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21A - 일방향 댐퍼기구 - Google Patents

일방향 댐퍼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21A
KR20190002421A KR1020187022869A KR20187022869A KR20190002421A KR 20190002421 A KR20190002421 A KR 20190002421A KR 1020187022869 A KR1020187022869 A KR 1020187022869A KR 20187022869 A KR20187022869 A KR 20187022869A KR 20190002421 A KR20190002421 A KR 2019000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amper
holding member
rack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853B1 (ko
Inventor
나오토 진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9000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F16F7/08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being different according to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기어와 회전식 댐퍼를 적절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백래시(backlash)를 적게 할 수 있는 일방향 댐퍼기구를 제공한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래크(10)와 맞물린 기어(20)가 구비되어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유지부재(30)와, 회전식 댐퍼(50)가 구비되어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 유지부재(60)가 구비되고,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맞물린 제동상태와,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이간한 해제상태로 변화한다.

Description

일방향 댐퍼기구
본 발명은, 일측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동되고 타측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이 원활해지는 일방향 댐퍼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등은 열릴 때에 자중(自重)으로 천천히 열리고 닫힐 때에 원활하게 닫히는 구성이며, 이와 같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글러브 박스에는 일방향 댐퍼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댐퍼 장치는, 베이스 부재에 부착된 제 1 기어를 통해서 베이스 부재와 래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베이스 부재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이 긴 구멍에 제 1 기어의 축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는 댐퍼와 함께 제 2 기어가 부착되어 있다. 긴 구멍에 있어서 제 1 기어의 축이 이동함으로써, 댐퍼 장치는 제 1 기어와 제 2 기어가 맞물린 상태와 이간한 상태로 변화한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댐퍼기구는 지지체에 부착된 회전식 댐퍼체를 통해서 지지체와 래크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회전식 댐퍼체는, 내치(內齒) 기어(internal gear)인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제 1 파츠와, 피니언부가 구비된 제 2 파츠가 합체되어 구성되고, 제 1 파츠와 제 2 파츠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지지체는 긴 구멍인 지지구멍이 형성됨과 함께, 이 지지구멍의 주위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에 내치 기어의 축이 배치되고, 지지구멍에 있어서 축이 이동함으로써, 댐퍼기구는 제 1 파츠의 걸어맞춤부와 지지구멍의 주위의 걸어맞춤부가 맞물린 상태와 이간한 상태로 변화한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일방향성 댐퍼기구는 플레이트에 부착된 이동 기어를 통해서 플레이트와 래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플레이트는 긴 구멍이 형성되며, 이 긴 구멍에 댐퍼의 축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래크에 접촉해 있다. 긴 구멍에 있어서 댐퍼의 축이 이동함으로써, 일방향성 댐퍼기구는 댐퍼와 이동 기어가 맞물린 상태와 이간한 상태로 변화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4892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 제583628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 제3356887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각 기술에 따르면, 모두 각 지지체의 긴 구멍에 있어서, 기어나 댐퍼(이하, 「기어 등」으로 기재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인 바, 가령 기어 등의 축과 긴 구멍 사이가 지나치게 넓으면 기어 등이 편심하는 경우나, 래틀링(rattling)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축과 긴 구멍 사이가 지나치게 좁으면 기어 등이 이동하지 않고 공전하는 경우가 있다. 즉, 종래의 각 기술은, 기어 등의 이동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기어끼리의 맞물림, 또는 기어와 댐퍼의 맞물림이 적절치 않아져 댐퍼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 제안된 것이다. 즉, 기어와 회전식 댐퍼를 적절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백래시를 적게 할 수 있는 일방향 댐퍼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래크와 맞물린 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래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유지부재와, 회전식 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래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 유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식 댐퍼가 맞물린 제동상태와,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식 댐퍼가 이간한 해제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해제상태에 있어서 타측을 추수(追隨)시키는 로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상기 래크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저항부가,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일체 성형된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래크가,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기어와 맞물림시킨 쪽 또는 그 반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유지부재와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접촉부 중,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타측보다도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 래크가 요동체에 지지되고,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상기 요동체를 지지해서 수용하는 지지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상기한 구성이다. 즉, 회전식 댐퍼는 댐퍼 유지부재가 래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기어도 기어 유지부재가 래크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한다. 각 유지부재가 안정되게 이동하기 때문에, 해제상태에서 제동상태로 변화할 때, 각 유지부재에 구비된 기어와 회전식 댐퍼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래시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에, 해제상태에 있어서 타측을 추수하게 하는 로크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로크부에 타측이 로크됨으로써, 해제상태에 있어서, 로크부에 대응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어 유지부재와 댐퍼 유지부재가 이간한 상태가 유지된다. 환언하면, 기어와 회전식 댐퍼가 이간한 상태에서 타측이 일측에 추수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소정의 간격을 비울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에 있어서, 각 유지부재가 안정되게 이동하기 때문에, 해제상태에서 제동상태로 변화할 때, 기어와 회전식 댐퍼가 적절히 맞물려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백래시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래크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와 래크 사이에 있어서, 슬라이딩 저항부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래크에 대해서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억지된다. 