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416A -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416A
KR20180128416A KR1020187028136A KR20187028136A KR20180128416A KR 20180128416 A KR20180128416 A KR 20180128416A KR 1020187028136 A KR1020187028136 A KR 1020187028136A KR 20187028136 A KR20187028136 A KR 20187028136A KR 20180128416 A KR20180128416 A KR 2018012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in body
fixing sheet
foo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036B1 (ko
Inventor
나쓰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와산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품 포장재(10)는, 서로 분할 가능한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를 구비하는 본체 시트(100)와, 상기 본체 시트(100)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시트(100)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위(104)와 상기 제2 부위(106)에 고착되는 고착 시트(200)로서, 고착 시트 본체부(206)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206)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206)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를 가지는 고착 시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100)의 상기 제1 부위(104)에 고착되고,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100)의 상기 제2 부위(106)에 고착된다. 이것에 의하면, 식품 포장재(10)에 요구되는 간이 개봉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식품 포장재(10)로부터의 손 오염 방지 시트의 분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개봉 강도를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본 발명은 2016년 4월 12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6-079705호에 근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특허출원 2016-079705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하여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포장재에는, 식품에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간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한 위생적으로 식품을 섭식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간이 개봉형 식품 포장재로서는, 컷 테이프를 당겨 식품 포장재를 이분할함으로써, 식품을 꺼내는 것이 오니기리(일본식 주먹밥) 등의 식품 포장재로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섭식 시에 밥 덩어리를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와 같은 간이 개봉형 식품 포장재로서, 외측 필름과, 외측 필름의 내측에 용착(溶着)된 손 오염 방지 시트를 가지는 밥 덩어리 포장체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밥 덩어리 포장체는, 개봉 시에 외측 필름으로부터 용착부가 떨어져 있는 손 오염 방지 시트가 분리됨으로써 밥 덩어리 측에 손 오염 방지 시트가 유지되기 때문에, 밥 덩어리를 손 오염 방지 시트를 통하여 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외측의 포장 필름으로부터 손 오염 방지 시트가 쉽게 떨어지도록, 용착부의 용착 강도를 약하게 한 경우, 이송 시 등에 외측의 포장 필름으로부터 손 오염 방지 시트가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벗겨진 손 오염 방지 시트는, 식품과 맞스치는 것에 의해 식품의 형상을 흩뜨리거나, 개봉 시에 식품을 비산시키는 요인이 된다. 한편, 용착부의 용착 강도를 강하게 한 경우, 식품 포장재에 요구되는 간이 개봉 기능은 손상되고, 외측의 포장 필름으로부터의 손 오염 방지 시트의 박리가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아, 식품이 흐트러지거나, 개봉 시에 식품이 비산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식품 포장재를 이용한 포장 식품의 개봉 강도는, 외측의 포장 필름으로부터 손 오염 방지 시트가 박리될 때의 용착부의 박리 강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이와 같은 식품 포장재를 이용한 포장 식품의 개봉 강도를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7311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식품 포장재에 요구되는 간이 개봉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식품 포장재로의 손 오염 방지 시트의 분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개봉 강도를 제어하기 쉬운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서로 분할 가능한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구비하는 본체 시트와, 상기 본체 시트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되는 고착 시트로서,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고착 시트 분리부를 가지는 고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1 부위에 고착되고,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된다.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용 원단은,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가 복수 개 연속하여 설치된 것이다.
(3)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은,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와, 상기 식품 포장재로 포장되고,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식품을 포함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의 평면도이다.
[도 2] 도 1의 식품 포장재(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식품 포장재(10)에 식품(20)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도 4의 식품 포장재(12)에 식품(20)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4)의 평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 12, 14)를 사용한 포장 식품(1)의 사시도이다.
[도 8a]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을 개봉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을 개봉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을 개봉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c]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복수 개의 연속하는 식품 포장재(10, 12, 14)를 가지는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의 사시도이다.
