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911A -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911A
KR20180134911A KR1020187030119A KR20187030119A KR20180134911A KR 20180134911 A KR20180134911 A KR 20180134911A KR 1020187030119 A KR1020187030119 A KR 1020187030119A KR 20187030119 A KR20187030119 A KR 20187030119A KR 20180134911 A KR20180134911 A KR 2018013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rrow
grip portion
base portion
low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181B1 (ko
Inventor
가즈데 후지와라
겐스케 몬도리
히데오 노우치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게다가 부품 점수가 적은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상부 파지부와 해당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마련된 화살부와, 상기 화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파지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에 나사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화살부를 압압하는 지지체와, 상기 하부 파지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본 발명은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전주 사이에 가설된 통전 상태의 전선을 절단할 때에 이용하는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전주 사이에 가설된 통전 상태의 전선(이하, 단지 「활선」이라고 함)을 절단하는 공법으로서, 전선의 절단되어야 할 개소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간된 2개의 위치에,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 및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를 그립하고, 그 후에 해당 한쪽 및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를 각각 인장 기구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 인장 기구에 의해서 해당 한쪽 및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를 각각 인장하고, 상기 전선의 절단되어야 할 개소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간된 2개의 위치의 사이의 활선에 느슨함을 발생시키고, 활선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활선 배분 공법이 종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활선 배분 공법으로서, 특허문헌 1(도 9 참조)에는 신축 조작 가능한 신축봉(52)의 양단에 각각 와이어 그립퍼(53, 54)를 부착하는 동시에, 일단의 와이어 그립퍼(53)는 신축봉(52)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활선 배분 공구(51)를 이용하고,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53)를 활선(W)의 절단 개소의 일측부에 건 후, 신축봉(52)을 활선을 따르게 하여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54)를 절단 개소의 타측부에 걸고, 다음에 원격 조작봉(55)으로 신축봉(52)을 조작하여 수축시킴으로써, 2개의 와이어 그립퍼(53, 54)에 의해서 활선(W)을 강하게 파지하는 동시에 2개의 와이어 그립퍼(53, 54)를 서로 접근 이동시켜 그들 사이의 활선(W)을 느슨하게 하고, 이 느슨해진 부분을 절단 기구(56)로 절단하는 활선 배분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활선 배분 공법의 경우, 활선 배분 공구(51)의 일단의 와이어 그립퍼(53)가 신축봉(52)의 일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활선 배분 공구(51)의 작업 장소로의 운반시나 준비작업 중 등에, 신축봉(52)의 일단의 와이어 그립퍼(53)가 부주의하게 스윙 동작하여 신축봉(52)이나 주위의 기재 등에 충돌하여, 와이어 그립퍼(53) 자체 또는 주위의 기재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특허문헌 2에는 신축 조작 가능한 신축봉의 양단에, 각각 제 1 전선 파지부 및 제 2 전선 파지부가 배치되고, 제 1 전선 파지부에, 그 파지 기구를 신축봉의 축심 방향을 따른 자세와 대략 90° 굴곡된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신축봉의 일단에 연결하는 제 1 연결 수단을 마련하고, 제 1 연결 수단에 파지 기구의 자유로운 요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수단을 마련하고, 제 2 전선 파지부에, 그 파지 기구를 신축봉의 축심 방향을 따른 자세에서 신축봉의 타단에 연결하는 제 2 연결 수단을 마련한 활선 배분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제 1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를 대략 90° 굴곡된 자세로 하여 신축봉의 타단측을 들어 활선의 절단 개소의 일측부에 장착하고, 다음에 원격 조작봉으로 신축봉의 타단측을 들어올려 신축봉을 활선을 따르게 하고, 제 2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를 절단 개소의 타측부에 장착하고, 그 후, 원격 조작봉으로 신축봉을 조작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에 있어서 각각 활선이 강하게 파지되는 동시에 양 전선 파지부가 서로 접근 이동하여 그들 사이의 활선이 느슨하게 되고, 이 느슨해진 부분을 절단 기구로 절단함으로써 작업 능률좋게 커팅 공법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제 1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를 신축봉의 일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 수단에 제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파지 기구가 부주의하게 스윙 동작하여 신축봉이나 주위의 기재 등에 충돌하여, 파지 기구 자체나 주위의 기재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 파지 기구의 부주의한 스윙 동작에 의한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전선을 인장한 상태에서 2∼3일 방치해 두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전선에 있어서의 전선 파지부로 파지하는 부위의 절연 피복층을 벗겨내고, 전선 파지부의 한 쌍의 그립부에서 소선을 직접 파지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이것은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활선 배분 공구의 신축봉의 양측에 각각 전선 파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의 파지해야 할 2개소의 절연 피복층에 대해 치수를 측정하여 소요 길이만큼 벗겨낸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활선 배분 후에, 전선의 절연 피복층을 벗겨낸 개소를 수복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거롭다. 또한, 장시간에 있어서 비바람에 노출되면, 수복 개소로부터 빗물이 침입하여 누전될 우려도 있다.
