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746A -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746A
KR20190026746A KR1020197000475A KR20197000475A KR20190026746A KR 20190026746 A KR20190026746 A KR 20190026746A KR 1020197000475 A KR1020197000475 A KR 1020197000475A KR 20197000475 A KR20197000475 A KR 20197000475A KR 20190026746 A KR20190026746 A KR 2019002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solvent
mixture
crystals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4005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23060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2549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2573A1/ja
Publication of KR2019002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적 규모로 실시할 수 있는 조작에 의해 순도가 높은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식 (1) 로 나타내는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C3―C6 알코올 용매 및 방향족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중에서 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7월 1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6-140053호, 2016년 1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6-248827호, 및 2017년 3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7-055556호에 대한 우선권 및 그것들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것들의 전체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받아들여진다.
본 발명은 제초제의 유효 성분인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결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우라실 화합물 (이하, 본 우라실 화합물이라고 기재한다) 이 제초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화합물 7-8). 또한, 본 우라실 화합물이 다단계의 반응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5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50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488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628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62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1468호
다단계의 반응 공정을 거쳐 공업적인 규모로 농약 활성 성분 등의 유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최종 화합물을 고순도로 취득하는 정제 방법의 확립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공업적 규모로 실시할 수 있는 조작에 의해 순도가 높은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 (1)
Figure pct00001
로 나타내는 본 우라실 화합물을 고순도로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은 본 우라실 화합물을 임의의 순도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 이하, 조 (粗) 우라실 조성물이라고 기재한다) 을 특정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용제에 용해시킨 후, 결정 석출시킴으로써,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이 고순도로 얻어지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은, 즉
[1] 조우라실 조성물을, C3―C6 알코올 용매 및 방향족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중에서 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2] 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수단이, 조우라실 조성물의 용액을 냉각시키는 것에 따른 [1] 에 기재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3] C3―C6 알코올 용매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1-펜탄올, 3-메틸-1-부탄올 및 2-메틸-2-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이고,
방향족 용매가 톨루엔,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에틸벤젠 및 클로로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4] C3―C6 알코올 용매와 방향족 용매의 중량비가 50 : 50 ∼ 98 : 2 인 [1], [2] 또는 [3] 에 기재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해 다단계의 반응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본 우라실 화합물에 있어서, 최종 화합물인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고순도로 취득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분말 X 선 회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2 종류의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중, 일방은 C3―C6 알코올 용매 (이하, A 용매라고 기재한다) 이고, 타방은 방향족 용매(이하, B 용매라고 기재한다) 이다.
A 용매는 식 ROH (R 은 C3 ∼ C6 의 탄화수소기) 로 나타내는 용매이고, 구체적으로는 1-프로판올, 2-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sec-부틸알코올), 2-메틸-1-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2-메틸-2-프로판올 (tert-부틸 알코올), 1-펜탄올, 3-메틸-1-부탄올(이소아밀알코올), 2-메틸-2-부탄올(tert-아밀 알코올), 1-헥산올 및 시클로헥산올 등의 알코올 용매를 들 수 있다.
B 용매는 1 또는 복수 개의 할로겐 원자 (예를 들어, 염소 원자) 또는 당해 1 또는 복수 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1 또는 복수 개의 C1 ∼ C3 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벤젠인 용매이고, 바람직하게는 1 또는 복수 개의 C1 ∼ C3 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1 또는 복수 개의 염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벤젠인 용매이고, 구체적으로는 벤젠, 톨루엔,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에틸벤젠, 프로필벤젠, 이소프로필벤젠, 1,3,5-트리메틸벤젠(메시틸렌), 1,2,4-트리메틸벤젠(슈도쿠멘), 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 m-디클로로벤젠 및 p-디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본 우라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이하에 기재된 식 (2) 내지 식 (5) 로 제조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식 (2) 내지 식 (5) 에 있어서, 식 (A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1) 이라고 기재한다) 및 식 (A1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11) 이라고 기재한다)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63170호나 국제 공개 WO2007/083090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로, 당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조우라실 조성물은, 본 우라실 화합물을 60 ∼ 97 중량% 함유하고, 또한 식 (2) 내지 식 (5) 에 있어서의 제조 중간체나 그 제조 중간체 등에서 유래되는 유도체 등의 화합물 (이하, 본 혼입 화합물이라고 기재한다.) 이 타르 성분을 함유한다.
