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75B1 -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75B1
KR100458175B1 KR1019980707142A KR19980707142A KR100458175B1 KR 100458175 B1 KR100458175 B1 KR 100458175B1 KR 1019980707142 A KR1019980707142 A KR 1019980707142A KR 19980707142 A KR19980707142 A KR 19980707142A KR 100458175 B1 KR100458175 B1 KR 100458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core
gearwheel
cassett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677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마누쉬
불프 헤어만센
우도 오버슈텔러
Original Assignee
프리트 프로두크티온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트 프로두크티온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트 프로두크티온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8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Unwinding Web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트랜스퍼 디스펜서 또는 교환가능한 카세트의 하우징내의 권취 스풀의 측부에 배열되고, 권취 스풀로부터 방사상으로 오프셋 된 공급 스풀의 코어 (3) 를 통해 트랜스퍼 스트립 (5) 용 권취 스풀의 코어 (11) 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에서, 상기 장치는 권취 스풀 (11) 을 구동하는 제 2 스프라킷 (26, 27) 과 맞물린 공급 스풀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스프라킷 (28) 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 2 스프라킷 (27) 의 부분 직경은 제 1 스프라킷 (28) 의 부분 직경보다 작고, 미끄럼 클러치 (16) 는 두 개의 스풀중의 하나 (11) 의 코어와 관련된 스프라킷 (27) 사이에 끼워맞춤되며, 각각의 스풀 코어 (3; 11) 와 다른 스풀과 마주보는 측부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고리형 디스크 (13; 14) 가 있고, 두 개의 스풀 코어 (3, 11) 의 고리형 디스크 (13, 14) 는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맞대어 있다. 더욱이, 제 1 스프라킷 (28) 은 제 2 스프라킷 (27) 이 그 내부에 놓인 공급 스풀의 코어 (3) 에 접합된 내부 톱니 형태 (28) 를 갖고, 여기서 권취 스풀은 하우징 또는 카세트와 일체형인 베어링 스핀들 (15) 상에서 중앙의 고리형 슬리브 (15) 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슬리브 (25) 는 상기 제 1 스프라킷 (28) 과 맞물린 상기 제 2 스프라킷의 외부 톱니를 지탱하는 측면 연장부 (26) 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트랜스퍼 스트립을 위한 권취 스풀의 코어용 기어장치{DRIVE ARRANGEMENT FOR THE CORE OF A WINDING SPOOL FOR A TRANSFER STRIP OF A TRANSFER DISPENSER}
본 발명은 트랜스퍼 디스펜서 (transfer dispenser) 하우징의 또는 트랜스퍼 디스펜서용 보급 카세트 (refill cassette) 의 권취 스풀로부터 방사상으로 오프셋 (offset) 되어 있으면서, 측면으로 배열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를 통해 트랜스퍼 테잎용 권취 스풀 (take-up spool) 의 스풀 코어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기어장치는 공급 스풀에 의해 구동되면서 권취 스풀을 구동하도록 된 제 2 기어휠과 맞물린 제 1 기어휠을 구비하고, 여기서 제 2 기어휠의 피치 직경은 제 1 기어휠의 피치 직경보다 작으며, 미끄럼 클러치는 두 개의 스풀중의 하나의 스풀 코어와 관련 기어휠 사이에 제공되고,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환형 디스크는 각각의 스풀 코어 및 다른 스풀과 마주보는 측부상에 위치된다.
트랜스퍼 디스펜서는 사무실과 가정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트랜스퍼 디스펜서는 필름, 예를 들어 접착 필름 또는 차폐 필름을 캐리어 테잎 (carrier tape) 으로부터 기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포켓용 장치이고,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은 디스펜서 하우징의 공급 스풀상에 감겨져, 공급 스풀로부터 하우징에서 돌출한 도포기 기부 (applicator foot) 로 안내된다. 도포기 기부에 의해,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은 기판상으로 압착될 수 있고, 필름 층은 도포기 기부에서의 테잎 역행과 병행해서 캐리어 테잎으로부터 분리되어 기판상에 이동될 수 있다. 필름이 분리된 캐리어 테잎은 도포기 기부에서 역행해서 디스펜서 하우징의 권취 스풀로 복귀된다. 공급 스풀, 권취 스풀 및 도포기 기부는 종종 카세트내에 함께 수용된다.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동안, 즉 디스펜서가 기판상으로 이동되는 동안, 공급 스풀은 캐리어 테잎이 분리됨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공급 스풀은 적절한 중간 기어 및 미끄럼 클러치를 통해 권취 스풀을 구동하고, 기어를 설계할 때에는 공급 스풀상의 캐리어 테잎의 풀림 (unwinding) 직경 및 권취 스풀상의 감김 (winding) 직경에 상관 없이 캐리어 테잎이 항상 일정 장력하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종래의 트랜스퍼 디스펜서에서, 권취 스풀 및 공급 스풀은 비록 디스펜서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동일 평면에 종방향의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 대신에 두 개의 스풀이 서로 옆으로 배열될 수도 있는데, 동일한 축선방향 및 축선방향으로 다소 오프셋된 스풀 배열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펜서 하우징은 일 평면에서 종방향의 일렬로 배열된 경우에 있어서 보다 종방향으로 현저히 짧아질 수 있고, 이러한 하우징은 스풀을 병렬 배치함으로써 스풀 장착부 부근에서만 조금 두껍게 되어 있다. 하우징의 일부분이 횡단면으로 비교적 작게 되어 있으면서 가늘고 긴 "세장된" 하우징 형태, 즉 세장된 실린더 등의 형태로 되어 있을 때, 특히 이러한 해법이 사용되어, 하우징을 비교적 두꺼운 연필 또는 만년필처럼 쥘 수 있게 한다. 하우징의 큰, 또한 비교적 두꺼운 부분이 두 개의 스풀을 수용하도록 이러한 세장부의 단부에 배열되고, 디스펜서가 사용될 때 사용자의 손등위로 위치되어, (글쓰는 동안의 만년필 뚜껑과 유사하게), 세장되고 얇은 하우징 부분에서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편리하게 쥐는데 별다른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세장된”트랜스퍼 디스펜서의 설계의 특별한 관심사는 세장된 디스펜서의 단부에서 하우징의 큰 부분의 폭을 가능한 한 작게 해서 (즉 하우징이 스풀의 축선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 디스펜서가 전체적으로 작고 다루기 쉽도록 하는 것이다.
