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77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775A
KR20180129775A KR1020187025184A KR20187025184A KR20180129775A KR 20180129775 A KR20180129775 A KR 20180129775A KR 1020187025184 A KR1020187025184 A KR 1020187025184A KR 20187025184 A KR20187025184 A KR 20187025184A KR 20180129775 A KR20180129775 A KR 2018012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foot pedal
operation pattern
patter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404B1 (ko
Inventor
다이스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풋 페달(22)을,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후측을 밟는 조작이 가능한 전후 밟기 패턴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만이 가능한 앞쪽 밟기 한정 패턴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에서 풋 페달(22)의 동작을 고정하는 고정 패턴의 3개의 동작 패턴 중 어느 동작 패턴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밟기 조작되는 풋 페달(foot pedal)이 마련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적인 예가 되는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선회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에 부앙(俯仰)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을 갖고 있다. 이 선회 프레임의 왼쪽 전측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실(cab)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실 내에는, 플로어 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다. 또, 플로어 부재의 전측은, 운전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는 발판부가 되고, 이 발판부의 전측 위치에는, 하부 주행체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용 페달 장치가 레버와 함께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의 프론트 장치에는, 작업 도구로서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하기 위한 버킷이 장비되어 있다. 그러나, 유압 셔블은, 토사의 굴삭 작업 외에, 건축물의 해체 작업에도 이용된다. 이 경우, 프론트 장치에는, 버킷 대신에, 철골을 절단하는 커터, 철골이나 콘크리트 편(片)을 이송하는 그래플(grapple), 벽이나 콘크리트 편을 파쇄하는 브레이커가 장비된다(이하, 커터, 그래플, 브레이커를 추가 작업 도구라고 함).
따라서, 플로어 부재의 발판부에는, 주행용 페달 장치의 측방에 위치하여, 추가 작업 도구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 페달 장치가 마련된다. 이 추가 페달 장치는, 플로어 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밸브 케이스를 갖고, 발판부로부터 돌출한 밸브 케이스의 상측 부위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갖는 파일럿 밸브와, 파일럿 밸브의 회동부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풋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풋 페달은, 파일럿 밸브의 회동부가 자유 상태의 중립 위치로부터 전측을 밟은 앞쪽 밟기 위치와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측을 밟은 뒷쪽 밟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밟기 조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유압 셔블은, 토사의 굴삭 작업과 건축물의 해체 작업에 의해서 프론트 장치에 다른 작업 도구가 장착된다. 프론트 장치에 버킷이 장착된 경우에는, 추가 페달 장치를 조작하는 일은 없다. 한편으로, 버킷 대신에, 프론트 장치에 추가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추가 페달 장치의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추가 페달 장치에는, 풋 페달을 밟기 조작할 때의 동작 패턴을 전환하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프론트 장치에 버킷이 장착된 경우에 추가 페달 장치의 조작을 고정하는 고정 패턴과, 프론트 장치에 추가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는, 추가 페달 장치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의 일례로서는, 풋 페달의 측방 위치에 풋 페달을 덮을 수 있는 페달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1-33612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의한 것에서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프론트 장치에 버킷이 장착된 경우에 고정 패턴으로 전환하고, 프론트 장치에 추가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 조작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커터와 그래플은, 잡는(끼우는) 동작과 놓는(개방하는)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풋 페달의 후측을 밟는 조작의 2개의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브레이커는, 타격의 온, 오프뿐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의 1개의 조작만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래서, 브레이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와는 별도로, 볼트나 핀을 미리 구비하고, 이 볼트, 핀을 이용하여 풋 페달의 후측을 밟는 조작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도구로서 브레이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핀의 빼고 꽂기 작업, 볼트 조임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추가 페달 장치의 전환 작업에 수고가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 조작 전환 기구에 의해서 풋 페달을 3 종류의 동작 패턴으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전, 후 방향의 전측에 프론트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자주가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고, 후측에 운전석을 가짐과 함께, 전측이 발판부가 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발판부의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밸브 케이스를 갖고, 상기 발판부로부터 돌출한 상기 밸브 케이스의 상측 부위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갖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파일럿 밸브의 상기 회동부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의 상기 회동부가 자유 상태의 중립 위치로부터 전측을 밟은 앞쪽 밟기 위치와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측을 밟은 뒷쪽 밟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밟기 조작되는 풋 페달과, 상기 발판부와 상기 풋 페달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풋 페달을 밟기 조작할 때의 동작 패턴을 전환하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상기 풋 페달을,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후측을 밟는 조작이 가능한 제 1 동작 패턴과,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만이 가능한 제 2 동작 패턴과,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풋 페달의 동작을 고정하는 제 3 동작 패턴의 3개의 동작 패턴 중 어느 동작 패턴으로 전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 조작 전환 기구에 의해서 풋 페달을 3 종류의 동작 패턴으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운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밟기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를 도 2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파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추가 페달 장치를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추가 페달 장치를 오른쪽 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추가 페달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전후 밟기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의 풋 페달의 전측을 밟은 상태를 부츠를 떼고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전후 밟기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의 풋 페달의 후측을 밟은 상태를 부츠를 떼고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를 부츠를 떼고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의 풋 페달의 전측을 밟은 상태를 부츠를 떼고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고정 패턴으로 전환된 추가 페달 장치를 부츠를 떼고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대표적인 예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자주가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가 가능하게 탑재되고,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의 전측에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장치(4)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된 부움(4A)과, 부움(4A)의 선단(先端)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 도구 중 하나인 버킷(4C)과, 이들을 동작하기 위한 부움 실린더(4D), 아암 실린더(4E), 버킷 실린더(4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버킷(4C)은, 예를 들면 토사의 굴삭 작업, 토사의 싣기 작업에 이용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유압 셔블(1)은, 토사의 굴삭 작업, 토사의 싣기 작업 이이외에, 예를 들면 건축물의 해체 작업에도 이용된다. 이 경우, 프론트 장치(4)의 아암(4B)의 선단측에는, 작업 도구로서, 철골을 절단하는 커터, 철골이나 콘크리트 편을 잡고 이송하는 그래플, 벽이나 콘크리트 편을 파쇄하는 브레이커(모두 도시 생략)가 장비된다.
