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536A - 용기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용기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536A
KR20100101536A KR1020100020397A KR20100020397A KR20100101536A KR 20100101536 A KR20100101536 A KR 20100101536A KR 1020100020397 A KR1020100020397 A KR 1020100020397A KR 20100020397 A KR20100020397 A KR 20100020397A KR 20100101536 A KR20100101536 A KR 20100101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body
holder main
hold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142B1 (ko
Inventor
도모하루 이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01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과제) 부품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바닥면 지지부재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래크(14)를 가진 케이스(1)와; 용기(C)의 둘레를 구속하는 둘레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기어(5)를 가지며,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사용위치로 상기 래크(14)와 상기 기어(5)의 맞물림을 수반하면서 전환되는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홀더 본체에 근접하는 비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면 지지부재(3)와; 홀더 본체(2)의 이동에 연동하여 바닥면 지지부재(3)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용기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기어(5)에 형성되어 있는 캠(56)과, 바닥면 지지부재(3) 혹은 이 바닥면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암(4)에 형성되어 상기 캠(56)을 따라서 트레이스하는 슬라이드 접촉자(4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용기홀더장치{CONTAINER HOLDER DEVICE}
본 발명은 캔이나 컵류(이하, 용기류(容器類)라 한다)를 유지하는 용기홀더장치에 있어서, 특히 차량의 실내 등에 설치되며, 홀더 본체가 케이스에 대해서 출입함과 아울러 용기류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면 지지부재를 가진 용기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홀더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크를 가진 케이스와; 용기의 둘레를 구속하는 둘레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기어를 가지며,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사용위치로 래크와 기어의 맞물림을 수반하면서 전환되는 홀더 본체와; 홀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홀더 본체에 근접하는 비(非)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둘레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면 지지부재와; 바닥면 지지부재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는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될 때의 부재의 구성으로서 암을 개재하는 구성과 암을 생략하는 구성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도 1∼도 6에 개시된 구조는 바닥면 지지부재가 암을 가지고 있지 않은 타입이며, 이것은 또다른 특허문헌 2의 구조에서도 같다. 이것에 대해서, 도 7과 도 8에 개시된 구조는 바닥면 지지부재가 암을 가지고 있는 타입이다. 전자의 구조에서는 바닥면 지지부재가 홀더 본체에 대해서 후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비지지위치와 지지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홀더 본체 위로 돌출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대해서, 후자의 구조에서는 바닥면 지지부재가 홀더 본체에 대해서 전후 중간부를 지지점으로 하고, 또한 홀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암을 통해서 비지지위치와 지지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홀더 본체를 상하로 교차한 상태로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용기류를 보다 안정한 상태로 지지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전환수단으로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홀더 본체의 케이스 내로의 수납시에는 바닥면 지지부재를 수평하게 접어 두고, 홀더 본체를 케이스 내에서 돌출시킨 상태에서는 탄지수단 내지는 스프링 기구를 이용하여 바닥면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구조와, 특허문헌 2와 같이 케이스의 양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의 만곡부를 이용한 가이드 수단 내지는 캠 기구에 의해서 바닥면 지지부재를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구조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2008-62694호공보 특허문헌2:일본국특허제3918590호공보
특허문헌 1의 전환구조에서는 홀더 본체를 케이스 내에서 돌출시킨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바닥면 지지부재를 회동시켜서 비지지위치에서 지지위치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탄지수단 내지는 스프링 기구용 스프링 부재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스프링의 탄지력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요동이 생기기 쉽고, 또 진동이 가해지면 용기류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 홀더 본체는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바닥면 지지부재와 함께 케이스 내에 끼워지기 때문에 케이스에 대한 초기 조립성도 나빠지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문헌 2의 전환구조에서는 스프링이 필요없어 요동이 작은 이점이 있으나, 케이스의 양 내측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가진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홀더 본체를 케이스 내에서 돌출시킨 상태에서, 바닥면 지지부재를 가이드 레일의 리드 형상에 따라서 비지지위치와 지지위치로 전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용의 금형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따라서 성형이 번거롭고 제작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품수가 적고,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바닥면 