두 개의 스풀이 보급 카세트에 장착된 “Tombo”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전술한 형태의 일 공지된 트랜스퍼 디스펜서에서, 보급 카세트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면서 그 일 측부 상으로는 공급 스풀이, 또한 타 측부 상으로는 권취 스풀이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벽 부위를 갖는다.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는 회전하는 장착부상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장착부는 카세트와 일체형이면서 중간 벽 부위로부터 돌출한 스핀들 상에서 회전하도록 차례로 장착된다.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는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장착부상에 유지되어 있고, 마찰에 의해 작동하는 미끄럼 클러치가 그 사이에 형성된다. 회전하는 장착물에는 카세트의 중간 벽 부위와 마주보는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의 축선방향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환형 디스크가 제공되어, 트랜스퍼 디스펜서가 사용될 때 중간 벽 부위를 향해 롤을 벗어나 옆으로 테잎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기어휠은 환형 디스크와 중간 벽 부위 사이에서 회전하는 장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 축선이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종방향으로 회전하는 장착부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오프셋 된 제 2 작은 기어휠과 맞물리며, 또한 일체형 측면 축 부위를 구비하고, 이러한 축 부위를 통해 카세트의 중간 벽 부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측면 축 부위는 카세트의 중간벽을 통과해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가 회전하도록 장착된 타 측부로 돌출한다.
더욱이,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측부 디스크는 트랜스퍼 디스펜서가 사용될 때 역시 캐리어 테잎이 이러한 측부상의 롤로부터 벗어나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공급 스풀 및 권취 스풀의 중앙 스핀들 상으로 그 자유로운 축선방향 단부에서 끼워맞춤된다.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보급 카세트의 기어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카세트의 횡방향으로, 즉 스풀의 축선방향으로 점유된 공간이 비교적 크게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스풀이 여기에 수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양쪽 스풀상의 외부 덮개 디스크의 폭, 두 개의 환형 디스크의 두께, 중간 벽 부위의 두께 및 공급 스풀의 측부상의 두 개의 기어휠의 두께에 대한 허용공차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비교적 많은 수의 부분들이 이러한 공지된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전술한 기어장치의 구성에 포함된다.
이러한 배경기술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문제는 공지된 장치보다 좁고, 소수의 부분만을 포함한 단순한 구성을 갖는 병렬 배치된 스풀을 위한 전술한 형태의 기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형태의 기어장치에 대한 이러한 문제의 해법은 두 개의 스풀 코어가 이들의 상호 대향하는 환형 디스크를 통해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맞대어 있고; 더욱이, 제 1 기어휠은 제 2 기어휠이 위치된 내부에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상의 내부 톱니 (interior teeth) 에 의해 형성되며; 권취 스풀은 중앙의 환형 슬리브를 통해 하우징 및 카세트와 일체형인 스핀들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그리고 환형 슬리브에는 제 1 기어휠과 맞물리는 제 2 외부로 톱니가 형성된 기어휠을 지탱하는 측면 쇼울더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트랜스퍼 디스펜서 및 보급 카세트에 의해 점유된 공간은 공지된 트랜스퍼 디스펜서보다 현저히 작은데, 그 이유는 오직 두 개의 스풀 및 그 환형 디스크의 폭만이 커버되기 때문이다. 그 환형 디스크를 통해 서로에 대해 맞대어 있는 (그렇게 해서 축선방향으로 서로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스풀 또는 스풀 코어는 카세트 또는 하우징과 일체형이면서 보급 카세트 또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핀들 상에 장착된다. 트랜스퍼 디스펜서는 그 폭에 걸쳐 (스풀의 축선방향으로) 어떤 다른 공간도 점유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어장치는 서로에게 끼워맞춤 되어야 하는 소수의 부분, 즉 두 개의 스풀을 갖고, 이러한 스풀에는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환형 디스크; (환형 슬리브의 측면 쇼울더 및 제 2 기어휠의 톱니와 단일부로 형성된) 미끄럼 클러치; 및 하우징 또는 카세트와 일체형이면서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관련된 측벽 부위를 갖는 스핀들이 제공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와 비교해서 현저히 감소된 수의 필수 구성요소로 인해 전체 구조가 단순화되면서, 전체 조립이 현저히 가속화되며 단순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스풀의 스풀 코어가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환형 디스크를 통해 부분적으로 서로 맞대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두 개의 스풀 코어는 중간벽을 사용할 필요 없이 서로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하나의 스풀 코어가 보급 카세트 또는 하우징의 측벽에 의해 다른 축선방향 단부에서 적절히 지지될 수 있을 때, 또 다른 스풀에 결합되는 중앙의 환형 스풀의 자유 단부는 전체적으로 이러한 장치를 견고하게 하우징 또는 카세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스핀들 상에 오직 축선방향으로만 고정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치형 휠기어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치형에 의해 공급 스풀의 평면에서 (즉, 스풀 코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서) 두 개의 치형 휠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해서, 치형 휠기어 조립체를 수용하는데 어떤 다른 부가적 공간도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호 맞물림 톱니가 힘 방향으로 어떤 하중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권취 스풀은 중앙의 환형 슬리브 및 제 2 기어휠을 형성하도록 톱니가 제공된 측면 축 연장부와 완전히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미끄럼 클러치는 스풀 코어와 내부 톱니로 형성된 회전 장착부 사이에서 적절히 마찰 끼워맞춤함으로써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와 내부 톱니 사이에 적절히 배열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끄럼 클러치는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와 스핀들 사이에 배열되고, 중앙의 환형 슬리브를 둘러싼다. 미끄럼 클러치로는 어떤 적절한 형태도 가능하다. 