따라서, 기어와 회전식 댐퍼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 가령 슬라이딩 저항부가 없이, 종래와 같이 긴 구멍에 있어서 기어 등이 이동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는, 일측만이 래크를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해서 타측과 이간해, 기어와 댐퍼가 맞물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슬라이딩 저항부가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일체 성형된 탄성편이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해 요동 저항부를 구비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래크가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에 대해서, 기어와 맞물림시킨 쪽 또는 그 반대측으로 기울어진다. 이 구성에 의해,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에 대해서 래크가 기울어짐으로써, 일방향 댐퍼기구의 치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일방향 댐퍼기구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치수에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다양한 치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와 댐퍼 유지부재의 접촉부 중,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타측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부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이 작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동상태로서, 기어 유지부재와 댐퍼 유지부재가 접촉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만에 대해서 래크가 기울어질 때, 타측도 래크와 함께 일측에 대해서 기울어진다. 접촉부에서는,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타측이 일측에 대해서 기울어지기 쉽다. 따라서, 각 유지부재의 일측에 대해서 래크를 기울어지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방향 댐퍼기구의 치수가 변화하기 쉬워져, 일방향 댐퍼기구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치수에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다양한 치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가령 접촉부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이 클 경우, 각 유지부재의 일측에 대해서 래크가 기울어질 때, 넓은 범위에서 타측이 일측과 접촉해 있기 때문에, 타측이 일측에 대해서 기울어지기 어려워, 래크가 원활하게 기울어지는 것이 방해받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는, 래크가 요동체에 지지되고,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요동체를 지지해서 수용하는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다. 즉,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가 안정되게 이동하기 때문에, 지지체에 수용된 요동체가 인출될 때, 각 유지부재에 구비된 기어와 회전식 댐퍼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상태에 있어서 요동체를 확실히 제동시켜서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1A는 외측면도, 도 1B는 후면도, 도 1C는 상면도, 도 1D는 부분 내측면도, 도 1E는 도 1C에 있어서의 외측면 a-a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2A는 조립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B는 회전식 댐퍼가 분리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C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동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3A는 제동상태가 도시된 부분 하면도, 도 3B는 해제상태가 도시된 부분 하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사용 상태의 일례의 개략이 도시되며, 도 4A는 요동체가 지지체에 대해서 열린 경우의 사용 상태 개략 상면도, 도 4B는 요동체가 지지체에 수용된 경우의 사용 상태 개략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래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외측면도, 도 5C는 하면도, 도 5D는 내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기어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6A는 상면도, 도 6B는 외측면도, 도 6C는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기어 유지부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7A, 도 7B는 사시도, 도 7C는 외측면도, 도 7D는 후면도, 도 7E는 상면도, 도 7F는 전면도, 도 7G는 도 7F에 있어서의 하면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회전식 댐퍼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8A는 하면도, 도 8B는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댐퍼 유지부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9A는 사시도, 도 9B는 전면도, 도 9C는 외측면도, 도 9D는 하면도, 도 9E는 후면도, 도 9F는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댐퍼 유지부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10A는 도 9E에 있어서의 상면 c-c 단면도, 도 10B는 도 9F에 있어서의 내측면 d-d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동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A는 래크가 기울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시된 부분 상면 단면도, 도 11B는 래크가 외측방(外側方)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된 부분 상면 단면도, 도 11C는 래크가 내측방(內側方)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된 부분 상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동작의 상태가 도시되며, 도 12A는 래크가 기울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와 댐퍼 유지부재의 접촉부가 도시된 부분 하면도, 도 12B는 래크가 외측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와 댐퍼 유지부재의 접촉부가 도시된 부분 하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13A는 사시도, 도 13B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3C는 도 13A에 있어서의 상면 e-e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회전식 댐퍼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14A는 하면도, 도 14B는 전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의 댐퍼 유지부재의 외관이 도시되며, 도 15A는 전면도, 도 15B는 상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A, B, C, D, E 및 도 2A, B, C는 일방향 댐퍼기구(1)의 외관이 나타나 있다. 도 3A, B는 일방향 댐퍼기구(1)의 동작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4A, B는 일방향 댐퍼기구(1)가 자동차(도시 생략)의 글러브 박스(2)에 부착된 상태의 개략이 나타나 있다.
도 1A, B, C, D, E 및 도 2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1)는, 기어가 형성된 길이가 긴 래크(10)와, 이 래크(10)와 맞물린 기어(20)와, 이 기어(20)가 구비되어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유지부재(30)와, 점성 유체(도시 생략) 등이 충전된 회전식 댐퍼(50)와, 이 회전식 댐퍼(50)가 구비되어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 유지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래크(10)와 각 유지부재(30, 60)가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3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어(20)와 회전식 댐퍼(50)가 맞물린 제동상태(도 3A 참조)와, 기어(20)와 회전식 댐퍼(50)가 이간한 해제상태(도 3B 참조)로 변화한다.
