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15A -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15A
KR20190039815A KR1020197008529A KR20197008529A KR20190039815A KR 20190039815 A KR20190039815 A KR 20190039815A KR 1020197008529 A KR1020197008529 A KR 1020197008529A KR 20197008529 A KR20197008529 A KR 20197008529A KR 20190039815 A KR20190039815 A KR 2019003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rinting
print
nozzles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230B1 (ko
Inventor
아즈사 히라노
야스츠구 즈루오카
노리츠구 다니오
신이치 오기모토
준스케 고미토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2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 B41J3/5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with multiple inkjet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 B41M5/0088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15Moving nozzle or nozzl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1)는, 반송 장치(20)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51)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한다. 정제(T)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다.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1)는, 정제(T)의 인쇄 처리에 이용하는 인쇄용의 기준 패턴을,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대한 인쇄 방향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90)를 갖는다.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에 문자나 기호 등의 식별 정보를 인쇄하기 위해,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는 정제 인쇄 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복수의 정제를 1열로 반송하고, 컨베이어 상측에 배치된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의 노즐로부터, 그 인쇄 헤드 하측을 통과하는 정제를 향해 잉크(예컨대 가식성 잉크)를 토출하여, 컨베이어 상의 정제에 식별 정보를 인쇄한다.
이 정제 인쇄 장치에서는,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가 정기적으로 행해져, 인쇄 헤드는 정상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통상,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할 때마다, 정제의 반송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이 정지 기간 중에 정제에 대한 인쇄가 중단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빈도가 높아질수록, 또한 1회의 메인터넌스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7-08105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 정지에 기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미리 정한 간격으로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을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노즐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방향으로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는,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노즐마다 구동 소자를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모든 상기 노즐에 있어서 상기 구동 소자를 가장 균등하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방법은,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미리 정한 간격으로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방법은,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을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상기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노즐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방법은,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노즐마다 구동 소자를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상기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모든 상기 노즐에 있어서 상기 구동 소자를 가장 균등하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 정지에 기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정제 인쇄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인쇄 패턴과 사용 노즐의 관계도.
도 4는 인쇄 패턴과 사용 노즐의 관계도.
도 5는 인쇄 패턴과 사용 노즐의 관계도.
도 6은 인쇄 패턴과 사용 노즐의 관계도.
도 7은 인쇄 헤드 이동의 설명도.
도 8은 인쇄 패턴과 사용 노즐의 관계도.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해,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본 구성)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인쇄 장치(1)는, 공급 장치(10)와, 반송 장치(20)와, 검출 장치(30)와, 촬상 장치(40)와, 인쇄 장치(50)와, 인쇄후 촬상부(52)와, 회수 장치(60)와, 화상 처리 장치(80)와, 제어 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 장치(10)는, 호퍼(11) 및 슈터(12)를 구비한다. 호퍼(11)는, 다수의 정제(T)를 수용하고, 그 수용된 정제(T)를 슈터(12)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슈터(12)는, 공급된 정제(T)를 복수 열로 정렬시켜, 반송 장치(20)에 공급한다. 이 공급 장치(10)는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또, 정제(T)는, 예컨대 평면시(平面視)에서 진원형의 형상이며, 할선을 갖지 않는 정제이다.
반송 장치(20)는, 반송 벨트(21)(도 2 참조), 구동 풀리(22), 종동 풀리(23) 및 구동부(24)를 구비한다. 반송 벨트(21)는, 무단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 풀리(22) 및 종동 풀리(23)에 가교되어 있다. 구동 풀리(22) 및 종동 풀리(23)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동 풀리(22)는 구동부(24)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24)는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이 구동부(24)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위치 검출기(24a)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기(24a)는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90)는, 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반송 벨트(21)의 위치나 속도, 이동량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반송 장치(20)는, 구동부(24)에 의한 구동 풀리(22)의 회전에 의해 종동 풀리(23)와 함께 반송 벨트(21)를 회전시켜, 반송 벨트(21) 상의 정제(T)를 도 1 및 도 2 중의 화살표 A1(반송 방향(A1))으로 반송한다. 또, 반송 벨트(21)에는, 직선의 구멍형의 흡인구(21a)(도 2 참조)가 반송 방향(A1)을 따라서 2열이 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흡인구(21a)는 흡인 챔버를 통해 흡인 장치(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흡인 장치(예컨대 흡인 펌프)의 구동에 의해 흡인력을 얻는다. 흡인구(21a) 상에 공급된 정제(T)는, 그 흡인구(21a)의 흡인에 의해 반송 벨트(21) 상에 유지되게 된다.
검출 장치(30)는, 복수의 검출부(31)(도 2 참조)를 구비한다. 검출부(31)는, 반송 벨트(21)의 상측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검출부(31)는, 공급 장치(10)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이자 2열의 흡인구(21a)의 상측에 위치 부여되고,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검출부(31)는, 레이저광의 투수광에 의해 반송 벨트(21) 상의 정제(T)를 검출한다. 이들 검출부(31)는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장치(90)에 검출 신호를 송신한다. 검출부(31)로는, 반사형 레이저 센서 등 각종 레이저 센서(레이저 변위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레이저광의 빔 형상으로는, 스폿이나 라인 등 각종 형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상 장치(40)는, 복수의 촬상부(41)(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촬상부(41)는, 반송 벨트(21)의 상측에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촬상부(41)는, 검출 장치(30)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이자 2열의 흡인구(21a)의 상측에 위치 부여되고,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촬상부(41)는, 정제(T)가 바로 아래에 도달한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80)에 송신한다. 촬상부(41)로는, CCD(전하 결합 소자)나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촬상부(41)는 화상 처리 장치(80)를 통해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촬상용 조명도 설치되어 있다.