지지부재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부재 간의 요동를 억제하기 쉽게 하고, 케이스에 대한 홀더 본체의 조립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도 7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특정하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14)를 가진 케이스(1)와; 용기(C)의 둘레를 구속하는 둘레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기어(5)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사용위치로 상기 래크(14)와 상기 기어(5)의 맞물림을 수반하면서 전환되는 홀더 본체(2)와; 상기 홀더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홀더 본체에 근접하는 비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면 지지부재(3)와; 상기 홀더 본체(2)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3)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용기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기어(5)에 형성되어 있는 캠(56)과,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3) 혹은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암(4)에 형성되어 상기 캠(56)을 따라서 트레이스하는 슬라이드 접촉자(4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환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드 접촉자는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바닥면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암에 형성되는 구성과, 특허문헌 1의 도 1∼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을 생략하는 타입이라면 바닥면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구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전환수단은 어느 쪽의 타입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나 특허문헌 1의 도 7과 도 8의 타입은 바닥면 지지부재가 암 및 각각의 전환수단을 통해서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된다. 이러한 이점은 바닥면 지지부재가 홀더 본체의 사용위치에서 용기류를 삽입하는 둘레 지지부와 교차하는 배치를 가능하게 하며, 이것에 의해서 용기류에 대한 보다 안정한 지지자세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청구항 7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1) 상기 기어(5)는 상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14)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부(50) 및 상기 톱니부(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56)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부(51)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캠(56)은 상기 원통부(51)의 둘레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57) 및 상기 원통부(51)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57)과 연속하여 있는 평행홈(58)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2) 상기 캠(56)은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에 누름접촉되는 요동흡수용 경사편(51b)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청구항 4).
(3)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는 상기 홀더 본체(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평행홈(58) 내에 걸어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홀더 본체(2)에 형성된 맞닿음부(29)에 맞닿는 요동흡수용 돌기부(45)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
(4) 상기 기어(5)와 상기 홀더 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로 향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5)를 탄지하는 탄지수단(6)과,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홀더 본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5)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바닥면 지지부재용의 탄지수단이나 스프링 기구가 필요없게 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케이스의 양 내측면에 형성되는 만곡부를 필수로 한 가이드 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틀을 간이화할 수 있어 그 가공 내지는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조비의 저감과 캠작용을 이용한 안정한 전환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캠이 기어측에 형성되고, 게다가 경사홈 및 평행홈이라는 간이한 홈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홀더 본체의 사용위치, 바닥면 지지부재의 지지위치에서 외부 진동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기어와 바닥면 지지부재의 사이의 불필요한 요동을 감소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홀더 본체의 수납위치, 바닥면 지지부재의 비지지위치에서 외부 진동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기어와 바닥면 지지부재 및 홀더 본체와의 사이의 불필요한 요동을 감소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홀더 본체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래크와 맞물려 있는 기어를 통해서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전환된다. 규제수단은 기어의 초기위치 또는 기준위치에서 탄지수단에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로 반드시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불량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용기홀더장치를 홀더 본체의 수납위치와 사용위치에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a)는 상기 용기홀더장치를 도 1(a)의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약간 이동시켜서 바닥면 지지부재를 지지위치에서 비지지위치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부를 일부 파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상기 용기홀더장치의 부재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도 4(d)는 상기 용기홀더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규제수단을 구성하는 상기 기어와 홀더 본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바닥면 지지부재의 지지위치에서 상기 기어와 암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 도 6(b)는 상기 기어와 암 및 바닥면 지지부재에 관한 지지위치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도 6(c)는 도 6(b)의 A-A선 단면도