이 일방향 댐퍼기구(1)는, 도 4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스트루멘털(instrumental) 패널(도시 생략)에 있어서, 요동체로서의 글러브 박스(2)에 래크(10)가 지지되고, 글러브 박스(2)가 지지되어 수용되는 지지체(3)에 댐퍼 유지부재(60)가 지지된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글러브 박스(2)가 열릴 때(도 4A 참조) 제동상태로 되고, 글러브 박스(2)가 닫힐 때(도 4B 참조) 해제상태로 된다. 따라서, 글러브 박스(2)는 천천히 열리며 또한 원활하게 닫힌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방향 댐퍼기구(1)가 글러브 박스(2)에 사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해서 방위가 정의되어 있다. 즉, 글러브 박스(2)의 개구부측을 상방(上方), 글러브 박스(2)의 저부측(底部側)을 하방(下方), 글러브 박스(2)가 열리는 방향을 전방, 닫히는 방향을 후방, 글러브 박스(2)의 내측 방향을 내측방(內側方), 외측 방향을 외측방(外側方)으로 한다(도 2A 및 도 4A 참조).
여기에서, 일방향 댐퍼기구(1)의 구성 부재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5A, B, C, D는 래크(10)가 도시되며, 도 6A, B, C는 기어(20)가 도시되고, 도 7A, B, C, D, E, F, G는 기어 유지부재(30)가 도시되며, 도 8A, B는 회전식 댐퍼(50)가 도시되고, 도 9A, B, C, D, E, F 및 도 10A, B는 댐퍼 유지부재(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B, C, 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크(10)는 전후 방향을 향해서 길이가 긴 봉 형상이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크(10)는, 후방측인 래크 본체부(11)와, 전방측인 래크 지지 본체부(15)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 본체부(11)는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방을 향해서 돌출한 스토퍼(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크 본체부(11)는 상하 2단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단(도 5B에 있어서 하측)은 평탄하게 형성된 슬라이딩면부(12)이며, 한편 하단(도 5B에 있어서 상측)은 기어가 형성된 기어면부(13)이다. 래크 본체부(11)의 상하면 및 내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한 홈인 래크 레일부(14a, 14b, 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래크 본체부(11)는 슬라이딩면부(12)나 래크 레일부(14a, 14b, 14c)를 형성할 수 있으면, 소위 각(角)래크여도 되고 환(丸)래크여도 된다.
래크 지지 본체부(15)는 대략 원판 형상인 요동체 지지부(16)가 내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6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어(20)는 원판 형상이며 원주 가장자리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20)는 중심으로부터 기어축부(21)가 돌출해 있다.
도 7A, B, C, D, E, F, G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유지부재(30)는, 래크 본체부(11)가 관통되는 기어 유지체 레일부(31)와, 이 기어 유지체 레일부(31)로부터 외측방을 향해 돌출해서 서로 대면한 한 쌍의 기어 지지부(38)와, 기어 유지체 레일부(31)와 기어 지지부(38)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한 슬라이딩 저항부로서의 탄성편(47)으로 구성되며, 각 부(31, 38, 47)가 일체 성형된 것이다.
기어 유지체 레일부(31)는, 기어 유지체 내측면부(32)와,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와, 기어 유지체 상면부(34)와, 기어 유지체 하면부(35)로 구성되며, 래크 본체부(11)의 외면을 에워쌀 수 있도록 서로가 연접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어 유지체 내측면부(32)의 상단과 기어 유지체 상면부(34)가 직각으로 연접되고, 기어 유지체 상면부(34)와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가 직각으로 연접되고, 기어 유지체 내측면부(32)의 하단과 기어 유지체 하면부(35)가 직각으로 연접되고, 각 면부(32, 33, 34, 35)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인 기어 유지체 구멍부(36)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는, 기어 유지체 내측면부(32)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와 기어 유지체 하면부(35) 사이가 개방되어 있다. 각 면부(32, 34, 35)는 기어 유지체 구멍부(36)를 향해서 기어 유지체 돌기부(37a, 37b, 37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는 탄성편(47)이 전방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돌출해 있다. 탄성편(47)은 기어 유지체 구멍부(36)측을 향해서 내측방으로 경사져 있다.
기어 지지부(38)는, 기어 유지체 상방 대면부(39)와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40)로 구성되며, 기어(20)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구멍(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어 유지체 상방 대면부(39)는,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33)의 하단과 직각으로 연접되고, 기어 지지구멍(45)과 동축(同軸)으로서 원통 형상의 축지지 돌출부(46)가 돌출해 있다.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40)는 기어 유지체 하면부(35)와 동일면 상에서 연접되어 있다.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40)는 전방 단부에 댐퍼 유지부재(60)와의 접촉부로서의 기어 유지체 접촉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유지체 접촉부(41)는 전방을 향해서 호상(弧狀)으로 만곡함과 함께, 전방 단부의 근소한 부분인 최단부(最端部, 42)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최단부(42)는 만곡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어 유지체 접촉부(41)는 플랜지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43)는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40) 중 전방으로부터 외측방에 걸쳐서 주연(周緣)에 형성되며 하방을 향해서 돌출해 있다. 또한,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40)는 외측방의 후방쪽에 노치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식 댐퍼(50)는, 점성 유체가 충전된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51)와, 이 케이스(51)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회전자 축부(52)를 갖는 회전자(도시 생략)와, 이 회전자 축부(52)가 관통함과 함께 케이스(51)를 덮는 케이스 덮개(53)와, 회전자 축부(52)에 부착된 댐퍼 기어(54)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51)는 회전자가 수납되며, 회전자 축부(52)가 케이스(51)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케이스 덮개(5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회전자 축부(52)에는 회전자와 동축 상에 댐퍼 기어(54)가 부착되어 있다.