커터와 그래플은, 잡는(끼우는) 동작과 놓는(개방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는 작업 도구의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브레이커는, 치젤(chisel)을 파괴 대상에 연속하여 충돌하는 것만의 단순한 온, 오프 동작이 되는 작업 도구의 대표적인 예이다.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의 왼쪽 전측에 탑재된 후술의 운전실(8)과, 운전실(8)의 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 열교환기, 제어 밸브(모두 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기기를 덮는 외장 커버(6)와, 선회 프레임(5)의 후부에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운전실(8)은, 선회 프레임(5)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어 있다. 이 운전실(8)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여 각종 조작을 행하는 거주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것이다. 운전실(8)은, 덮개가 있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운전실 박스(9)와, 운전실 박스(9)의 저부를 덮는 후술의 플로어 부재(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 부재(10)는 운전실(8)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플로어 부재(10)는, 전, 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 형상의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10) 중, 후술의 운전석(11)보다 전측은, 발판부(10A)가 되어 있다. 이 발판부(10A)는, 운전석(11)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놓는 공간이 되어 있다. 또, 발판부(10A)의 전측 위치에는, 좌, 우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주행 페달용 개구(10B)와, 주행 페달용 개구(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추가 페달용 개구(10C)(도 3 참조)와, 주행 페달용 개구(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추가 페달용 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10B, 10C)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 추가 페달 장치(15)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볼트 삽통(揷通) 구멍(모두 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석(11)은, 플로어 부재(10)의 전, 후 방향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운전석(11)은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것이다. 또, 운전석(11)의 좌, 우 양측에는, 프론트 장치(4)와 선회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좌측의 작업용 조작 레버 장치(12)와, 우측의 작업용 조작 레버 장치(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편, 운전석(11)의 전측이 되는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에는, 주행 페달용 개구(10B)에 위치하여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좌, 우의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가 마련되어 있다. 또,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의 좌측에는, 후술하는 추가 페달 장치(1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의 우측에는, 기타의 추가 페달 장치(34)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 되는 추가 페달 장치(15)의 구성, 동작 및 전환 작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추가 페달 장치(15)는, 조립 작업, 조립 후의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로어 부재(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에 대하여 조립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16)은, 전, 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 형상의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판(16)에는, 왼쪽 앞쪽 위치, 왼쪽 뒷쪽 위치 및 오른쪽 뒷쪽 위치의 3 개소에 볼트 삽통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16)의 좌, 우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 형상의 밸브 삽통 개구(16B)와, 밸브 삽통 개구(16B)의 전측과 후측에 위치하여 상, 하 방향으로 관통한 볼트 삽통 구멍(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 삽통 개구(16B)에는, 후술하는 파일럿 밸브(17)의 밸브 케이스(18)가 삽통되어 있다. 각 볼트 삽통 구멍에는, 파일럿 밸브(17)를 장착하기 위한 밸브 장착 볼트·너트(20)가 삽통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16)의 전측 위치에는, 후술의 위치 결정 부재(26)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 장착 시트(16C)가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마련되어 있다.
추가 페달 장치(15)는,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의 좌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에 마련되어 있다. 추가 페달 장치(15)는, 후술하는 파일럿 밸브(17), 풋 페달(22) 및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추가 페달 장치(15)는, 프론트 장치(4)의 작업 도구로서 버킷(4C)이 장비되었을 때에는, 동작을 고정하여 풋레스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프론트 장치(4)의 작업 도구로서 커터나 그래플이 장비되었을 때에는,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풋 페달(22)의 후측을 밟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장치(4)의 작업 도구로서 브레이커가 장비되었을 때에는,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만을 행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17)는, 플로어 부재(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에 장착되고, 이 베이스판(16)을 개재하여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17)는, 감압 밸브형의 파일럿 밸브로서 구성되고, 제어 밸브 장치(도시 생략)에 대한 파일럿압의 급배를 제어하는 것이다. 파일럿 밸브(17)는, 좌, 우 방향에서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의 밸브 케이스(18)와, 밸브 케이스(18)의 상측 부위에 마련되고, 좌, 우 방향을 회동축선으로 하여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케이스(18)는, 발판부(10A)의 위치에서 플로어 부재(10)을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케이스(18)의 상측에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 플랜지(18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장착 플랜지(18A)가 밸브 장착 볼트·너트(20)를 이용하여 베이스판(16)에 장착되어 있다. 또, 밸브 케이스(18)에는, 회동축(21)을 사이에 둔 전, 후 위치에, 상, 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푸셔(18B, 18C)가 상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 케이스(18)의 상측에는, 후술의 회동부(19)를 덮도록 주름 상자 형상의 부츠(18D)가 마련되어 있다.