인쇄 장치(50)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51)를 구비한다. 인쇄 헤드(51)는, 반송 벨트(21)의 상측에 2개 설치되고, 촬상 장치(40)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인쇄 헤드(51)는, 복수의 노즐(51a)(도 2 참조)을 구비하고, 이들 노즐(51a)로부터 개별로 잉크(액체의 일례)를 토출한다. 도 2에서는, 노즐(51a)은 4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수십∼수천 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쇄 헤드(51)는, 각 노즐(51a)이 나열된 노즐 정렬 방향이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도록(예컨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51)로는, 압전 소자, 발열 소자 또는 자왜 소자 등의 구동 소자를 노즐(51a)마다 갖는 각종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 헤드(51)는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구동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인쇄후 촬상부(52)는, 반송 벨트(21)의 상측에 2개 설치되고, 인쇄 헤드(51)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이들 인쇄후 촬상부(52)는, 수평면 내에서 반송 방향(A1)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된 촬상 장치이며, 정제(T)가 바로 아래에 도달한 타이밍에 촬상을 행하여, 정제(T)의 상면을 포함하는 화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을 화상 처리 장치(80)에 송신한다. 인쇄후 촬상부(52)로는, 촬상부(41)와 동일하게, CCD(전하 결합 소자)나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각종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인쇄후 촬상부(52)는 화상 처리 장치(80)를 통해 제어 장치(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구동이 제어 장치(90)에 의해 제어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촬상용 조명도 설치되어 있다.
회수 장치(60)는, 인쇄후 촬상부(52)보다 반송 방향(A1)의 하류측에 위치 부여되고, 반송 장치(20)의 단부, 즉 반송 벨트(21)에서의 반송 방향(A1)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회수 장치(60)는, 반송 벨트(21)에 의한 유지가 해제되어 낙하하는 정제(T)를 순차적으로 받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 장치(20)는, 반송 벨트(21) 상의 개개의 정제(T)가 원하는 위치, 예컨대 반송 벨트(21)에서의 반송 방향(A1)의 하류측 단부에 도달한 경우에 정제(T)의 유지를 해제한다.
화상 처리 장치(80)는, 촬상 장치(40)에 의해 촬상된 각 화상을 캡쳐하고, 공지의 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각 화상을 처리한다. 촬상 장치(40)로부터의 화상을 캡쳐하면, 정제(T)의 X 방향, Y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한다. 여기서, X 방향 및 Y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란, 촬상 시야의 중심에 대한 정제(T)의 위치 어긋남이며, 그 중심에 대하여 정제(T)가 어느 정도 틀어졌는지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정제(T)의 반송 방향(A1)이 X 방향이며,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이 Y 방향이다.
화상 처리 장치(80)는, 검출한 각 정제(T)의 X 방향, Y 방향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또, 화상 처리 장치(80)가 위치 어긋남 정보를 송신할 때에는, 이 위치 어긋남 정보에 각 촬상부(41)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90)는, 송신된 위치 어긋남 정보가, 반송 벨트(21)에 의해 2열로 반송되는 정제(T) 중, 어느 열에 위치하는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80)는, 인쇄후 촬상부(52)에 의해 촬상된 각 화상을 캡쳐하고, 공지의 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각 화상을 처리한다. 화상 처리 장치(80)에서는, 인쇄후 촬상부(52)로부터의 화상을 캡쳐하면, 후술하는 정제(T)에 대한 인쇄 조건과, 인쇄후 촬상부(52)로부터 캡쳐한 화상 상의 인쇄 상태가 합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 정보를 제어 장치(9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90)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80)로부터의 송신 정보로부터, 예컨대 90 퍼센트 이상 합치하고 있는 것에 관해서는, 「양품」으로 판단하여 회수 장치(60)에 회수하고, 90 퍼센트 합치하지 않는 것에 관해서는, 「불량품」으로 판단하여 도시하지 않은 불량품 박스에 회수되도록 한다.
제어 장치(90)는, 입출력 장치(91)와, 각 부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92)와, 각종 정보나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93), 인쇄 데이터 전환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90)는, 각종 정보(예컨대 처리 정보)나 각종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공급 장치(10), 반송 장치(20), 촬상 장치(40, 52) 및 인쇄 장치(5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90)는, 검출 장치(30)나 위치 검출기(24a)로부터 송신되는 검출 신호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 장치(91)는, 인쇄 패턴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각종 정보를 출력하거나 한다. 기억부(93)는, 입력된 인쇄 패턴을 기억한다. 또, 인쇄 패턴으로부터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51)의 어느 노즐(51a)로부터 어떤 타이밍에 잉크를 토출할지의 도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어, 기억부(93)에 기억된다. 또한, 정제(T)의 반송 방향(A1)과 평행한 방향을 0°로 하여, 인쇄 데이터를 회전시킨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어, 기억부(93)에 기억된다. 이 회전시킨 인쇄 데이터는, 소정 각도마다 생성된다. 이 인쇄 데이터를 회전시킨 각도를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라고 한다. 인쇄 데이터 전환부(94)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상이한 인쇄 데이터로 전환한다.
