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853B1 -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853B1
KR100645853B1 KR1020000015131A KR20000015131A KR100645853B1 KR 100645853 B1 KR100645853 B1 KR 100645853B1 KR 1020000015131 A KR1020000015131 A KR 1020000015131A KR 20000015131 A KR20000015131 A KR 20000015131A KR 100645853 B1 KR100645853 B1 KR 10064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operating
lever
handle
switch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681A (ko
Inventor
요코야마토시오
오오타니히로시
카이호리히로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22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0994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2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Abstract

조작레버부분으로 조작하는 것 없이, 작업기의 작동조작이 전부 가능하도록 한다.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그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로서, 조작레버(20)의 손잡이(21)에 있어서의 앞측 상부이며, 그 손잡이(21)의 전후방향 축선상보다 차체 전후방향 중앙선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22)(22')가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스위치에서의 전기신호로 전자제어밸브(30,31) 및 전환조작밸브(35)를 작동시켜서 작업기에 있어서의 부속의 액추에이터(실린더(1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THE DRIVE OPERATION SYSTEM FOR THE WORKING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를 적용한 초소선회형 파워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오프셋붐의 요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를 병기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1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작업기의 구동조작 유압회로도이다.
도 5는, 누름버튼 스위치설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유압셔블의 붐 선단에 파쇄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의 조작요부를 나타내는 유압제어회로의 개요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파워셔블 6 ㆍㆍㆍ 오프셋붐
6a ㆍㆍㆍ 제 1붐 6b ㆍㆍㆍ 제 2붐
8 ㆍㆍㆍ 암 9 ㆍㆍㆍ 버킷
11 ㆍㆍㆍ 오프셋 실린더 20, 20' ㆍㆍㆍ 조작레버
21 ㆍㆍㆍ 조작레버의 손잡이 22, 22' ㆍㆍㆍ 누름버튼 스위치
23 ㆍㆍㆍ 경보부저용의 누름버튼스위치
24 ㆍㆍㆍ 돌기형상 마크 25 ㆍㆍㆍ 제어부
30, 31 ㆍㆍㆍ 전자제어밸브 33, 46 ㆍㆍㆍ 파일럿 유압펌프
35 ㆍㆍㆍ 전환조작밸브 36 ㆍㆍㆍ 유압펌프
40 ㆍㆍㆍ 파쇄기장치 41 ㆍㆍㆍ 파쇄기 로드
42 ㆍㆍㆍ 조작밸브 42a ㆍㆍㆍ 파일럿 조작부
45 ㆍㆍㆍ 유압유닛 47 ㆍㆍㆍ 전자비례밸브
47a ㆍㆍㆍ 전자작동코일 49 ㆍㆍㆍ 가변저항기
본 발명은, 주로 전방작업장치를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구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셔블 등 전방작업장치를 구비하는 건설기계는, 그 전방작업장치의 각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콘트롤밸브에 내장시키는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그 전환밸브의 전환조작은 조작자가 운전석 둘레에 설치된 조작레버나 페달을 움직여서 링크 또는 케이블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하거나, 혹은 파일럿밸브에 의해 이차적으로 조작되고 있다. 예컨대, 유압셔블에는, 작업장치를 차체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오프셋식, 혹은 원호방향으로 스윙 이동시키는 수윙식 작업기가 있고, 작업기의 버킷 폭이상의 도랑굴착에 사용되는 것에서는, 그 버킷의 오프셋 조작 및 스윙조작은, 오로지 운전실 내에 조작자의 페달조작에 의해서 오프셋 또는 스윙용의 방향변경밸브를 작동시켜서, 각각의 유압셔블(액추에이터)의 신축동작에 의해서 버킷의 이동을 조작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른 형식의 작업장치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조작자의 레버조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기신호에 기초한 전자밸브에 의해 전환밸브를 구동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일본 특개평10-3723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조작레버의 꼭대기부분에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조작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압셔블에 있어서의 2피스 붐의 제 1 붐과 제 2붐의 액추에이터(유압실린더)를 합리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0-8503호 공보에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파쇄기조작장치로서,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레버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로 파쇄기조작 혹은 유압회로의 릴리프압력설정의 승압 중 어느 한 쪽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5-332033호 공보에는, 유압셔블의 부속장치로서 사용되는 파쇄기의 개폐조작을 조작손잡이의 선단에 전환스위치를 설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 외에, 일본 특개소61-162500호 공보에는, 포크리프트에 있어서의 조작레버의 손잡이 꼭대기부분에 조작스위치를 설치하여 리프트 실린더 또는 틸트 실린더 중 어느 한 쪽을 제어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 일본 특개평6-128983호 공보에는, 작업기의 불도저장치에 있어서의 불도저를 유동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밸브를 조작레버의 손잡이의 꼭대기부분에 누름 스위치를 설치하여, 그 누름스위치를 조작하면 불도저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유동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작업기의 작동조작을 행하게 하는 조작레버에, 전기적으로 제어밸브를 전환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느 것도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꼭대기부분에 조작스위치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은, 조작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할 때, 그 손잡이를 손으로 잡아서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작레버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는, 어떻게 하더라도 자유로운 것은 손잡이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가 