손가락을 가압하여 지지를 부착시켰다. 이 때, 지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까지 부착시켰다. 다음으로, 당해 지지를 부착시킨 부분에, 웨이스트 (아사히 화성사 제조, 제품명 「벰코트 (등록상표)」) 를 씌운 후, 200 g/㎠ 의 하중을 가하면서, 웨이스트를 10 ㎝, 3 왕복 문지름으로써, 닦아내기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닦아내기 처리 후, 상기 코트 필름의 코트층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지지를 부착시키고 있던 부분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닦아내기 처리 후에 측정한 헤이즈값 (%) 으로부터, 지지의 부착 전에 측정한 헤이즈값 (%) 을 뺌으로써, 헤이즈값차 (포인트) 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헤이즈값차 (포인트) 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지지 닦아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2.8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2.8 이상, 3.9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3.9 이상, 5.1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5.1 이상이었다.
[시험예 5] (잉크 닦아냄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당해 코트 필름의 코트층측의 표면에, 유성 마커 (제브라사 제조, 제품명 「하이맥키 MO-150-MC」, 잉크색 ; 흑색) 를 사용하여, 잉크를 부착시킨 후, 당해 잉크를 충분히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당해 잉크를 부착시킨 부분에, 웨이스트 (아사히 화성사 제조, 제품명 「벰코트 (등록상표)」) 를 씌운 후, 200 g/㎠ 의 하중을 가하면서, 웨이스트를 10 ㎝, 3 왕복 문지름으로써, 닦아내기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닦아내기 처리 후, 상기 코트 필름의 코트층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잉크를 부착시키고 있던 부분의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닦아내기 처리 후에 측정한 헤이즈값 (%) 으로부터, 지지의 부착 전에 측정한 헤이즈값 (%) 을 뺌으로써, 헤이즈값차 (포인트) 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헤이즈값차 (포인트) 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잉크 닦아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2.8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2.8 이상, 3.9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3.9 이상, 5.1 미만이었다.
× : 헤이즈값차 (포인트) 가 5.1 이상이었다.
[시험예 6] (내반짝임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을, 기재측을 아래로 하고, 전체면 녹색 표시 (RGB 값 (R, G, B) = 0, 255, 0) 로 한 태블릿 단말 (애플사 제조, 제품명 「iPad (등록상표)」, 해상도 : 264 ppi) 의 표시 화면의 표면에 재치 (載置) 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에 의해 내반짝임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반짝임이 확인되지 않았다.
○ :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로, 반짝임이 확인되었다.
× : 실용상 문제가 생기는 레벨로, 반짝임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7] (내퇴색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을, 기재측을 아래로 하고,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킨 태블릿 단말 (애플사 제조, 제품명 「iPad (등록상표)」, 해상도 : 264 ppi) 의 표시 화면의 표면에 재치하고, 육안에 의해 화상의 퇴색 및 화상의 흐릿함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퇴색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퇴색 및 흐릿함 모두 확인되지 않았다.
○ :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로, 퇴색 및 흐릿함 중 어느 것이 확인되었다.
× : 실용상 문제가 생기는 레벨로, 퇴색 및 흐릿함 중 어느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8] (내찰상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코트층측의 표면에 대해, #0000 의 스틸 울을 사용하여, 250 g/㎠ 의 하중으로 10 ㎝, 10 왕복 문지른 후, 당해 표면에 생긴 흠집의 개수를 세어, 이하의 기준으로 내찰상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흠집의 개수가 3 개 미만이었다.
○ : 흠집의 개수가 4 개 이상, 10 개 미만이었다.
× : 흠집의 개수가 11 개 이상이었다.
[시험예 9] (반사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측의 면을 흑색의 판 (유코우 상회사 제조, 제품명 「아크릴라이트」) 의 편면에 첩부하였다. 그리고, 당해 코트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코트층 (코트층) 측의 면의 반사율 (%) 을,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UV-3600」) 를 사용하여, 측정 파장 영역을 370 ∼ 810 ㎚ 로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10] (디스플레이 시인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측의 면을 투명 유리판의 편면에 첩부하여, 코트 필름과 유리판 (두께 : 1.1 ㎜) 의 적층체를 얻었다. 계속해서, 당해 적층체를, 태블릿 단말 (애플사 제조, 제품명 「iPad (등록상표) 」, 화소 밀도 : 264 ppi) 의 디스플레이 상에 적층하였다. 이 때,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의 유리판측의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하도록 적층하였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의 표시면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이하의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화상을 분명히 볼 수 있고, 매우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 : 화상이 약간 흐릿했지만,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었다.
△ : 화상이 흐릿해져, 약간 시인 불량이었다.
× : 화상이 크게 흐릿해져, 시인 불량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은, 지지 닦아냄성 및 잉크 닦아냄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물 접촉각 및 올레산 접촉각의 측정에 관련된 시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느 코트 필름에 있어서도, 거의 동일한 정도의 각도가 되고, 또, 물 활락각의 측정에 관련된 시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어느 코트 필름에 있어서도, 물방울의 활락이 생기는 일은 없다는 결과였다 (시험예 3). 이와 같이, 물 접촉각, 올레산 접촉각 및 물 활락각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에도, 올레산 활락각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지지 닦아냄성을 갖는 코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조한 코트 필름은, 내반짝임성, 내퇴색성, 내찰상성 및 디스플레이 시인성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코트 필름은, 터치 패널의 최표층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2…코트 필름
10, 20…코트층
21…제 1 코트층
22…제 2 코트층
30…기재 필름