절연 피복층을 벗겨내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선의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선 파지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의 전선 파지부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점(추축(pivot)(59))과 작용점(추축(60))이 연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그 이후는 연결 부재(50)의 인장력이 가동측 그립부(53)의 밀어올림력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전선(54)이 가느다란 것인 경우에는 이 전선(54)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없다.
이러한 특허문헌 3 및 4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5의 전선 파지부에서는 계지 소편은 심선의 외주면에 대응한 곡률 반경으로 만곡된 직선형상의 티스부가 심선의 축선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잠식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선 파지부에 마련되어 있는 원뿔형상의 스파이크로 이루어지는 계지부에 비해 현격히 큰 억제력이 심선에 대해 작용하므로, 전선을 인장한 상태에서 2∼3일 동안 방치해 둘 때에, 어떠한 원인으로 전선 파지부에 대해 충격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심선에 약간 잠식하고 있는 각 계지 소편이 양 그립부로부터 전선이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양 그립부의 사이로부터 전선이 빠져나오는 바와 같은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 계지 소편은 그 티스부를 심선에 약간 잠식시키는 것만으로 큰 억제력을 발휘하므로, 스파이크로 이루어지는 계지부와 같이 심선의 소선에 대해 직경의 1/3 정도까지 잠식시키는 경우에 비해, 심선에 주는 데미지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선 파지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절연 피복층을 벗겨내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종래의 와이어 그립퍼에서는 핫 풀러(hot puller)에 전선을 파지(척킹)시킬 때에, 전선의 심선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한다고 하는 극히 귀찮은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도 11, 도 12에 나타나는 와이어 그립퍼도 종래 알려져 있다. 이 와이어 그립퍼는 상부 파지부(52)와, 해당 상부 파지부(52)에 평행한 하부 파지부(53)와, 해당 상부 파지부(52) 및 하부 파지부(53)에 각각 한 쌍의 스파이크(58, 58),(59, 59)를 통해 한 쌍의 링크(51A, 51B)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쪽의 링크(51A)의 상부 파지부(52)의 측의 스파이크(58)에 일단이 고착되고, 다른쪽의 링크(51B)에는 암나사부(F)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M)가 마련되고, 한 쌍의 링크(51A, 51B)의 단부(59, 59)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봉형상체(5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와이어 그립퍼는 수나사(M)를 조이면,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나사(M)가 스파이크(58)의 회전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파지부(53)에 접근해 간다.
이 와이어 그립퍼의 경우, 수나사(M)의 조임력(수나사(M)의 길이 방향의 힘)이 수직 방향 성분과 수평 방향 성분으로 분산되어 버리므로 강한 조임력이 얻어지지 않는 것, 상부 파지부(52)와, 해당 상부 파지부(52)에 평행한 하부 파지부(53)의 사이에 협지되는 전선에 균일한 그립력(조임력)이 얻어지지 않는 것이 문제점으로서 존재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8330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88256호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2948786호 명세서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 제3015352호 명세서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304969호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4-193085호
상기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 제 1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를 대략 90° 굴곡된 자세로 해서 신축봉의 타단측을 들어 활선의 절단 개소의 일측부에 장착한다고 하는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며, 작업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게다가, 제 1 전선 파지부의 파지 기구를 신축봉의 일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연결 수단에 제동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5에 기재된 발명의 경우, 양 그립부로부터 전선이 빠져 나오는 것을 심선에 약간 잠식하고 있는 각 계지 소편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심선에 약간 잠식하고 있는 것의 객관적인 판단이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특허문헌 1 내지 5와 도 11 내지 12의 와이어 그립퍼의 결점을 제거하고,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큰 그립력(조임력)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부품 점수가 적은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청구항 1)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상부 파지부와 해당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마련된 화살부(arrow part)와, 상기 화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파지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에 나사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화살부를 압압하는 지지체와, 상기 하부 파지부를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간하지 않도록 하는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공동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타고 넘는 2개의 다리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해당 2개의 다리부끼리를 연결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별체로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또,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내에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또, 상기 하부 파지부의 상기 상부 파지부가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스파이크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본 발명의 제 2 양태(청구항 5)는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와이어 그립퍼를 2개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로서,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대해 서로 이간되어 그립되고, 신축 가능한 신축봉의 