되기 때문에, 가장 유효한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에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전방작업기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그 작업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에는, 손잡이의 꼭대기부분에 경보부저(혼)를 조작하는 스위치조작버튼, 혹은 유압셔블의 경우 원터치 굴삭력 상승용 (극히 짧은 시간만 굴삭력을 높인다)의 조작스위치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조작버튼은, 각각 상기 작동조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이러한 종류의 기계를 운전하는 조작자에게는 넓게 인지되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긴급 시에 있어서의 경보부저를 울리게 하는 것이나 원터치 굴삭력 상승의 조작을 행하는 것 대신하여 다른 기능을 발휘시키는 조작버튼을 설치하는 것은, 조작자가 종래와 같은 감각으로 조작하면 오조작을 초래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가령 조작레버의 손잡이 꼭대기면부에 별도기능의 조작용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위험성이 높고 실용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자가 조작레버를 잡은 상태로 오조작하는 것 없이, 작업기를 조작레버부분으로 전체 작동조작가능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는,
전방작업기를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그 작업기 조작용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앞측 상부에, 손가락조작가능한 스위치수단이 설치되고, 이 스위치수단으로부터의 전기신호로 콘트롤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작업기에 있어서의 부속기기의 액추에이터를 조작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운전석에서 조작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전방 작업기를 작동시킬 때, 조작레버의 손잡이를 잡아서 붐 또는 암을 기복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 조작레버를 전후로 경사이동시켜 행하고, 부속하는 작업기기를 작동시키는 경우, 예컨대 유압셔블에 있어서의 버킷을 오프셋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레버의 손잡이의 앞 상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수단을 잡고 있는 손의 인지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오프셋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서 원하는 위치로 오프셋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조작자는, 종래 마루 위에 배치되는 페달을 밟아서 조작하고 있었던 것을, 조작레버를 잡은 손으로 조작하여 버킷 등 작업기를 눈에 따르면서 이동위치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신적으로 손에만 집중하여 작업가능한 것이 되고,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가능하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그 조작 시에, 손잡이의 꼭대기부에 설치되는 경보부저용이나 굴삭력 상승 등 범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로 의식하는 것 없이 구별하여 조작가능한 것이기에 오조작의 위험성이 없고, 안전성을 확보하여, 또한 효율 좋게 운전조작가능하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수단은, 그 전기신호에 의해서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작업기 구동용 유압회로 안에 설치한 전자비례밸브를 조작하여, 작업기의 조작밸브를 제어작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상기 유량조정수단으로서는 가변저항기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작업기로서 예컨대 파쇄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파쇄기의 작동력을 조정하여 피파쇄물의 상태에 따른 작업능력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조작레버의 손잡이에 부속시킨 스위치 수단으로는 단순한 누름조작만으로 설정된 능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상태에 따라서 선택한 기능으로 효율 좋게 작업가능하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수단은, 상기 조작레버가 차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차체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 수단은, 조작레버의 손잡이의 전후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측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손가락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그 스위치수단을 손잡이의 전후방향 중앙선 상에서 차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가 손잡이를 잡고서 통상의 조작을 행하는 자연스런 파지상태로, 스위치수단의 설치위치가 정확히 인지가 접하는 위치로 되도록 함으로써, 전혀 무리 없이 원하는 조작 시에 스위치수단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조작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에 걸치는 운전조작 중에도 피로감을 주지 않아서 쾌적하게 운전가능하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수단은, 운전석에 있어서의 좌우 양조작레버 중의 한 쪽의 조작레버에 두 방향의 조작스위치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한 쪽의 조작레버를 잡은 손으로, 목적작업기의 이동조작 등 스위치수단을 누르는 손끝의 위치를 비키어 놓도록 하는 정도로 조작가능하므로, 한 손으로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위치 둘레를 한 곳에 집중가능하므로 배선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수단은, 운전석에 있어서의 좌우 양조작레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좌우 각 조작레버에 목적작업기의 이동조작 등의 방향성을 가지고, 우측 조작레버로는 우측방향의 동작을, 또한 좌측조작레버로는 좌측방향의 동작을 설정하여, 조작자의 방향감각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운전조작가능하다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수단을 한 쪽의 조작레버에 집중하여 설치하는 경우, 그 스위치조작버튼은 고저차를 두고, 돌기의 유무 등 손가락끝으로 식별가능한 구조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조작시에 손가락끝의 감각으로 판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작가능하게 되고, 오동작을 방지가능하다라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를 적용한 초소선회형 파워셔블의 측면도가, 도 2에 오프셋붐의 요부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를 병기한 평면도가, 도 3에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1실시예가 (a)에서 측면도를, (b)에서 평면도가, 게다가, 도 4에 작업기의 구동조작유압회로도가, 각각 나타내어 있다.