(식품 포장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의 평면도이고, 고착 시트(200)가 고착된 주면(主面) 및 주면에 대향하는 이면을 가지는 본체 시트(100) 중, 주면 측으로부터 본 식품 포장재(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 포장재(10)의 분해사시도로서, 식품 포장재(10)의 본체 시트(100)와 고착 시트(200)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 포장재(10)에 식품(20)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식품 포장재(10)의 고착 시트(200)가 설치된 주면에 식품(20)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에서 봄이란, 도 1과 같이 식품 포장재(10) 중, 고착 시트(20)가 설치된 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식품 포장재(10)를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식품 포장재(10)는, 오니기리나 샌드위치 등으로 대표되는 식품(20)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식품 포장재(10)는, 식품(20)을 싸는 본체 시트(100)와, 본체 시트(100)에 고착되는 고착 시트(200)를 포함하고 있다. 고착 시트(200)는 본체 시트(100)의 주면에 고착되고, 포장 시에는 본체 시트(100)와 식품(20) 사이에 배치된다. 고착 시트(200)는, 개봉 후에 본체 시트(100)로부터 분리하여 식품(20) 측에 유지되는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본체 시트(100)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약 22.5cm, 폭 방향의 길이가 16cm이다. 그리고, 본체 시트(100)의 외형이나 크기는,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상이나 사다리형상 등의 직사각형 형상, 사방의 코너부가 절결된 직사각형 형상, 자루형 등을 포함하는 어떠한 형상, 크기를 취해도 된다.
본체 시트(100)는, 제1 부위(104), 제1 부위(104)와는 별도의 제2 부위(106)로 분리 가능한 시트체이다. 본체 시트(100)는, 적어도 식품(20)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필름(102)을 가지고, 적어도 제1 부위(104) 및 제2 부위(106)로 본체 시트(100)를 분할하기 위한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식품 포장재(10)는, 도 7에 나타내는 포장 식품(1)을 간이하게 개봉하여, 식품(20)을 꺼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으로서는, 식품 포장재(10)를 간이하게 분할할 수 있는 수단이면,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은, 포장 필름(102)에 고착된 일조(一條) 또는 복수 조의 컷 테이프, 포장 필름(102)에 형성된 일조 또는 복수 조의 점선, 또는, 포장 필름(102)에 형성된 일조 또는 복수 조의 하프컷부로 할 수 있다.
특히, 본체 시트(100)의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은, 적어도 2조(二條)의 컷 테이프(110, 1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컷 테이프(110, 112)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컷 테이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이 경우, 컷 테이프(110, 112)는 포장 필름(102)의 주면에 전체면이 고착되어 설치된다.
컷 테이프(110, 112)는 본체 시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고, 또한 2조의 컷 테이프(110, 112)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컷 테이프(110, 112)에 의해, 컷 테이프(110, 112)에 협지되어 본체 시트(100)로부터 분할되는 개봉 밴드(114)를 넓게 할 수 있고, 또한 컷 테이프(110, 112)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컷 테이프(110, 112)에 의해 본체 시트(100)를 분할할 수 있다. 각 컷 테이프(110, 112)는 식품 포장재(10)를 개봉하기 쉽게 하기 위해, 폭을 2.5㎜ 이상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컷 테이프(110, 112)의 형상으로서는 직선형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파형, 곡선형, 원호형 등 공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컷 테이프(110, 112)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파형을 보이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컷 테이프(110, 112)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가 중복되는 본체 시트(100)의 부분에는, 컷 테이프(110, 112)의 폭 방향의 단부를 따라 소정의 길이의 슬릿(118)을 형성할 수 있고, 슬릿(118)에 의해 개봉 시에 컷 테이프(110, 112)의 길이 방향의 단부를 쥐기 쉽게 할 수 있다. 슬릿(118)은, 컷 테이프(110, 112)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대응하는 본체 시트(100)의 부분에 형성해도 되지만,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가 중복되는 본체 시트(100)의 부분에 각각 형성해도 된다.
본체 시트(100)의 포장 필름(102)은 필름형체이면 되고, 공지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 필름(102)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이들 합성 수지와 섬유 등과의 복합재 필름이어도 된다. 합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1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 2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 및 무연신 합성 수지 필름이 존재하므로, 용도에 따라서 적당한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선택할 수 있다.