도 9A, B, C, D, E, F 및 도 10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댐퍼 유지부재(60)는, 댐퍼 유지체 내측면부(61)와, 댐퍼 유지체 외측면부(62)와, 댐퍼 유지체 상면부(63)와, 댐퍼 유지체 하면부(64)로 구성되고, 각 면부(61, 62, 63, 64)가 일체 성형되어 대략 사각 기둥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면부(61, 62, 63, 64)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인 댐퍼 유지체 구멍부(65)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댐퍼 유지체 외측면부(62)는 지지체 지지부(66)가 외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댐퍼 유지체 상면부(63)는, 회전식 댐퍼(50)가 수용되는 댐퍼 수용구멍(67)과, 이 댐퍼 수용구멍(67)의 주위에 형성되어 회전식 댐퍼(50)가 걸어맞춰지는 댐퍼 걸어맞춤편(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댐퍼 유지체 상면부(63)는 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긴 구멍 프레임부(69)가 뻗어나와 있다. 로크부(70)와 댐퍼 유지체 하면부(64)의 후단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 및 긴 구멍 프레임부(69)의 공간에, 기어 유지부재(30)가 수용되는 가동 영역(71a, 7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영역(71a, 71b)에 있어서, 댐퍼 유지체 하면부(64)의 후단 및 긴 구멍 프레임부(69)의 전단에, 기어 유지체(30)와의 접촉부로서의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 7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댐퍼 유지체 내측면부(61)는 댐퍼 유지체 구멍부(65)를 향해서 댐퍼 유지체 돌기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댐퍼 유지체 상면부(63) 및 댐퍼 유지체 하면부(64)는 댐퍼 유지체 구멍부(65)를 향해서 경사 돌기부(74a, 74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 돌기부(74a, 74b)는 후단의 폭보다도 전단의 폭 쪽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 돌기부(74a, 74b)의 폭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서 서서히 좁게 형성되며, 이것에 의해, 경사 돌기부(74a, 74b)와 댐퍼 유지체 내측면부(61) 사이의 홈인 경사 홈부(75)의 폭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서 서서히 넓게 형성되어 있다(도 10A, B 참조).
다음으로, 상기한 각 부재(10, 20, 30, 50, 60)의 조립 수순을 설명한다.
도 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식 댐퍼(50)가 댐퍼 유지부재(60)의 댐퍼 유지체 상면부(63)에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식 댐퍼(50)의 댐퍼 기어(54)가 댐퍼 유지체 상면부(63)의 댐퍼 수용구멍(67)에 수용되고, 회전식 댐퍼(50)의 케이스(51)가 댐퍼 유지체 상면부(63)의 댐퍼 걸어맞춤편(68)에 걸어맞춰진다. 댐퍼 기어(54)는 댐퍼 유지체 구멍부(65)에 배치된다. 또, 댐퍼 유지부재(60)와 회전식 댐퍼(50)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어 유지부재(30)의 축지지 돌출부(46)가 댐퍼 유지부재(60)의 긴 구멍 프레임부(69)에 부착되고, 기어 유지부재(30)의 기어 유지체 접촉부(41)가 댐퍼 유지부재(60)의 로크부(70)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기어 유지부재(30)는 댐퍼 유지부재(60)의 가동 영역(71a, 71b)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기어 유지부재(30) 및 댐퍼 유지부재(60)에 래크(10)가 관통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래크 본체부(11)가, 댐퍼 유지부재(60)의 댐퍼 유지체 구멍부(65), 및 기어 유지부재(30)의 기어 유지체 구멍부(37)에 각각 관통된다. 래크 레일부(14a, 14b, 14c)에, 댐퍼 유지체 구멍부(65)의 댐퍼 유지체 돌기부(73), 경사 돌기부(74a, 74b), 및 기어 유지체 구멍부(37)의 기어 유지체 돌기부(37a, 37b, 37c)가 각각 배치된다. 기어 유지부재(30)의 탄성편(47)이 래크 본체부(11)의 슬라이딩면부(12)에 밀어붙여진다. 또, 댐퍼 기어(54)는 기어(20)에 비교해서 직경이 작기 때문에, 래크(1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관통될 때, 댐퍼 기어(54)는 래크 본체부(11)의 스토퍼(17)와 간섭하지 않으며, 또한 댐퍼 기어(54)는 래크 본체부(11)의 기어면부(13)와 맞물리지 않는다.