또, 회동부(19)는, 각 푸셔(18B, 18C) 사이에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21)을 개재하여 밸브 케이스(18)의 상측 부위에 전, 후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동부(19)는, 전측 부위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전측의 푸셔(18B)를 밀어 내리는 앞쪽 맞닿음면(19A)과, 후측 부위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후측의 푸셔(18C)를 밀어 내리는 뒷쪽 맞닿음면(19B)을 갖고 있다. 또한, 회동부(19)의 상측에는, 풋 페달(22)과 스테이 받침 부재(2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19C)이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장착 브래킷(19C)의 세로면부(19C1)에는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나사 구멍(용접 너트)(19C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럿 밸브(17)는, 풋 페달(22)이 상, 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밟기 조작되면, 각 푸셔(18B, 18C)가 상, 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버킷(4C)을 대신하는 커터, 그래플, 브레이커를 포함하는 추가 작업 도구에 압유를 급배하는 전환 밸브에 유압 파일럿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풋 페달(22)의 밟기 조작에 따라서, 유압 펌프로부터 추가 작업 도구를 향하여 압유가 급배되는 구성이 되어 있다.
풋 페달(22)은,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풋 페달(22)은,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가 자유 상태의 중립 위치(도 3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전측을 밟은 앞쪽 밟기 위치(도 7에 나타내는 위치)와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측을 밟은 뒷쪽 밟기 위치(도 8에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밟기 조작되는 것이다.
풋 페달(22)은, 파일럿 밸브(17)의 회동축(2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접어 구부림 위치로부터 전측이 앞쪽 발판부(22A)가 되고, 접어 구부림 위치로부터 후측이 뒷쪽 발판부(22B)가 되어 있다. 또, 풋 페달(22)에는, 접어 구부림 위치의 이면측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장착판부(22C)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판부(22C)의 하측 위치에는, 2개의 볼트 삽통 구멍(22C1)이 전, 후로 이간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볼트 삽통 구멍(22C1)은, 회동부(19)를 형성하는 장착 브래킷(19C)의 세로면부(19C1)에 마련된 2개의 나사 구멍(19C2)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풋 페달(22)은, 각 볼트 삽통 구멍(22C1)에 삽통된 페달 장착 볼트(23)를 장착 브래킷(19C)의 나사 구멍(19C2)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함께 회동부(19)에 장착되어 있다.
풋 페달(22)에는, 운전석(11)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왼발을 얹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발톱 끝측에 의해서 풋 페달(22)의 앞쪽 발판부(22A)를 하측으로 밟음으로써,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전측을 하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발의 뒤꿈치측에 의해서 풋 페달(22)의 뒷쪽 발판부(22B)를 하측으로 밟음으로써,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후측을 하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페달 조작시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 풋 페달(22) 및 후술의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함께 회동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 되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구성과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한 밟기 조작의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회동부(19)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와 풋 페달(22)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풋 페달(22)을 밟기 조작할 때의 동작 패턴(동작의 형태)을, 제 1 동작 패턴으로서의 후술하는 전후 밟기 패턴과, 제 2 동작 패턴으로서의 앞쪽 밟기 한정 패턴과, 제 3 동작 패턴으로서의 고정 패턴의 3개의 동작 패턴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후술의 스테이 받침 부재(25), 위치 결정 부재(26), 회동 아암(27), 계합 부재(29), 스프링 부재(30), 규제 스테이(31) 및 전환 조작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후술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회동 중심, 즉, 회동축(21)에 대하여 전측으로 연장되어 회동부(19)에 마련되어 있다.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회동부(19) 및 풋 페달(22)과 일체로 회동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전, 후 방향의 후측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장착부(25A)와, 이 장착부(25A)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26)까지 연장된 캠 판부(25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캠 판부(25B)의 상측 위치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뒷쪽 밟기 규제부(25C)와,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후측에 연속하여 캠 판부(25B)에 형성되고, 전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U자 형상의 고정홈부(25D)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25A)에는, 풋 페달(22)을 구성하는 장착판부(22C)의 2개의 볼트 삽통 구멍(22C1)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통 구멍(25A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그 장착부(25A)가 풋 페달(22)의 장착판부(22C)에 좌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각 볼트 삽통 구멍(25A1), 장착판부(22C)의 각 볼트 삽통 구멍(22C1)에 삽통한 페달 장착 볼트(23)를, 장착 브래킷(19C)의 나사 구멍(19C2)에 나사 장착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풋 페달(22)과 함께 회동부(19)에 장착할 수 있다.