도 7(a)는 바닥면 지지부재의 비지지위치에서 상기 기어와 암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 도 7(b)는 상기 기어와 암 및 바닥면 지지부재에 관한 비지지위치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 측면도
도 8(a)∼도 8(c)는 홀더 본체를 케이스에 조립하는 조작 요령을 나타내는 모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장치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구조)
본 실시형태의 용기홀더장치(9)는 래크(14)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바닥면 지지부재(3)와, 홀더 본체(2)의 전방측 오목부(25)에 지지된 기어(5)와, 바닥면 지지부재(3)와 기어(5)의 작동을 연결하고 있는 암(4)과, 기어(5)와 오목부(25)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지수단(6)과, 푸쉬ㆍ푸쉬식 래치수단{회동편(7)의 핀부(7a)와 캠홈(16)}과, 회전댐퍼(8)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구조의 특징은,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래크(14)와 기어(5)의 맞물림을 통해서 케이스(1) 내에서 인출되는 사용위치와 케이스(1)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구성과; 홀더 본체(2)와 기어(5)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지수단(6)을 가지며, 기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수단(6)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기어(5)가 상기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홀더 본체(2)를 사용위치(또는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과; 홀더 본체(2)의 이동에 연동하여 바닥면 지지부재(3)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기어(5)에 형성되어 있는 캠(56)과 바닥면 지지부재(3) 혹은 바닥면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암(4)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접촉자(44)를 가지는 구성;에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 지지부재(3)에 연결되는 암(4)을 가지며, 바닥면 지지부재(3)가 암(4) 및 본 발명의 전환수단{기어(5)의 캠(56) 및 암(4)의 슬라이드 접촉자(44)}을 통해서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환수단은 이 실시형태에 제약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전환수단{기어(5)의 캠(56) 및 암(4)의 슬라이드 접촉자(44)}은 특허문헌 1의 도 1∼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을 생략하고, 바닥면 지지부재(3)에 슬라이드 접촉자(44)를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용기홀더장치(9)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는 탄지수단(6)을 제외하고 케이스(1), 홀더 본체(2), 바닥면 지지부재(3), 암(4), 기어(5), 래치수단용 회동편(7) 및 회전댐퍼(8)의 구성부재가 모두 수지제로 이루어지는데, 수지 이외의 것으로 하여도 지장없다.
이하, 용기홀더장치(9)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공간이 상벽(10)과 하벽(11)과 양 측벽(12)과 전단벽에 의해서 구획된 편평한 직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이 개구되어 있다. 상벽(10)은 좌우 중간위치에 전후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광폭의 개구부(13)와, 개구부(13)의 일측 내면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래크(14)와, 양측 위치에 전후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소폭의 1쌍의 가이드 홈(15)과, 상벽(10)의 내면(10a)측에 형성되며 각각의 전단이 대응하는 가이드 홈(15)의 후단에 연이어 통하여 있는 1쌍의 위치결정홈(10b)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14)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9)를 가지고 있다.
래크(14)의 톱니부는 그 후단측의 톱니형상을 도 3의 하측에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상(異形狀)의 톱니(14a){이하, 단순히 "이형상 톱니"라 한다}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형상 톱니(14a)는 다른 톱니들에 비해서 2∼3배 두꺼운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다. 1쌍의 가이드 홈(15) 중 일방의 가이드 홈(15)에는 그 전방측에 직사각형의 창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창부(15a)를 통해서 케이스(1) 내부가 노출되어 있다. 볼록부(19)는 래크(14)의 이형상 톱니(14a)의 후단측에 위치하며, 내부공간의 입구측에서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19a)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하벽(11)의 내면에는 상기 창부(15a)의 직하에 래치수단을 구성하는 하트형의 캠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16)은 후술하는 홀더 본체(2)를 회동편(7)의 핀부(7a)를 통해서 홀더 본체(2)의 수납위치에 걸어 유지한다. 또, 양 측벽(12)에는 부착용 고정부(17)가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12)의 내면에는 가이드 홈(18)이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공간에 대응한 대략 직육면체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부(20)로 되어 있으며, 이 틀부(20)는 용기삽입구멍(21)을 구획하고 있는 후방부분(20a)과, 이 후방부분(20a)의 전방측에 일체화되어 있는 전방부분(20b)으로 이루어진다.
후방부분(20a)은 그 용기삽입구멍(21)이 용기류를 여유있게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양측의 대향 내면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면 지지부재용 가이드 홈(22)과, 후단측에 일체화된 화장판(27)과, 용기삽입구멍(21) 내에 있어서의 화장판(27)에 대응한 좌우 중간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항시 수평하게 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서브 홀더(28)를 가지고 있다.