1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은 일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이고, 연신 방향을 따라 찢기 용이하지만 그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찢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2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은, 직교하는 2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이고, 양 방향을 따라 찢기 용이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포장 필름(102)으로 1축 또는 2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을 이용하면, 이들 필름의 연신 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을 설치함으로써,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과 협동하여 포장 필름(102)의 일부를 분할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 시트(200)는 고착 시트 본체부(206)와,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양측에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는 고착 시트 본체부(20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착 시트(200)의 외형은, 본체 시트(100)의 외형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고착 시트(200)는,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가 분할되어, 분할 후의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에 의해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분리되고,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에 의해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와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분리된다. 그리고,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는 본체 시트(100)에 고착된 채로, 본체 시트(100) 측에 유치되고, 고착 시트(200)의 고착 시트 본체부(206)는 식품(20) 측에 부착되어 유지되고, 손 오염 방지 시트(206a)로 된다. 따라서, 식품(20)을 들 때, 손 오염 방지 시트(206a)를 통하여 식품(20)을 쥘 수 있고, 손가락이 식품(2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식품(20)을 먹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 시트(200)는 본체 시트(100)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에 있어서, 본체 시트(100)의 주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착 시트(200)는,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에 고착되는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본체 시트(100)의 제2 부위(106)에 고착되는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착 시트(200)에는,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분리하기 위한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과,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분리하기 위한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 사이에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고착 시트(200)가 접혀서, 평면에서 볼 때,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가 인접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고착 시트(200)가 접혀서, 평면에서 볼 때,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 및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중복되도록 해도 된다.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210)은, 분할 후의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의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 중 적어도 한쪽을 고착 시트 본체부(20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식품 포장재(10)를 사용한 포장 식품(1)의 개봉 시에 본체 시트(100)의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 측으로부터 외부 방향 측으로 작용하는 힘을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에 각각 인가하면, 제1 부위(104)에 고착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가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 측으로부터 외부 방향 측으로 잡아당겨지고, 또한 제2 부위(106)에 고착된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도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 측으로부터 외부 방향 측으로 잡아당겨진다. 그렇게 되면, 식품 포장재(10)의 내측에 있어서,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에 의해,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분리되어, 손 오염 방지 시트(206a)로 된다. 손 오염 방지 시트(206a)는 식품(20)의 표면에 유지되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식품 포장재(10)에 요구되는 간이 개봉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식품 포장재(10)로부터 손 오염 방지 시트(206a)의 분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식품 포장재(10)를 사용한 포장 식품(1)의 개봉 강도를 제어하기 쉬워진다.
고착 시트(200)는 직사각형상,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 등의 공지의 외형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 중 적어도 한쪽은, 투명 상태 또는 반투명 상태여도 되고, 불투명 상태여도 된다. 양쪽이 투명 상태 또는 반투명 상태인 경우에는, 식품(20)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외형은, 사각형상 등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상,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 등 공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봉 후에, 고착 시트 본체부(206)로 이루어지는 손 오염 방지 시트(206a)의 코너부를 쥐어 식품(20)으로부터 제거하기 쉽다.
도 1의 식품 포장재(10)에 있어서,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과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 중 적어도 한쪽은 고착 시트(200)에 형성된 점선이다.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과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의 점선은, 고착 시트(200)의 일부를 표리면에 걸쳐 관통하는 컷부와 컷부에 협지된 언컷(uncut)부를 각각 복수 포함한다. 언컷부는, 고착 시트(200)를 모두 절단하지 않거나, 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슬릿으로서, 소위 하프컷을 행한 부분이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슬릿은,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언컷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는 슬릿으로 하면, 점선이 파탄되기 쉬워져,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고착 시트(200)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또한, 점선은, 컷부의 길이가 언컷부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면, 점선이 보다 파탄되기 쉬워지고,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고착 시트(200)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과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 중 적어도 한쪽은, 점선 대신에 고착 시트(200)의 표면부터 이면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슬릿을 넣은 하프컷부여도 되고,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의 각각과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가볍게 용착 또는 접착하여 박리 가능하게 한 고착부여도 된다.
고착 시트(200)는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 및 고착 시트 본체부(206) 중,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에 있어서만, 본체 시트(100)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착 시트 본체부(206)는 본체 시트(100)가 고착되지 않게 되고, 개봉 후에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본체 시트(100)로부터 분리되어, 식품(20) 측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고착 시트 본체부(206)는, 제1 고착부(212)의 본체 시트(100)로부터의 박리 강도보다 낮은 박리 강도로 되도록 본체 시트(100)에 가볍게 고착되어, 포장 식품(1)의 개봉 시에 본체 시트(100)로부터 간단히 박리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된다.