뒷쪽 밟기 규제부(25C)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가 자유 상태(발이 얹혀 있지 않은 상태)가 되는 중립 위치에서, 회동 아암(27)의 회동 중심(장착축(28))을 중심으로 하여 그려지는 원호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 아암(27)이 후측으로 회동하였을 때에는, 규제 스테이(31)는,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쪽 밟기 규제부(25C)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가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즉, 회동 아암(27)이 후측으로 회동되어 후술의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중간 오목홈부(26E)에 계합하였을 때에, 규제 스테이(31)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맞닿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상면(곡면)은, 풋 페달(22)을 뒷쪽 밟기 조작할 때에 규제 스테이(31)와 맞닿고, 이 뒤쪽 밟기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고정홈부(25D)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중립 위치에서,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후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홈부(25D)는, 전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U자 형상의 노치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홈부(25D)는, 감합(嵌合)한 규제 스테이(31)에 하측으로부터 맞닿는 앞쪽 밟기 맞닿음부(25D1)와, 감합한 규제 스테이(31)에 상측으로부터 맞닿는 뒷쪽 밟기 맞닿음부(25D2)를 갖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홈부(25D)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가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즉, 회동 아암(27)이 추가로 후측으로 회동되어 계합(係合)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뒷쪽 오목홈부(26F)에 계합하였을 때에, 규제 스테이(31)를 상, 하로부터 사이에 두고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홈부(25D)는, 풋 페달(22)의 조작(앞쪽 밟기 동작과 뒷쪽 밟기 조작의 양방(兩方))을 규제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26)는, 후술하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위치 결정 부재(26)는, 회동부(19)의 장착 브래킷(19C)의 전측에서, 또한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대향한 위치에서, 플로어 부재(10)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26)는, 플로어 부재(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의 각 위치 결정 부재 장착 시트(16C) 상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받침판(26A)과, 받침판(26A)의 좌, 우 방향의 중간부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세로판부(26B)와, 세로판부(26B)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측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26C)와, 원호부(26C)의 외주측에 둘레 방향(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된 앞쪽 오목홈부(26D), 중간 오목홈부(26E) 및 뒷쪽 오목홈부(26F)와, 세로판부(26B)의 상, 하 방향 중간부의 후측쪽으로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된 축 구멍(26G)과, 축 구멍(26G)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세로판부(26B)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스프링 걸이 축(26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세로판부(26B)는, 장착 브래킷(19C)의 전측에서,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우측에 배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축 구멍(26G)은, 회동 아암(27)의 장착 축(28)이 삽통되는 것이다. 스프링 걸이 축(26H)에는 스프링 부재(30)의 일방(一方)이 걸어 고정된다.
여기서, 원호부(26C)의 외주측에 형성된 3개의 앞쪽 오목홈부(26D), 중간 오목홈부(26E) 및 뒷쪽 오목홈부(26F)는, 후술하는 계합 부재(29)가 이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각 오목홈부(26D, 26E, 26F)는, 예를 들면 계합 부재(29)의 직경 치수의 3분의 1 정도가 끼이는 것과 같은, 얕은 바닥의 원호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앞쪽 오목홈부(26D)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전후 밟기 패턴에 의해 계합 부재(29)가 계합된다. 또, 중간 오목홈부(26E)에는, 도 9에 나타내는 앞쪽 밟기 한정 패턴에 의해 계합 부재(29)가 계합된다. 또한, 뒷쪽 오목홈부(26F)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 패턴에 의해 계합 부재(29)가 계합된다.
회동 아암(27)은,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회동 아암(27)은, 긴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의 기단(基端)측에는,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축 삽통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동 아암(27)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긴 구멍(27B)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긴 구멍(27B)은, 후술하는 계합 부재(29)가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회동 아암(27)의 선단측은, 자유단이 되어 위치 결정 부재(26)의 원호부(26C)의 각 오목홈부(26D, 26E, 26F)보다 길이 방향의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회동 아암(27)의 선단측에는 규제 스테이(31)가 장착되어 있다. 회동 아암(27)은, 축 삽통 구멍(27A)에 장착축(28)이 삽통되고, 이 장착축(28)이 위치 결정 부재(26)의 축 구멍(26G)에 빠짐 방지 상태로 삽입 장착된다. 이에 의해, 회동 아암(27)은, 위치 결정 부재(26)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계합 부재(29)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계합 부재(29)는, 회동 아암(27)의 긴 구멍(27B)에 대하여 좌, 우 방향으로 삽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합 부재(29)는, 긴 구멍(27B)에 의해서 회동 아암(2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합 부재(29)는, 긴 구멍(27B)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26)에 마련된 3개의 오목홈부(26D, 26E, 26F)에 선택적으로 계합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30)는, 위치 결정 부재(26)와 계합 부재(29)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0)는, 계합 부재(29)를 각 오목홈부(26D, 26E, 26F)를 향하여 가압하는 것이다. 스프링 부재(30)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그 일단(一端)측이 위치 결정 부재(26)의 스프링 걸이 축(26H)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고, 타단(他端)측이 계합 부재(29)의 선단부에 걸어 고정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30)에 의한 가압력은, 계합 부재(29)가 각 오목홈부(26D, 26E, 26F) 중 어느 것에 계합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의 발에 의한 강화된 힘으로 회동 아암(27)을 회동 하였을 때에, 각 오목홈부(26D, 26E, 26F)로부터 계합 부재(29)가 이탈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규제 스테이(31)는, 후술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규제 스테이(31)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막대체로 이루어지고, 기단측이 되는 우단(右端)부가 회동 아암(27)의 선단측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선단측이 되는 좌단(左端)부는, 자유단이 되어 풋 페달(22)을 넘어간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앞쪽 오목홈부(26D)에 계합한 제 1 동작 패턴인 전후 밟기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는,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선단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규제 스테이(31)는 스테이 받침 부재(25)로부터 빠져 있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중간 오목홈부(26E)에 계합한 제 2 동작 패턴인 앞쪽 밟기 한정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는,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상면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뒷쪽 오목홈부(26F)에 계합한 제 3 동작 패턴인 고정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는,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고정홈부(25D)에 상, 하로부터 사이에 놓여져 배치되어 있다.