전방부분(20b)은 기능부재용 배치부로서, 양측의 대향 내면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23)과, 양 측면의 전방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리브(24a)와, 상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리브(24b)와, 일측의 리브(24b)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동편(7)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와, 좌우 중간에서 약간 편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큰 원형상의 오목부(25)와, 오목부(25)의 저면을 관통하는 끼워맞춤구멍(25a) 및 오목부(25)의 둘레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댐퍼용 부착부(25b)와, 오목부(25)의 중심에 돌출형성된 지지축(26)과, 도 3의 파단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의 후방부분(20a)에 가까운 개소에 있어서 지지축(26)과 거의 대향하는 내면에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맞닿음부(29)를 가지고 있다.
각 리브(24a)는 상기 케이스(1)의 가이드 홈(18)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한편, 리브(24b)는 그 후단측이 일단 낮은 단차부(24c)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단측이 전방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되도록 경사시킨 경사부(24d)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브(24b)는 상기 케이스(1)의 각 위치결정홈(10b)에 대해서 각각 대응하는 경사부(24d)를 끼우고서 밀어 넣음으로써 각 가이드 홈(15)에 각각 끼워맞춰지게 되며, 이 끼워맞춤상태로 케이스(1)에 대한 홀더 본체(2)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단차부(24c)는 홀더 본체(2)가 인출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가이드 홈(15)의 대응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1)에 대한 홀더 본체(2)의 빠짐을 저지한다. 이것에 대해서, 끼워맞춤구멍(25a)은 오목부(25)의 후방측에 비교적 큰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구멍(25a)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어(5)의 돌조부(59)가 그 일단측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구멍(25a)에 관련하여, 오목부(25)의 저면에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얕은 홈(25d)이 끼워맞춤구멍(25a)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의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조부(59)는 기어(5)가 도 5의 위치에서 탄지력을 축적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끼워맞춤구멍(25a)에서 상기 얕은 홈(25d)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약 1회전하게 되며, 상기 얕은 홈(25d)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끼워맞춤구멍(25a)과 끼워맞춰진다. 한편, 맞닿음부(29)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5), 즉 지지축(26)에 지지되는 기어(5)와 대향하는 면이 대략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오목부(25)에는 탄지수단(6) 및 기어(5)가 지지축(26)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축(2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5)의 중심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된 슬릿을 가지고 있으며, 이 슬릿에 대해서 탄지수단(6)인 코일스프링의 대응 단부(6b)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어(5)는 축구멍(5a)을 축중심으로 한 둘레에 있어서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어 래크(14)와 맞물리는 톱니부(50)와, 톱니부(50)의 하측에 일체화된 원통부(51)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캠(56)과, 하면에 접근한 측연부(側緣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조부(59)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 중 캠(56)은 원통부(51)의 둘레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경사편(51b)과 경사편(51c)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는 경사홈(57)과, 원통부(51)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되 경사홈(57)과 연속하여 있는 평행홈(58)과, 원통부(51)의 하측 둘레에 형성되되 경사편(51c)의 배면측에서 경사홈(57)의 하측 입구까지 연이어 통하여 있는 하측 평행홈(58a)으로 이루어진다. 돌조부(59)는 경사편(51c)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워맞춤구멍(25a)과 함께 본 발명의 규제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돌조부(59)는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짐으로써 기어(5)가 탄지수단(6)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 기어(5)의 상단면측에는 축구멍(5a)의 상측을 구획하고 있는 링부(52a), 링부(52a)의 하측 둘레에 일체화되어 있는 원통 단면부(52b)와, 원통 단면부(52b)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탄지수단용 걸림구멍(52e)과, 원통 단면부(52b)와 톱니부(50)의 사이를 일단 낮게 하고 있는 단차 오목부(52c)와, 원통 단면부(52b)의 외주와 단차 오목부(52c)의 톱니부측 내주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보강 리브(52d)와, 걸림구멍(52e)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톱니부(50)의 일부와 함께 약간 낮게 한 도피부(53)와, 도피부(53)의 후방측을 더욱 낮게 한 걸어맞춤 오목부(54)와, 톱니부(50) 중 도피부(53)를 구성하고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54)에 접근한 톱니부분을 일단 낮게 잘라낸 걸어맞춤부(5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중 걸림구멍(52e)에는 탄지수단(6)의 대응 단부(6a)가 걸려 고정된다. 즉, 이 구조에 있어서, 탄지수단(6)은 예를 들면 그 하측 단부(6b)가 상기한 지지축(26)의 슬릿에 대해서 걸려 고정되고, 상측 단부(6a)가 걸림구멍(52e)에 걸려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탄지수단(6)은 기어(5)가 소정 각도 회전됨으로써 초기 탄지력을 축적하고, 동시에 돌조부(59)가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초기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기어(5)의 회전을 저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규제수단은 돌조부(59)가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탄지력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기어(5)의 회전은 허용한다.