일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고, 상기 신축봉의 타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배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청구항 1 내지 2)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상부 파지부와 해당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마련된 화살부와, 상기 화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파지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에 나사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화살부를 압압하는 지지체와, 상기 하부 파지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게다가 부품 점수가 적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내에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구성을 구비하면, 작업성이 한층 양호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청구항 5)에 관한 활선 배분 공구는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와이어 그립퍼를 2개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로서,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대해 서로 이간되어 그립되고, 신축 가능한 신축봉의 일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고, 상기 신축봉의 타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게다가 전선의 절연 피복층을 벗겨내고, 또한 공사 종료 후에 테이핑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의 전선으로의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신축봉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신축봉에 대해 인장 조작을 실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신축봉에 대해 인장 조작을 실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를 구성하는 화살부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살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화살부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의 정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활선 배분 공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활선 배분 공구에 사용되는 와이어 그립퍼의 전선으로의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와이어 그립퍼의 그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와이어 그립퍼의 그립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의 전선으로의 부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2 및 3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신축봉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신축봉에 대해 인장 조작을 실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신축봉에 대해 인장 조작을 실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를 구성하는 화살부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화살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립퍼(1)는 전선(W)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3)와, 상부 파지부(3)와 전선(W)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베이스부(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4)와, 하부 파지부(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하부 파지부(4)와 접하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면(5a)과, 사면(5b)을 구비한 화살부(5)로서, 상기 베이스부(2)의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2)에 마련된 나사(Th)를, 전술한 하부 파지부(4)와 맞닿음 불능하게 받아들이는 긴 구멍(G)이 뚫어 마련되고, 베이스부(2)에 대해 횡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화살부(5)와, 화살부(5)의 사면(5b)과 맞닿는 사면(6a)을 구비한 지지체(6)로서, 상기 나사(Th)를 삽입통과하는 구멍(6g)이 뚫어 마련되고, 상기 나사(Th)를 삽입통과하고, 또한 상기 나사(Th)에 고정된 환상 부재(7)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체(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화살부(5)의 횡방향으로 길이(L)에 걸쳐 긴 구멍(G)이 뚫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파지부(3)는 XY 좌표계(직교 좌표계)의 X축 방향이 연장 방향이고, 베이스부의 연장 방향은 Y축 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긴 구멍(G)은 화살부(5)의 상면을 관통하고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의 화살부(5)의 긴 구멍(G)은 도 5의 지면의 하부의 사면(5b)으로부터 위쪽으로 상면(5a)을 관통하지 않고 길이(L)만큼 패인 홈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필수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화살부(5)의 일부에 절결부(5D)를 마련하고, 나사(Th)의 두부에 탈락 방지 링(ThR)을 마련한 것도 본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도 7에 나타나는 실시형태의 경우, 그립되어 있던 전선(W)을 와이어 그립퍼(1)에서 분리할 때에 나사(Th)를 풀어도 화살부(5)나 지지체(6)가 베이스부(2)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부(4L, 8p, 8s)는 하부 파지부(4)에 형성되고, 화살부(5)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공동부(4c)와, 하부 파지부(4)가 베이스부(2)를 타고 넘는 2개의 다리부(4L)와, 베이스부(2)를 통해 해당 2개의 다리부(4L)끼리를 연결하는 가이드부(8p)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한다. 지지체(6)의 사면(6a)의 경사각을 θ로 하고, 지지체(6)가 고정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화살부(5)를 지면 우측에 힘 F로 거리 D만큼 이동시키면, 일량은 F·D이다. 한편, 화살부(5)의 지면 위쪽(수직 방향)의 이동 거리는 D·sinθ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파지부(4)의, 상부 파지부(3)와 대향하는 면(4a)에 복수의 스파이크(P)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의 (a)에는 6개의 스파이크(P)가 나타나 있지만, 스파이크(P)의 수는 6개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립퍼(1)가 적용되는 전선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살부(5)의 지면 위쪽(수직 방향)으로의 힘을 X로 하면 일량은 X·D·sinθ로 되므로, X=F/sinθ로 되어 θ는 0<θ<π/2이므로, sinθ<1이다. 따라서, X>F로 되며, 화살부(5)의 지면 위쪽(수직 방향)으로의 힘 X는 화살부(5)의 지면 우측으로의 힘(인장력) F에 비해 증대한다.