다음으로, 기어 유지부재(30)의 기어 지지부(38)에 기어(20)가 부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기어(20)는 후방측으로부터 기어 지지부(38)의 사이에 배치되며, 기어(20)의 기어축부(21)가 기어 지지부(38)의 기어 지지구멍(45)에 부착된다. 기어(20)는 래크 본체부(11)의 기어면부(13)와 맞물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일방향 댐퍼기구(1)에 있어서의 각 부재(10, 30, 60)의 동작 상태를 도 3A, B, 도 11A, B, C 및 도 12A, B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B, C는 제동상태에 있어서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래크(10)가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되며, 도 12A, B는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30)와 댐퍼 유지부재(60)의 접촉부가 나타나 있다.
도 3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유지부재(30, 60)와 래크(10)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동상태에서는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맞물림으로써 회전식 댐퍼(50)가 작동한다(도 3A 참조). 한편, 해제상태에서는, 기어 유지부재(30)는, 노치부(44)가 로크부(70)에 로크됨으로써, 댐퍼 유지부재(60)의 가동 영역(71a, 71b)에 있어서, 댐퍼 유지부재(60)에 추수해서 이동해 가동 범위가 규제된다(도 3B 참조).
여기에서, 래크(10)는, 도 11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기어면부(13)가 기어(20)와 맞물림시킨 쪽인 외측방으로 기울어지며, 또한 기어(20)와 맞물림시킨 쪽의 반대측인 내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성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댐퍼 유지부재(60)의 경사 홈부(75)의 폭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서 서서히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10)는 경사 홈부(75) 중, 폭이 좁은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해서 기울어진다. 도 11A에 도시된 래크(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면, 래크(10)는,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크 지지 본체부(15)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외측방을 향해서 기울어지며, 또한 도 1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래크 지지 본체부(15)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내측방을 향해서 기울어진다.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한 래크(10)의 각도는, θ213으로 되며, 또한 요동체 지지부(16)와 지지체 지지부(66)의 피치(X)는, X2>X1>X3으로 된다. 따라서, 일방향 댐퍼기구(1)는, 내외측방에 있어서의 치수가 X2 내지 X3의 범위에서, 글러브 박스(2)와 지지체(3) 사이의 치수나, 각각의 부착 구멍의 오차에 따라 변화한다(도 4A, B 참조).
이와 같이, 래크(1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기울어짐으로써, 기어 유지부재(30)도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래크(10)와 함께 기울어진다. 기어 유지부재(30)는 래크(10)에 대해서 안정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10)가 기울어질 때, 기어 유지부재(30)와 댐퍼 유지부재(60)가 각각의 기어 유지체 접촉부(41) 및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 72b)에 있어서 간섭하지만,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간섭의 정도가 낮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30)와 댐퍼 유지부재(60)의 접촉부 중, 기어 유지부재(30) 쪽이 댐퍼 유지부재(60)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댐퍼 유지부재(60)의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가 평탄한 한편, 기어 유지부재(30)의 기어 유지체 접촉부(41)가 호상으로 만곡해 있기 때문에, 최단부(42)의 면적이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 영역(71a)에 있어서,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원활하게 기울어진다(도 12B 참조). 또한, 댐퍼 기어(54) 및 기어(20)는, 각 접촉부(41, 72a)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때문에(도 3A, B 참조),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기울어질 때, 각 기어(54, 20)끼리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또, 댐퍼 유지체 접촉부(72b)가 평탄한 한편(도 9A, D 참조), 기어 유지부재(30)의 축지지 돌출부(46)가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도 7A, C, D, F 참조), 가동 영역(71b)에 있어서도 접촉 면적이 작다.
다음으로, 일방향 댐퍼기구(1)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향 댐퍼기구(1)는, 래크(10)와 맞물린 기어(20)가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유지부재(30)에 구비되며, 또한 회전식 댐퍼(50)가 구비되어 래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 유지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각 유지부재(30, 60)가 래크(10)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하기 때문에, 해제상태에서 제동상태로 변화할 때, 각 유지부재(30, 60)에 구비된 기어(20)와 회전식 댐퍼(50)의 댐퍼 기어(54)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5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래시를 적게 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에 의하면, 댐퍼 유지부재(60)는, 댐퍼 유지체 하면부(64)의 후단 중, 댐퍼 유지체 외측면부(62)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로크부(70)가 튀어나와 있다. 로크부(70)는 후방을 향해서 뻗음과 함께, 선단이 내측방을 향해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부(70)에 기어 유지부재(30)의 노치부(44)가 로크됨으로써, 해제상태에 있어서, 로크부(70)에 의해서 형성된 가동 영역(71a)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어 유지부재(30)와 댐퍼 유지부재(60)가 이간한 상태가 유지된다. 환언하면,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이간한 상태에서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추수한다. 