예컨대, 제어 장치(90)는, 그 기억부(93)에, 정제(T)에 인쇄하는 문자나 기호 등의 인쇄 패턴의 방향을 0도부터 15도씩 회전시킨 0도, 15도, 30도, 45도의 인쇄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고, 이들 인쇄 데이터 중에서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한다. 선택된 각도의 인쇄 데이터에 의해, 사용하는 노즐(51a)이 변하게 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여기서 말하는 「0도의 인쇄 데이터」란, 인쇄 패턴이 정제(T)의 반송 방향(A1)과 평행하게 인쇄되는 데이터이다(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된 패턴을 「기준 패턴」이라고 한다). 또한, 0도, 15도, 30도, 45도 등의 각도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이다. 이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로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대하여 규정되는 방향이,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대한 인쇄 방향이 된다.
여기서, 종래부터 정제 인쇄에서는, 할선이 그려진 정제(이하, 「할선 정제」라고 함)에 인쇄를 행하는 기술이나, 진원이 아닌 형태의 정제(이하, 「이형정」이라고 함)에 인쇄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할선 정제나 이형정와 같이, 방향성을 갖는 정제에 대한 인쇄에서는, 전술한 촬상 장치(40)에서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θ 방향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기억부(93)에 기억된 인쇄 데이터를 회전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제(T)와 같이, 평면시에서 진원형의 형상이며, 할선을 갖지 않는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 정제(T)가 방향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인쇄 데이터를 회전시킬 필요성 자체가 없다. 즉, 정제(T)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다. 따라서, 항상 기준이 되는 방향의 각도(예컨대 0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항상 동일한 각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면, 항상 특정한 범위에 위치하는 노즐(51a)만을 집중적으로 계속 사용하게 된다.
인쇄 헤드(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 소자, 발열 소자 또는 자왜 소자 등의 구동 소자를 갖는 각종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이다. 이들 구동 소자에는 사용 한계가 있고, 구동 소자가 사용 한계(수명)에 도달하면 구동 소자를 인쇄 헤드(51)마다 교환하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집중적으로 계속 사용하는 특정 범위의 노즐(51a)은, 그 밖의 범위에 존재하는 노즐(51a)과 비교하여 구동 소자를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구동 소자가 빠르게 수명을 다하여, 인쇄 헤드(51) 자체를 교환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인쇄 헤드(51) 자체를 교환하는 메인터넌스는 시간도 많이 걸린다. 이 정지 기간 중에 정제(T)에 대한 인쇄가 중단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빈도가 높아질수록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사용 빈도가 높은 노즐(51a) 주변에는 잉크가 부착되어 액정체가 생겨 적정한 잉크의 토출을 방해하거나, 사용 빈도가 낮은 노즐(51a)에서는 노즐(51a) 내의 잉크의 점도가 증가하거나, 고형물이 석출되거나 하는 것에 의해, 노즐(51a)로부터 정상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시하지 않은 메인터넌스 장치에 의해, 예컨대 10분간 1회 정도, 노즐(51a) 주변을 클리닝하는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해야 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 인쇄 헤드(51)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할 때마다, 정제(T)의 인쇄 처리를 정지할 필요가 있다. 이 정지 기간 중에 정제(T)에 대한 인쇄가 중단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빈도가 높아질수록, 또한 1회의 메인터넌스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인쇄 조건 설정 시에 연구를 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하, 정제 인쇄 장치(1)가 행하는 인쇄 공정을 설명하면서, 이 인쇄 조건 설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인쇄 공정)
전술한 정제 인쇄 장치(1)가 행하는 인쇄 공정(인쇄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인쇄에 요하는 인쇄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가 제어 장치(90)의 기억부(93)에 기억된다. 또한, 공급 장치(10)의 호퍼(11)에 인쇄 대상인 정제(T)가 다수 투입된다. 그리고, 정제 인쇄 장치(1)가 구동되면, 반송 장치(20)의 반송 벨트(21)는, 구동부(24)에 의한 구동 풀리(22) 및 종동 풀리(23)의 회전에 따라, 반송 방향(A1)으로 회전한다. 반송 벨트(2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급 장치(10)로부터 정제(T)가 반송 벨트(21) 상에 일정 간격이 아니라 랜덤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정제(T)는 반송 벨트(21) 상에서 소정의 이동 속도로 반송되어 간다.
반송 벨트(21) 상의 개개의 정제(T)는, 각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고, 각 검출부(31)로부터 각각의 검출 신호가 트리거 신호로서 제어 장치(90)에 입력된다. 그 후, 반송 벨트(21) 상의 개개의 정제(T)는, 각 촬상부(41)에 의해 촬상된다. 전술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는 타이밍, 즉 정제(T)가 촬상부(41)의 하측에 도달한 타이밍에 정제(T)의 상면이 촬상부(41)에 의해 촬상되고, 그 촬상된 화상이 화상 처리 장치(80)에 송신된다. 각 촬상부(41)로부터 송신된 개개의 화상에 기초하여,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예컨대, X 방향, Y 방향에서의 정제(T)의 위치 어긋남)가 화상 처리 장치(80)에 의해 생성되고, 제어 장치(90)에 송신된다.