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끄럼 클러치는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의 내부 직경을 경사를 이루어 지탱하고 지지하는, 즉 이러한 스풀 코어용 회전 장착물을 형성하면서 중앙의 환형 슬리브로부터 방사하는 여러개의 스프링 텅 (spring tongue) 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해당 회전 장착물상의 스풀 코어의 마찰 끼워맞춤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미끄럼 클러치에 대해 더욱 긴 수명이 획득될 수 있어서, 마찰로 야기된 마모의 미소한 흔적조차 마찰 모멘트 (friction moment) 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고, 마찰 클러치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내부 톱니는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상에 어떤 적당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 톱니는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의 내주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톱니 및 스풀 코어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단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효과적 실시예에서, 양쪽 스풀 코어의 환형 디스크의 외부 직경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공급 스풀 롤의 외부 직경에 의해 이미 결정된 공간 - 테잎의 요구되는 야드수 (yardage) 에 의해 계속해서 결정되는 - 은 권취 측부상에서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권취 스풀의 코어가 제공되어, 전체 사용된 테잎의 외부 직경이 하부 롤 높이 (사용된 테잎 롤의 층수) 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전체 공급 롤의 직경에 해당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는 하우징의 측벽 또는 보급 카세트의 측벽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환형 디스크로부터 원격인 축선방향 단면에 지지되고, 또한 내주 주위로, 제 2 기어휠을 갖는 내부 톱니의 맞물림 점으로부터 오프셋된 하나 이상의 지지점에 의해 하우징 또는 카세트내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것은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가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에 고정된 지지 구성요소에 의해 제 2 기어휠과 내부 톱니의 맞물림 점에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점에서 회전 축선의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어서, 약 180°에 걸쳐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지지점, 즉 첫째로, 지지 구성요소 그 자체의 및 둘째로, 내부 톱니와 제 2 기어휠간의 맞물림 점이 설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는 전체적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성요소는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에 고정된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 형태이고, 특정 각도에 걸쳐 연장하며, 또한 상기 측벽으로부터 조금 돌출한 작은 아치형 스톱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아치형 스톱은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의 내부상의 해당 환형 쇼울더에 대해 그 방사상 외부면을 통해 맞대어 있고,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성능을 완전히 유지하면서 스풀 코어를 방사상으로 지지한다.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가 약 180°의 각도에 걸쳐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를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단일 전장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대신에, 여러개의, 예를 들어 2 내지 3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지지면 모두는 공급 스풀상의 해당 환형 쇼울더의 내경에 해당하는 해당 아치에 배열된다.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구성요소는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서, 다시 단일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원한다면,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는 독립된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기어장치의 미끄럼 클러치에 중앙의 환형 슬리브로부터 방사하는 여러개의 스프링 아암이 제공된다면, 스프링 아암에 더하여, 방사상 지지 플랜지가 방사상 내부 단부에서 스프링 아암과 병합하는 식으로 권취 스풀의 내경을 부가적으로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방사상 지지 플랜지에는 형상적으로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의 내면에 적합하도록 된 베어링 면을 갖는 플랜지 표면상에 각각 제공된 지지 슈 (support shoe) 가 플랜지의 자유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슈에는 그 축선방향 폭, 즉 권취 스풀의 축선방향 폭에 걸쳐 - 스프링 아암이 중앙의 환형 슬리브와 단일부로서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그 측면 연장부가 외부 톱니와 일체형으로 된 - 미끄럼 클러치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의 외부로부터 특히 쉽고 빠르게 내경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 2 기어휠을 향해 방사상으로 경사진 테이퍼가 제공되어 있다. 이것은 조립을 상당히 단순화시키는 삽입 방향으로 완만한 원뿔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면을 넘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톱은 제 2 기어휠로부터 원격인 측부상에 놓인 그 축선방향 단부에서 지지 슈 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스톱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의 내주 상에 상응하게 제공된 환형 쇼울더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맞대어 있고, 이러한 스풀 코어를 축선방향으로 고정함으로써 중앙 환형 슬리브에 대해 권취 스풀을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핀들은 스핀들의 자유로운 축선방향 단부에서 축선방향으로 끝을 맺고, 서로에 대해, 또한 스핀들의 중앙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 두 개의 슬롯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자유 단부로부터 스핀들 내로 축선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 텅 (elastic tongue) 을 구비하고, 이러한 탄성 텅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환형 슬리브의 방사상 단면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탱하고,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에 대해 회전하도록 양쪽 스풀을 고정하는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톱이 그 자유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및 보급 카세트의 폭 방향으로 극히 적은 공간을 점유하는 매우 단순한 소형 기어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인해 빠르고 쉽게 조립될 수 있고, 매우 적은 구성요소로 구성되면서 제조가 쉬워서 전체 보급 카세트 또는 트랜스퍼 디스펜서가 특히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실시예에 의해 기술될 것이다. 여기서,
도 1 은 개략적으로 도시한 트랜스퍼 디스펜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기어장치를 구비한 보급 카세트의 측입면도.