다음에,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부(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지지부(2a)와 하부 지지부(2b)가 상기 베이스부(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는 상부 지지부(2a)와 하부 지지부(2b)가 상기 베이스부(2)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 지지부(2a) 및 하부 지지부(2b)를 상기 베이스부(2)에 용접에 의해서 접합한 것도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지지부(2a)에 상부 파지부(3)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부 지지부(2b)에 암나사(Thf)가 새겨 마련되고, 나사(Th)가 해당 암나사(Thf)와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나사(Th)의 최하부에 아이(eye)(Tha)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가 봉형상의 지그(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나사(Th)를 조이거나, 풀거나 한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립퍼(1)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W)으로의 와이어 그립퍼(1)의 부착은 종래의 링크 기구를 채용한 와이어 그립퍼와 달리,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1)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전선(W)에 2개의 와이어 그립퍼(1)를, 지그를 이용해서 동시에 부착한다(예를 들면, 지면 하측). 그 때, 도 2의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이(Tha)를, 지그(조작봉)를 이용해서 회전 조작하여 풀고, 상부 파지부(3)와 하부 파지부(4)의 사이를 전선(W)의 직경보다 크게 연다.
(2) 다음에, 조작자는 전선(W)을 상부 파지부(3)의 오목 개소(3a)에 끼워 넣고, 그 후에 조작자는 지그를 이용해서 아이(Tha)를 회전 조작하여 나사(Th)를 조인다. 그러면, 나사(Th)가 위쪽을 향해 상승한다. 나사(Th)의 상승에 수반하여 전술한 환상 부재(7)에 지지된 지지체(6)도 상승한다. 그리고, 지지체(6)와 맞닿아 있는 화살부(5), 및 화살부(5)와 맞닿아 있는 하부 파지부(4)도 상승하며, 하부 파지부(4)에 마련된 스파이크(P)가 전선(W)의 외피에 잠식한다(도 3의 (b) 참조).
이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이미 수동에 의해서는 더 이상 나사(Th)를 조일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W)에의 부착을, 종래와는 달리 나사(Th)의 조임에 의해서 하부 파지부(4)를, 전선(W)을 사이에 두고 상부 파지부(3)에 압압하는 것과, 스파이크(P)의 전선의 외피에 잠식함으로써 달성하고 있으므로, 나사(Th)가 풀리지 않는 한, 와이어 그립퍼(1)가 전선(W)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4) 여기서,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와이어 그립퍼(1) 각각의 화살부(5)에 마련된 아이(5c)에 신축봉(10)의 양단에 마련된 연결부(10a, 10b)를 예를 들면 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양쪽의 와이어 그립퍼(1)의 화살부(5)와 종래 공지의 신축봉(10)(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및 5 참조)을 동시에 연결한다(도 4의 (a)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와이어 그립퍼(1)의 화살부(5)와 신축봉(10)이 연결되면, 신축봉(10)을 지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작하여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1)에 대해 인장력 F를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1)에 대해 인장력(-F)을 인가한다. 그러면, 2개의 와이어 그립퍼(1)간의 전선에 느슨해짐이 생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부(5)의 지면 위쪽(수직 방향)으로의 힘 X가 발생한다. 힘 X는 화살부(5)의 지면 우측으로의 힘(인장력) F에 비해 증대하므로 전선(W)으로부터 와이어 그립퍼(1)가 탈락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1)에 의하면, 나사(Th)의 조임에 있어서도, 화살부(5)의 좌우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도, 하부 파지부(4)는 좌우로 이동하는 일 없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스파이크(P)에 부담이 가하지 않는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의 와이어 그립퍼(1)를 2개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20)이다. 이 활선 배분 공구(20)는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1)가 전선(W)에 대해 서로 이간되어 그립되고, 신축 가능한 신축봉(10)의 일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1) 중의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1)의 화살부(5)가 연결되고, 상기 신축봉(10)의 타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1) 중의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1)의 화살부(5)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도 1의 지면 좌측의 와이어 그립퍼(1)와 우측의 와이어 그립퍼(1)에서는 화살부(5)의 방향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것은 와이어 그립퍼(1)의 화살부(5)가 베이스부(2)에 대해 작업자가, 동일한 시선 방향에서 보아 2개의 와이어 그립퍼(1)가 정확하게 전선(W)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시형태 3]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그립퍼(1)도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와이어 그립퍼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2)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3)와, 상부 파지부(3)와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베이스부(2)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4)와, 하부 파지부(4)의 하부에 하부 파지부(4)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화살부(4a)와, 화살부(4a)를 사이에 두고 하부 파지부(4)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6)로서, 베이스부(2)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2b)에 나사부착되고 베이스부(2)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Th)에 의해서 화살부(4a)를 압압하는 지지체(6)와, 하부 파지부(4)를 베이스부(2)로부터 