이 실시예는, 초소선회형 파워셔블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는 것이고, 오프셋붐(6)을 구비하는 파워셔블(1)에 있어서, 그 오프셋붐(6)을 조작하는데에, 조작자가 조작레버를 잡는 손으로 조작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하부주행체(2)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선회체(3)에는, 작업기(4 )와 운전실(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4)는, 붐실린더(7)에 의해 기복가능한 오프셋붐(6)과, 암(8) 및 버킷실린더(10)에 의해 회전가능한 버킷(9)과, 하부주행체(2)의 앞부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프셋붐(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붐(6a)과, 이 제 1붐(6a)의 선단에 핀에 의해 피벗부착된 제 2붐(6b)으로 이루어지고, 제 1붐(6a) 및 제 2붐(6b)의 측면에 돌출하게 설치된 브래킷(6c), (6d) 간에 오프셋 실린더(11)가, 또한 브래킷(6e), (6f) 간에 평행 링크(12)가 설치되어 있어, 그 오프셋 실린더(11)에 의해 제 2붐(6b) 선단에 설치된 지지부재(13)를 제 1붐(6a)과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원하는 거리 오프셋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암(8)은,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3)의 선단에 설치되어서, 암실린더(14)에 의해 기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암(8)의 선단에 버킷(10)이 버킷실린더(9)에 의해서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실(5) 내에 배치되는 작업기(4)의 조작레버(20,20')에는, 그 손잡이(21)(설명의 사정 상, 우측의 조작레버(20)의 것에 관해서 설명한다)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오프셋 실린더(11)를 조작하는 누름버튼 스위치(22)가, 손잡이(21)의 상부 앞측에서 조작레버 설치상태에 있어서의 내측 부근의 위치(정확히 조작자가 그 손잡이(21)를 파지하여 조작할 때에, 인지의 손가락끝이 접하는 위치로 되도록)에 설치된다. 또한, 도시의 것은 운전석 우측의 조작레버(20)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고, 좌측의 조작레버(20')에서는, 정확히 대칭으로 되는 위치(도면 상 반대측)에 조작용의 누름버튼 스위치(22')가 설치된다. 또한, 손잡이(21)의 꼭대기면에는 경보부저조작용의 누름버튼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조작레버(20)에 설치된 누름버튼 스위치(22)(22')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로 설치되는 제어부(25)를 통하여 전자제어밸브(30,31)의 솔레노이드(30a), (31a)에 전기신호가 주어지도록, 각각 전기배선(26a~27a), (26b~27b)이 설치된다. 또한, 이 도 4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관여하지 않은 부분에 관해서는, 주지의 구성이므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자가 운전석(5a)에 착좌하여 종래와 마찬가지로 하여 운전조작을 행할 때에, 예컨대 오프셋붐(6)을 우측에 오프셋하는 경우, 우측의 조작레버(20)를 잡는 손으로 그 손잡이(21)의 앞측 상부에 설치되는 누름버튼 스위치(22)를 인지로 누르는 조작을 가한다. 그러면, 그 누름버튼 스위치(22)가 작동하여 제어부(25)에 조작신호를 보내고, 그 제어부(25)에서의 지령에 의해서 전자제어밸브(30)의 솔레노이드(30a)가 조작된다.