도 1의 식품 포장재(10)에 있어서, 고착 시트(200)는 고착 시트(200)를 본체 시트(100)에 고착하기 위한 고착부(212, 214)를 갖는다.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는,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점형의 제1 고착부(212)를 구비하고 있고,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는,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점형의 제2 고착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에 있어서, 제1 고착부(212) 및 제2 고착부(214)에 의해 본체 시트(100)와 고착 시트(200)는 고착되어 있고, 제1 고착부(212) 및 제2 고착부(214)의 외측 영역에서는 양자는 고착되지 않는다. 제1 고착부 및 제2 고착부(212, 214)를 점형으로 형성하여 포인트 실(point seal) 타입으로 하면, 고착 시트(200)에 주름을 생기게 하기 어렵고, 식품 포장재(10)의 미관을 높일 수 있다. 도 1에는,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의 3군데에 제1 고착부(212)가 형성되고,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의 3군데에 제2 고착부(214)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 고착부 및 제2 고착부(212, 214)는, 본체 시트(100)와 고착 시트(200)가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된 용착부여도 되고,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접착부여도 된다. 그리고, 제1 고착부 및 제2 고착부(212, 214)는 원형, 다각형을 보이는 점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연속선이나 파선 등의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1 고착부(212)의 형상은, 고착 시트(200)의 끝(端)에지 측으로부터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측을 향하여, 고착 시트(200)의 상기 끝에지를 따르는 방향의 폭이 점감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착부(214)의 형상은, 고착 시트(200)의 끝에지 측으로부터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 측을 향하여, 고착 시트(200)의 상기 끝에지를 따르는 방향의 폭이 점감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형상으로서,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삼각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체 시트(100)를 분할할 때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 중 적어도 한쪽에 효과적으로 힘이 전달되고,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과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에 있어서의 고착 시트(200)의 컷팅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고착부(212)는,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측에 꼭지점이 향하도록 배치된 대략 삼각형상으로 하고, 제2 고착부(214)도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 측에 꼭지점이 향하도록 배치된 대략 삼각형상으로 할 수 있다.
고착 시트(200)의 재료로서는 시트형인 것이면, 공지의 어떠한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착 시트(20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이들 합성 수지와 섬유 등의 복합 재료 필름이어도 된다. 합성 수지 필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 2축 연신 합성 수지 필름, 무연신 합성 수지 필름이 존재하므로, 용도에 따라서 적당한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선택하면 된다. 고착 시트(200)는, 포장 시에 식품(20)에 직접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이므로, 식품(20)이 부착되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볼 때,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은, 고착 시트(200)의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적어도 일부에 중복되도록 본체 시트(100)에 설치되어 있고, 2조의 컷 테이프(110, 112)를 걸치도록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을 제거한 후에,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직접 손으로 누를 수 있으므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끝에지는,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식품(20)의 폭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본체 시트(100)의 끝에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다. 고착 시트(200)는, 고착 시트(200)의 중앙부가 본체 시트(100)의 폭 방향 중앙부로서, 본체 시트(100)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지어지도록, 본체 시트(100)에 고착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2)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식품 포장재(12)의 분해사시도로서, 본체 시트(100), 고착 시트(200),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식품 포장재(12)에 식품(20)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식품 포장재(12)의 고착 시트(200)가 설치된 주면에 식품(20)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 포장재(12)는 도 1에 나타내는 식품 포장재(10)에, 내측 필름(400)과,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와 내측 필름(400)과의 사이에 배치된 김 등의 시트형 식품(30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내측 필름(400)은, 본체 시트(100)의 고착 시트(200)를 고착한 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식품 포장재(12)는 본체 시트(100), 고착 시트(200),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의 순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본체 시트(100)와 내측 필름(400)의 외주를 용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고착시키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와 내측 필름(400) 사이에, 시트형 식품(300)이 포장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 시트(100)의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을 이용하여, 식품 포장재(12)를 사용한 포장 식품(1)을 개봉하여, 본체 시트(100)의 제1 부위(104)와 제2 부위(106)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측 필름(400)이 식품(20)으로부터 분리되어, 식품(20)에 시트형 식품(300)이 맞닿는다. 