도피부(53)는 대략 L자형 리브(55)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조립될 때에 상기 케이스(1)의 볼록부(19)와 맞닿는 부분이다. 걸어맞춤 오목부(54)는 상기 케이스(1)의 볼록부(19)와 걸어맞춰지는 개소이다. 걸어맞춤부(54a)는 상기 피걸어맞춤부인 이형상 톱니(14a)와 함께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리브(55)는 L자형의 수직편(55a)과 수평편(55b)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편(55b)은 걸어맞춤 오목부(54)의 일부도 구획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는 양측의 가이드 홈(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홀더 본체(2)에 근접하는 비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2)에 대해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용기삽입구멍(21)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면 지지부재(3)와, 바닥면 지지부재(3)와 기어(5)를 연결하는 암(4)이 설치되어 있다.
암(4)은 상기 용기삽입구멍(21) 내의 전방측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간(40) 및 지지간(40)의 양단에 돌출형성된 축부(42)와, 지지간(40)의 좌우에 일체화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1쌍의 암부(41) 및 각 암부(41)의 선단 외면에 돌출형성된 축부(43)와, 지지간(40)의 중앙에서 약간 좌측으로 치우친 개소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접촉자(44) 및 슬라이드 접촉자(44)의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4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바닥면 지지부재(3)는 상기 용기삽입구멍(21)의 내측에 수납되는 크기의 대략 직사각형 틀체(30)로 이루어지며, 용기류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판부(31)와, 바닥판부(31)와 대향하며 용기류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32)와, 양측에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축부(34) 및 축구멍(35)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회동편(7)은 상기 캠홈(16)의 홈형상을 따라서 선회하는 트레이스용 핀부(7a)를 가지며, 홀더 본체(2)의 지지부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회동편(7)은 상기한 하트형의 캠홈(16)과 함께 래치수단인 푸쉬ㆍ푸쉬 걸림기구를 구성하며, 홀더 본체(2)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수납위치로 전환하였을 때에 걸리고, 다음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이 해제된다.
회전댐퍼(8)는, 예를 들면 공지의 회전기어(8a)를 가진 유압식 회전댐퍼로서, 회전기어(8a)가 본체(8b) 내의 작동유에 의해서 저항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댐퍼(8)는 본체(8b)에 일체화된 부착편부(8c)를 가지며, 부착부(25b)에 대해서 압입조작에 의해서 장착된다. 이 회전댐퍼(8)의 작동은, 회전기어(8a)가 상기 기어(5)의 톱니부(50)와 맞물려 있으며, 이 맞물림에 의해서 홀더 본체(2)가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서 수납위치에서 사용위치까지 이동될 때에 회전댐퍼(8)의 제동력을 받아 저속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조립)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수순의 일례에 의해서 조립된다. 즉, 작업 수순으로서는 홀더 본체(2)에 대해서 상기한 요령으로 기어(5) 및 탄지수단(6)과 회동편(7)과 회전댐퍼(8)가 조립된다. 또,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는 바닥면 지지부재(3) 및 암(4)이 조립된다. 이 경우, 암(4)은 홀더 본체(2)에 대해서 각 축부(42)를 대응하는 축구멍(23)에 끼워맞춤으로써 홀더 본체(2)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때는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기어(5)의 캠(56){통상은 경사홈(57)}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암(4)은 각 암부(41)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된다. 바닥면 지지부재(3)는, 예를 들면 각 축부(34)를 용기삽입구멍(21) 내의 대응하는 가이드 홈(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춘 후, 각 축구멍(35)에 대해서 암(4)의 대응하는 축부(43)를 끼워맞춤으로써 조립된다.