하면, 전자제어밸브(30)가 열려서 파일럿 유압펌프(33)로부터 파일럿 유로(34,34a)를 통하여, 전환조작밸브(35)의 파일럿 조작부(35a)를 파일럿 유압에 의해서 조작시키고, 이 전환조작밸브(35)가 중립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유압펌프(36)로부터의 유압은 유로(37)에서 유로(37a)를 통하는 오프셋 실린더(11)의 로드측으로 도입됨으로써, 로드(11a)가 후퇴하여 접속되는 제 2붐(6b)이 제 1붐(6a)과의 피벗점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 회전이동(도 2에 2점쇄선 a로 나타낸다)되고, 그 제 2붐(6b) 선단에 연결되는 암(8)과 버킷(9)이 오프셋가능하게 된다.
오프셋붐(6)을 목적으로 하는 위치에 오프셋시키기 위하여, 누름버튼 스위치 (22)에 더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조작신호가 끊겨서, 제어부(25)로부터 전자제어밸브(30)의 솔레노이드(30a)로의 신호가 차단된다. 그러면, 그 전자제어밸브 (30)가 자동 복귀하여 닫힘으로써, 파일럿 유로(34)로부터 파일럿 유로(34a)로의 파일럿압이 끊기고, 파일럿 조작부(35a)의 조작이 정지됨으로써 전환조작밸브(35)는 중립상태로 복귀하고, 오프셋 실린더(11)의 피스톤이 그 위치에 유지되어 오프셋붐(6)은 그 위치에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오프셋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22)는, 그것을 계속적으로 누르는 동안에 변위가능하므로, 한계위치에 있어서 도시생략하지만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동한계에서 그 변위동작이 정지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경보부저 또는 표시램프를 설치하여 점등시켜, 한계를 조작자에서 알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누름버튼 스위치(22)에 의한 이동조작을 단속하여 행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그 이동량 설정을 변화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하여 오프셋붐(6)을 좌측으로 오프셋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조작레버(20')의 손잡이(21)를 잡는 손으로, 그 손잡이(21) 앞측 상부에 설치한 누름버튼 스위치(22')를 인지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25)에 전기신호가 전달된다. 게다가, 그 제어부(25)의 지령으로 전자제어밸브(31)의 솔레노이드(31a)가 작동하여, 파일럿유로(34)로부터 파일럿유로(34b)에 파일럿유압이 보내지고, 전환조작밸브(35)의 좌측의 파일럿 조작부(35b)가 조작되어서 그 전환조작밸브(35)는 중립상태에서 좌측으로 전환되어서 유압이 유로(37)로부터 유로(37a)를 통하여 오프셋 실린더(11)의 피스톤 측으로 도입된다. 따라서, 그 오프셋 실린더(11)의 로드가 전진하여, 제 2붐(6b)이 피벗점을 기점으로 하여 좌측으로 회전이동 (도 2의 2점쇄선b를 참조)되어, 좌측의 원하는 위치로 오프셋가능한 것이다.
또한, 오프셋붐(6)을 좌측으로 오프셋 조작하여 누름버튼 스위치(22')에 가해진 누름조작을 제거하면, 그 시점에서 제어부(25)로의 전기신호가 정지하므로, 상기 우측으로의 오프셋 조작 시와 마찬가지로, 전자제어밸브(31)가 폐쇄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전환조작밸브(35)도 중립상태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조작 시까지 오프셋붐(6)은 그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오프셋된 위치에서 조작레버(20,20')로 통상의 조작을 행하면, 제 1붐(6a)의 기복이나 버킷(9)을 조작하여 원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작업기에 의해 굴삭 그 외의 작업을 행하여, 예컨대, 도랑의 개삭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그 도랑폭을 넓히는 것과 같은 조작을 행할 때에, 버킷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으로, 붐의 오프셋을 행할 때, 조작자는 조작하고 있는 우조작레버(20) 또는 좌조작레버(2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22) 또는 (22')를 누르는 것에 의해, 다른 장소에서의 조작을 행하는 것 없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오프셋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레버를 잡는 손가락(정확히 손잡이(21)를 잡은 상태에서의 인지끝)으로 작업조건에 맞추어서 간단하게 조작하여 작업을 전환하여 목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마루 위의 조작페달을 바꾸어 밟아서 조작한다라는 조작부위의 변경에 수반되는 정신적인 긴장감이 완화되고, 극히 자연스런 형태로 조작레버를 잡은 손으로 신경을 집중하면 되므로, 정신적인 피로를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고 경쾌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좌우 양조작레버(20,20')에 분담하여 좌측에는 좌측용의 누름버튼 스위치(22')를, 우측에는 우측용의 누름버튼 스위치(22)를 각각에 설치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방향감각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조작가능한 것이다.