따라서, 기어(20)와 댐퍼 기어(54) 사이에 있어서 용이하게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에 의하면, 기어 유지부재(30)는, 기어 유지체 레일부(31)와 기어 지지부(38)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탄성편(47)이 돌출하고, 탄성편(47)은 기어 유지체 구멍부(36)측을 향해서 내측방으로 경사져 있다. 탄성편(47)은 래크 본체부(11)의 슬라이딩면부(12)에 밀어붙여져 있다. 즉, 탄성편(47)이 래크(10)에 밀어붙여짐으로써, 기어 유지부재(30)가 래크(10)에 대해서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억지된다. 따라서,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5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에 의하면, 기어 유지부재(30)는, 기어 유지체 레일부(31), 기어 지지부(38) 및 탄성편(47)이 일체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를 억지해 탄성편(47)을 구비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에 의하면, 댐퍼 유지부재(60)의 경사 홈부(75)의 폭이,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서 서서히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래크(10)는,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외측방 또는 내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해, 내외측방에 있어서의 일방향 댐퍼기구(1)의 치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글러브 박스(2)와 지지체(3) 사이의 치수나, 각각의 부착 구멍에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다양한 치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기어 유지부재(30)와 댐퍼 유지부재(60)의 접촉부 중, 기어 유지부재(30) 쪽이 댐퍼 유지부재(60)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댐퍼 유지부재30의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가 평탄한 한편, 기어 유지부재(30)의 기어 유지체 접촉부(41)가 호상으로 만곡해 있기 때문에, 최단부(42)의 면적이 댐퍼 유지체 접촉부(72a)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 영역(71a)에 있어서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원활하게 기울어진다. 따라서, 내외측방에 있어서의 일방향 댐퍼기구(1)의 치수가 변화하기 쉬워져, 글러브 박스(2)와 지지체(3) 사이의 치수나 각각의 부착 구멍에 오차가 있는 경우여도, 다양한 치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댐퍼 기어(54) 및 기어(20)는 각 접촉부(41, 72a)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 유지부재(30)가 댐퍼 유지부재(60)에 대해서 기울어진 경우여도 각 기어(54, 20)끼리가 확실히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래크(10)가 글러브 박스(2)에 지지되고, 댐퍼 유지부재(60)가 지지체(3)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체(3)에 수용된 글러브 박스(2)가 인출될 때, 각 유지부재(30, 60)에 구비된 기어(20)와 댐퍼 기어(54)가 적절히 맞물려, 회전식 댐퍼(5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상태에 있어서 글러브 박스(2)를 확실히 제동시켜서 인출할 수 있다.
일방향 댐퍼기구(1)는 래크 본체부(11)의 후방 단부에 스토퍼(1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 유지부재(30) 및 댐퍼 유지부재(60)로부터 래크(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3)의 후방에 배치된 에어컨 필터(도시 생략)의 메인터넌스시 등에 있어서, 글러브 박스(2)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빠져서 글러브 박스(2)가 크게 개방되었을 경우, 래크(10)는 스토퍼(17)에 규제되어 기어 유지부재(30) 및 댐퍼 유지부재(6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로크부가 기어 유지부재에 형성된 구성, 탄성편이 댐퍼 유지부재와 일체 성형된 구성, 탄성편 대신에 기어 유지부재 또는 댐퍼 유지부재와 래크 사이에 고무 등의 연질 부재가 끼워진 구성, 또는 점착성 그리스가 도포된 구성, 스토퍼가 래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 래크가 기어 유지부재에 대해서 외측방 또는 내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구성, 접촉부에 있어서 기어 유지체 접촉부의 면적보다도 댐퍼 유지체 접촉부 쪽이 작게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글러브 박스(2)에 댐퍼 유지부재(60)가 지지되고 지지체(3)에 래크(10)가 지지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일방향 댐퍼기구(1)에 의하면, 댐퍼 기어(54)는 회전자 축부(52)에 의해서 회전축의 편측만이 지지되기 때문에, 제동상태에 있어서 댐퍼 기어(54)에 기어(20)로부터의 외력이 작용하면, 댐퍼 기어(54)가 회전자 축부(52)에 대해 편심해서 기울어지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어(20)와 댐퍼 기어(54)의 맞물림이 적절치 않아져,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경우나, 일방향 댐퍼기구(1)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과제를 해결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일방향 댐퍼기구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3A, B, C는, 일방향 댐퍼기구(101)의 외관 및 주요부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14A, B는, 일방향 댐퍼기구(101)의 회전식 댐퍼(150)가 도시되며, 도 15A, B는, 일방향 댐퍼기구(101)의 댐퍼 유지부재(160)가 나타나 있다. 또, 이하에서는, 일방향 댐퍼기구(1)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설명이 생략되고, 서로 다른 구성만이 설명되어 있다.
도 13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향 댐퍼기구(101)는, 회전식 댐퍼(150)의 댐퍼 기어(154)의 구성, 및 댐퍼 유지부재(160)의 댐퍼 유지체 하면부(164)의 구성이 일방향 댐퍼기구(1)와 서로 다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4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댐퍼 기어(154)는 기어 리브(155)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리브(155)는 대략 "C"자 형상 또는 환 형상이며, 댐퍼 기어(154)의 중심축의 주위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한편, 도 15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댐퍼 유지체 하면부(164)는 유지체 리브(176)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 리브(176)는 전방을 향해서 만곡한 호상이며, 댐퍼 수용구멍(67)과 대략 동축 상에 있어서 대면해 댐퍼 유지체 구멍부(65)를 향해서 돌출해 있다. 또, 유지체 리브(176)는 기어(20)와 간섭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만족되면, 대략 "C"자 형상 또는 환 형상이어도 된다.