전환 조작부(32)는, 규제 스테이(31)의 자유단측(선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전환 조작부(32)는, 위치 결정 부재(26)의 각 오목홈부(26D, 26E, 26F)에 대한 계합 부재(29)의 계합 위치를 스프링 부재(30)에 저항하여 전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환 조작부(32)는, 장방형 형상의 판체를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환 조작부(32)는, 긴 부분(32A)과 짧은 부분(32B)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환 조작부(32)는,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중간 오목홈부(26E)에 계합한 앞쪽 밟기 한정 패턴(도 9 참조)에 있어서, 짧은 부분(32B)이 상방을 향하도록 긴 부분(32A)이 규제 스테이(31)의 선단측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환 조작부(32)는, 짧은 부분(32B)을 오퍼레이터의 구두의 발끝으로 누르거나, 짧은 부분(32B)에 구두 바닥을 걸거나 하여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1)에 착좌한 채의 상태에서, 왼발에 의해서 전환 조작부(32)를 조작함으로써,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동작 패턴을 전환할 수 있다.
추가 페달 장치(15)는, 플로어 부재(1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에 대하여 파일럿 밸브(17)와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파일럿 밸브(17)에 풋 페달(22)을 장착함으로써, 추가 페달 장치(15)를 서브 조립체로서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페달 장치(15)는, 플로어 부재(10)의 추가 페달용 개구(10C)에 파일럿 밸브(17)을 배치한 상태에서, 베이스판(16)의 각 볼트 삽통 구멍(16A)에 삽통한 볼트(33)(도 2,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에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타의 추가 페달 장치(34)는,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의 우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부재(10)의 발판부(10A)에 마련되어 있다. 기타의 추가 페달 장치(34)는, 추가 페달 장치(15)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풋 페달(22)의 전, 후 방향의 전측으로부터, 전후 밟기 패턴, 앞쪽 밟기 한정 패턴 및 고정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와, 이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에 의해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는, 위치 결정 부재(26), 회동 아암(27) 및 계합 부재(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는, 풋 페달(22)의 전, 후 방향의 전측으로부터, 전후 밟기 패턴, 앞쪽 밟기 한정 패턴 및 고정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는,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규제 스테이(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에 의해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또한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는, 전후 밟기 패턴, 앞쪽 밟기 한정 패턴 및 고정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적확하게 행하는 기능(작용)을 갖고 있다. 또,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에 의해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하는 기능(작용)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운전실(8)에 탑승하고, 운전석(11)에 착좌한다. 운전석(11)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는, 각 주행용 조작 레버·페달 장치(14)를 각각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좌, 우의 작업용 조작 레버 장치(12, 13)를 각각 조작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 프론트 장치(4)의 버킷(4C)에 의한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1)은, 프론트 장치(4)의 버킷(4C)을 이용한 토사의 굴삭 작업 외에, 건축물의 해체 작업에도 이용된다. 이 경우, 프론트 장치(4)에는, 추가 작업 도구로서, 철골을 절단하는 커터, 철골이나 콘크리트 편을 이송하는 그래플, 벽이나 콘크리트 편을 파쇄하는 브레이커가 장비된다. 이들 추가 작업 도구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 페달 장치(15)는, 프론트 장치(4)에 장비되는 작업 도구에 따라서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해 동작 패턴이 전환된다.