또한,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21)에 오프셋 조작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경보부저용의 스위치를 꼭대기부에 설치한 상태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둠으로써, 긴급 시에는 종래와 같이 엄지로 경보용부저의 울림조작이 그자체 가능하고, 오조작이 생기는 것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좌우조작레버에 누름버튼 스위치 좌ㆍ우를 나누어서 설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 좌우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우 또는 좌 중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에 통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경우는,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20)(또는 (20'))의 손잡이(21 )의 앞측 상부에 우측누름버튼 스위치(22)와 좌측누름버튼 스위치(22')를 병렬로 설치하고, 그 한 쪽의 누름버튼 표면에는 적당한 형상의 돌기형상 마크(24)를 돌출하게 설치하여 손가락끝으로 판별가능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자는 그 누름버튼 스위치(22,22')가 부착된 조작레버만으로 오프셋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집중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 시에는 한 쪽의 조작레버에만 배선을 실시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좋게 된다라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이와 같이 1개의 조작레버에 좌우의 조작누름버튼를 설치하는 경우, 그 누름버튼에 대한 배치는 가로배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이 용이한 양식으로 배치하는 것은 임의로 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단차를 형성해서 배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하는 전방작업기로서 붐의 선단에 파쇄기장치를 설치한 것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유압셔블의 붐선단에 파쇄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되는 경우의 조작요부를 나타내는 유압제어회로의 개요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레버(20)(20')와 마찬가지의 것이 사용되므로, 동일 또는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파쇄기장치(40)로서는 종래 주지의 구조의 것이 이용되므로, 그 상세에 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유압셔블에 있어서의 붐(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에 주지수단으로 설치되는 파쇄기장치(40)에는,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되는 유압조작밸브, 특히 파쇄기장치용의 조작밸브(42)에 유압유닛(45)으로부터 주지의 수단으로 유압 배관되고, 그 조작밸브(42)로부터 붐(도시하지 않음)을 따르게 하여 파쇄기장치(40)에 유압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그 조작밸브(42)의 파일럿 조작부(42a)에는, 유압유닛(45)에 있어서의 파일럿 조작용 유압펌프(46)에서의 유로(43) 안에 전자비례밸브(47)가 설치되고, 이 전자비례밸브(47)에 의해서 상기 조작밸브(42)에 의한 파쇄기장치(40)로의 작동유 공급상태를 바꾸어서 파쇄기로드(41)의 작동을 제어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자비례밸브(47)는, 그 전자작동코일(47a)에 연결되는 전기제어회로(4 8) 안에 유량조정수단으로서 가변저항기(49)가 배치되고, 조작레버(20)(또는 (20'))의 손잡이(21)에 조립되는 누름버튼 스위치(22)와 접속되어, 상기 가변저항기(49)에 의해서 설정되는 전류량에 따라서 전자작동코일에 의해서 전자비례밸브 (47)의 개도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기(49)로서는 로터리식의 것이 조작상 편리하고, 예컨대 운전석의 전방위치에 설치되는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조립되어 조작에 편리하도록 하여 두는 것도 좋다. 또한, 조작레버(20)(또는 (20'))의 손잡이(21)에 설치되는 누름버튼 스위치(22)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의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쇄기장치(40)의 조작수단에 의하면, 조작자가 운전석에서 파쇄하고자 하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덩어리의 크기 등에 따라서 파쇄기의 타격력에 필요로하는 능력을 추정하고, 가변저항기(49)의 조작손잡이를 돌려 저항치를 가감설정한 후에, 파쇄기로드(41)를 목적의 덩어리형상물(암석 또는 콘크리트 덩어리 등)에 접촉시켜서, 조작레버(20)의 손잡이(21)에 설치한 누름버튼 스위치(22)를 누르는 것에 의해, 파쇄기장치(40)를 작동시켜서 덩어리형상물을 파쇄한다.