이와 동시에,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에 있어서, 고착 시트(200)의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분리되고, 식품(20)에 맞닿은 시트형 식품(300)에 손 오염 방지 시트(206a)가 유지된다. 그리고, 내측 필름(400)은 1장의 필름이어도 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2장 이상의 복수의 내측 필름부 단편(402, 404)으로 분할되어, 평면에서 볼 때, 복수의 내측 필름부편(402, 404)의 일부가 중복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4)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4)의 평면도이며, 고착 시트(200)가 고착된 주면 및 주면에 대향하는 이면을 가지는 본체 시트(100) 중, 주면 측으로부터 본 식품 포장재(14)가 기재된 것이다. 평행하게 배치된 컷 테이프(110, 112)를 구비하는 식품 포장재(10)와 비교하여, 식품 포장재(14)는 컷 테이프(150, 152) 및 슬릿(158)의 형상이 상이하고, 이것 이외는 식품 포장재(10)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 포장재(14)는 본체 시트(140)에 설치된 본체 시트 분리 수단(156)을 갖는다. 본체 시트(140)는 본체 시트 분리 수단(156)을 사이에 두고, 제1 부위(144) 및 제2 부위(146)를 구비한다. 본체 시트 분리 수단(156)은 2조의 컷 테이프(150, 152)를 구비한다. 각 컷 테이프(150, 152)는 원호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컷 테이프(150, 152)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가지고, 각 컷 테이프(150, 15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2조의 컷 테이프(150, 152)간 거리가, 각 컷 테이프(150, 15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2조의 컷 테이프(150, 152)간 거리보다 짧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 시트(140)에는, 컷 테이프(150, 152)의 단부를 따라 소정의 길이의 슬릿(158)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슬릿(158)에 의해 개봉 시에 컷 테이프(150, 152)의 단부를 쥐기 쉽게 할 수 있다. 슬릿(158)은 본체 시트(140) 중, 컷 테이프(150, 152)의 한쪽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해도 되지만,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평면에서 볼 때, 각 컷 테이프(150, 15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 중복되도록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컷 테이프(150) 및 컷 테이프(152)는, 고착 시트 본체부(206)에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컷 테이프(150) 및 컷 테이프(152)에 의해 본체 시트(140)로부터 절단되는 개봉 밴드(154)를 넓게 설치할 수 있다. 본체 시트 분리 수단(156)의 제거 후에,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넓게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에서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직접 손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 및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로부터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 포장재(14)로서 본체 시트(140) 및 고착 시트(200)만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했으나, 본체 시트(140), 고착 시트(200),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의 순으로 적층된 것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식품 포장재용 원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있다.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은, 전술한 식품 포장재(10, 12, 14)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연속하여 설치된 장척형의 것을 롤형으로 권취한 것이다.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에는, 본체 시트(1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된 장척형의 본체 시트(100a)와, 본체 시트(100a)의 주면에 고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고착 시트(2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포장 식품)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의 식품 포장재(10, 12, 1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포장 식품(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 12, 1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포장 식품(1)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식품(1)은 식품 포장재(10, 12, 14)의 내측에 고착 시트(200)와 식품(20)을 포함한다. 이 경우, 고착 시트(200)의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적어도 일부는 식품(20)과 맞닿아 있다. 포장 식품(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을 포함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고착 시트(200)의 고착 시트 본체부(206)의 적어도 일부는 시트형 식품(300)과 맞닿아 있다.
식품(20)으로서는 백미, 찹쌀, 볶음밥이나 오므라이스 등의 쌀밥 식품을 뭉친 오니기리 등의 밥 덩어리가 예시된다. 식품(20)은, 평면형 또는 곡면형의 표면과, 표면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표면에 대향하는 이면과, 표면과 이면을 연결하는 주위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20)은, 높이가 약 7cm, 주위측면 폭이 3cm인 삼각형상의 밥 덩어리의 오니기리이다. 식품(20)으로서는 오니기리 등의 밥 덩어리에 한정되지 않고, 샌드위치 등의 고형상 식품이라면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포장 식품(1)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시트 분리 수단(116)을 잡아당겨 제거 등을 행하는 것에 의해, 식품 포장재(10)를 2분할 이상으로 분할한 후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품 포장재(1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손잡이부(3) 등을 도 7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외측 방향을 향하여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식품 포장재(10)를 복수 부분으로 분할하여, 식품(20), 또는, 시트형 식품(300)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식품(20)으로부터 식품 포장재(10)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 오염 방지 시트(206a)가 식품(20) 또는 시트형 식품(300)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식품(20)에 유지된 상태에서, 식품(20) 또는 시트형 식품(300)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식품(20)을 꺼낼 수 있다.