본 혼입 화합물로는, 식 (2) 내지 식 (5) 에 있어서의 화합물 (A1), 식 (A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3) 이라고 기재한다), 식 (A4)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4) 라고 기재한다), 식 (A5)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5) 라고 기재한다), 식 (A8)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8) 이라고 기재한다), 식 (A9)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9) 라고 기재한다), 식 (A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10) 이라고 기재한다), 화합물 (A11) 등의 실온에서 고체인 제조 중간체나, 당해 제조 중간체에서 유래되는 유도체 등이 구체예로서 상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우라실 조성물과 유기 용제 (A 용매 및 B 용매) 의 비율은, 조우라실 조성물 중의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 석출시의 용매 (합계) 의 양은,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5 ∼ 20 중량부, 예를 들어 2 ∼ 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우라실 조성물의 용액으로부터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석출시키는 수단으로는, 그 용액을 냉각시키는 것에 따른 냉각 정석 (晶析) 또는 본 우라실 화합물의 용해도가 낮은 용매를 서서히 첨가하는 것에 따른 빈 (貧) 용매 첨가 정석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수법에서나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이 석출되는 온도는 -10 ∼ 80 ℃,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의 범위이다.
A 용매 및 B 용매는, 각각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의 용매여도 되고, 각각의 군에서 선택되는 복수 용매의 혼합이어도 된다. 조우라실 조성물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킬 때에는, A 용매와 B 용매의 혼합물에 조우라실 조성물을 첨가해도 되고, 조우라실 조성물을 A 용매에 용해시킨 후에 B 용매를 첨가해도 된다.
A 용매와 B 용매의 비율은, 본 우라실 화합물이 석출되는 시점에서, 중량비로 A 용매 : B 용매=10 : 90 ∼ 99 : 1 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50 ∼ 98 : 2,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40 ∼ 98 : 2 이다.
용매 중에서 석출된 본 우라실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여과·세정하고, 웨트 케이크로 하여 모액으로부터 분리한다. 그 웨트 케이크를 건조시키는 경우에는, 질소나 헬륨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한 통기 건조, 가열 건조, 감압 건조, 또는 그것들을 조합시킨 건조 등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하의 양태를 바람직한 양태로서 들 수 있다.
A 용매로는,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1-펜탄올, 3-메틸-1-부탄올 및 2-메틸-2-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2-프로판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B 용매로는, 톨루엔,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에틸벤젠 및 클로로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및 에틸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용매가 2-프로판올인 경우, A 용매와 B 용매의 비율은, 중량비로 2-프로판올 : B 용매=80 : 20 ∼ 98 : 2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5 : 15 ∼ 98 : 2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A 용매와 B 용매의 합계량은 조우라실 조성물에 있어서의 본 우라실 화합물의 함량에 따라 바람직한 범위는 다르지만, 통상적으로는 조우라실 조성물 중의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 1 중량부에 대하여 2 ∼ 8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3 ∼ 8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우라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 (2) 에 기재한 방법으로 제조한 조우라실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이하의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화합물 (A1)
Figure pct00006
과 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알킬을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1) ;
공정 1 에서 얻어진 화합물 (A3)
Figure pct00007
을 함유하는 조 (粗) 생성물과 시안산염을 프로톤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2) ;
공정 2 에서 얻어진 화합물 (A4)
Figure pct00008
를 함유하는 조생성물과 메틸화제를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3) ; 그리고
공정 3 에서 얻어진 본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생성물을 C3―C6 알코올 용매 및 방향족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중에서 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공정 (공정 4)
로 이루어지는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공정 1 에 있어서의 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알킬로는,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에틸 및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메틸을 들 수 있다.
공정 2 에 있어서의 시안산염으로는, 시안산칼륨 및 시안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프로톤산으로는, 유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벤조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 그리고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및 황산) 을 들 수 있다.
공정 3 에 있어서의 메틸화제로는, 요오드화메틸, 브롬화메틸 및 황산디메틸을 들 수 있다.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분말 X 선 회절의 측정 결과의 일례를 도 1 로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은 Cu-Kα 선에 의한 분말 X 선 회절에 있어서, 표 1 에 나타내는 회절 피크를 갖는다.