이때,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의 기억부(93)에는, 문자나 기호 등의 인쇄 패턴의 방향을 0도부터 15도씩 회전시킨 0도, 15도, 30도, 45도의 인쇄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제어 장치(90)는, 우선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인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것에 기초하는 인쇄 조건이 설정된다. 또, 정제(T)의 Y 방향 위치 어긋남이 있는 경우 등,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장치(90)는,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화상 처리 장치(80)로부터 송신되는 개개의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가미하여, 정제(T) 개개에 대한 인쇄 조건을 수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후, 반송 벨트(21) 상의 개개의 정제(T)는, 전술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는 타이밍, 즉 정제(T)가 인쇄 헤드(51)의 하측에 도달한 타이밍에, 전술한 인쇄 조건에 기초하여 0도의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50)에 의해 인쇄가 실행된다. 인쇄 장치(50)의 각 인쇄 헤드(51)에 있어서, 각 노즐(51a)로부터 잉크가 적절하게 토출되고, 그 정제(T)의 상면에 문자나 마크 등의 식별 정보가 인쇄된다. 이 정제(T)에 도포된 잉크는, 그 정제(T)가 회수 장치(60)에 의해 회수되기 전에 건조한다. 인쇄 후, 촬상 장치(52)에서 인쇄 후의 정제(T)가 촬상되고, 제어 장치(90)의 제어 하에, 인쇄 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된 정제(T)는, 반송 벨트(21)의 하류측의 단부에서 유지된 상태로부터 해방되고, 반송 벨트(21)로부터 낙하하여 회수 장치(60)에 의해 회수된다.
인쇄 처리를 시작하여,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예컨대, 3분간)이 경과하면, 제어 장치(90)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15도인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고, 이것에 기초하는 인쇄 조건으로 변경한다. 이 인쇄 조건에 의해 전술한 인쇄 처리를 행한다. 또, 인쇄 데이터의 변경 간격으로는,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 이외에도, 예컨대 구동 소자의 사용 횟수(토출 횟수)나 인쇄 정제 횟수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쇄 조건을 변경하고 나서 다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장치(90)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30도인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고, 이것에 기초하는 인쇄 조건으로 변경한다. 이 인쇄 조건에 의해 전술한 인쇄 처리를 다시 행한다.
또한 다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장치(90)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인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고, 이것에 기초하는 인쇄 조건으로 변경한다. 이 인쇄 조건에 의해 전술한 인쇄 처리를 다시 행한다.
또한 다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장치(90)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인 인쇄 데이터로 복귀하고, 이후는 동일하게 소정 시간 경과마다 15도, 30도, 45도로 인쇄 조건을 변경하면서 인쇄 처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15도씩 상이한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여, 인쇄 처리 시작으로부터 예컨대 1시간이 경과하면, 인쇄 처리를 중단하고 도시하지 않은 메인터넌스 장치에 의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한다.
도 3∼도 6은, 「XYZ 789」라는 인쇄 패턴을 1정의 정제(T)에 인쇄하는 경우의, 각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에서의 노즐(51a)의 토출 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인쇄 헤드(51) 내에 노즐(51a)이 161개 형성되어 있는 인쇄 헤드(51)를 사용하여 정제(T)에 인쇄 처리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면 중, 좌측에 정제(T)의 인쇄 패턴의 회전 상태(숫자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우측에 종축이 노즐(51a)의 구멍 번호, 횡축이 각각의 노즐(51a)에서의 토출 횟수인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데이터는, 정제(T)의 Y 방향 위치 어긋남이 없는 경우의 데이터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도, 15도, 30도, 45도의 각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에 의해 노즐(51a)의 토출 횟수가 변한다.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일 때(도 3 참조)에는 구멍 번호가 대략 64∼101번인 노즐(51a)로부터는 전혀 토출되지 않지만,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15도일 때(도 4 참조)에는 대략 73∼92번으로, 사용되지 않는 노즐의 범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앞서 나타낸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일 때에는, 대략 구멍 번호 26∼63번 및 102∼139번의 범위에서 노즐(51a)로부터만 토출되지만,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30도일 때(도 5 참조)에는, 대략 구멍 번호 18∼82번 및 85∼144번의 범위에서 노즐(51a)로부터 토출되게 되고,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일 때(도 6 참조)에는, 대략 구멍 번호 18∼143번의 범위에서 노즐(51a)로부터 토출되게 되어, 0도일 때와 비교하여 사용되는 노즐(51a)의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일 때에는, 0도일 때에 사용하지 않은 구멍 번호 64∼101번의 노즐(51a)로부터 잉크를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마다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상이한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여 인쇄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노즐(51a)로부터 분산시켜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정제(T)에는 인쇄 조건이 변경될 때마다 반송 방향(A1)에 대한 각도가 상이한 패턴의 인쇄가 이루어지지만, 화상 처리 장치(80)에 있어서, 인쇄후 촬상부(52)가 캡쳐한 화상에 기초하여 인쇄 상태를 확인할 때에는, 인쇄 후의 정제로부터 취득한 화상과, 그 정제를 인쇄했을 때에 이용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 즉 인쇄 조건을 가미하여, 합치 정도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정제(T)의 Y 방향 위치 어긋남이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어 장치(90)는, 선택한 인쇄 데이터를, 화상 처리 장치(80)로부터 송신되는 개개의 정제(T)의 위치 어긋남 정보를 가미하여, 정제(T) 개개에 대한 인쇄 조건을 수정한다. 위치 어긋남 정보를 가미하기 때문에, 정제(T)의 Y 방향의 어긋남에 대응하는 만큼, 사용하는 노즐(51a)도 Y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즉, 정제(T)의 공급 위치의 Y 방향 변동분은 인쇄 데이터가 Y 방향으로 시프트하기 때문에, 적어도 그만큼 사용하는 노즐(51a)은 많아진다. 이것은, 근소한 범위이지만 균등화에도 공헌한다. 또, 공급 위치의 변동에 상관없이, 더욱 적절해지도록, 사용하는 노즐(51a)의 Y 방향의 시프트를 인쇄 데이터의 회전에 가해도 좋다. 