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487A - 도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487A
KR20190013487A KR1020180079380A KR20180079380A KR20190013487A KR 20190013487 A KR20190013487 A KR 20190013487A KR 1020180079380 A KR1020180079380 A KR 1020180079380A KR 20180079380 A KR20180079380 A KR 20180079380A KR 20190013487 A KR20190013487 A KR 20190013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 shaft
winding
reverse rotat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883B1 (ko
Inventor
야스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3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4Using roller for delamination [e.g., roller pairs operating at differing speeds or direction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95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94Means for 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Winding Of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기어 이의 형상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고, 기어의 제조가 용이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막 전사구(1)는, 케이스 본체(5)와, 미사용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21)을 구동하는 공급 보빈 구동축(31)과, 사용 완료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22)을 구동하는 권취 보빈 구동축(41)과, 공급 보빈 구동축(31)과 권취 보빈 구동축(41)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80)와, 회전 연결 기구(8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50)를 갖는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공급 보빈 구동축(31), 권취 보빈 구동축(41) 및 회전 연결 기구(80)에 의한 회전계와 연결하는 롤 기어(43)와, 롤 기어(43) 둘레의 소정 범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롤 기어(43)와 맞물리는 이동 기어(52, 53)와, 롤 기어(43)의 역회전 방향측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이동 기어(52, 53)와 걸림 가능한 걸림 돌기를 갖는다.

Description

도막 전사구{FILM TRANSFER TOOL}
본 발명은,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막 전사구에는, 통상, 사용 시에 정회전하는 공급 보빈이나 권취 보빈의 역회전을 규제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는, 래칫 갈고리와 래칫 기어에 의해 역회전 방지 기구가 형성되지만, 래칫 기어가 래칫 갈고리를 튕겨내는 소리가 거북한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구성에 의해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한 도막 전사구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 5394829호에 개시된 도막 전사구는, 종래의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에 의해 역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하였다. 이 역회전 방지 기구는, 정회전 시에는, 통상의 인벌류트 곡면으로 되는 구동 기어의 일측 치면(齒面)과, 마찬가지로 인벌류트 곡면으로 되는 종동 기어의 일측 치면이 접촉한다. 그리고, 구동 기어의 역회전 시에는, 종동 기어의 외주면이, 구동 기어의 타측의 치면에 있어서의 정회전 방향으로 오르막 구배 형상의 면과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면에 의한 걸림부에 안내되어 역회전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 제 5394829호의 도막 전사구에서는, 공급 보빈 구동축과 권취 보빈 구동축은, 구동 기어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나, 이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권취 보빈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기어에 의해 회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성하기 위하여, 구동 기어의 기어 이의 한 쪽 면은 인벌류트 곡선으로 하고, 다른 쪽 면은 걸림부를 형성하였다. 마찬가지로, 종동 기어의 기어 이도, 한 쪽 면은 인벌류트 곡선으로 하고 다른 쪽 면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동 기어에 연결되는 기어(일본 특허 제 5394829호에서는 중간 기어)는, 구동 기어의 걸림부에 걸리지 않는 형상으로 되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기어의 특수한 설계가 요구되므로, 기어 이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고, 기어의 제조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기어 이의 형상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고, 기어의 제조가 용이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미사용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을 구동하는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 완료된 상기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을 구동하는 권취 보빈 구동축과,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와, 상기 회전 연결 기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를 갖고, 상기 역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 및 상기 회전 연결 기구에 의한 회전계와 연결하는 롤 기어와, 상기 롤 기어 둘레의 소정 범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롤 기어와 맞물리는 이동 기어와, 상기 롤 기어의 역회전 방향측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이동 기어와 걸림 가능한 걸림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인벌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기어 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어의 제조가 용이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배면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케이스 본체와 리필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케이스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도막 전사구의 역회전 방지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로, (a)는 정회전 시를 나타내고, (b)는 역회전 시를 나타낸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막 전사구(1)는, 소위 수정 테이프가 되는 전사 테이프(T)를 구비하고, 이 전사 테이프(T)가 전사 헤드(10)에 의해 피전사면에 가압됨으로써 전사 테이프(T)의 전사층이 피전사면에 전사되는 것이다. 도막 전사구(1)는, 케이스 본체(5)의 평탄면과, 전사 헤드(10)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의 면이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케이스 본체(5)로부터 돌출되는 전사 헤드(10) 근방의 케이스 본체(5)에는, 캡(7)이 설치된다. 캡(7)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사 헤드(10)측으로 회동시키면, 전사 헤드(10)의 전사 롤러(11)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사 헤드(10)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전사 헤드(10)를 상측으로 하고 전사 롤러(11)의 축을 상하를 향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보았을 때의 좌측을 왼쪽, 우측을 오른쪽, 상측을 위, 하측을 아래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5)는, 좌측 케이스(5a) 및 우측 케이스(5b)로 좌우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후단부에 있어서 힌지 접속되어 있다. 이 힌지 접속에 의해, 케이스 본체(5)는 개방될 수 있고, 내부에 수납되는 리필(20)을 꺼낼 수 있다.