Figure pct00009
즉,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는,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은 Cu-Kα 선에 의한 분말 X 선 회절에 있어서, 주로 2θ=7.4±0.2°, 13.8±0.2°, 17.7±0.2°, 18.5±0.2°, 18.7±0.2°, 19.4±0.2°, 21.8±0.2°, 22.2±0.2°, 22.5±0.2°, 24.0±0.2°, 24.9±0.2°, 26.2±0.2°및 32.6±0.2°에 회절 피크를 갖는 결정이다.
분말 X 선 회절의 조건은 이하과 같다.
(측정 조건)
분말 X 선 회절 장치 : SmartLab (주식회사 리가크 제조)
X 선 출력 : CuKα, 45 ㎸, 200 ㎃
샘플링 폭 : 0.02°
주사 범위 : 5° ∼ 50°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의 함량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절대 검량선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참고 제조예 1
Figure pct00010
식 (2) 의 제조 루트에서 조우라실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에서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 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각 공정에서 얻어진 조생성물을 다음 공정의 원료로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플라스크 내에 참고 제조예 1 에서 얻은 본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126.6 중량부 (본 우라실 화합물의 함량 : 79.0 %.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칸토 화학 주식회사 제조) 316.5 중량부, 및 자일렌 (스미토모 상사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및 에틸벤젠의 혼합물) 64.6 중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70 ℃ 까지 가열하였다. 불용물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냉각시키고, 35 ℃ 에서 결정 석출이 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였다. 그 결정을, 빙랭시킨 2-프로판올 (상동) 과 자일렌 (상동) 의 5 : 1 (중량비) 혼합 용매 253.2 중량부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 74.7 중량부를 얻었다.
얻어진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에 있어서의 본 우라실 화합물의 함량은 96.4 % 였다.
이하에, 정석 전의 조성물 및 얻어진 결정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얻어진 결정은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화합물 (A1) 이나 화합물 (A3) 의 함유량이 저감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11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장치 시마즈 LC-20A, HPLC,
칼럼 SUMIPAX ODS Z-CLUE (3 ㎛ 4.6 ㎜Φ×100 ㎜),
이동상 A 액 : 0.1 % 인산 수용액, B 액 : 아세토니트릴,
B 액의 비율 : 10 % (0 min)―[30 min]→90 % (5 min)→10 % (15 min),
유량 1 ㎖/min, 온도 40 ℃, 검출 파장 274 ㎚
하기와 같은 본 우라실 화합물 또는 제조 중간체의 유연 (類緣) 화합물을 조우라실 조성물에 첨가하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 화합물 (A1) 이나 화합물 (A3) 이외의 화합물에 대해서도 우수한 정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하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300 중량부 및 자일렌 65 중량부의 혼합물을 7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2-프로판올과 자일렌의 5 : 1 (중량비) 혼합 용매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에 기재된 조우라실 조성물에 첨가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기재한다.
참고 제조예 2
Figure pct00012
화합물 (A11) (1.0 mmol) 과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에틸 (1.0 mmol) 을 톨루엔 10 ㎖ 에 용해시키고, 그 혼합물을 가열 환류 조건하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환류액은 몰레큘러 시브 5A 를 채운 칼럼을 통과시키고 에탄올을 흡착시켰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후, 식 (A1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12) 라고 기재한다) 을 얻었다.
화합물 (A12) (0.8 mmol) 와 아세트산 3 ㎖ 의 혼합물에, 시안산칼륨 (0.8 mmol) 을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그리고 110 ℃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A1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13)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었다.
화합물 (A13) (0.5 mmol) 과 탄산칼륨 (0.7 mmol) 과 아세토니트릴 5 ㎖ 의 혼합물에, 황산디메틸 (0.7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1)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었다.