인쇄의 외관상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시프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헤드(51)를 Y 방향(반송 방향(A1)과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53)를 설치하여, 인쇄 헤드(51)를 Y 방향으로 이동시켜 노즐(51a)의 사용 영역을 시프트시켜도 좋다. 도 7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하나의 인쇄 헤드(51)의 노즐(51a)을, 점선으로 나타내는 구획 A, 구획 B, 구획 C로 나누어, 구획 B로부터 구획 A, 구획 C와 노즐(51a)의 사용 영역을 전환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인쇄 헤드(51)가, 정제(T)의 반송 방향(A1)에 대하여 비스듬히 이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인쇄 패턴을 시프트시키지 않아도 좋지만, 인쇄 패턴의 Y 방향의 시프트를 인쇄 헤드(51)의 시프트와 조합해도 좋다. 또한, 반드시 구획을 이용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도 3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일 때에는 구멍 번호가 대략 64∼101번인 노즐(51a)에서는 전혀 토출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노즐(51a)이 이 64∼101번이 되도록, 사용하는 노즐(51a)을 Y 방향으로 시프트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인쇄 위치에 대하여 인쇄 헤드(51)의 노즐 열방향(Y 방향)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인쇄 위치에 대하여 인쇄 헤드(51)의 노즐 열방향을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노즐 영역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영역으로 시프트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쇄 헤드(51) 전체적으로 더욱 수명의 균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인쇄 패턴의 시프트에서는, 기준 패턴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Y 방향으로 이동시킨 기준 패턴에 기초하여, 소정 각도마다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혹은, 인쇄 데이터마다 인쇄 패턴을 Y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노즐 영역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영역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인쇄 헤드(51) 전체적으로 더욱 수명의 균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노즐(51a)을 솎아내고, 솎아낸 노즐(51a)과 선택한 노즐(51a)을 교대로 사용하는 것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복수 노즐 열의 경우, 각 열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술한 시프트와 조합해도 좋다. 예컨대, 2열 노즐에서 300 dpi가 되는 인쇄 헤드(51)에서, 열마다 노즐(51a)을 사용(150 dpi 인쇄)하고, 2열에서 노즐(51a)을 전환하여 사용해도 좋다. 또한, 1열 노즐에서 300 dpi가 되는 헤드에서, 1개 걸러 노즐(51a)을 사용하고(150 dpi 인쇄), 사용하는 노즐(51a)을 전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노즐(51a)의 사용 시간을 분산시킴으로써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인쇄 조건을 소정 시간마다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노즐(51a)마다의 토출 횟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 헤드(51)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의 정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인쇄 정지에 기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51a)의 구동 소자가 분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 헤드(51)에 이용되고 있는 구동 소자를 보다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어, 특정한 노즐(51a)의 구동 소자만이 빠르게 수명을 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헤드(51)를 보다 길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구동 소자의 고장 등에 따르는 인쇄 헤드(51)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메인터넌스 빈도를 낮게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시간도 삭감할 수 있고,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 정지에 기인하는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낮은 노즐(51a)에서는 노즐(51a) 내의 잉크의 점도가 증가하거나, 고형물이 석출되거나 하는 것에 의해, 노즐(51a)로부터 정상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쉽지만, 각 노즐(51a)이 분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낮은 노즐(51a)의 수가 감소하여, 노즐(51a)의 정상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기 어려운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빈도를 낮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높은 노즐(51a) 주변에는 잉크가 부착되어 액정체가 생겨, 적정한 잉크의 토출을 방해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51a)로부터 정상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기 어려운 상태가 되거나 하지만, 각 노즐(51a)이 분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높은 노즐(51a)의 수가 감소하여, 노즐(51a) 주변의 액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빈도를 낮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시간도 삭감할 수 있고, 인쇄 헤드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 정지에 기인하는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해 도 3∼도 6,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 설명하고, 그 밖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정제(T)의 인쇄 처리 공정의 도중에, 소정 시간마다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 대신에 최적의 인쇄 조건을 설정하도록 한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에 따라, 사용하는 노즐(51a)의 범위 및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즐(51a)의 토출 횟수는 크게 변하게 된다.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일 때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즐(51a)의 토출 횟수가 45회에 가까워지는 데 비해,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일 때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즐(51a)의 토출 횟수는 30회를 초과하는 정도가 된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XYZ 789」라는 인쇄 패턴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 정도일 때가, 가장 많은 노즐(51a)을 사용하고, 또한 모든 노즐(51a)에서 각 노즐(51a)의 구동 소자를 가장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가장 많은 노즐(51a)을 사용함으로써, 각 노즐(51a)의 사용 횟수가 분산되어 균일에 가까워지는 각도를 최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로 한다. 인쇄 패턴에 따라 다르지만, 최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는, 도 3∼도 6과 같은 데이터(토출 횟수 패턴)를 작성함으로써, 사전에 최적의 각도를 알 수 있다.