리필(20)은, 리필케이스(25)의 전단부에 전사 헤드(10)를 구비한다. 리필케이스(25) 내에는, 미사용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21)과, 사용 완료된 전사 테이프(T)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22)을 구비한다. 공급 보빈(21) 및 권취 보빈(22)은 모두, 회전축이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공급 보빈(21)에 권취 장착되는 전사 테이프(T)는, 리필케이스(25) 내에서 90도의 비틀림이 가해져 전사 헤드(10)의 전사 롤러(1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전사 롤러(11)에 의해 전사층이 피전사면에 전사된 사용 완료된 전사 테이프(T)는, 리필케이스(25) 내에서 다시 90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비틀림이 가해져 권취 보빈(22)에 의해 권취된다.
케이스 본체(5)의 우측 케이스(5b)의 내면 후방에는, 공급측 지지축(5b1)이 세워 설치된다. 우측 케이스(5b)의 내면 전방에는, 권취측 지지축(5b2)이 세워 설치된다. 공급측 지지축(5b1) 및 권취측 지지축(5b2)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리팅이 실시되어 있다. 공급측 지지축(5b1)에는, 공급측 기어(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급측 기어(60)는, 축둘레에 원형의 오목부(61)가 형성된다. 또한, 공급측 지지축(5b1)에는, 공급측 구동축 부재(30)가, 공급측 기어(60)에 겹쳐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급측 구동축 부재(30)는, 원통 형상의 공급 보빈 구동축(31)과, 후술하는 클러치부(70)(클러치 기구)를 형성하는 클러치 스프링부(32)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 보빈 구동축(31)은, 외주에 3장의 리브(31a)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 리브(31a)가, 공급 보빈(21)의 축 내주면에 형성되는 요철부(21a)와 결합되어, 사용 시에 있어서의 전사 테이프(T)로부터의 장력이 공급 보빈(21)을 통하여 공급 보빈 구동축(31)에 전달된다.
공급측 지지축(5b1)은 공급 보빈 구동축(31)에 삽입되고, 공급측 지지축(5b1)의 슬리팅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발하여 공급측 구동축 부재(30) 및 공급측 기어(60)의 빠짐을 방지한다. 또한, 클러치 스프링부(32)는, 공급 보빈 구동축(31)의 기초부 둘레에 원호 형상의 3개의 스프링부(32a)가 방사상으로 연장 설치되고, 스프링부(32a)의 팽출되는 선단부(32b)가, 공급측 기어(60)의 오목부(61)의 내주벽(61a)에 탄발하여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측 구동축 부재(30)가 설정된 회전력을 초과하여 회전하면, 클러치 스프링부(32)의 선단부(32b)가 공급측 기어(60)의 내주벽(61a)을 미끄러져, 클러치가 작동한다. 즉, 클러치부(70)는, 클러치 스프링부(32)와, 오목부(61)로 형성된다. 도막 전사구(1)에서는, 공급 보빈(21)이 전사 테이프(T)를 송출하는 양보다도, 권취 보빈(22)이 전사 테이프(T)를 권취하는 권취량 쪽이 많아지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권취량 쪽의 초과된 양은, 클러치부(70)의 작용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공급 보빈(21)과 권취 보빈(22)의 회전수 차가 클러치부(70)에 의해 적절히 조정된다.