도 2 는 도 1 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기어장치의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 는 공급 스풀의 장착부 및 권취 스풀을 구동하는 기어장치와 내부 톱니의 상호 맞물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은 오직 점선으로 도시된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기어장치를 구비한 보급 카세트의 측입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보급 카세트 (1) 는 측벽 (1') 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를 갖는다. 보급 카세트 (1) 의 장착 위치에서, 측벽 (1') 은 하우징 (2) 의 측벽과 매우 근접하게 위치된다. 만약 트랜스퍼 디스펜서가 보급 카세트를 갖지 않는 형태라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은 하우징 (2) 의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비록 전문가가 하기에 나타낼 구조적 배열이 보급 카세트가 없는 트랜스퍼 디스펜서에도 유용하다는 사실을 쉽게 인식하더라도 하기 실시예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보급 카세트가 사용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급 카세트는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 (5) 의 롤 (4) 이 감겨 있는 스풀 코어 (3) 에 의해 형성된 권취 스풀을 구비한다. 캐리어 테잎 (5) 은 캐리어 스풀의 공급 롤 (4) 로부터 테잎이 그 자체 장력으로 맞대어 있는 스프링 아암 형태의 안내 구성요소 (6) 로 이동하고, 이러한 스프링 아암 형태의 안내 구성요소는 그 장력이 변할 경우에 평형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어, 테잎이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하우징 (2) 의 - 횡단면이 작은 - 세장 부위 (elongate section, 2a) 로 정확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안내 구성요소로 작용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우징의 세장 부위 (2a) 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손으로 파지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디스펜서는 만년필 등과 같이 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의 세장 부위 (2a) 는 스풀 및 미끄럼 클러치가 수용된 넓은 부위 (2b) 내로 계속 이어져 있다. 비록 하우징의 넓은 부위 (2b) 는 세장 부위 (2a) 보다 조금 넓지만 (도 2 의 폭 B), 도 1 에서는 이 부위를 더욱 넓게 도시하고 있다 (스풀 코어 (3) 의 중앙 축선의 종방향으로).
하우징의 세장 부위 (2a) 로 들어간 후에,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 (5) 은 보급 카세트의 하단부에 배열되어 있으면서 그 자유 단부에서 하우징의 세장 부위 (2a) 로부터 외부로 돌출해 있지만, 안내 구성요소 (6) 에서의 테잎이 유입되는 지점의 캐리어 테잎 (5) 의 평면에 대해 90°로 전환된 도포기 기부 (7) 로 안내된다. 따라서,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 (5) 도 역시 안내 구성요소 (6) 와 도포기 기부 (7) 의 누름 에지 (8) 사이에서 90°로 전환되어, 그 평면은 도포기 기부 (7) 의 누름 에지 (8) 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다. 캐리어 테잎 (5) 은 측면 돌출부 (9) 에 의해 도포기 기부 (7) 상에 안내되어, 누름 에지 (8) 둘레로 통과한 후, 도포기 기부 (7) 의 타 측면 상에서 하우징 (2) 의 세장 부위 (2a) 를 경유해서 제 2 복귀 지점 (10) 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90°로 전환된다.
디스펜서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름이 피복된 캐리어 테잎 (5) 은 도포기 기부 (7) 의 누름 에지 (8) 에 의해 적절한 (종이 등과 같은) 기판상으로 압착된다. (접착 필름 또는 덮개 필름과 같은) 필름은 캐리어 테잎 (5) 으로부터 기판상으로 이동되고, 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캐리어 테잎 (5) 은 누름 에지 (8) 에서 역행한 후 안내 구성요소 (10) 를 경유해서 권취 스풀로 복귀된다. 권취 스풀은 캐리어 테잎이 롤 (12) 형태로 감겨 있는 스풀 코어 (11) 를 갖는다. 공급 롤 (4) 이 권취 스풀상에 여전히 존재하는 반면에,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상에는 어떤 테잎 공급도 존재하지 않는 단계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단지 참고용으로, 전체 권취 스풀에 대해서는 체인 라인으로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의 외경은 체인 라인으로 도시되어, 스풀 코어 (3, 11) 의 위치의 상대적 관련성을 설명하고 있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풀 코어 (3, 11) 의 중앙 축선은 상호 축선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즉,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도 1 및 도 2 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그들의 축선방향 단부에서, 각각의 스풀 코어 (3, 11) 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붙여진 디스크가 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가 붙여진 디스크는 환형 디스크 (13, 14) 에 의해 형성된다.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는 환형 또는 플랜지가 붙여진 디스크 (13) 를 지탱하고, 도 2 에 도시된 기어장치의 확대된 부위로서 도 3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 코어 (11) 는 환형 또는 플랜지가 붙여진 디스크 (14) 를 지탱한다. 환형 디스크 (13, 14) 는 상호 대향하는 측부상에서 서로 대해 맞대어, 축선방향으로 상호 지지한다. 하지만, 인접한 스풀 코어 (3, 11) 가 서로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조금 오프셋되었기 때문에, 도 3 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환형 디스크 (13, 14) 는 그 전체의 상호 대향하는 방사상 환형 표면에 걸쳐 서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 방사상 상대적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서로를 덮고 있다. 하지만, 서로를 둘러싸는 접촉면은 필요한 축선방향 지지부를 확보하기에 충분히 크다.