즉, 프론트 장치(4)에 버킷(4C)이 장착된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고정 패턴으로 전환한다. 또, 프론트 장치(4)에 커터 또는 그래플이 장착된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전후 밟기 패턴으로 전환한다. 또한, 프론트 장치(4)에 브레이커가 장착된 경우에는,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한 동작 패턴의 전환 순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프론트 장치(4)에 커터, 그래플과 같이, 추가 페달 장치(15)의 조작에 의해 개폐 동작을 행하는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계합 부재(29)가 위치 결정 부재(26)의 앞쪽 오목홈부(26D)에 계합한 전후 밟기 패턴이 되어 있다. 전후 밟기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가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선단보다 전측으로 빠져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앞쪽 발판부(22A)를 밟는다. 이에 의해, 풋 페달(22)과 함께 회동부(19)의 전측은,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앞쪽 밟기 조작에서는, 회동부(19)에 의해서 밸브 케이스(18)의 전측에 위치하는 푸셔(18B)를 압동(押動)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뒷쪽 발판부(22B)를 밟는다. 이에 의해, 풋 페달(22)과 함께 회동부(19)의 후측은,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뒷쪽 밟기 조작에서는, 회동부(19)에 의해서 밸브 케이스(18)의 후측에 위치하는 푸셔(18C)를 압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론트 장치(4)에 브레이커와 같이, 추가 페달 장치(15)의 조작에 의해 타격의 온, 오프(구동, 정지) 동작을 행하는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경우에는, 풋 페달(22)의 앞쪽 발판부(22A)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밟았을 때를 온(구동)이라고 하고, 앞쪽 발판부(22A)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갔을 때를 오프(정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커는 풋 페달(22)의 앞쪽 밟기 조작만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래서, 프론트 장치(4)에 브레이커를 장비한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한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전후 밟기 패턴으로부터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풋 페달(22)의 좌측에 배치된 전환 조작부(32)에 구두 바닥을 걸어 후측(오퍼레이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회동 아암(27)에는, 긴 구멍(27B)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계합 부재(29)는, 스프링 부재(30)에 저항하여 전측(선단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 부재(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위치 결정 부재(26)의 앞쪽 오목홈부(26D)로부터 계합 부재(29)가 이탈하고, 후측에 위치하는 중간 오목홈부(26E)에 계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끝의 간단한 조작으로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앞쪽 밟기 한정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가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풋 페달(22)의 뒷쪽 발판부(22B)를 밟는 뒷쪽 밟기 조작할 때에,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규제 스테이(31)에 맞닿으므로, 이 뒷쪽 밟기 조작, 즉,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풋 페달(22)이 후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앞쪽 밟기 한정 패턴에서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앞쪽 발판부(22A)를 밟음으로써 풋 페달(22)과 함께 회동부(19)의 전측을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론트 장치(4)에 버킷(4C)과 같이 , 추가 페달 장치(15)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 도구가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경우에는,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고정)하고, 풋 페달(22)을 풋레스트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프론트 장치(4)에 버킷(4C)을 장비한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고정 패턴으로 전환한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부터 고정 패턴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전환 조작부(32)에 구두 바닥을 걸어 후측(오퍼레이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스프링 부재(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계합 부재(29)를 위치 결정 부재(26)의 중간 오목홈부(26E)로부터 뒷쪽 오목홈부(26F)로 이동할 수 있고,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고정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고정 패턴에서는, 규제 스테이(31)가 스테이 받침 부재(25)의 고정홈부(25D)에 감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풋 페달(22)을 앞쪽 밟기 조작할 때에는, 고정홈부(25D)의 앞쪽 밟기 맞닿음부(25D1)에 규제 스테이(31)를 하측으로부터 맞닿을 수 있다. 또, 풋 페달(22)을 뒷쪽 밟기 조작할 때에는, 고정홈부(25D)의 뒷쪽 밟기 맞닿음부(25D2)에 규제 스테이(31)를 상측으로부터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풋 페달(22)을,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후측을 밟는 조작이 가능한 전후 밟기 패턴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로부터 풋 페달(22)의 전측을 밟는 조작만이 가능한 앞쪽 밟기 한정 패턴과, 회동부(19)의 중립 위치에서 풋 페달(22)의 동작을 고정하는 고정 패턴의 3개의 동작 패턴 중 어느 동작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프론트 장치(4)에 버킷(4C)이 장착된 경우에 고정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프론트 장치(4)에 잡는(끼우는) 동작과 놓는(개방하는) 동작을 필요로 하는 커터, 그래플이 장착된 경우에 전후 밟기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장치(4)에 온, 오프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브레이커가 장착된 경우에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론트 장치(4)에 브레이커가 장착된 경우에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해, 브레이커의 조작에 적합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해서 풋 페달(22)을 3 종류의 동작 패턴으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와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부재(26), 회동 아암(27) 및 계합 부재(29)로 이루어지고, 풋 페달(22)의 전, 후 방향의 전측으로부터, 전후 밟기 패턴, 앞쪽 밟기 한정 패턴 및 고정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와,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규제 스테이(31)로 이루어지고,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에 의해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또한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는, 전후 밟기 패턴, 앞쪽 밟기 한정 패턴 및 고정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페달 조작 규제 부위(36)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35)에 의해서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또,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풋 페달(22)의 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는,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회동 중심이 되는 장착축(28)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풋 페달(22)과 함께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에 마련되고, 회동부(19) 및 풋 페달(22)과 일체로 회동되는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스테이 