권취측 지지축(5b2)에는, 권취측 구동축 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권취측 구동축 부재(40)는, 대략 원통 형상의 권취 보빈 구동축(41)과, 이 권취 보빈 구동축(41)의 기초부에 설치되는 권취측 기어(42)와, 권취측 기어(42)의 우측면측에 형성되는 롤 기어(43)(도 3의 P 참조)를 구비한다. 롤 기어(43)는, 후술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50)를 구성한다. 권취측 지지축(5b2)은, 권취 보빈 구동축(41)에 삽입되고, 권취측 지지축(5b2)의 슬리팅이 직경 외측 방향으로 탄발하여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권취 보빈 구동축(41)의 외주에는 리브(41a)가 형성된다. 이 리브(41a)와 권취 보빈(2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요철부(22a)가 결합하여, 권취 보빈(22)은 권취 보빈 구동축(41)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권취측 기어(42)는 공급측 기어(60)와 맞물린다. 따라서, 권취측 기어(42)와 공급측 기어(60)에 의해, 공급 보빈 구동축(31)과 권취 보빈 구동축(41)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80)가 형성된다. 그리고, 롤 기어(43)는 권취 보빈 구동축(41) 및 권취측 기어(42)와 동축 상에 설치되므로, 회전 연결 기구(80)에 의한 회전계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우측면측에는, 공급 보빈 구동축(31)의 역회전 방지 기구(50)가 설치된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우측 케이스(5b) 내면에 있어서의 권취측 지지축(5b2)의 외주에 형성되는 포위벽(51)과, 이 포위벽(51) 내에서 롤 기어(43)에 대하여 대략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동 기어(52, 53)와, 롤 기어(43)를 구비한다. 포위벽(51)의 단부면 상에는 권취측 기어(42)가 배치된다. 즉, 권취측 기어(42)의 우측면은 포위벽(51)의 단부면 상을 미끄럼 접촉하고, 권취측 기어(42)에 의해, 이동 기어(52, 53)는 커버되어, 낙하가 방지된다. 그리고,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롤 기어(43)는, 이동 기어(52, 53)와 맞물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측에서 볼 때, 포위벽(51)은, 권취측 지지축(5b2)에 대하여 상측, 하측 및 우측(후방측)의 3군데에, 각각 볼록 만곡부(51a1, 51a2, 51a3)가 형성된다. 각 볼록 만곡부(51a1, 51a2, 51a3)는,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정회전측(도 4에 도시하는 정회전 방향(F)의 화살표 방향측)이 볼록 만곡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각 볼록 만곡부(51a1, 51a2, 51a3)의 역회전 방향측의 단부(도 4에 도시하는 역회전 방향(R)의 화살표 방향측)은, 포위벽(51)의 대략 내측 방향을 향하여 직선 형상부(5lb1, 5lb2, 5lb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의 직선 형상부(5lb1)와 하측의 볼록 만곡부(51a2)는,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좌측(전방측)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 원호 형상의 접속부(51c1)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하측의 직선 형상부(5lb2)와 우측의 볼록 만곡부(51a3)는, 볼록 원호 형상의 접속부(51c2)에 의해 접속되고, 우측의 직선 형상부(5lb3)와 상측의 볼록 만곡부(51a1)는, 접속부(51c3)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각 직선 형상부(5lb1, 5lb2, 5lb3)의 단부에는, 포위벽(51)의 내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51d1, 51d2, 51d3)가 형성된다.