하기에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핀들 (15) 은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으로부터 돌출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전체 기어장치가 장착된다.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는 도면 부호 (16) 로 포괄 지정된 미끄럼 클러치를 경유해서 스핀들 (15) 상에 장착된다. 미끄럼 클러치 (16) 는 그 방사상 단부에는 지지 슈 (18) 가 제공되어 있으면서 별모양으로 배열된 방사상 지지 플랜지 (17) 를 구비하고,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는 지지 슈 (18) 의 외주면에 의해 방사상 내주 주위로 지지된다. 도 2 및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 (20) 은 지지 슈 (18) 의 축선방향 단부에 제공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외주면을 넘어 조금 돌출해 있다. 스톱 (20) 의 방사상으로 돌출한 내면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내주 상에 제공된 해당 환형 쇼울더 (21) 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맞대어, 스풀 코어 (3) 에 대해, (그리고 스풀 코어 (3) 를 경유해서,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에 대해) 스풀 코어 (11) 를 고정시킨다.
특히 이 점에 관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아암 (19) 은 지지 플랜지 (17) 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스풀 코어 (11) 의 내주에 대해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비스듬히 맞대어 있는 원형의 단부 비드 (22) 를 그 방사상 단부에서 지탱한다.
지지 슈 (18) 를 갖는 지지 플랜지 (17) 및 단부 비드 (22) 를 갖는 스프링 아암 (19) 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가 방사상으로 지지되어 있으면서 미끄럼 클러치로서 작용하는 회전 장착부를 형성한다.
그 방사상 내부 단부에서, 지지 플랜지 (17) 는 연결 립 (24) 에 의해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에 결합된 환형 부위 (23) 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스풀의 중앙 평면 Ⅳ-Ⅳ (도 3) 을 따라 취한 부위로서 도 4 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슬리브 (25) 는 스풀 코어 (3) 의 내부로 돌출하면서 톱니 (27) 가 외부로 제공된 측면 축 연장부 (26) 를 갖는다.
특히 도 4 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에는 내부 톱니 (28) 가 그 내경 상에 제공되어, 축 연장부 (26) 로부터 형성된 제 2 기어휠 및 외부 톱니 (27) 와 맞물리는 제 1 내부로 톱니가 형성된 기어휠을 형성한다.
지지 플랜지 (17) 로 구성된 미끄럼 클러치, 지지 슈 (18), 단부 비드 (22) 를 갖는 스프링 아암 (19), 연결 부위 (23), 연결 립 (24), 환형 슬리브 (25) 및 외부 톱니 (27) 를 갖는 측면 축 연장부 (26) 는 일 편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슈 (18) 의 방사상 지지면은 실린더 부위 형태가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방사상 지지면에는 조립공정시 끼워넣기를 쉽게 하기 위해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쪽으로 완만한 구배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배는 조립된 상태에서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내주와의 우수한 방사상 외부 접촉을 확보하도록 완만해야 한다.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텅 (29) 은 스핀들 (15) 의 외주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 텅은 두 개의 축선방향 홈 (30) 에 의해 스핀들 (15) 의 자유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그 축선방향 길이를 넘어 연장하지 않는 스핀들 (15) 의 몸체 내에서 형성된다. 그 축선방향 단부에서, 스프링 텅 (29) 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톱 (31) 이 제공되고, 이러한 스톱 (31) 은 환형 슬리브 (25) 의 방사상 자유 단부면을 축선방향으로 유지해서, 슬리브 (25) 의 단부면이 스핀들 (15) 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과 마주보는 축선방향 단부에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에는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는 환형 쇼울더 (32) 가 제공되고, 이러한 환형 쇼울더에 의해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는 각진 영역에서 환형 슬리브 (25) 의 축 연장부 (26) 터미널 부위의 외주상의 한편에 지지되며, 이러한 각진 영역에서, 스풀 코어 (3) 의 내부 톱니 (28) 는 축 연장부 (26) 의 외부 톱니 (27) 와 상호 맞물린다. 더욱이, 도 3 (오른쪽 절반) 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플랜지가 붙여진 디스크 (13) 는 축 연장부 (26) 에서 스텝의 외주 (36) 에 의해 그 내경에 지지된다 (오른쪽 절반). 이에 따라, 스풀 코어 (3) 와 축 연장부 (26) 간의 지지부가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의 내부 톱니 (28) 와 축 연장부 (26) 의 외부 톱니 (27) 의 상호 맞물림 톱니의 플랭크의 양쪽 측부상에 형성될 수 있어, 거의 이상적인 맞물림이 외부 톱니 (27) 와 내부 톱니 (28) 의 기어링 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측부상에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는 보급 카세트 (1) 의 측벽 (1') 으로부터 일 편으로 돌출한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 (33) 상에 환형 쇼울더 (32) 의 방사상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구성요소 (33) 는 약 180°이상의 각도에 걸쳐 주위로 연장해서, 스핀들 (15) 에 대해 스풀 코어 (3) 를 방사상으로 지지한다. 전체적으로, 스풀 코어는 하우징과 일체형인 스핀들 (15) 에 의해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축 연장부 (26) 의 외부 톱니 (27) 와 내부 톱니 (28) 의 상호 맞물림 및 지지 구성요소 (33) 에 의해 회전하도록 적절히 지지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및 미끄럼 클러치 (16) 가 상호 지지한다는 사실 (축 연장부 (26) 및 연결 립 (24) 의 외경을 통해) 로 인해 두 개의 상호 맞물림 기어링 (27, 28) 이 서로에 대해 이상적인 위치에 항상 있도록 한다.