화합물 (B1) 의 물성값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참고 제조예 3
Figure pct00014
식 (A2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21) 이라고 기재한다) (1.0 mmol) 과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에틸 (1.0 mmol) 을 톨루엔 10 ㎖ 에 용해시키고, 그 혼합물을 가열 환류 조건하에서 3 시간 교반한다. 환류액은 몰레큘러 시브 5A 를 채운 칼럼을 통과시키고 에탄올을 흡착시킨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후, 식 (A2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22) 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22) (0.8 mmol) 와 아세트산 3 ㎖ 의 혼합물에, 시안산칼륨 (0.8 mmol) 을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그리고 110 ℃ 에서 2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A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23)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23) (0.5 mmol) 과 탄산칼륨 (0.7 mmol) 과 아세토니트릴 5 ㎖ 의 혼합물에, 황산디메틸 (0.7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2) 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참고 제조예 4
Figure pct00015
식 (A3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31) 이라고 기재한다) (1.0 mmol) 과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에틸 (1.0 mmol) 을 톨루엔 10 ㎖ 에 용해시키고, 그 혼합물을 가열 환류 조건하에서 3 시간 교반한다. 환류액은 몰레큘러 시브 5A 를 채운 칼럼을 통과시키고 에탄올을 흡착시킨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후, 식 (A3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32) 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32) (0.8 mmol) 와 아세트산 3 ㎖ 의 혼합물에, 시안산칼륨 (0.8 mmol) 을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그리고 110 ℃ 에서 2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A3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33)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33) (0.5 mmol) 과 탄산칼륨 (0.7 mmol) 과 아세토니트릴 5 ㎖ 의 혼합물에, 황산디메틸 (0.7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3)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참고 제조예 5
Figure pct00016
식 (A4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41) 이라고 기재한다) (1.0 mmol) 과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에틸 (1.0 mmol) 을 톨루엔 10 ㎖ 에 용해시키고, 그 혼합물을 가열 환류 조건하에서 3 시간 교반한다. 환류액은 몰레큘러 시브 5A 를 채운 칼럼을 통과시키고 에탄올을 흡착시킨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후, 식 (A42)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42) 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42) (0.8 mmol) 와 아세트산 3 ㎖ 의 혼합물에, 시안산칼륨 (0.8 mmol) 을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그리고 110 ℃ 에서 2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A4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43)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화합물 (A43) (0.5 mmol) 과 탄산칼륨 (0.7 mmol) 과 아세토니트릴 5 ㎖ 의 혼합물에, 황산디메틸 (0.7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50 ℃ 에서 1 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물에 주입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4)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4) 라고 기재한다) 을 얻는다.
참고 제조예 6
Figure pct00017
화합물 (A4) (1.0 mmol) 를 톨루엔 5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디아조메탄 (1.0 mmol) 의 톨루엔 용액 1 ㎖ 를 적하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물에 주입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9)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9) 라고 기재한다) 을 얻었다.
LC/MS(ESI-MS(posi)) : 518[M+H]
참고 제조예 7
Figure pct00018
화합물 (A4) 0.71 g, 톨루엔 50 ㎖ 및 메탄올 10 ㎖ 의 혼합물에,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의 헥산 용액 (0.6 mol/ℓ) 4.7 ㎖ 를 빙랭하에서 적하시켰다. 이 혼합물을 동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한 후, 아세트산을 발포가 소실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화합물 (B9) 를 0.13 g 얻었다.
Figure pct00019
참고 제조예 8
Figure pct00020
화합물 (A1) (1.0 mmol) 과 트리에틸아민 (1.5 mmol)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 에 용해시키고, 염화아세틸 (1.5 mmol)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40 ℃ 에서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물에 주입하였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켜, 식 (B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B10) 이라고 기재한다) 을 얻었다.