받침 부재(25)와 대향한 위치에서 플로어 부재(1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상부가 원호부(26C)가 되어 당해 원호부(26C)의 외주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3개의 오목홈부(26D, 26E, 26F)를 갖는 위치 결정 부재(26)와, 기단측이 위치 결정 부재(26)의 원호부(26C)의 중심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긴 구멍(27B)이 마련됨과 함께, 선단측이 자유단이 되어 원호부(26C)의 각 오목홈부(26D, 26E, 26F)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의 전측으로 연장된 회동 아암(27)과, 회동 아암(27)의 긴 구멍(27B)에 회동 아암(2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3개의 오목홈부(26D, 26E, 26F)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부재(29)와, 회동 아암(27)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스테이 받침 부재(25)에 맞닿았을 때에, 풋 페달(22)의 밟기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 스테이(3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3개의 오목홈부(26D, 26E, 26F)에 대하여, 계합 부재(29)를 선택적으로 계합함으로써,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를 3 종류의 동작 패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26)와 계합 부재(29) 사이에는, 계합 부재(29)를 각 오목홈부(26D, 26E, 26F)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또, 규제 스테이(31)에는, 위치 결정 부재(26)의 각 오목홈부(26D, 26E, 26F)에 대한 계합 부재(29)의 계합 위치를 스프링 부재(30)에 저항하여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조작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계합 부재(29)는, 스프링 부재(30)의 가압력에 의해서 각 오목홈부(26D, 26E, 26F)에 적확하게 계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환 조작부(32)를 조작함으로써, 스프링 부재(30)에 저항하여 계합 부재(29)의 계합 위치, 동작 패턴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판체의 전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가 앞쪽 밟기 한정 패턴으로 전환되고, 뒷쪽 밟기 조작할 때에 규제 스테이(31)가 맞닿는 뒷쪽 밟기 규제부(25C)와, 뒷쪽 밟기 규제부(25C)의 후측에 연속하여 판체에 형성되고,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가 고정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규제 스테이(31)가 감합하여 풋 페달(22)을 고정하는 고정홈부(25D)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 받침 부재(25)는, 규제 스테이(31)를 뒷쪽 밟기 규제부(25C)와 고정홈부(25D)와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 받침 부재(25)를, 풋 페달(22)과 함께 파일럿 밸브(17)의 회동부(19)의 장착 브래킷(19C)에 장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이 받침 부재(25)를 풋 페달(2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프론트 장치(4)의 버킷(4C)을 커터, 그래플, 브레이커로 교환한 경우에 있어서의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의 동작 패턴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론트 장치(4)에 버킷(4C), 커터, 그래플, 브레이커 이외의 작업 도구를 장비한 경우에도, 페달 조작 전환 기구(24)에 의해서 동작 패턴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자주가 가능한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의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4: 프론트 장치
10: 플로어 부재
10A: 발판부
11: 운전석
15: 추가 페달 장치
16: 베이스판(플로어 부재)
17: 파일럿 밸브
18: 밸브 케이스
19: 회동부
21: 회동축(회동 중심)
22: 풋 페달
24: 페달 조작 전환 기구
25: 스테이 받침 부재
25C: 뒷쪽 밟기 규제부
25D: 고정홈부
26: 위치 결정 부재
26D: 앞쪽 오목홈부
26E: 중간 오목홈부
26F: 뒷쪽 오목홈부
27: 회동 아암
27B: 긴 구멍
29: 계합 부재
30: 스프링 부재
31: 규제 스테이
32: 전환 조작부
35: 동작 패턴 전환 부위
36: 페달 조작 규제 부위

Claims (6)

  1. 전, 후 방향의 전측에 프론트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자주가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마련되고, 후측에 운전석을 가짐과 함께, 전측이 발판부가 된 플로어 부재와,
    상기 발판부의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밸브 케이스를 갖고, 상기 발판부로부터 돌출한 상기 밸브 케이스의 상측 부위에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갖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파일럿 밸브의 상기 회동부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의 상기 회동부가 자유 상태의 중립 위치로부터 전측을 밟은 앞쪽 밟기 위치와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후측을 밟은 뒷쪽 밟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밟기 조작되는 풋 페달과,
    상기 발판부와 상기 풋 페달과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풋 페달을 밟기 조작할 때의 동작 패턴을 전환하는 페달 조작 전환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상기 풋 페달을,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과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후측을 밟는 조작이 가능한 제 1 동작 패턴과,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풋 페달의 전측을 밟는 조작만이 가능한 제 2 동작 패턴과, 상기 회동부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풋 페달의 동작을 고정하는 제 3 동작 패턴의 3개의 동작 패턴 중 어느 동작 패턴으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상기 풋 페달의 전, 후 방향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동작 패턴, 상기 제 2 동작 패턴 및 상기 제 3 동작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와,
    상기 동작 패턴 전환 부위에 의해서, 상기 제 2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풋 페달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제 3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풋 페달의 조작을 규제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는,
    상기 파일럿 밸브의 상기 회동부의 회동 중심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부와 상기 풋 페달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 및 상기 풋 페달과 일체로 회동되는 스테이 받침 부재와,
    상기 스테이 받침 부재와 대향한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부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상부가 원호부가 되어 당해 원호부의 외주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3개의 오목홈부가 마련된 위치 결정 부재와,
    기단측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원호부의 중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긴 구멍이 마련됨과 함께, 선단측이 자유단이 되어 상기 원호부의 각 오목홈부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의 전측으로 연장된 회동 아암과,
    상기 회동 아암의 상기 긴 구멍에 상기 회동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3개의 오목홈부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부재와,
    상기 회동 아암의 선단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테이 받침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풋 페달의 밟기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 스테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상기 회동 아암 및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풋 페달의 전, 후 방향의 전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동작 패턴, 상기 제 2 동작 패턴 및 상기 제 3 동작 패턴의 순서로 동작 패턴의 전환을 행하는 동작 패턴 전환 부위를 구성하고,