상기 기술된 기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스풀 코어 (3) 는 축선방향으로 지지 구성요소 (33) 상으로 끼워맞춤되고, 환형 쇼울더 (32) 의 방사상 내주면과 지지 구성요소 (33) 의 외주면에 대해 압착되어 정렬된다. 그리고, 미끄럼 클러치 (16) 는 스톱 (20) 이 스풀 코어 (11) 의 관련 환형 쇼울더 (21) 와 접촉할 때까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방사상 내부에 축선방향으로 끼워넣어진다. 그 후,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의 축 연장부 (26) 는, 축 연장부 (26) 상의 외부 톱니 (27) 가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3) 상의 내부 톱니 (28) 와 맞물리고, 스프링 텅 (29) 의 방사상 유지 스톱 (31) 이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를 축선방향으로 고정시킬 때까지, 스핀들 (15) 상으로 축선방향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환형 디스크 (13, 14) 의 두 개의 대향 측면도 상호 정렬된다. 이에 따라, 오직 일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체 기어장치 조립체가 완성된다.
전술한 기어장치는 대개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몇몇 구성요소만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요소로는 환형 디스크 (14) 와 일체형인 권취 스풀용 스풀 코어 (11), 전체적으로 일체형인 미끄럼 클러치 (16) (지지 플랜지 (17), 지지 슈 (18), 스프링 아암 (19),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축 연장부 (26) 및 외부 톱니 (27) 를 가짐) 및 제 3 구성요소로서, 환형 쇼울더 (32) 및 환형 디스크 (13) 를 갖는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3) 가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세 가지 축선방향 끼워맞춤 단계로 서로 축선방향으로 오직 끼워맞춤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급 카세트에는 부가적으로, 그 자유 단부에 스톱 핀 (35) 이 장착된 스프링 텅 (34) 이 제공되어 있고 (도 1 및 도 2), 그리고 이러한 스톱 핀은 권취 스풀의 환형 디스크 (14) 의 방사상 외부 단부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1방향 (non-return) 구성요소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어, 감김 (winding-on) 이동은 가능하지만, 풀림 (unwinding) 이동은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로에 대해 스풀을 조금 오프셋되도록 배열함으로써 1방향 구성요소의 공간-절약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의 외경은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의 외경보다 크다.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실제적 적용에서, 캐리어 테잎 (5) 이 공급 롤로부터 풀림 될 때, 스풀 코어 (3) 는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내부 톱니 (28) 는 기어 휠 (26) 의 외부 톱니 (27) 를 구동한다. 외부 톱니 (27) 의 피치 직경은 내부 톱니 (28) 의 직경보다 당연히 작기 때문에, 풀림 동안 스풀 코어(3) 의 일 순환은 기어 휠 (26) 의 일 순환 이상을 발생시켜,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및 - 스풀 코어 (11) 의 미끄럼 클러치 (16) 를 경유해서 - 권취 스풀의 일 순환 이상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공급 스풀상의 롤 (4) 이 채워져 있을 때 조차 스풀 코어 (11) 상의 감김 거리가 풀림된 캐리어 테잎 (5) 의 길이보다 처음부터 커서, 캐리어 테잎 (5) 은 즉시 장력 하에 위치된다. 요구되는 테잎 장력, 즉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상의 해당 브레이킹 모멘트가 증가할 때, 미끄럼 클러치 (16) 는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것은 공급 스풀상의 롤 (4) 이 채워져 있을 때 조차, 요구되는 테잎 장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권취 스풀 상으로 루프-프리 감김 (loop-free winding) 이 보장되도록 한다. 공급 스풀상의 롤 (4) 의 풀림 직경이 감소하고, 권취 스풀상의 테잎의 롤 (12) 의 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두 개의 스풀 코어간의 속도의 차이가 뚜렷해서 미끄럼 클러치 (16) 는 그와 상응하게 더욱 큰 슬립을 수용해야 한다.