도 8은, 「XYZ 789」라는 인쇄 패턴을 1정의 정제(T)에 인쇄하는 경우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90도인 경우의 각 노즐(51a)의 토출 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도 3 참조)와 비교하면, 사용하는 노즐(51a)의 수는 더욱 감소하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즐(51a)의 토출 횟수는 50회에나 가까워진다. 즉, 인쇄 패턴에 따라서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0도부터 증가시켜 가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최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 가장 부적합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는, 패턴에 따라 전혀 달라진다. 따라서, 실험 등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패턴마다 사전에 데이터를 작성하여, 최적의 각도를 아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 실험 등에는,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마다, 인쇄 패턴으로부터 각 노즐의 토출 횟수를 산출하여, 토출 횟수 패턴(사용 노즐의 토출 횟수 분포)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90)는, 최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하고, 인쇄 처리를 시작한다. 이 최적의 인쇄 조건은, 복수의 노즐(51a)을 가장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기 때문에, 복수의 노즐(51a)마다의 토출 횟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 헤드(51)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인쇄의 정지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인쇄 정지에 기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최적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에 기초하는 인쇄 조건의 선택이나 설정은, 제어 장치(90)에 의해 행하지 않고,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 로컬의 연산 장치 등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반영시켜도 좋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최적의 인쇄 조건으로 인쇄 처리를 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미리 정한 간격으로), 비교적 적합한 인쇄 조건으로 전환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30도인 경우는(도 5 참조),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인 경우(도 6 참조)와 비교하면, 사용하는 노즐(51a)의 수는 적지만, 다른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인 0도, 15도, 90도의 경우와 비교하여, 많은 노즐(51a)을 사용하여 인쇄가 행해지게 되어, 각 노즐(51a)이 다른 각도와 비교하여 균등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비교적 적합한 인쇄 조건을 선택한다. 그리고,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45도의 인쇄 조건으로 인쇄 처리를 행하고, 소정 시간으로서의 3분이 경과하면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30도인 인쇄 조건으로 변경하여 인쇄 처리를 행한다. 3분이 더 경과하면, 다시 45도의 인쇄 조건으로 변경하는 것과 같이, 최적의 인쇄 조건과 비교적 적합한 인쇄 조건을 교대로 전환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리 정한 간격에서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의 전환과, 그 전환 횟수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30도인 인쇄 조건으로 6분간(3분×2) 인쇄 처리하고,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0도의 인쇄 조건으로 하여 3분간 인쇄 처리하고, 다음으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45도의 인쇄 조건으로 전환하는 등과 같이 전환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사용하는 노즐(51a)의 수나 위치, 시간 등에서의 사용하는 인쇄 조건의 최적의 조합을 미리 조사하여, 이것을 채용하도록 하면 된다.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도, 예시한 0도∼90도에 한정되지 않고, 180도까지 혹은 359도까지의 범위로 해도 좋다. 인쇄 패턴에 따라서는, 동일한 노즐(51a)의 사용, 토출 횟수의 패턴이 출현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조합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전술한 어느 경우에도, 복수의 노즐(51a)마다의 토출 횟수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인쇄 헤드(51)의 메인터넌스에 따르는 정지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51a)의 구동 소자가 분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구동 소자를 보다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어, 종래에 비교하여, 특정한 노즐(51a)의 구동 소자만이 빠르게 수명을 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헤드(51)를 보다 길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드시 적합한 인쇄 조건, 최적의 인쇄 조건의 조합으로 할 필요는 없다. 각 노즐(51a)을 조금이라도 균등하게 사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미리 정한 간격으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XYZ 789」라는 인쇄 패턴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를 180도 바꾼다.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XYZ」에 대한 토출 횟수의 패턴과 「789」에 대한 토출 횟수의 패턴은 상이하다.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로부터 180도로 전환되면, 인쇄 패턴의 상하는 역전된다. 따라서, 「XYZ」와 「789」의 토출 패턴이 중첩된 것 같은 토출이 실행되기 때문에, 노즐의 사용의 균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51a)이 분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 빈도가 높은 노즐(51a)의 수가 감소하여, 노즐(51a)의 정상적으로 잉크가 토출되기 어려운 상태((막힘))를 해소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빈도를 낮게 할 수도 있는 것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흡인 구멍(21a)이 형성된 반송 벨트(21)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인 구멍(21a)이 반송 방향(A1)을 따라서 형성되는 슬릿이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공급 장치(10)로부터 정제(T)가 반송 벨트(21) 상에 일정 간격이 아니라 랜덤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반송 벨트(21) 상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오목부(포켓)에 정제(T)가 공급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벨트(21)에 의해 정제(T)를 2열로 반송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열이나 3열 또는 4열 이상이어도 좋으며, 그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하나의 인쇄 헤드(51)에 의해 1열의 정제(T)에 인쇄를 행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2열 이상의 정제(T)에 대하여 하나의 인쇄 헤드(51)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반송 벨트(21)를 복수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20)로서, 정제(T)를 흡인에 의해 유지하여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반송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검출 장치(30)에 기초하여 인쇄의 타이밍을 취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촬상 장치(40)에 기초하여 인쇄의 타이밍을 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90)의 기억부(93)에는, 문자나 기호 등의 인쇄 패턴의 방향을 0도, 15도, 30도, 45도, 90도 회전시킨 5개의 인쇄 데이터를 기억시킨 예를 나타냈지만, 수는 몇 개이어도 좋다. 다만, 상이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의 수가 많을수록 최적의 인쇄 조건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조건은,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지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고, 제어 장치(90)에 의해, 인쇄 데이터와 노즐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상이한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마다 사용 노즐수를 구하고, 사용 노즐수가 가장 많을 때의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의 인쇄 조건을 구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로서, 평면시에서 진원형의 형상인 것을 예시했지만,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제로는, 형상이 진원형이 아닌 경우라 하더라도, 인쇄만 된다면 방향은 고려하지 않는 정제라면 적용 가능하다.