그리고, 바닥면 지지부재(3)는 홀더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암(4)에 대해서 축구멍(35)과 축부(43)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작동이 연결되며,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의 하측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류의 바닥면을 받는 지지위치가 된다. 또, 바닥면 지지부재(3)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로 압입되어 도 1(b)의 사용위치에서 도 1(a)의 수납위치로 전환되는 초기 단계, 즉 도 2에 나타낸 초기 단계가 되면{이 때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을 따라서 평행홈(58)의 입구 부근까지 슬라이드 이동된다},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거의 수평상태로 수납되는 비지지위치가 된다. 이후는 홀더 본체(2)의 케이스(1) 내로의 삽입정도에 따라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평행홈(58)을 따라서 슬라이드된다.
환언하면, 홀더 본체(2)는 케이스(1) 내로의 삽입조작에 의해서 도 1(b)의 사용위치의 상태로 조립되어 지지된다. 도 8은 이 때의 세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되고 있는 초기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양측의 리브(24a)를 대응하는 가이드 홈(18)에 일치시키고 또한 양측의 경사부(24d)를 대응하는 위치결정홈(10b)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압입 조작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홀더 본체(2)는 양측의 경사부(24d)가 대응하는 위치결정홈(10b)을 따라서 들어감으로써 각 리브(24b)가 가이드 홈(15)에 끼워맞춰지게 되고, 또한 홀더 본체(2)를 다시 인출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에 각 단차부(24c)가 가이드 홈(15)의 대응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1)에 대한 빠짐이 저지된다.
도 8(b)와 도 8(c)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조립되는 도중상태와 조립완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구조에 있어서, 기어(5)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초기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 중 상기 볼록부(19)를 형성하고 있는 구획벽{상벽(10)}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볼록부(19)를 통과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8(b)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로 삽입됨에 따라서 기어(5)의 도피부(53)가 볼록부(19)와 맞닿게 되고, 이 맞닿음상태에서 더 삽입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구조에서는, 볼록부(19)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19a)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19)가 당해 볼록부(19)를 형성하고 있는 구획벽{상벽(10)}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기어(5)의 도피부(43)에 올라타게 된다. 또한, 볼록부(19)의 대응 측면이 리브(55)의 수직편(55a)을 따라서 위치결정되도록 안내되면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된다. 그 후, 기어(5)의 도피부(53)가 볼록부(19)를 통과하면, 볼록부(19)가 걸어맞춤 오목부(54)와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기어(5)의 톱니부(50)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에 인접하는 톱니를 일단 낮게 형성한 걸어맞춤부(54a)가 래크(14)의 피걸어맞춤부인 이형상 톱니(14a)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한 각 맞물림은 상기 구획벽 부분이 탄성변위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에 '찰칵'하는 조립음을 수반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홀더 본체(2)가 확실하게 케이스(1)에 조립된 것을 상기한 조립음을 들음으로써, 또한 걸어맞춤부(54a)와 이형상 톱니(14a)의 걸어맞춤상태를 눈으로 점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구조에서는 기어(5)가 래크(14)와 맞물림과 동시에 볼록부(19)가 걸어맞춤 오목부(54)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도피부(53) 및 걸어맞춤 오목부(54)를 구획하고 있는 리브(55)의 수평편(55b)을 볼록부(19)의 단면에 걸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구조에서는 기어(5)와 래크(14)의 맞물림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기어(5)가 불필요하게 래크(14)에서 빠지는 우려를 확실하게 해소하고 있다.