이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8p, 8s)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파지부(3)는 XY 좌표계(직교 좌표계)의 X축 방향이 연장 방향이고, 베이스부의 연장 방향은 Y축에 대해 각도 α(0<α≤30°)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즉, X축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부(2)의 길이 방향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에 대해 각도 θ만큼 기운 Y'축 방향에 평행이며, 이것에 의해, 화살부(4a)를 압압하는 지지체(6)가 전술한 실시형태 1의 기울기 θ의 사면을 갖는 지지체(6)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유지부(8p, 8s)는 하부 지지부(2)에 부착되고, 베이스부(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판(8p)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2)와, 하부 지지부(2b)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SP)내에 하부 파지부(4) 및 화살부(4)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지지체(6)에는 돌기(6p)가 형성되고, 베이스부(2)에는 가이드 홈(2C)이 베이스부(2)의 긴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6p)는 가이드 홈(2C)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 지지체(6)에는 스프링(6S)을 통해 구체(6B)가 직진 가능하게 매립되어 있으므로, 지지체(6)를 베이스부(2)와 유지판(8p)의 사이에 균일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제 1 양태(청구항 1 내지 2)에 관한 와이어 그립퍼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상부 파지부와 해당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마련된 화살부와, 상기 화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파지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에 나사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화살부를 압압하는 지지체와, 상기 하부 파지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게다가 부품 점수가 적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내에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구성을 구비하면(청구항 3), 작업성이 한층 양호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청구항 5)에 관한 활선 배분 공구는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와이어 그립퍼를 2개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로서,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대해 서로 이간되어 그립되고, 신축 가능한 신축봉의 일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고, 상기 신축봉의 타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선에의 파지(그립)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며, 게다가 전선의 절연 피복층을 벗겨내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종래의 와이어 그립퍼에서는 핫 풀러에 전선을 파지(척킹)시킬 때에, 전선의 심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한다고 하는 극히 귀찮은 작업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립퍼에 의하면, 그러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1; 와이어 그립퍼 2; 베이스부
2a; 상부 지지부 2b; 하부 지지부
3; 상부 파지부 4; 하부 파지부
4a; 상부 파지부와 대향하는 면 5; 화살부
5a; 상면 5b; 사면
5c; 아이 5D; 화살부의 절결부
6; 지지체 6a; 사면
6g; 구멍 7; 환상 부재
10; 신축봉 10a, 10b; 연결부
20; 활선 배분 공구 Th; 나사
Tha; 아이 Thf; 암나사
ThR; 탈락 방지 링 W; 전선

Claims (5)

  1. 베이스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전선을 위쪽으로부터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와,
    상기 상부 파지부와 해당 전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파지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와 일체적으로 또는 별체로서 마련된 화살부와,
    상기 화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파지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지지체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지지부에 나사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에 의해서 상기 화살부를 압압하는 지지체와,
    상기 하부 파지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파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공동부와,
    상기 하부 파지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타고 넘는 2개의 다리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해당 2개의 다리부끼리를 연결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별체로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의해서 구성된 공간내에 상기 화살부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상기 화살부가 상기 하부 파지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 파지부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상부 파지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파지부의 상기 상부 파지부와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스파이크가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그립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 그립퍼를 2개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로서,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가 전선에 대해 서로 이간되어 그립되고,
    신축 가능한 신축봉의 일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한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고,
    상기 신축봉의 타단에 상기 2개의 와이어 그립퍼 중의 다른쪽의 와이어 그립퍼의 화살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배분 공구.