LC/MS(ESI-MS(posi)) : 383[M+H]
실시예 3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169 중량부 및 자일렌 4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160 중량부 및 자일렌 18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255 중량부 및 자일렌 28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141 중량부 및 자일렌 36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256 중량부 및 톨루엔 29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1-부탄올 255 중량부 및 자일렌 27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1-부탄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2-프로판올 255 중량부 및 클로로벤젠 29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2-프로판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얻어진 결정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여,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도가 높고, 본 우라실 화합물 이외의 화합물의 양이 저감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에탄올 271 중량부 및 자일렌 11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에탄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비교예 2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에탄올 281 중량부 및 자일렌 2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에탄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비교예 3
상기 참고 제조예 2 ∼ 8 에서 조제한 화합물을 각각 0.1 ∼ 1 % 함유하는 조우라실 조성물 (본 우라실 화합물의 순분으로서 100 중량부), 메탄올 270 중량부 및 자일렌 10 중량부의 혼합물을 60 ℃ 까지 가열한다. 그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시키고, 50 ℃ 이하인 온도에서 결정 석출을 개시시킨다. 또한 0 ℃ 까지 냉각시킨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한다. 0 ℃ 인 메탄올로 세정한다. 세정 후의 결정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얻는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고순도의 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을 취득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식 (1)
    Figure pct00021

    로 나타내는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C3―C6 알코올 용매 및 방향족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중에서 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수단이, 조 (粗) 조성물의 용액을 냉각시키는 것에 따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3―C6 알코올 용매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2-메틸-2-프로판올, 1-펜탄올, 3-메틸-1-부탄올 및 2-메틸-2-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이고,
    방향족 용매가 톨루엔, o-자일렌, m-자일렌, p-자일렌, 에틸벤젠 및 클로로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복수 종의 혼합물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3―C6 알코올 용매와 방향족 용매의 중량비가 50 : 50 ∼ 98 : 2 인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5. 식 (A1)
    Figure pct00022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트산알킬을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1) ;
    공정 1 에서 얻어진 식 (A3)
    Figure pct00023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 (粗) 생성물과 시안산염을 프로톤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2) ;
    공정 2 에서 얻어진 식 (A4)
    Figure pct0002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생성물과 메틸화제를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공정 (공정 3) ; 그리고
    공정 3 에서 얻어진 식 (1)
    Figure pct00025

    로 나타내는 우라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생성물을 C3―C6 알코올 용매 및 방향족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 중에서 그 우라실 화합물의 결정을 석출시키는 공정 (공정 4) 으로 이루어지는 식 (1) 로 나타내는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KR1020197000475A 2016-07-15 2017-07-13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KR20190026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0053 2016-07-15
JP2016140053A JP2018123060A (ja) 2016-07-15 2016-07-15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JPJP-P-2016-248827 2016-12-22
JP2016248827 2016-12-22
JP2017055556A JP2018100254A (ja) 2016-07-15 2017-03-22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JPJP-P-2017-055556 2017-03-22
PCT/JP2017/025498 WO2018012573A1 (ja) 2016-07-15 2017-07-13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746A true KR20190026746A (ko) 2019-03-13

Family

ID=6271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75A KR20190026746A (ko) 2016-07-15 2017-07-13 우라실 화합물 결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10752608B2 (ko)
JP (1) JP2018100254A (ko)
KR (1) KR20190026746A (ko)
CN (1) CN109415338A (ko)
AU (1) AU2017297044A1 (ko)
BR (1) BR112018076239B1 (ko)
CA (1) CA3030569A1 (ko)
CL (1) CL2019000074A1 (ko)
CO (1) CO2018012992A2 (ko)
MX (1) MX2018015556A (ko)
PH (1) PH12019500081A1 (ko)
RU (1) RU2018146444A (ko)
ZA (1) ZA201808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0254A (ja) * 2016-07-15 2018-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US11311014B2 (en) 2017-03-31 2022-04-26 Basf Se Crystalline forms of ethyl[3-[2-chloro-4-fluoro-5-(1-methyl-6-trifluoromethyl-2,4-dioxo-1,2,3,4-tetrahydropyrimidin-3-yl)phenoxy]-2-pyridyloxy]aceta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061A (ja) 2000-02-04 2002-05-28 Sumitomo Chem Co Ltd ウラシ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03048885A (ja) 2001-08-02 2003-02-21 Sumitomo Chem Co Ltd ピリジ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JP2003286285A (ja) 2002-03-27 2003-10-10 Sumitomo Chem Co Ltd ピリド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中間体
JP2003286284A (ja) 2002-03-27 2003-10-10 Sumitomo Chem Co Ltd ピリジン化合物の製造法
JP2003321468A (ja) 2002-04-30 2003-11-11 Sumitomo Chem Co Ltd ピリド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中間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739A (en) 1992-11-30 1994-08-02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an alpha monoclinic crystalline modification of 2,2',2"-nitrilo[triethyl-tris-(3,3',5,5'-tetra-tert-butyl-1,1'-biphenyl-2,2'-diyl)phosphite]
ES2331513T3 (es) 2001-08-02 2010-01-0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compuestos de piridina.