(식품 포장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형태의 본체 시트(100)를 제공한다. 그리고, 고착 시트 형성 재료를 제공하고, 커터 등에 의해 고착 시트 형성 재료에 점선를 형성함으로써,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와 고착 시트 본체부(206) 사이에 있어서,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208)을 형성하고,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와 고착 시트 본체부(206) 사이에 있어서,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210)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고착 시트(200)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고착 시트(200)를 본체 시트(100)에 대향시켜, 본체 시트(100)와 제1 고착 시트 분리부(202)를 열 용착하여 고착시키고, 또한 본체 시트(100)와 제2 고착 시트 분리부(204)를 열 용착하여 고착시킨다. 이에 의해, 고착 시트 본체부(206)를 본체 시트(100)로부터 고착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고착 시트(200)를 본체 시트(100)에 고착시킨다. 이에 의해,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10)가 형성된다.
이 후에, 본체 시트(100)의 고착 시트(200)를 고착시킨 주면에, 내측 필름(400)이 대향하도록, 김 등의 시트형 식품(300)을 사이에 두고, 본체 시트(100)와 내측 필름(400)을 배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된다. 내측 필름(400)은 1장의 필름이어도 되고, 2장 이상의 내측 필름부 단편(402, 404)으로 분할하여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본체 시트(100), 고착 시트(200),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의 순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본체 시트(100)와 내측 필름(400)의 외주만을, 열이나 초음파에 의해 용착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고착함으로써 외주 고착부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뿐만 아니라,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을 더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12)가 형성된다.
(포장 식품의 제조 방법)
다음에, 도 9a∼도 9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10)를 포함하는 포장 식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식품 포장재(10)는, 식품 포장재용 원단(1000)으로부터 잘라내어진 것을 사용해도 된다. 먼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 시트(200)의 고착면인 주면과 그 이면을 구비하는 본체 시트(100) 중, 주면 측이 식품(20)을 향하도록 식품 포장재(10)를 배치하여, 식품 포장재(10) 위에 식품(20)을 탑재한다. 본체 시트(100) 및 고착 시트(200)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10)의 경우에는, 적어도 고착 시트(200) 위에 식품(20)이 탑재된다.
이 때, 고착 시트(200)의 고착 시트 본체부(206)가 식품(20)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시트(100)를 접어서 식품(20)을 감싸고,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테이프, 씰 및 라벨 등의 걸림 부재(40)에 의해, 본체 시트(100)의 끝에지부를 본체 시트(100)의 다른 부분에 걸리게 함으로써, 포장 식품(1)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 포장재(1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식품 포장재(10) 대신에 컷 테이프(150, 152)의 배치가 상이한 식품 포장재(14)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식품 포장재(10) 대신에 본체 시트(100), 고착 시트(200), 시트형 식품(300) 및 내측 필름(400)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재(12)를 사용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내측 필름(400) 위에 식품(20)이 탑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위(104) 및 제2 부위(106)를 포함하는 복수의 포장재 분할부는, 본체 시트(100)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포장재 분할부(104, 106)는 본체 시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시트(100)가 2분할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둘 이상으로 분할되어도 된다.
상기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것을 확인한다.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서로 분할 가능한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구비하는 본체 시트와, 상기 본체 시트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되는 고착 시트로서,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고착 시트 분리부를 가지는 고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1 부위에 고착되고,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된다.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상기 고착 시트는,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에서만, 상기 본체 시트에 고착되고,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에 고착되지 않아도 된다.
(3)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고착 시트에 형성된 점선인 것이어도 된다.
(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상기 본체 시트는, 상기 본체 시트를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로 분할하기 위한 컷 테이프를 가지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컷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착 시트에 중복되도록 배치된 것이어도 된다.