KR1020187030119A 2016-04-14 2017-04-10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KR102328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1380 2016-04-14
JPJP-P-2016-081380 2016-04-14
PCT/JP2017/014714 WO2017179550A1 (ja) 2016-04-14 2017-04-10 掴線器及び該掴線器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911A true KR20180134911A (ko) 2018-12-19
KR102328181B1 KR102328181B1 (ko) 2021-11-18

Family

ID=600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119A KR102328181B1 (ko) 2016-04-14 2017-04-10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673213B2 (ko)
JP (1) JP6697810B2 (ko)
KR (1) KR102328181B1 (ko)
CN (1) CN108886240B (ko)
AU (1) AU2017251002B2 (ko)
MY (1) MY187231A (ko)
WO (1) WO2017179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74A (ko) * 2020-01-07 2021-07-15 지상현 간접활선 작업을 위한 장선기용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5653B2 (ja) * 2018-09-21 2021-01-2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活線振り分け工具
JP7038680B2 (ja) * 2019-03-05 2022-03-18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並びに電線の支持及び張緩用器具
JP7504455B2 (ja) 2020-12-08 2024-06-24 大東電材株式会社 電線保護管に取り付けられる固定具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8786B2 (ja) 1997-06-10 1999-09-13 関西電力株式会社 電線把持器
JP3015352B1 (ja) 1998-10-28 2000-03-06 関西電力株式会社 線状体把持器
JP2000083309A (ja) 1998-09-03 2000-03-21 Kyudenko Corp 架線の切断方法
JP2004304969A (ja) 2003-04-01 2004-10-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把持器
JP2005089084A (ja) * 2003-09-17 2005-04-07 Ingu:Kk 掴線器
JP2010088256A (ja)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切分工具
JP2014193085A (ja) 2013-03-28 2014-10-06 Kandenko Co Ltd 三相短絡接地器及びこれを用いた接地工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9443A (en) * 1939-01-25 1940-10-29 Kearney James R Corp Electrical conductor retaining device
US2504360A (en) * 1946-05-27 1950-04-18 Kearney James R Corp Clamp means
US3811105A (en) * 1972-12-29 1974-05-14 S Gerhard Electrical connector
US3824653A (en) * 1973-06-13 1974-07-23 R Sholler Wire grip
US4415222A (en) * 1981-01-19 1983-11-15 Mario Polidori Electrical connector
CA1243120A (en) 1984-02-03 1988-10-11 Brad A. Baggarly Insertion machine with postage categorization and selective merchandising
JPH04207A (ja) * 1990-04-13 1992-01-06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ケーブル張線装置
US5320565A (en) * 1990-06-14 1994-06-14 Nicholas B. Polidori Electrical grid interconnector
US5152701A (en) * 1991-07-24 1992-10-06 Mario Polidori Grid connector
SE502534C2 (sv) * 1994-01-14 1995-11-06 Combisafe Int Ab Balkförankringsanordning
US5547404A (en) * 1995-06-06 1996-08-20 Fargo Mfg. Company Inc. Fixed spacer hot line tap
JP2001304969A (ja) * 2000-04-21 2001-10-31 Murata Mach Ltd 非接触式温度測定装置
US6345808B1 (en) * 2000-05-10 2002-02-12 Jaime Penna Obstacle crossing apparatus for directing cable
JP2002281625A (ja) 2001-03-19 2002-09-27 Yurtec Corp 掴線器
ITTO20020361A1 (it) * 2002-04-29 2003-10-29 Mario Boschetti Morsetto di sospensione per conduttori e relativi attrezzi per la messa in opera del morsetto su di una linea elettrica.