Claims (16)

  1. 공급 스풀에 의해 구동되면서 권취 스풀을 구동하도록 된 제 2 기어휠과 맞물린 제 1 기어휠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기어휠의 피치 직경은 제 1 기어휠의 직경보다 작으며, 또한 두 개의 스풀중의 하나의 스풀 코어 (11) 및 관련된 기어휠 (27) 사이에는 제공된 미끄럼 클러치 (16) 가 제공되며, 각각의 스풀 코어 (3,11) 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환형 디스크 (13, 14) 가 배치되고, 그 측면은 다른 스풀을 마주보며, 트랜스퍼 디스펜서의 하우징 (2) 또는 트랜스퍼 디스펜서용 보급 카세트 (1) 의 권취 스풀로부터 방사상으로 오프셋되고 옆으로 배치된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를 통해 트랜스퍼 테잎 (5) 용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를 구동하는 기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풀 코어 (3, 11) 는 상호 대향하는 환형 디스크 (13, 14) 를 통해서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맞대어 있고; 더욱이, 상기 제 1 기어휠은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상의 내부 톱니 (28) 에 의해 상기 제 2 기어휠이 위치되는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권취 스풀은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를 통해 하우징 또는 카세트와 일체형인 스핀들 (15)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그리고 환형 슬리브 (25) 에는 제 1 기어휠과 맞물리고 외부로 톱니가 형성된 제 2 기어휠 (27) 을 갖는 측면 연장부 (26) 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클러치 (16) 는, 상기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와 상기 스핀들 (1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톱니 (28) 는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의 내주 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는 그 직경이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의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스풀 코어 (3, 11) 의 환형 디스크(13, 14) 의 외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클러치 (16) 는, 상기 중앙의 환형 슬리브 (25) 로부터 방사하고 상기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내경에 대해 비스듬히 맞대어 스풀 코어를 지지하는 여러개의 스프링 아암 (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는 상기 하우징 (2) 또는 카세트 (1) 에 의해 상기 환형 디스크 (13) 로부터 원격인 축선방향 단부면에 축선방향으로 지지되고, 그리고 그 내주 주위에서, 상기 제 2 기어휠 (27) 과 상기 내부 톱니 (28) 의 맞물림 점으로부터 오프셋된 하나 이상의 지지점 (33) 에 의해 상기 하우징 또는 카세트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는 상기 하우징 또는 카세트에 고정된 지지 구성요소 (33) 에 의해 제 2 기어휠 (27) 과 내부 톱니 (28) 의 맞물림 점에 대해 방사상으로 대향하는 지점에서 회전 축선의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성요소는 상기 하우징 또는 카세트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일정 각도에 걸쳐 연장하는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 (33)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지지 구성요소 (33) 는 약 180°의 각도에 걸쳐 상기 공급 스풀의 스풀 코어 (3) 를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성요소 (33) 는 상기 하우징 또는 카세트의 측벽 (11) 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 (19) 뿐만 아니라, 상기 미끄럼 클러치 (16) 는 스프링 아암 (19) 이 그 방사상 내부 단부에서 합체하는 상기 권취 스풀의 내경을 지지하기 위한 방사상 지지 플랜지 (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지지 플랜지 (17) 에는 지지 슈 (18) 가 그 자유 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지지 슈의 표면상에는 상기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내면에 연결되는 베어링 면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슈 (18) 를 넘어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톱 (20) 은 제 2 기어휠로부터 원격인 측부상에 놓인 축선방향 단부에서 상기 지지 슈 (18)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톱은 상기 권취 스풀의 스풀 코어 (11) 의 내주 상에 상응하게 제공된 환형 쇼울더 (21) 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맞대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클러치 (16), 그 측면 연장부 (26) 및 제 2 기어휠 (27) 은 플라스틱으로 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카세트와 일체형인 상기 스핀들 (15) 은 적어도 그 외주의 일부분에 걸쳐서 스핀들 (15) 의 자유 축선방향 단부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방사상으로 돌출한 스톱 (31) 이 그 자유단부에 제공된 텅 (29) 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톱 (31) 은 조립된 상태로 환형 슬리브 (25) 의 방사상 단부면에 축선방향으로 맞대어 있으면서 상기 하우징 (2) 또는 상기 카세트 (1) 에 대해 회전하도록 양쪽 스풀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장치.
KR1019980707142A 1996-03-11 1997-03-03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KR100458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9533.6 1996-03-11
DE19609533A DE19609533C1 (de) 1996-03-11 1996-03-11 Getriebeanordnung zum Antrieb des Spulenkerns einer Aufwickelspule für ein Transferband eines Transferdispens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77A KR19990087677A (ko) 1999-12-27
KR100458175B1 true KR100458175B1 (ko) 2006-01-27

Family

ID=778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42A KR100458175B1 (ko) 1996-03-11 1997-03-03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079660A (ko)
EP (1) EP0886621B1 (ko)
JP (1) JP2000506109A (ko)
KR (1) KR100458175B1 (ko)
CN (1) CN1071282C (ko)
AT (1) ATE193272T1 (ko)
BR (1) BR9708020A (ko)
CA (1) CA2248776A1 (ko)
DE (2) DE19609533C1 (ko)
DK (1) DK0886621T3 (ko)
ES (1) ES2146462T3 (ko)
GR (1) GR3033673T3 (ko)
NO (1) NO311250B1 (ko)
PL (1) PL182980B1 (ko)
PT (1) PT886621E (ko)
RU (1) RU2181337C2 (ko)
TR (1) TR199801796T2 (ko)
TW (1) TW370510B (ko)
WO (1) WO1997033824A1 (ko)
ZA (1) ZA9720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5927B (de) * 1998-01-09 1999-12-27 Kores Holding Zug Ag Spulen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auf einem folienband einseitig vorliegenden films auf einen träger
AT405510B (de) * 1997-06-30 1999-09-27 Kores Holding Zug Ag Spulenanordnung für ein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auf einem folienband einseitig vorliegenden films auf einen träger
US5942036A (en) * 1998-05-12 1999-08-24 You; Kwang-Ho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US6305636B1 (en) * 1998-10-23 2001-10-23 Ricoh Company, Ltd. Web driving device
AU770224B2 (en) * 2000-02-25 2004-02-19 Societe Bic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having backing tape reels arranged next to each other
AU2001100177A4 (en) * 2000-07-28 2001-08-02 Beautone Co., Ltd. Double sided dispenser
US6543511B2 (en) * 2000-12-01 2003-04-08 Volker Niermann Tape dispenser
ES2254590T3 (es) * 2002-11-22 2006-06-16 Societe Bic Embrague a friccion para transmision de energia con un acoplamiento limitado entre dos bobinas de un aparato manual.