도 13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향 댐퍼기구(101)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기어 리브(155)는 유지체 리브(176)의 내측에 걸어맞춰져 있다.
상기한 일방향 댐퍼기구(101)에서는, 댐퍼 기어(154)는 회전자 축부(52)에 지지됨과 함께, 유지체 리브(176)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댐퍼 기어(154)는 회전축에 있어서의 양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동상태에 있어서, 기어(20)와 댐퍼 기어(154)가 맞물려서 댐퍼 기어(154)에 기어(20)로부터의 외력이 작용할 때 댐퍼 기어(154)가 안정되게 회전한다. 따라서, 기어(20)와 댐퍼 기어(154)의 맞물림이 적절해져 일방향 댐퍼기구(101)는 이음도 없이 원활하게 작동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댐퍼 기어, 기어, 래크의 기어면부가, 경사 기어(도시 생략)이면, 댐퍼 기어, 기어, 래크의 기어면부끼리의 맞물림이 더 적절해져 더욱 원활한 동작과 정음(淨音)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는 것이 아니면 각종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01 - 일방향 댐퍼기구 2 - 글러브 박스
3 - 지지체 10 - 래크
11 - 래크 본체부 12 - 슬라이딩면부
13 - 기어면부 14a, 14b, 14c - 래크 레일부
15 - 래크 지지 본체부 16 - 요동체 지지부
17 - 스토퍼 20 - 기어
21 - 기어축부 30 - 기어 유지부재
31 - 기어 유지체 레일부 32 - 기어 유지체 내측면부
33 - 기어 유지체 외측면부 34 - 기어 유지체 상면부
35 - 기어 유지체 하면부 36 - 기어 유지체 구멍부
37 - 기어 유지체 돌기부 38 - 기어 지지부
39 - 기어 유지체 상방 대면부 40 - 기어 유지체 하방 대면부
41 - 기어 유지체 접촉부(접촉부) 42 - 최단부(最端部)
43 - 플렌지부 44 - 노치부
45 - 기어 지지구멍 46 - 축지지 돌출부
47 - 탄성편(슬라이딩 저항부) 50, 150 - 회전식 댐퍼
51 - 케이스 52 - 회전자 축부
53 - 케이스 덮개 54, 154 - 댐퍼 기어
60, 160 - 댐퍼 유지부재 61 - 댐퍼 유지체 내측면부
62 - 댐퍼 유지체 외측면부 63 - 댐퍼 유지체 상면부
64, 164 - 댐퍼 유지체 하면부 65 - 댐퍼 유지체 구멍부
66 - 지지체 지지부 67 - 댐퍼 수용구멍
68 - 댐퍼 걸어맞춤편 69 - 긴 구멍 프레임부
70 - 로크부 71a, 71b - 가동 영역
72a, 72b - 댐퍼 유지체 접촉부(접촉부) 73 - 댐퍼 유지체 돌기부
74a, 74b - 경사 돌기부 75 - 경사 홈부
155 - 기어 리브 176 - 유지체 리브
θ13 - 각도 X, X13 - 피치

Claims (7)

  1. 래크와 맞물린 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래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기어 유지부재와,
    회전식 댐퍼가 구비되어 상기 래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댐퍼 유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식 댐퍼가 맞물린 제동상태와,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식 댐퍼가 이간한 해제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해제상태에 있어서 타측을 추수(追隨)시키는 로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상기 래크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저항부가,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과 일체 성형된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가,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에 대해서, 상기 기어와 맞물림시킨 쪽 또는 그 반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유지부재와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접촉부 중,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타측보다도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가 요동체에 지지되고,
    상기 기어 유지부재 또는 상기 댐퍼 유지부재의 일측이, 상기 요동체를 지지해서 수용하는 지지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댐퍼기구.