(작동)
이상의 용기홀더장치(9)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1) 도 1(a) 및 도 7은 홀더 본체(2)를 케이스(1) 내로 밀어넣은 수납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납위치에 있어서, 탄지수단(6)에는 상기 홀더 본체(1)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전환될 때에 기어(5)가 래크(14)와 맞물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어(5)의 회전량에 비례한 탄지력이 축적되게 된다. 홀더 본체(2)는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래치수단{즉, 회동편(7)의 핀부(7a)와 하트형의 캠홈(16)의 걸어맞춤}을 통해서 케이스(1)에 수납된 수납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수납상태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평행홈(58)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슬라이드 접촉자(44)의 후방측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돌기(45)가 전방부분(20b)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29)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홀더 본체(1)의 수납위치, 바닥면 지지부재(3)의 비지지위치에서, 예를 들면 주행시에 외부 진동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기어(5) 및 암(4)과 바닥면 지지부재(3)의 사이의 불필요한 요동을 거의 해소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홀더 본체(2)를 사용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홀더 본체(2)의 화장판(27)을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홀더 본체(2)는 핀부(7a)와 캠홈(16)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기어(5)가 탄지수단(6)에 축적되어 있던 탄지력에 의해서 래크(14)와 맞물리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1(b)의 사용위치로 전환된다. 이 전환과정에서는 기어(5)가 회전댐퍼(8)에 의해서 저속으로 회전되게 됨으로써 홀더 본체(2)의 급속한 이동이 완화된다. 또, 바닥면 지지부재(3)는 암(4)의 슬라이드 접촉자(44)와 기어(5)의 캠(56)의 캠작용에 의해서 비지지위치에서 홀더 본체(2)와 상하로 교차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이 사용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경사홈(57)의 하측에서 이 경사홈(57)을 구획하고 있는 좌측의 경사편(51b)과 누름접촉되어 있다. 또한, 이 누름접촉력은 탄지수단(6)이 상기한 초기 탄지력을 축적한 상태에서, 기어(5)가 상기 돌조부(59)와 상기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과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상기 초기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는 구성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홀더 본체(1)의 사용위치, 바닥면 지지부재(3)의 지지위치에서, 예를 들면 주행시에 외부 진동이 가해졌을 때, 적어도 기어(5) 및 암(4)과 바닥면 지지부재(3)의 사이에 불필요한 요동을 거의 해소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상태에서는 용기류(C)가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면, 용기류의 바닥면이 바닥면 지지부재(3)의 바닥판부(31)에 놓여져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류의 둘레가 측면 지지부(32)와 서브 홀더(28)의 사이에 구속되어 안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3) 홀더 본체(2)를 다시 수납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도 1(b)의 상태에서 홀더 본체(2)의 화장판(27)을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이 구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로 약간 압입되어 사용위치에서 도 1(a)의 수납위치로 전환되는 초기 단계에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을 따라서 평행홈(58)의 입구 부근까지 슬라이드되고, 이것에 연동하여 바닥면 지지부재(3)가 암(4)을 통해서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거의 수평상태로 수납되는 비지지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3)의 전환은 기어(5)가 래크(14)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작동에 연동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바닥면 지지부재(3)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으로서 상기한 캠(56) 및 슬라이드 접촉자(44)에 의해서 확실하면서 안정한 전환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하등 제약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다양한 장치에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는,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에 장비되는 차재용 용기홀더장치를 상정하였으나, 그 외의 일반 차량에 있어서의 좌석 주변의 소품수용장치, 가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케이스 10 - 구획벽을 구성하고 있는 상벽
15 - 가이드 홈 2 - 홀더 본체
21 - 용기삽입구멍(둘레 지지부) 22 - 가이드 홈
25 - 오목부 3 - 바닥면 지지부재
34 - 축부 35 - 축구멍
4 - 암 42,43 - 축부
5 - 기어 5a - 축구멍
50 - 톱니부 52e - 걸림구멍
6 - 탄지수단 6a,6b - 단부
7 - 회동편(래치수단) 7a - 트레이스용 핀부
8 - 회전댐퍼 9 - 용기홀더장치
14 - 래크 16 - 캠홈(래치수단)
25a - 끼워맞춤구멍(규제수단) 29 - 맞닿음부
44 - 슬라이드 접촉자 45 - 돌기부
56 - 캠 57 - 경사홈
58 - 평행홈 59 - 돌조부(규제수단)

Claims (7)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14)를 가진 케이스(1)와; 용기(C)의 둘레를 구속하는 둘레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기어(5)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 및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사용위치로 상기 래크(14)와 상기 기어(5)의 맞물림을 수반하면서 전환되는 홀더 본체(2)와; 상기 홀더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홀더 본체에 근접하는 비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에 대해서 하측으로 회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 지지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면 지지부재(3)와; 상기 홀더 본체(2)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3)를 지지위치와 비지지위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용기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기어(5)에 형성되어 있는 