Claims (7)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측에 형성된 코트층을 구비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코트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의 올레산 활락각이 3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 필름의 토털 헤이즈값이, 3 % 이상, 6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층이, 미립자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0.5 ㎛ 이상, 8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유기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미립자와 함께, 평균 입경이 5 ㎚ 이상, 100 ㎚ 이하이고, 굴절률이 1.6 이상, 3.0 이하인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층이,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 근위 (近位) 에 위치하는 제 1 코트층과,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 원위 (遠位) 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코트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제 2 코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트 필름.
KR1020180126700A 2017-11-06 2018-10-23 코트 필름 KR20190051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3669 2017-11-06
JP2017213669A JP7067900B2 (ja) 2017-11-06 2017-11-06 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00A true KR20190051800A (ko) 2019-05-15

Family

ID=6640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00A KR20190051800A (ko) 2017-11-06 2018-10-23 코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67900B2 (ko)
KR (1) KR20190051800A (ko)
CN (1) CN109749109A (ko)
TW (2) TWI793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6775A (ko) 2022-09-30 2024-04-0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그리고, 상기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 표면판,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필름의 선정 방법, 그리고, 지문 닦아내기성의 평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601A (ja) 2003-03-26 2004-10-21 Nitto Denko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403A (ja) * 1996-10-02 1998-04-24 Nippon Kayaku Co Ltd 防汚性及びハードコート性を有するシート
JP4376368B2 (ja) * 1999-09-24 2009-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2207103A (ja) * 2000-08-16 2002-07-26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131514A (ja) * 2000-10-26 2002-05-09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412450B2 (ja) * 2001-10-05 2010-02-1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ター
JP5145819B2 (ja) * 2007-08-10 2013-0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5592671B2 (ja) * 2010-03-02 2014-09-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CN103476726B (zh) * 2011-04-01 2016-06-01 旭硝子株式会社 附有低反射膜的玻璃板
JP2013037323A (ja) * 2011-08-11 2013-02-21 Lintec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199605B2 (ja) * 2013-05-27 2017-09-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巻回体
JP6189642B2 (ja) * 2013-05-30 2017-08-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533437B2 (ja) * 2015-09-08 2019-06-19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透明遮熱断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45417A1 (ja) * 2016-02-26 2017-08-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電極及びこれを備えた有機電子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4601A (ja) 2003-03-26 2004-10-21 Nitto Denko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7200A (zh) 2019-09-16
JP2019085473A (ja) 2019-06-06
JP7067900B2 (ja) 2022-05-16
TWI794107B (zh) 2023-02-21
JP2022113161A (ja) 2022-08-03
TWI793168B (zh) 2023-02-21
TW202235920A (zh) 2022-09-16
JP7490016B2 (ja) 2024-05-24
CN109749109A (zh)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2941B2 (ja) 高精細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I609902B (zh) 防眩性硬塗薄膜
KR101792253B1 (ko) 반사방지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KR101719819B1 (ko) 방현성 하드코트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JP2001287308A (ja) プラスチック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保護フイルム
JP6414173B2 (ja) 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90004733A (ko) 하드코팅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6568A (ko) 흑색 저반사막,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160137508A (ko) 방현성 하드코트 필름
JP2007127823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7347922B2 (ja) 耐指紋性の評価方法、光学部材の生産方法および光学部材
JP2007286226A (ja) 防眩部材
JP7490016B2 (ja) コートフィルム
JP6152630B2 (ja) 光学フィルム
TW202222575A (zh) 防眩性抗反射片及抗反射層積層用防眩性片
US11891491B2 (en) Writing feel improving sheet with which a writing feel of writing on paper with a ballpoint pen is obtained
JP2008216913A (ja) 光学フィルム
JP2019028313A (ja) 低反射板
JP7214824B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23085240A1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7265332B2 (ja) タッチパネル
JP2008292987A (ja) 光学積層体
TW202221362A (zh) 抗反射膜
KR20230059719A (ko) 내광성 향상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