상측 및 하측의 볼록 만곡부(51a1, 51a2)와, 직선 형상부(5lb1, 5lb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S1, S2)에는, 각각 이동 기어(52, 53)가 설치된다. 영역(S1, S2)은, 이동 기어(52, 53)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기어(52, 53)는, 영역(S1, S2) 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동 기어(52, 53)는, 영역(S1, S2) 내의 어느 위치에서도, 이동 기어(52)의 중심(OM1)과 롤 기어(43)의 중심(OR)을 연결하는 선과, 롤 기어(43)의 중심(OR)과 이동 기어(53)의 중심(OM2)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이루는 각(α)이 180도 이하로 되도록 배치된다. 즉, 중심(OM1, OR, OM2)을 연결하는 선은, 일 직선 형상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우측(후방측)의 볼록 만곡부(51a3)와 직선 형상부(5lb3)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S3)에는 이동 기어는 배치되지 않으나, 이동 기어(52, 53) 외에, 영역(S3)에 이동 기어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역회전 방지 기구(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막 전사구(1)를 사용하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측 구동축 부재(40)는, 권취측 지지축(5b2) 둘레로 정회전 방향(F)(도 4의 (a)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되면, 이동 기어(52, 53)의 외주는, 각각 영역(S1, S2) 내에 있어서의 볼록 만곡부(51a1, 51a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각각의 중심(OM1, OM2) 주위로 회전한다. 즉, 도막 전사구(1)의 사용 시(전사 테이프(T)를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전사 시)에 있어서는, 이동 기어(52, 53)는 공회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어떠한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권취측 구동축 부재(40)가 역회전 방향(R)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이동 기어(52, 53)는, 영역(S1, S2) 내에서 직선 형상부(5lb1, 5lb2)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이동 기어(52, 53) 중 어느 하나가, 롤 기어(43)의 역회전 방향(R)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걸림 돌기(51d1, 51d2)와 맞물려서 걸리게 된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측의 이동 기어(53)가 걸림 돌기(51d2)에 걸려 있다. 이렇게 이동 기어(52, 53)가 걸리게 되면, 롤 기어(43)의 역회전이 규제되고, 이 롤 기어(43)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회전 연결 기구(80) 및 권취 보빈(22), 공급 보빈(21)도 역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이때, 이동 기어(52, 53)는, 이루는 각(α)이 180도 이하이기 때문에, 2개의 이동 기어(52, 53)가 동시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51d1, 51d2)에 걸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동 기어(52, 53) 중 어느 하나가 먼저, 대응하는 걸림 돌기(51d1, 51d2)와 맞물려 걸리게 되므로, 롤 기어(43)가 역회전 방향(R)으로 회전을 개시한 후 롤 기어(43)(권취 보빈(22))의 역회전이 규제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막 전사구(1)의 역회전 방지 기구(50)에서는, 통상의 인벌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이를 구비하는 기어로서의 롤 기어(43), 이동 기어(52, 53)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공급측 기어(60) 및 권취측 기어(42)도 통상의 인벌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이를 구비하는 기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어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증대되지 않고, 또한, 기어의 이에 대하여 특수한 설계를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종래의 래칫 갈고리와 래칫 기어에 의해 형성되는 역회전 방지 기구에서는, 사용 시에 래칫 기어가 래칫 갈고리를 튕겨내는 소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역회전 방지 기구(50)에서는, 그러한 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조용한 오피스나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막 전사구(1)는 리필(20) 교환식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 보빈(21), 권취 보빈(22)을 교환할 수 없는 타입의 도막 전사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보빈 구동축, 권취 보빈 구동축을, 각각 공급측 구동축 부재(30)의 공급 보빈 구동축(31), 권취측 구동축 부재(40)의 권취 보빈 구동축(41)으로 했지만, 공급 보빈(21), 권취 보빈(22)을 교환할 수 없는 타입의 도막 전사구에서는, 공급 보빈 구동축, 권취 보빈 구동축을 각각 공급 보빈, 권취 보빈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공급 보빈 구동축, 권취 보빈 구동축은, 다른 부재와 일체적으로 해도 좋고, 별체로 해도 좋다.