JP4188719B2 (ja) * 2003-02-10 2008-11-26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US7039988B2 (en) * 2003-09-26 2006-05-09 Delri, Llc Single jaw wedge dead end
US7222729B1 (en) * 2003-10-14 2007-05-29 Travis Tonny D Conveyor belt clamping device and method
US7387546B2 (en) * 2006-05-18 2008-06-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mbination wedge tap connector having a visual alignment indicator
JP2008206254A (ja) 2007-02-19 2008-09-04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振分方法
JP2011067007A (ja) * 2009-09-17 2011-03-31 Hokkai Denki Koji Kk 架線切分け工具及びその取付方法
US8727291B2 (en) * 2010-10-19 2014-05-20 Sundance Renewable Solutions, Inc. Apparatus for securing panels to substrates
US8512070B2 (en) * 2010-12-03 2013-08-20 Hubbell Incorporated Spring loaded clamp
CN102394485A (zh) * 2011-08-31 2012-03-28 李刚 钢绞线卡线器
US9263871B2 (en) * 2012-03-02 2016-02-16 Hubbell Incorporated Side-loading straight-line deadend clamp assembly
CN104641522B (zh) 2012-09-21 2017-09-22 株式会社永木精机 抓线器
JP3180307U (ja)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WO2014050171A1 (ja) * 2012-09-28 2014-04-0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US9152382B2 (en) * 2012-10-31 2015-10-06 Intel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fused multiply-add (FMA) unit responsive to input data values
JP5997628B2 (ja) * 2013-02-18 2016-09-28 株式会社永木精機 防護管挿入器
CN203674630U (zh) * 2013-12-04 2014-06-25 国家电网公司 一种新型紧线器夹头
TWI666839B (zh) * 2014-01-30 2019-07-21 日商永木精機股份有限公司 Tightener
DE202014003096U1 (de) * 2014-04-11 2014-06-11 Powerlines Products Gmbh lsolierter gebogener Seitenhalter
US10680357B2 (en) * 2016-08-04 2020-06-09 Hubbell Incorporated Tap clam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8786B2 (ja) 1997-06-10 1999-09-13 関西電力株式会社 電線把持器
JP2000083309A (ja) 1998-09-03 2000-03-21 Kyudenko Corp 架線の切断方法
JP3015352B1 (ja) 1998-10-28 2000-03-06 関西電力株式会社 線状体把持器
JP2004304969A (ja) 2003-04-01 2004-10-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把持器
JP2005089084A (ja) * 2003-09-17 2005-04-07 Ingu:Kk 掴線器
JP2010088256A (ja)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切分工具
JP2014193085A (ja) 2013-03-28 2014-10-06 Kandenko Co Ltd 三相短絡接地器及びこれを用いた接地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874A (ko) * 2020-01-07 2021-07-15 지상현 간접활선 작업을 위한 장선기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3213B2 (en) 2020-06-02
CN108886240A (zh) 2018-11-23
AU2017251002A2 (en) 2018-11-29
US11101625B2 (en) 2021-08-24
KR102328181B1 (ko) 2021-11-18
JP6697810B2 (ja) 2020-05-27
US20200287363A1 (en) 2020-09-10
MY187231A (en) 2021-09-13
US20190115732A1 (en) 2019-04-18
WO2017179550A1 (ja) 2017-10-19
AU2017251002A1 (en) 2018-10-11
AU2017251002B2 (en) 2021-04-22
CN108886240B (zh) 2021-09-28
JPWO2017179550A1 (ja)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911A (ko) 와이어 그립퍼 및 해당 와이어 그립퍼를 이용한 활선 배분 공구
US4911572A (en) Cable tie back clamp
EP2899818B1 (en) Wire gripper
JP5980844B2 (ja) 電線仮接続装置及び電線仮接続方法
JP5714343B2 (ja) 被切体切断用工具及び被切体の切断方法
JP2013062960A (ja) 間接活線用張線装置
JP4546949B2 (ja) 碍子取付方法および碍子取外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割ピン取付具
JP5856127B2 (ja) ロケーター及びワイヤー停止装置、手動圧着工具、コネクターを配置し且つ保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242477A (ja) 掴線器
JP5872519B2 (ja) 間接活線作業用ラチェット工具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JP5931575B2 (ja) 間接活線把持工具
KR20070020854A (ko) 케이블 필러
JP5960233B2 (ja) 間接活線工事用コッター及び間接活線工事用アダプタ
JP2016039722A (ja) アーム取付け間接工法及びアーム取付け工具
US10682740B2 (en) Clamping device and method
KR200488890Y1 (ko) 족장 고정 장치
JP2017123760A (ja) 間接活線工事用工具
JP2017070136A (ja) 電線の支持及び張緩用器具
JP6481444B2 (ja) 間接活線工法
JP2000261922A (ja) 活線遠隔作業器具
JP6320825B2 (ja) 高圧引下線接続用コネクタ把持具
JP6350809B2 (ja) 切断機ノズルヘッド支持装置
WO2022102566A1 (ja) 活線振分工具
JP2511821Y2 (ja) 間接活線作業用のスリ―ブ挿入ガイ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