제어 장치(90)는, 예컨대 기준이 되는 하나의 각도의 인쇄 데이터, 예컨대 인쇄 데이터 회전 각도가 0도인 인쇄 패턴(기준 데이터)만을 기억부(93)에 등록시켜 두고, 그때마다 회전시킨 인쇄 데이터를 연산하여 인쇄 조건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다만,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복수의 인쇄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 것이, 인쇄 조건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인쇄 처리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51)로서, 노즐(51a)이 일렬로 나열된 인쇄 헤드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노즐(51a)이 복수 열로 나열된 인쇄 헤드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서, 미리 정한 시간마다 인쇄 패턴의 각도를 변경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쇄한 정제수에 의해도 좋다. 또한, 정제마다 인쇄 패턴의 각도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노즐(51a)의 사용 시간, 사용 횟수를 억제하고, 또한 복수의 노즐(51a)에서 보다 균등하게 사용하게 되는 간격으로 전환이 행해지면 되며, 인쇄의 패턴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빈번하게 토출하는 노즐(51a)의 주위에는 잉크가 정체되거나, 토출이 빈도가 낮은 노즐(51a)은 노즐(51a) 내의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어느 경우에도, 그 상태로는 토출할 수 없거나, 적절한 양이나 방향으로 토출을 할 수 없는 등의 토출 불량 때문에, 인쇄의 품위가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가 되기 전에, 노즐(51a)의 클리닝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노즐(51a)이 균등하게 사용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는 간격은 신장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빈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출 불량이 되는 상태를 고려한 간격으로 전환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전술한 정제로는,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혹은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제로는, 나정(소정)이나 당의정, 필름 코팅정, 장용정, 젤라틴 피포정, 다층정, 유핵정 등이 있다. 또한, 경질 캡슐이나 연질 캡슐 등 각종 캡슐정도 정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제의 형상으로는, 평면시에 진원형의 형상인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성을 갖고 인쇄할 필요가 없는 정제가 인쇄의 대상이면 된다. 또한, 할선을 갖지 않는 정제로 했지만, 예컨대 할선이 한 면에 형성된 정제의 할선을 갖지 않는 면에,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하는 처리의 경우에는, 가령 한 면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술한 각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대상인 정제가 의약용이나 음식용인 경우, 사용하는 잉크로는, 가식성 잉크가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식성 색소로서 아마란스, 에리트로신, 뉴콕신(이상, 적색), 타트라진, 선셋 옐로 FCF, β-카로틴, 크로신(이상, 황색), 브릴리언트 블루 FCF, 인디고 카르민(이상, 청색) 등을 이용하여, 이들을 비히클에 분산 또는 용해하고, 필요에 따라서 색소 분산제(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식성 잉크로는, 합성 색소 잉크, 천연 색소 잉크, 염료 잉크, 안료 잉크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정제(T)의 한 면에 인쇄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정제(T)의 표리면 모두 인쇄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라면,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2기 구비하고, 제1기에서 한쪽 면이 인쇄된 정제를 제2기에 반송하여, 제2기에서 다른 쪽 면의 인쇄를 행하도록 하면, 표리면의 양면에 대한 인쇄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한쪽 면에 대한 인쇄 패턴(제1 인쇄 패턴)과 다른 쪽 면에 대한 인쇄 패턴(제2 인쇄 패턴)이 상이한 경우, 제1기와 제2기의 인쇄 패턴을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전환해도 좋다. 즉, 제1기에서 다른 쪽 면의 인쇄 패턴(제2 인쇄 패턴)을 인쇄하고, 제2기에서 한쪽 면의 인쇄 패턴(제1 인쇄 패턴)을 인쇄하도록 교체한다. 예컨대, 정제(T)의 한쪽 면에 인쇄 패턴으로서 「ABC」를 인쇄하고, 다른 쪽 면에 인쇄 패턴으로서 「456」을 인쇄하는 경우, 제1기의 장치에서 「ABC」를 인쇄하고, 제2기의 장치에서 「456」을 인쇄하는 상태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제1기의 장치에서 「456」을 인쇄하고, 제2기의 장치에서 「ABC」를 인쇄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물론, 이러한 전환을, 각각의 인쇄 패턴을 회전시킨 인쇄 데이터와의 전환과 조합해도 좋다. 동일한 정제(T)의 인쇄 처리라 하더라도, 제1기와 제2기 각각의 장치의 각각의 인쇄 헤드(51)에서 상이한 인쇄 패턴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노즐(51a)의 사용의 균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신규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 정제 인쇄 장치 20 : 반송 장치
21 : 반송 벨트 51 : 인쇄 헤드
51a : 노즐 90 : 제어 장치
A1 : 반송 방향 T : 정제

Claims (10)

  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미리 정한 간격으로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을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노즐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방향으로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3.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노즐마다 구동 소자를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모든 상기 노즐에 있어서 상기 구동 소자를 가장 균등하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하는 제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표리면에 대하여 상이한 인쇄 패턴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상기 정제의 표리면에서 각각의 인쇄 패턴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6.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미리 정한 간격으로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7.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을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상기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노즐의 수가 가장 많아지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8. 반송되는 정제에 대하여,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노즐마다 구동 소자를 갖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가능한 정제이며,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한 인쇄 방향을,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에 대하여 상기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모든 상기 노즐에 있어서 상기 구동 소자를 가장 균등하게 사용하는 방향으로 하여, 상기 정제에 상기 인쇄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가 상기 정제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의 표리면에 대하여 상이한 인쇄 패턴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상기 정제의 표리면에서 각각의 인쇄 패턴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KR1020197008529A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24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9921A KR102336209B1 (ko)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5009 2016-09-30