또한, 회전 연결 기구(80)는, 공급측 기어(60)와 권취측 기어(42)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측 기어와 권취측 기어 사이에 중간 기어를 설치하는, 또는, 벨트 구동을 설치하거나 하여 공급 보빈 구동축과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급 보빈 구동축(31)은, 클러치 기구(클러치부70)를 통하여 회전 연결 기구(80)와 접속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러치 기구는, 공급 보빈(21)과 권취 보빈(22) 중 어느 하나(회전 연결 기구에 포함시켜도 좋다)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보빈(21)측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권취 보빈(22)측에 역회전 방지 기구(50)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본체(5)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기어(52, 53)는, 포위벽(51)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롤 기어(43) 둘레의 소정 범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5)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복수의 핀에 의해 이동 기어(52, 5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포위벽(51)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 기어(52, 53)의 이동 범위를 규제할 수 있고, 걸림 돌기(51d1, 51d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기어의 개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했지만, 1개 이상 배치되어 있으면 본 발명에 관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이동 기어(52, 53)를 롤 기어(43)에 대하여 대략 대향 배치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역회전 방지 기구(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어 이의 형상을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고, 기어의 제조가 용이한 역회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도막 전사구
5: 케이스 본체
5a: 좌측 케이스
5b: 우측 케이스
5b1: 공급측 지지축
5b2: 권취측 지지축
7: 캡
10: 전사 헤드
11: 전사 롤러
20: 리필
21: 공급 보빈
21a: 요철부
22: 권취 보빈
22a: 결합 요철부
25: 리필케이스
30: 공급측 구동축 부재
31: 공급 보빈 구동축
31a: 리브
32: 클러치 스프링부
32a: 스프링부
32b: 선단부
40 권취측 구동축 부재
41: 권취 보빈 구동축
41a: 리브
42: 권취측 기어
43: 롤 기어
50: 역회전 방지 기구
51: 포위벽
51a1, 51a2, 51a3: 볼록 만곡부
5lb1, 5lb2, 5lb3: 직선 형상부
51c1, 51c2, 51c3: 접속부
51d1, 51d2, 51d3: 걸림 돌기
52: 이동 기어
53: 이동 기어
60: 공급측 기어
61: 오목부
61a: 내주벽
70: 클러치부
80: 회전 연결 기구
T: 전사 테이프

Claims (4)

  1.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미사용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공급 보빈을 구동하는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 완료된 상기 전사 테이프가 권취 장착되는 권취 보빈을 구동하는 권취 보빈 구동축과,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과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을 회전 연결하는 회전 연결 기구와,
    상기 회전 연결 기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를 갖고,
    상기 역회전 방지 기구는,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 및 상기 회전 연결 기구에 의한 회전계와 연결하는 롤 기어와,
    상기 롤 기어 둘레의 소정 범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롤 기어와 맞물리는 이동 기어와,
    상기 롤 기어의 역회전 방향측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이동 기어와 걸림 가능한 걸림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어 및 걸림 돌기는, 상기 롤 기어에 대하여 대향하여 2군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어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포위벽에 의해 소정 범위를 이동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포위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보빈 구동축은, 클러치 기구를 통하여 상기 회전 연결 기구와 접속되고,
    상기 회전 연결 기구는,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에 설치되는 권취측 기어를 갖고,
    상기 롤 기어는, 상기 권취 보빈 구동축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권취측 기어는, 상기 포위벽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KR1020180079380A 2017-08-01 2018-07-09 도막 전사구 KR102533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8795 2017-08-01
JP2017148795A JP6898642B2 (ja) 2017-08-01 2017-08-01 塗膜転写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87A true KR20190013487A (ko) 2019-02-11
KR102533883B1 KR102533883B1 (ko) 2023-05-17

Family

ID=6502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380A KR102533883B1 (ko) 2017-08-01 2018-07-09 도막 전사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14618B2 (ko)
JP (1) JP6898642B2 (ko)
KR (1) KR102533883B1 (ko)
CN (1) CN109319569B (ko)
DE (1) DE102018118034A1 (ko)
TW (1) TWI770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247B (zh) * 2020-05-22 2021-10-26 广东乐普升文具有限公司 一种修正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40A (ko) * 2001-08-20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도막 전사구