US7228882B2 (en) * 2003-09-15 2007-06-12 Sanford, L.P.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JP2005199631A (ja) * 2004-01-19 2005-07-28 Kokuyo Co Ltd 転写具
DE102006031173B4 (de) * 2006-07-06 2011-04-14 Henkel Ag & Co. Kgaa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20110042506A1 (en) * 2009-08-19 2011-02-24 Chien-Lung Wu Device for Changing Orientation of Tape of Tape Transfer Device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MY163858A (en) * 2010-09-30 2017-10-31 Widetech Mfg Sdn Bhd A tape device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RU2590810C1 (ru) * 2012-07-02 2016-07-1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Сердечниковый элемент для рулона впитывающего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0947A (fr) * 1962-09-13 1963-10-25 Kodak Pathe Appareil dérouleur et enrouleur pour deux bandes superposées
DE3837621C1 (ko) * 1988-11-05 1990-04-05 Pelikan Ag, 3000 Hannover, De
DE3900156A1 (de) * 1989-01-04 1990-07-05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ilms
DE3911402A1 (de) * 1989-04-07 1990-10-11 Wischerath Josef Gmbh Co K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adhaesiven materials
EP0427870A4 (en) * 1989-05-20 1991-11-21 Fujikagakushi Kogyo Kabushiki Kaisha Transcriber of transfer film
DE4104331A1 (de) * 1991-02-13 1992-08-27 Henkel Kgaa Einachsiger kleberoller
CA2119865A1 (en) * 1991-10-02 1993-04-15 Masahiko Ono Instrument for transferring coating film
DE4217295A1 (de) * 1992-05-25 1993-12-02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4322118C1 (de) * 1993-07-02 1994-11-17 Pelikan A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4322120C1 (de) * 1993-07-02 1995-01-19 Pelikan Ag Wechselkassette für ein Handgerät zur Übertragung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869855B2 (ja) * 1995-03-28 1999-03-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字消し具
JPH08337095A (ja) * 1995-06-13 1996-12-24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における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機構
US5618005A (en) * 1995-09-13 1997-04-0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oaxial reel tape cartridge with reduced tape forces
US5942036A (en) * 1998-05-12 1999-08-24 You; Kwang-Ho Correction tape roll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72057B (en) 1997-09-11
NO311250B1 (no) 2001-11-05
PT886621E (pt) 2000-10-31
TW370510B (en) 1999-09-21
NO984122D0 (no) 1998-09-07
DE59701760D1 (de) 2000-06-29
PL328604A1 (en) 1999-02-01
WO1997033824A1 (de) 1997-09-18
GR3033673T3 (en) 2000-10-31
CN1071282C (zh) 2001-09-19
DE19609533C1 (de) 1997-02-27
ATE193272T1 (de) 2000-06-15
JP2000506109A (ja) 2000-05-23
RU2181337C2 (ru) 2002-04-20
TR199801796T2 (xx) 1998-12-21
BR9708020A (pt) 1999-07-27
DK0886621T3 (da) 2000-10-09
EP0886621B1 (de) 2000-05-24
CN1211959A (zh) 1999-03-24
CA2248776A1 (en) 1997-09-18
PL182980B1 (pl) 2002-05-31
US6079660A (en) 2000-06-27
ES2146462T3 (es) 2000-08-01
KR19990087677A (ko) 1999-12-27
NO984122L (no) 1998-11-09
EP0886621A1 (de)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175B1 (ko) 트랜스퍼디스펜서의트랜스퍼스트립을위한권취스풀의코어용기어장치
US6601632B2 (en) 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to a substrate
JP3296265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4259618B2 (ja) フィルムを搬送テープから支持体へ移すための手動装置
JPH0631132B2 (ja) 事務用器具等の巻取リールのリール芯と駆動ホイール又は伝動ホイールとの間の滑りクラツチ
KR20000006364A (ko) 도포막전사기구
WO2005035412A1 (en)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US6145770A (en) Friction coupling for the torque-limiting transmission of force between a coil core for winding or unwinding a tape and a rotary support
AU2002236680B2 (en) Viscous clutch for a correction tape reel assembly
CA2328333C (en) Hand-hel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carrier tape onto a substrate
JP5873088B2 (ja) 可変式クラッチ機構を伴う修正テープディスペンサ
AU2002236680A1 (en) Viscous clutch for a correction tape reel assembly
KR20010049872A (ko) 도포막전사기구에 있어서의 풀기코어와 감기코어의동력전달장치
MXPA98006977A (en) A gearing provision to drive a reel core of an admission reel for the transfer tape of a transfer departant
JPH0840630A (ja) 塗膜転写具
KR102533883B1 (ko) 도막 전사구
JP4005130B2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2569662Y2 (ja) 塗膜転写テープの走行構造
JPH0411273Y2 (ko)
JP2023059341A (ja) 塗膜転写具
WO1997012827A1 (en) Tape dispensers
KR200242915Y1 (ko) 도막전사구
MXPA98002558A (es) Surtidor de cinta
JPS63311335A (ja) フィルム巻取スプ−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