JPJP-P-2016-195009 2016-09-30
JP2016196101 2016-10-04
JPJP-P-2016-196101 2016-10-04
PCT/JP2017/033638 WO2018061852A1 (ja) 2016-09-30 2017-09-19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921A Division KR102336209B1 (ko)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15A true KR20190039815A (ko) 2019-04-15
KR102242230B1 KR102242230B1 (ko) 2021-04-20

Family

ID=617596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921A KR102336209B1 (ko)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0197008529A KR102242230B1 (ko)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921A KR102336209B1 (ko) 2016-09-30 2017-09-19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14644B2 (ko)
JP (2) JP7408283B2 (ko)
KR (2) KR102336209B1 (ko)
TW (1) TWI710473B (ko)
WO (1) WO2018061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9619B (zh) * 2018-09-27 2023-12-05 芝浦机械电子装置株式会社 片剂印刷装置及片剂印刷方法
JP7280704B2 (ja) * 2019-02-06 2023-05-2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7424852B2 (ja) 2019-02-07 2024-01-3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7169232B2 (ja) * 2019-03-08 2022-11-1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装置の放熱方法
JP7346082B2 (ja) * 2019-05-28 2023-09-19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錠剤印刷検査装置
JP7440103B2 (ja) * 2019-07-17 2024-02-28 東伸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KR102385189B1 (ko) * 2021-10-06 2022-04-28 (주)엔에프에이 약품의 정위치 인쇄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050A (ja) 1993-09-20 1995-03-28 Video Jietsuto Japan Kk 錠剤またはカプセル剤に対する印刷方法
JP2005022114A (ja) * 2003-06-30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システム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方法
JP5281009B2 (ja) * 2007-08-22 2013-09-04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並びに錠剤
WO2014013974A1 (ja) * 2012-07-19 2014-01-23 大塚製薬株式会社 印刷機及び錠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750A (ja) * 1995-06-06 1996-12-17 Canon Inc プリンタ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4392146B2 (ja) * 2001-09-28 2009-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WO2005000587A1 (ja) * 2003-06-30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システム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方法
WO2005123407A2 (en) * 2004-06-14 2005-12-29 Ackley Machin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spection and/or identification of pellet-shaped articles
JP2005193393A (ja) * 2003-12-26 2005-07-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記録装置
JP5934268B2 (ja) * 2014-03-03 2016-06-15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複合処理システム
JP2015204943A (ja) * 2014-04-18 2015-11-19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
JP6226385B2 (ja) * 2014-09-11 2017-11-08 株式会社アイエムイー 錠剤の印刷方法及び錠剤印刷装置
KR101939516B1 (ko) 2014-11-29 2019-01-16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JP6694664B2 (ja) * 2016-06-13 2020-05-20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固形製剤印刷方法及び固形製剤印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050A (ja) 1993-09-20 1995-03-28 Video Jietsuto Japan Kk 錠剤またはカプセル剤に対する印刷方法
JP2005022114A (ja) * 2003-06-30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システム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方法
JP5281009B2 (ja) * 2007-08-22 2013-09-04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並びに錠剤
WO2014013974A1 (ja) * 2012-07-19 2014-01-23 大塚製薬株式会社 印刷機及び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10473B (zh) 2020-11-21
KR102242230B1 (ko) 2021-04-20
TW201825302A (zh) 2018-07-16
JPWO2018061852A1 (ja) 2019-08-15
KR20210040187A (ko) 2021-04-12
KR102336209B1 (ko) 2021-12-08
JP2022079539A (ja) 2022-05-26
US20190217631A1 (en) 2019-07-18
JP7408283B2 (ja) 2024-01-05
US10814644B2 (en) 2020-10-27
WO2018061852A1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815A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US20200215833A1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KR20190040085A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JP6891428B2 (ja) テストパターンの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KR20190001537A (ko) 정제 인쇄 장치
US10682849B2 (en) Tablet printing apparatus and tablet printing method
JP2018052664A (ja)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559213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7280704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US833698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7424852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689150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007882A (ja) 液滴吐出装置
JP7490971B2 (ja) 液体吐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12886A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WO2018003747A1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2008302624A (ja) 液体吐出装置の製造方法、液体吐出装置の調整方法、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装置の液体吐出方法
JP2016147400A (ja) 液滴吐出ヘッド、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41495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2009006506A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方法
JP202107498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11836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2395A (ja) インクジェットの噴射状態検知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