KR20030016141A (ko) * 2001-08-20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도막 전사구
KR20160133361A (ko) * 2015-05-12 2016-11-22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막전사도구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4829A (en) 1977-01-31 1978-08-19 Toshiba Corp Optical information recorder
JPH03264452A (ja) * 1990-03-12 1991-11-25 Nec Corp 紙葉類巻取機構
JP3027309B2 (ja) * 1994-12-12 2000-04-04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3420364B2 (ja) * 1994-12-21 2003-06-2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の連動機構
JP3296265B2 (ja) * 1997-09-12 2002-06-24 株式会社シード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1018587A (ja) * 1999-07-06 2001-01-23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DE60012924T2 (de) * 2000-09-08 2005-01-13 SOCIéTé BIC Rutschkupplung zur drehmomentbegrenzenden Kraftübertragung, insbesondere für ein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002258390A (ja) * 2001-03-02 2002-09-1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フイルム巻取り装置
JP3824501B2 (ja) * 2001-05-16 2006-09-20 Ntn株式会社 巻き取りユニット
JP2003054191A (ja) * 2001-08-13 2003-02-26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US7163040B2 (en) * 2004-01-13 2007-01-16 Sanford L.P. Correction tape applicator tip with cylindrical projection
JP4568796B2 (ja) * 2004-11-01 2010-10-2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7776173B2 (en) * 2005-05-05 2010-08-17 Elmer's Products, Inc. Adhesive dispensing system
US20080083487A1 (en) * 2006-10-05 2008-04-10 Global Access Corporation Automatic tape dispenser
JP4737642B2 (ja) * 2007-05-09 2011-08-03 ニチバン株式会社 粘着転写具
JP5394829B2 (ja) * 2009-06-12 2014-01-22 ゼネラル株式会社 消音逆転防止機構を備えた転写具
JP2011110786A (ja) * 2009-11-26 2011-06-09 Plus Corp 塗布膜転写具
JP5747143B2 (ja) * 2009-12-08 2015-07-0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JP5853318B2 (ja) * 2009-12-08 2016-02-09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US8746313B2 (en) *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WO2014141405A1 (ja) * 2013-03-13 2014-09-18 エヌ・ティ・ティ・アドバンステクノロジ株式会社 光コネクタ用清掃具
US9315049B2 (en) * 2013-12-27 2016-04-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 device and printer
JP6470091B2 (ja) * 2015-04-14 2019-02-13 プラス株式会社 出没構造及び塗膜転写具
JP2017149034A (ja) * 2016-02-25 2017-08-31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9969590B2 (en) * 2016-06-24 2018-05-15 Tombow Pencil Co., Ltd. Horizontal-pull coating film transferr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140A (ko) * 2001-08-20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도막 전사구
KR20030016141A (ko) * 2001-08-20 2003-02-26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도막 전사구
KR20160133361A (ko) * 2015-05-12 2016-11-22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도막전사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25827A (ja) 2019-02-21
US20190039850A1 (en) 2019-02-07
KR102533883B1 (ko) 2023-05-17
TW201910140A (zh) 2019-03-16
JP6898642B2 (ja) 2021-07-07
DE102018118034A1 (de) 2019-02-07
US10414618B2 (en) 2019-09-17
CN109319569A (zh) 2019-02-12
CN109319569B (zh) 2021-10-15
TWI770222B (zh)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8489B (zh) 塗膜轉印具
ZA200200352B (en) Hand-operate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support strip to a substrate.
JP5747143B2 (ja) 転写具
KR100458175B1 (ko)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KR20190013487A (ko) 도막 전사구
WO2011070935A1 (ja) 転写具
TWI523769B (zh) 塗覆膜轉印具
WO2011070934A1 (ja) 転写具
JP6015266B2 (ja) 転写具及び転写具のリフィル
TWI678293B (zh) 塗膜轉印具
JP5515077B2 (ja) 転写具
JP3778643B2 (ja) 塗膜転写具
TWI703056B (zh) 打印型塗膜轉印工具
JP2003145996A (ja) 塗膜転写具
CN217778197U (zh) 修正带
JP5078646B2 (ja) 塗膜転写具
JP2021194888A (ja) 転写具
US6718840B2 (en) Sun and planet gear mechanism
WO2020208892A1 (ja) 塗膜転写具
JP6633692B2 (ja) 塗膜転写具
JP2023059341A (ja) 塗膜転写具
KR200153356Y1 (ko) 프라이 릴의 회전장치
JP4246579B2 (ja) 塗膜転写具
JPH07246047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CN117325581A (zh) 修正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