    상기 스테이 받침 부재와 상기 규제 스테이는, 상기 동작 패턴 전환 부위에 의해서, 상기 제 2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풋 페달의 뒷쪽 밟기 조작을 규제하고, 또한 상기 제 3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풋 페달의 조작을 규제하는 페달 조작 규제 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각 오목홈부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규제 스테이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각 오목홈부에 대한 상기 계합 부재의 계합 위치를 상기 스프링 부재에 저항하여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받침 부재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판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 받침 부재는,
    상기 판체의 전측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가 상기 제 2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고, 뒷쪽 밟기 조작할 때에 상기 규제 스테이가 맞닿는 뒷쪽 밟기 규제부와,
    상기 뒷쪽 밟기 규제부의 후측에 연속하여 상기 판체에 형성되고, 상기 페달 조작 전환 기구가 상기 제 3 동작 패턴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규제 스테이가 감합하여 상기 풋 페달을 고정하는 고정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87025184A 2017-03-31 2017-03-31 건설 기계 KR102032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3733 WO2018179385A1 (ja) 2017-03-31 2017-03-31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775A true KR20180129775A (ko) 2018-12-05
KR102032404B1 KR102032404B1 (ko) 2019-10-15

Family

ID=6367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84A KR102032404B1 (ko) 2017-03-31 2017-03-31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0900B2 (ko)
EP (1) EP3412835B1 (ko)
JP (1) JP6549803B2 (ko)
KR (1) KR102032404B1 (ko)
CN (1) CN108990418B (ko)
WO (1) WO2018179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360B1 (ko) * 2017-03-07 2017-09-18 주식회사 영동테크 굴삭기 페달 밸브
JP7360581B2 (ja) * 2019-04-04 2023-10-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7381817B2 (ja) * 2019-04-04 2023-1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用操作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7318414B2 (ja) * 2019-08-21 2023-08-0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160U (ja) * 1992-06-05 1993-12-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走行操作装置
JPH11336129A (ja) 1998-05-28 1999-12-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2004116078A (ja) * 2002-09-25 2004-04-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走行ペダル装置
JP2007002893A (ja) * 2005-06-22 2007-01-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8021218A (ja) * 2006-07-14 2008-01-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ペダル操作装置
JP2012193548A (ja) * 2011-03-16 2012-10-1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ペダル装置、およびペダル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6401B2 (ja) * 1994-11-10 1998-08-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操作弁
JP2000129725A (ja) * 1998-10-23 2000-05-09 Komatsu Ltd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DE19961052A1 (de) * 1999-12-16 2001-07-26 Sauer Danfoss Gmbh Steuervorrichtung für die manuell- oder fußgeführte Steuerung von Arbeitsmaschinen
JP4481252B2 (ja) * 2006-01-13 2010-06-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操作ペダル
JP4690983B2 (ja) * 2006-09-20 2011-06-0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5087358B2 (ja) * 2007-10-01 2012-12-0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ペダルロック制御装置
JP2013087461A (ja) * 2011-10-17 2013-05-1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CN202691260U (zh) * 2012-07-24 2013-01-2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渭南分公司 先导脚踏阀和挖掘机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160U (ja) * 1992-06-05 1993-12-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走行操作装置
JPH11336129A (ja) 1998-05-28 1999-12-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2004116078A (ja) * 2002-09-25 2004-04-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走行ペダル装置
JP2007002893A (ja) * 2005-06-22 2007-01-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2008021218A (ja) * 2006-07-14 2008-01-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ペダル操作装置
JP2012193548A (ja) * 2011-03-16 2012-10-1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ペダル装置、およびペダル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0900B2 (en) 2021-11-23
KR102032404B1 (ko) 2019-10-15
CN108990418B (zh) 2021-01-05
CN108990418A (zh) 2018-12-11
WO2018179385A1 (ja) 2018-10-04
JP6549803B2 (ja) 2019-07-24
US20210207343A1 (en) 2021-07-08
EP3412835A1 (en) 2018-12-12
JPWO2018179385A1 (ja) 2019-04-11
EP3412835B1 (en) 2021-01-13
EP3412835A4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9775A (ko) 건설 기계
US7784581B1 (en) Machine control interlocks for an electrohydraulically controlled vehicle
JP5847624B2 (ja) 旋回作業車両
GB2525190A (en) A vehicle
JP2011116253A (ja) 建設機械
CN202691260U (zh) 先导脚踏阀和挖掘机
JPH10280481A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5486517B2 (ja) 建設機械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4091510B2 (ja) 建設機械
CA2313553C (en) Actuating arrangement with interlock to prevent unintended actuation when in a non-operating position
JP2009270267A (ja) 流体圧制御装置および作業機械
EP0717335A2 (en) Operation pedal stepping restricting device in working machine
JP2022141298A (ja) 建設機械
JP4567241B2 (ja) 建設機械
JP4528210B2 (ja) 作業機械
JP7401417B2 (ja) 作業機械
JP3637425B2 (ja) パイロツト弁操作装置
KR101239479B1 (ko) 굴삭기의 옵션패달 조립체
JP2024057331A (ja) ペダ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2589049Y2 (ja) アタッチメントコントロール用ペダル
KR100645853B1 (ko)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JP6697369B2 (ja) 建設機械
JP2024076067A (ja) ペダ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JPH08339234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走行ペダル装置
KR200182111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다의 조이스틱형 핸드 콘트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