KR1020187022869A 2017-03-31 2018-03-30 일방향 댐퍼기구 KR10207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1055 2017-03-31
JP2017071055 2017-03-31
PCT/JP2018/013623 WO2018181905A1 (ja) 2017-03-31 2018-03-30 一方向ダンパー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1A true KR20190002421A (ko) 2019-01-08
KR102075853B1 KR102075853B1 (ko) 2020-02-10

Family

ID=63678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69A KR102075853B1 (ko) 2017-03-31 2018-03-30 일방향 댐퍼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4849B2 (ko)
EP (1) EP3604850A4 (ko)
JP (1) JP6782356B2 (ko)
KR (1) KR102075853B1 (ko)
CN (1) CN110546398B (ko)
WO (1) WO2018181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8678B2 (en) * 2017-07-03 2021-04-06 Hall Labs Llc Automated sliding panel mechanism with manual release mechanism
DE102017213857A1 (de) * 2017-08-09 2019-02-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Gehäuse für ein Ablagefach, Befestigungssystem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für ein Ablagefach
US20200270919A1 (en) * 2019-02-21 2020-08-27 Marathonnorco Aerospace, Inc. Hold Open Rod Having a Lock Mechanism for Securely Locking the Hold Open Rod in an Extended Configuration
JP7133710B2 (ja) * 2019-05-28 2022-09-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JP7133709B2 (ja) * 2019-05-28 2022-09-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DE102020117520A1 (de) * 2020-07-02 2022-01-05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eräuschminderung eines lineardämpfers
CN113432003B (zh) * 2021-07-01 2023-04-25 金陵科技学院 一种摄影装置专用的电控滑动机构
CN114987620B (zh) * 2022-04-28 2023-06-23 南通浩盛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减震的多弹簧减震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281B2 (ja) 1973-05-10 1983-08-08 株式会社ニコン コウデンテキニアラインメント オ オコナウ コウデンケンビキヨウ
JPS60101241U (ja) * 1983-12-16 1985-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ダ機構用ダンパ機構
KR2001005970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회전체용 로타리 오일 댐퍼 구조
JP3356887B2 (ja) 1994-08-01 2002-12-16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性ダンパー機構
JP2005048929A (ja) * 2003-07-31 2005-02-24 Nifco Inc ダンパー機構
KR20050048929A (ko) 2003-11-20 2005-05-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광학시트
JP2006117027A (ja) * 2004-10-19 2006-05-11 Oiles Ind Co Ltd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JP2017014792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発條株式会社 引戸制動装置及び引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548A (en) * 1995-10-30 1998-11-24 Illinois Tool Works Inc. Motion control device for rotary dampers
US5690194A (en) * 1995-10-30 1997-11-25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pivoting gear damper
AT412183B (de) * 2001-01-25 2004-11-25 Blum Gmbh Julius Dämpf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US6848759B2 (en) * 2002-04-03 2005-0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US7065829B2 (en) 2003-07-31 2006-06-27 Nifco Inc. Damper device
US8079450B2 (en) * 2005-11-14 2011-12-20 Illinois Tool Works Inc. Viscous strand damper assembly
JP2007145300A (ja) * 2005-11-30 2007-06-14 Toyoda Gosei Co Ltd 収納体
US20080224370A1 (en) * 2007-03-14 2008-09-18 Calvin Derr Latching rack damper assembly
CN104455187B (zh) * 2008-08-07 2018-02-27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粘滞带阻尼器组件
DE102009042053A1 (de) * 2009-09-08 2011-03-10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Dämpfer
KR20110004218U (ko) * 2009-10-22 2011-04-2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KR101148717B1 (ko) * 2010-08-13 2012-05-23 엘지엔시스(주) 매체카세트 충격방지장치
WO2012070583A1 (ja) 2010-11-24 2012-05-3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JP5759207B2 (ja) * 2011-03-02 2015-08-05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4240A (ja) * 2012-03-27 2013-10-07 Nifco Inc ラックユニットおよび移動体の移動機構
JP6079885B2 (ja) * 2013-08-09 2017-02-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JP6227370B2 (ja) * 2013-10-16 2017-11-08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6570337B2 (ja) * 2014-07-17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
KR102211462B1 (ko) * 2014-09-04 2021-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박스 댐퍼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281B2 (ja) 1973-05-10 1983-08-08 株式会社ニコン コウデンテキニアラインメント オ オコナウ コウデンケンビキヨウ
JPS60101241U (ja) * 1983-12-16 1985-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ダ機構用ダンパ機構
JP3356887B2 (ja) 1994-08-01 2002-12-16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性ダンパー機構
KR2001005970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회전체용 로타리 오일 댐퍼 구조
JP2005048929A (ja) * 2003-07-31 2005-02-24 Nifco Inc ダンパー機構
KR20050048929A (ko) 2003-11-20 2005-05-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광학시트
JP2006117027A (ja) * 2004-10-19 2006-05-11 Oiles Ind Co Ltd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JP2017014792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発條株式会社 引戸制動装置及び引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81905A1 (ja) 2019-11-07
CN110546398A (zh) 2019-12-06
EP3604850A4 (en) 2020-12-23
CN110546398B (zh) 2021-06-29
WO2018181905A1 (ja) 2018-10-04
EP3604850A1 (en) 2020-02-05
KR102075853B1 (ko) 2020-02-10
JP6782356B2 (ja) 2020-11-11
US20200317138A1 (en) 2020-10-08
US11364849B2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421A (ko) 일방향 댐퍼기구
JP6692717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139043B1 (en) Central-controlled double wheel structure
JP200912644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1230560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04076852A (ja) ダンパ
JPH09308541A (ja) 内歯式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EP2832582A1 (en) Slide rule mechanism
TW201832693A (zh) 具有緩衝功能的連接機構與滑軌總成
EP3812206A1 (en) Slide device
JP500904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21523846A (ja)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082132A (ja)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
JP2014083906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657838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
JP7133709B2 (ja) ダンパー装置
JP2018202994A (ja) スタビライザー
JP7133420B2 (ja) ベビーカー
KR20130044731A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틸트장치
JP2005127372A (ja) 衝撃吸収部材
JP2011220505A (ja) ダンパ
KR20100101536A (ko) 용기홀더장치
JP6962722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機構
JP4615911B2 (ja) シートトラック
JP6911173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