캠(56)과,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3) 혹은 상기 바닥면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암(4)에 형성되어 상기 캠(56)을 따라서 트레이스하는 슬라이드 접촉자(4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5)는 상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래크(14)와 맞물리는 톱니부(50) 및 상기 톱니부(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캠(56)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부(51)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캠(56)은 상기 원통부(51)의 둘레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홈(57) 및 상기 원통부(51)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홈(57)과 연속하여 있는 평행홈(58)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56)은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에 누름접촉되는 요동흡수용 경사편(51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56)은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에 누름접촉되는 요동흡수용 경사편(51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자(44)는 상기 홀더 본체(2)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평행홈(58) 내에 걸어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홀더 본체(2)에 형성된 맞닿음부(29)에 맞닿는 요동흡수용 돌기부(4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5)와 상기 홀더 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로 향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5)를 탄지하는 탄지수단(6)과,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홀더 본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에 끼워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5)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어(5)와 상기 홀더 본체(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로 향해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기어(5)를 탄지하는 탄지수단(6)과,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홀더 본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에 끼워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5)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홀더장치.
KR1020100020397A 2009-03-09 2010-03-08 용기홀더장치 KR101072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5590A JP5317773B2 (ja) 2009-03-09 2009-03-09 容器ホルダ装置
JPJP-P-2009-055590 2009-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36A true KR20100101536A (ko) 2010-09-17
KR101072142B1 KR101072142B1 (ko) 2011-10-11

Family

ID=4272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97A KR101072142B1 (ko) 2009-03-09 2010-03-08 용기홀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17773B2 (ko)
KR (1) KR101072142B1 (ko)
CN (1) CN102348579B (ko)
MY (1) MY166070A (ko)
WO (1) WO2010103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1886B2 (ja) * 2010-08-27 2015-02-18 イオ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車両用容器ホルダ
CN102407797B (zh) * 2011-11-01 2013-04-24 宁波帅特龙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用杯托
JP6622749B2 (ja) * 2017-04-25 2019-12-18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802B2 (ja) * 1994-04-28 2000-11-27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CN2262508Y (zh) * 1996-04-08 1997-09-17 王旭义 汽车前座两座椅间的多功能置物器
JPH10272979A (ja) * 1997-03-31 1998-10-13 Piolax Inc 容器保持装置
JP4865164B2 (ja) * 2001-08-29 2012-02-01 株式会社ニフコ 容器ホルダー
KR100551790B1 (ko) * 2004-03-31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 홀더
JP4471096B2 (ja) * 2004-06-03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引出装置
JP5013166B2 (ja) * 2006-09-05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容器ホルダ装置
DE102007005756A1 (de) * 2007-02-06 2008-08-07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8579B (zh) 2013-11-13
WO2010103981A1 (ja) 2010-09-16
KR101072142B1 (ko) 2011-10-11
MY166070A (en) 2018-05-23
JP2010208443A (ja) 2010-09-24
JP5317773B2 (ja) 2013-10-16
CN102348579A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2696B2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JP4278099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798845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KR101233940B1 (ko) 유지장치
EP3345781A1 (en) Vehicle lid device
CN112055669B (zh) 收纳箱
US20060060741A1 (en) Cup holder
KR101072142B1 (ko) 용기홀더장치
US7121517B2 (en) Cup holder assembly with sliding partial ring
JP2017165390A (ja) カップホルダ
KR101114070B1 (ko) 이동체의 구동장치
KR20050003987A (ko) 컵 홀더 장치
WO2012161034A1 (ja) カップホルダー
KR20030025165A (ko) 물품수용장치
JP5880240B2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JP201720273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JP2017048502A (ja) 引き違い戸装置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JP5016350B2 (ja) 車両用物入装置
JP2013220711A (ja) 両開き収納ボックス
JP2001199272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20150002639U (ko) 컵홀더
JP7461600B2 (ja) 車両用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