(5)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4)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컷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 중 적어도 한쪽에 중복되도록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6)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4)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상기 컷 테이프는 적어도 2조의 컷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컷 테이프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7)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4)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적어도 2조의 상기 컷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컷 테이프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컷 테이프간의 거리는, 상기 컷 테이프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컷 테이프간 거리보다 짧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8)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는, 상기 (1)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로서,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에는, 상기 본체 시트에 대한 고착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고착부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9)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포장재용 원단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가 복수 개 연속하여 설치된 것이다.
(10)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장 식품은,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와, 상기 식품 포장재로 포장되고,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 포장재에 요구되는 간이 개봉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식품 포장재로부터의 손 오염 방지 시트의 분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개봉 강도를 제어하기 쉬운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 : 포장 식품
10, 12, 14 : 식품 포장재
20 : 식품
100 : 본체 시트
102 : 포장 필름
104 : 제1 부위
106 : 제2 부위
110, 112 : 컷 테이프
114 : 개봉 밴드
116 : 본체 시트 분리 수단
118 : 슬릿
140 : 본체 시트
146 : 본체 시트 분리 수단
150, 152 : 컷 테이프
158 : 슬릿
200 : 고착 시트
202 :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204 : 제2 고착 시트 분리부
206 : 고착 시트 본체부
206a : 손 오염 방지 시트
208 :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
210 :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
212 : 제1 고착부
214 : 제2 고착부
300 : 시트형 식품
400 : 내측 필름
402, 404 : 내측 필름부 단편
1000 : 식품 포장재용 원단

Claims (10)

  1. 서로 분할 가능한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구비하는 본체 시트; 및
    상기 본체 시트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되는 고착 시트로서, 고착 시트 본체부,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및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고착 시트 분리부를 가지는 고착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1 부위에 고착되고,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 시트의 상기 제2 부위에 고착되는,
    식품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시트는,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에서만, 상기 본체 시트에 고착되고,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에서는 상기 본체 시트에 고착되지 않은, 식품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 시트는,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을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사이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을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와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 사이에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 수단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고착 시트에 형성된 점선인, 식품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는, 상기 본체 시트를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로 분할하기 위한 본체 시트 분할 수단을 가지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 시트 분할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착 시트에 중복되도록 배치된 것인, 식품 포장재.
  5.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본체 시트 분할 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 및 상기 제2 고착 시트 분리부 중 적어도 한쪽에 중복되도록 설치된 것인, 식품 포장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 분할 수단은 적어도 2조(二條)의 컷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컷 테이프는 직선형으로 설치된 것인, 식품 포장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시트 분할 수단은 적어도 2조의 컷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컷 테이프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컷 테이프간 거리는, 상기 컷 테이프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컷 테이프간 거리보다 짧은, 식품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착 시트 분리부에는, 상기 본체 시트에 대한 고착부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고착부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식품 포장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가 복수 개 연속하여 설치된 것인, 식품 포장재용 원단.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포장재, 및 상기 식품 포장재로 포장되고, 상기 고착 시트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식품을 포함하는 포장 식품.