이 때, 가변저항기(49)에 있어서 당초에 설정한 저항치(제어치)에 의해, 파쇄기장치(40)의 작동능력이 적당하면, 그대로 파쇄기로드(41)의 위치를 바꾸어 파쇄대상물을 순차 파쇄한다. 만약, 파쇄기(40)의 작동능력이 부족하거나 과잉으로 판단가능한 때는, 그 가변저항기(49)의 조작손잡이를 그 상황에 대응시켜서 가감하고, 적정한 상태로 설정하여 작업을 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가변저항기(49)에서의 능력설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종래 발 밟기 페달에 의해서 그 밟아 넣는 양을 가감하여 파쇄기장치의 작동을 행하게 함과 동시에 파쇄능력을 가감하고 있던 것이, 소위 다이얼 조작과 조작레버위치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조작으로 끝나고, 단속적으로 행하는 파쇄작업을 무리 없이 행하여, 조작자의 피로를 현저하게 저감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조작성이 종래의 페달조작식에 비해서 현격하게 향상되고, 그 결과,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향상되게 되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전자의 실시예에서는, 오프셋 실린더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이고, 후자의 실시예에서는 작업기에 파쇄기장치를 채용한 경우에 관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전자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스윙식의 작업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채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다른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발 밟기 페달 조작에 의한 조작에 대신하여, 본 발명의 조작레버에 조작용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설치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누름버튼 스위치(22,22')는 본 발명의 스위치수단에, 전자제어밸브(30,31)와 전환조작밸브(35)의 조합은 콘트롤밸브에, 각각 대응한다.
본 발명은, 조작자가 조작레버를 잡은 상태로 오조작하는 것 없이, 작업기를 조작레버부분으로 전체 작동조작가능한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을 하고 있다.

Claims (6)

  1. 전방 작업기를 구비한 건설기계에 있어서, 그 작업기 조작용 조작레버에 있어서의 손잡이의 앞측 상부에, 손가락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이 설치되고, 이 스위치수단으로부터의 전기신호로 콘트롤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작업기에 있어서의 부속기기의 액추에이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가 차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차체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 수단은, 조작레버의 손잡이의 전후방향 중앙선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길이방향 중앙선측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손가락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수단은, 그 전기신호에 의해서 유량조정수단을 통해서 작업기 구동용 유압회로 안에 설치한 전자비례밸브를 조작하여, 작업기의 조작밸브를 제어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수단으로서는 가변저항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된 스위치수단은, 운전석에 있어서의 좌우 양조작레버 중 한 쪽의 조작레버에 두 방향의 조작스위치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스위치수단은, 운전석에 있어서의 좌우 양조작레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KR1020000015131A 1999-08-05 2000-03-24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KR10064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22072 1999-08-05
JP11222072A JP2000309947A (ja) 1999-02-24 1999-08-05 建設機械における作業機の駆動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81A KR20010020681A (ko) 2001-03-15
KR100645853B1 true KR100645853B1 (ko) 2006-11-14

Family

ID=3752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31A KR100645853B1 (ko) 1999-08-05 2000-03-24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31A1 (ko) * 2014-06-12 2015-12-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조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9137B (zh) * 2022-07-08 2023-12-22 德州宝鼎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先导手柄操纵功能切换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36A (ja) * 1993-06-11 1995-01-06 Komatsu Ltd ブルドーザの作業機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36A (ja) * 1993-06-11 1995-01-06 Komatsu Ltd ブルドーザの作業機コントロ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31A1 (ko) * 2014-06-12 2015-12-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81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6268B1 (en) Hand grip with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a power machine
US7730646B2 (en) Swivel work machine
US6571902B2 (en) Backhoe auxiliary hydraulics control system
US6923285B1 (en) Attachment control device
EP2311710B1 (en) Electronic throttle on control handle
CA2506301C (en) Work machine joystick control system
KR102032404B1 (ko) 건설 기계
WO1999058771A1 (fr) Machine de construction
JPH10131235A (ja) 作業車両の運転席
EP0389136A1 (en) Float circuit for boom of construction apparatus
KR100645853B1 (ko)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작업기의 구동조작장치
JP200030994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作業機の駆動操作装置
JP4690352B2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
JP4469186B2 (ja) 作業機械
JP3839364B2 (ja)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420503B2 (ja) 油圧ショベル
JPS6433Y2 (ko)
JPH09242110A (ja) 油圧式建設機械の干渉防止装置
JP2000129725A (ja)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3670750B2 (ja) 油圧式建設機械の作業機操作装置
JPH11158942A (ja) 作業機械の警報装置
JP2004278208A (ja)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H07247572A (ja) 建設機械のブレード制御装置
JPH05295754A (ja) 油圧式掘削機の作業機操作装置
JP2004340187A (ja) 油圧アタッチメント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