JP3806118B2 (ja) 2003-06-13 2006-08-0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置換アントラキノンでの炭化水素のマーキング方法。
GB0600914D0 (en) * 2006-01-17 2006-02-22 Syngenta Ltd Process
US20150321983A1 (en) 2012-10-19 2015-11-12 Fermion Oy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spemifene
JP2018100254A (ja) * 2016-07-15 2018-06-28 住友化学株式会社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WO2018178039A1 (en) 2017-03-31 2018-10-04 Basf Se Crystalline forms of ethyl[3-[2-chloro-4-fluoro-5-(1-methyl-6-trifluoromethyl-2,4-dioxo-1,2,3,4-tetrahydropyrimidin-3-yl)phenoxy]-2-pyridyloxy]aceta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061A (ja) 2000-02-04 2002-05-28 Sumitomo Chem Co Ltd ウラシ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03048885A (ja) 2001-08-02 2003-02-21 Sumitomo Chem Co Ltd ピリジ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製造中間体
JP2003286285A (ja) 2002-03-27 2003-10-10 Sumitomo Chem Co Ltd ピリド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中間体
JP2003286284A (ja) 2002-03-27 2003-10-10 Sumitomo Chem Co Ltd ピリジン化合物の製造法
JP2003321468A (ja) 2002-04-30 2003-11-11 Sumitomo Chem Co Ltd ピリドン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その中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18012992A2 (es) 2018-12-14
RU2018146444A (ru) 2020-08-17
US20210323943A1 (en) 2021-10-21
MX2018015556A (es) 2019-06-06
US10752608B2 (en) 2020-08-25
AU2017297044A1 (en) 2019-01-03
BR112018076239B1 (pt) 2022-08-02
US20190263780A1 (en) 2019-08-29
ZA201808254B (en) 2020-05-27
US20200361900A1 (en) 2020-11-19
PH12019500081A1 (en) 2019-07-29
US11091461B2 (en) 2021-08-17
CN109415338A (zh) 2019-03-01
CA3030569A1 (en) 2018-01-18
BR112018076239A2 (pt) 2019-03-26
CL2019000074A1 (es) 2019-04-22
JP2018100254A (ja)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5420B (zh) 一种芳香二酮化合物的制备方法
WO2017006791A1 (ja) フルオレン骨格を有するアルコールの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323943A1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 of uracil compound
CN113072436A (zh) 一种苄基芳基醚的制备方法
KR20150114471A (ko) 살선충성 설폰아미드의 제조 방법
EP3066081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iodoamides
WO2017200073A1 (ja) フルオレン骨格を有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WO2018012573A1 (ja)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KR101763552B1 (ko) 불균일 촉매작용에 의한 플루오로 알킬화 화합물의 제조방법
JP2018123060A (ja) ウラシル化合物結晶の製造方法
KR100874568B1 (ko) 테레프탈알데히드의 정제방법
CN110944965A (zh) 非均相钴催化制备烷基化或氟代烷基化、氯代烷基化、和氟代氯代烷基化化合物的方法
KR101040700B1 (ko) 테레프탈알데히드의 정제방법
JP6943560B2 (ja) 2−アミノ−6−メチルニコチン酸エステル又はそのプロトン酸塩の製造方法
JP4934055B2 (ja) イソクロマンおよびその誘導体の製造方法
JP2019094286A (ja) 酢酸(2,2,2−トリフルオロエチ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9548B2 (ja) フルオレン骨格を有するアリールアミン誘導体と芳香族炭化水素との包接化合物、及びアリールアミン誘導体の分離精製方法。
JP2007031437A (ja) 任意選択で置換されていてもよい臭化トリフルオロメチルフェナシルの調製方法
US20060069164A1 (en) Process for preparing terbinafine by using platinum as catalyst
CN117651704A (zh) 芳香族二卤化合物的制造方法
KR20230155447A (ko) 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JP4776784B2 (ja) フッ素置換ベンズアミドキシムo−アルキルエーテル類の精製方法
CN113045491A (zh) 一种仑伐替尼及中间体的制备方法
JP2000191592A (ja) ハイドロキノンジエステル誘導体の製造方法
WO2015166862A1 (ja) ビスピラゾール化合物を製造す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