KR1020187028136A 2016-04-12 2016-05-31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KR102567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705A JP6681255B2 (ja) 2016-04-12 2016-04-12 食品包装材、食品包装材用原反及び食品包装体
JPJP-P-2016-079705 2016-04-12
PCT/JP2016/066067 WO2017179217A1 (ja) 2016-04-12 2016-05-31 食品包装材、食品包装材用原反及び包装食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416A true KR20180128416A (ko) 2018-12-03
KR102567036B1 KR102567036B1 (ko) 2023-08-11

Family

ID=6004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136A KR102567036B1 (ko) 2016-04-12 2016-05-31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81255B2 (ko)
KR (1) KR102567036B1 (ko)
CN (1) CN109071100B (ko)
TW (1) TWI674224B (ko)
WO (1) WO2017179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3990B2 (ja) * 2019-01-29 2023-02-17 株式会社大森屋 おにぎり用包装材
WO2020165946A1 (ja) * 2019-02-12 2020-08-20 朋和産業株式会社 食品用包装材、食品包装体
CN112298801B (zh) * 2019-08-01 2023-05-12 朋和产业株式会社 米饭加工食品用包装材料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744U (ko) * 1990-04-09 1991-12-26
JP2000139381A (ja) * 1998-11-11 2000-05-23 Masahisa Sakiyama 三角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2009137614A (ja) * 2007-12-05 2009-06-25 Fuji Seiki Co Ltd 食品包装材、包装食品、及び食品包装材の製造方法
JP2012001258A (ja) * 2010-06-18 2012-01-05 Suzu Pack Co Ltd おにぎり用包装材
JP2013176349A (ja) * 2012-02-10 2013-09-09 Takao Taneda おにぎり包装用シートに用いる外部シート
JP2014073115A (ja) 2012-10-05 2014-04-24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15008717A (ja) * 2013-07-02 2015-01-19 鈴木 允 包装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2401Y (zh) * 1993-11-20 1995-07-05 樊奇洲 方便饭包
JP3840533B2 (ja) * 1998-04-13 2006-11-01 朋和産業株式会社 三角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4309415B2 (ja) * 2006-09-08 2009-08-05 信和産業株式会社 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及び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の内フィルム原反
JP3129744U (ja) * 2006-09-27 2007-03-08 丸隆株式会社 米飯食品の包装構造
EP2599733B1 (en) * 2010-07-28 2016-06-01 Myoung Ho Jeon Gimbap wrapper
JP6039303B2 (ja) * 2012-08-16 2016-12-07 鈴木 允 包装シート及び該包装シートにより包装された包装飯塊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744U (ko) * 1990-04-09 1991-12-26
JP2000139381A (ja) * 1998-11-11 2000-05-23 Masahisa Sakiyama 三角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2009137614A (ja) * 2007-12-05 2009-06-25 Fuji Seiki Co Ltd 食品包装材、包装食品、及び食品包装材の製造方法
JP2012001258A (ja) * 2010-06-18 2012-01-05 Suzu Pack Co Ltd おにぎり用包装材
JP2013176349A (ja) * 2012-02-10 2013-09-09 Takao Taneda おにぎり包装用シートに用いる外部シート
JP2014073115A (ja) 2012-10-05 2014-04-24 Makoto Suzuki 包装飯塊
JP2015008717A (ja) * 2013-07-02 2015-01-19 鈴木 允 包装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1100B (zh) 2020-03-03
TWI674224B (zh) 2019-10-11
JP6681255B2 (ja) 2020-04-15
CN109071100A (zh) 2018-12-21
JP2017190146A (ja) 2017-10-19
KR102567036B1 (ko) 2023-08-11
TW201736216A (zh) 2017-10-16
WO2017179217A1 (ja)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99A (ko) 과자, 기타 식품용 개방용이한 종이용기
KR20180128416A (ko) 식품 포장재, 식품 포장재용 원단 및 포장 식품
JP2824826B2 (ja) 飲食品用用具の帯状包装体
JP6292375B2 (ja)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JP2014204680A (ja) 包装シート、包装食品及び包装食品の包装を解く方法
JP5022822B2 (ja) 米飯加工食品用の包装体及び米飯加工食品用の包装袋
JP2012246049A (ja) 易開封合掌袋
JP2009023714A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体及び米飯加工食品用包装袋
JP3825454B2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体および米飯加工食品の包装具
JP4990061B2 (ja) 食品用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6421517B2 (ja) 包装体
JP2012236623A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
JP2016108004A (ja) 包装体
EP3250472B1 (en) Easy open package
JP7121448B2 (ja) 易カットフィルムおよび易カッ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033094A (en) Wrapping material for processed food of cooked rice
WO2021240831A1 (ja) 加熱食品用包装材
JPH0343358A (ja) 密封充填袋及びこれに用いるフィルム
JP2022001498A (ja) 食品用包装材、食品用包装材原反、及び、食品包装体
JP5085262B2 (ja) おにぎり用包装材
JP6461550B2 (ja) おにぎり包装材及び該包装材に包装されたおにぎり包装体
JP2023049722A (ja) 包装材、包装材原反ロール、包装袋及び包装材の製造方法
EP3722225A1 (en) Tray for packaging food products constituted of a flat sheet of multi-layer material
JP2023025518A (ja) 包装材、及び、包装体
JP2022012831A (ja) 食品用包装材、食品用包装材原反、及び、食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