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878A -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878A
KR20180124878A KR1020187027214A KR20187027214A KR20180124878A KR 20180124878 A KR20180124878 A KR 20180124878A KR 1020187027214 A KR1020187027214 A KR 1020187027214A KR 20187027214 A KR20187027214 A KR 20187027214A KR 20180124878 A KR20180124878 A KR 2018012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ew camera
vehicle
view
retract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649B1 (ko
Inventor
에이지 오바
타카히사 하코이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2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4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60R2011/004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with visible part, e.g. flush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60R2011/0087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round two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15Monitoring blind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3Alternative operation using light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4Alternative operation using ult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3/9327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01S2013/93274Sensor installation details on the side of th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01S2015/937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sensor installation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7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e.g. form, type, material or rugged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가 전개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체(4)를 포함한다. 퇴피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체(4)는, 카메라가 당해 지지체(4)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본 개시는, 차량 외부에 위치된 촬상부를 차량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에 대한 회피 기능을 구비한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예를 들어 도어 미러나 휀더 미러 등의 후사경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 예를 들어 CO2(이산화탄소)의 저감이나 차량 디자인의 관점으로부터, 후사경을 제거하여 공기 저항을 저감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후사경을 대신하여, 카메라(촬상부)에 의해 차량의 후방 시야의 화상을 촬상하여 운전자 등의 승무원에게 당해 화상을 확인시키는 CMS(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CMS에 있어서는,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지지부)의 선단부에 촬상부를 배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촬상부는, 종래의 후사경과 비교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전단부에 제공된 통 형상체에 의해 카메라 헤드를 상하 방향으로 돌출/후퇴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1994-6447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후사경을 대신하여 소형의 촬상부가 차량에 배치되는 경우, 보행자나 이륜 차량의 운전자 등, 차량 주위의 인물로부터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차량과의 엇갈림 시에 충돌할 리스크가 높아진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차량 외부에 위치된 촬상부를 차량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 충돌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가 도모되도록 함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며, 또한 이들 실시형태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dynamically deployable) 사이드-뷰(side-view) 카메라 마운트로서,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 뷰-카메라 마운트.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평행하게 배열되며 또한 회전점에 부착된 지지 링크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상호 접속되는 2개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전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지지 아암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과 평행하지 않은,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차체의 홈부 내에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부가 놓이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맞물리는 기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7)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 또는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체에 퇴피력을 가하도록, 일단에서 상기 지지체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상기 가압 부재에 부착되는 연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8)
상기 (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개시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지체를 전개 및/또는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9)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미리 결정된 토크 미만이면, 상기 전개 위치에 상기 지지체를 유지시키지만, 상기 토크가 상기 미리 결정된 토크보다 크다면 상기 퇴피 위치로의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락(lock)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0)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1 사전 조절(preset)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2 사전 조절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1)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가려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반대측 상에서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때,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의 풍하중을 감소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3)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4)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사이드-뷰 카메라, 및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는,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5)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6)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배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7)
상기 (16)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상태에 있을 때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이한 발광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8)
상기 (15)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지지체를 제어 가능하게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9)
상기 (18)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배향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접근하는 물체를 식별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켜 상기 물체가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0)
상기 (19)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방측 상황을 촬상하도록 구성되는 전방 시야 카메라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시야 카메라에 접근하는 상기 전방측 상황에 있어서의 물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이며,
사이드-뷰 카메라와;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로서,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차량의 제어 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을 포함하는 차량.
(22)
상기 (21)에 있어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타방측에 그 근위단에서 부착되며, 그 원위단에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되는 또 다른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는 다른 후방 시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또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
본 기술에 의하면, 차량 외부에 위치된 촬상부를 차량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 충돌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가 도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이더라도 좋다.
[도 1] 도 1은, 촬상부 지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상면도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1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a] 도 3a는, 도 2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 도 3b는, 도 3a에 있어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도 4는, 락 해제 부재의 락 해제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피지지부의 퇴피 후의 모습을 예시한 상면도이다.
[도 6]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1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전기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a] 도 7a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2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 도 7b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2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요부의 구성을 사시도에 의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도 9a는, 도 7에 나타내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구성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9b] 도 9b는, 도 7에 나타내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구성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변화 억제 기구에 관한 변형예의 제1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 도 11은, 변화 억제 기구에 관한 변형예의 제2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 도 12는, 피지지부의 퇴피 위치를 차량 내부로 한 촬상부 지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한 회피 기능을 구비한 촬상부 지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4a] 도 14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b] 도 14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락 및 락 해제를 위한 구성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도 16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 도 16b는, 촬상부 지지 장치의 피지지부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17a] 도 17a는, 전환 기구의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7b] 도 17b는, 전환 기구의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8] 도 18은, 회피 제어 수단을 포함한 촬상부 지지 장치의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본 기술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형태>
<1-1. 구성예 1>
<1-2. 구성예 2>
<1-3. 변화 억제 기구에 관한 변형예>
<1-4. 그 외의 변형예>
<2. 제2 실시형태>
<3. 제3 실시형태>
<4. 실시형태의 정리>
<5. 본 기술>
<1. 제1 실시형태>
<1-1. 구성예 1>
먼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1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1)(예를 들어,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촬상부 지지 장치(1)가 설치된 차량(100)(자동차 등)의 상면도이다.
본 예의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차량(100)의 후사경으로서 기능하는 CMS(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차량(100)의 외부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측을 촬상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촬상부(후술하는 촬상부(2))를 차량(100) 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본 예에 있어서,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차량(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일방의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차량(100)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우측 전륜의 상부 근방에 배치되고, 타방의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차량(100)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좌측 전륜의 상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촬상부 지지 장치(1)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100)의 우측편에 설치된 촬상부 지지 장치(1)의 구성을 대표로서 설명하지만, 차량(100) 좌측편에 설치된 촬상부 지지 장치(1)의 구성은 마찬가지(좌우를 반전한 구성으로 됨)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서는, 촬상부 지지 장치(1)를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지면(紙面) 좌측이 차량(100)의 전방측, 지면의 우측이 차량(100)의 후방측에 대응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차량(100)의 내측이 되는 영역을 사선부로 나타냄과 함께, 차량(100)의 우측면(100r)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피지지부(3)(촬상부(2))의 위치는, 통상 사용 시에 있어서의 위치로서, 차량(100)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차량(100)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피지지부(3)의 위치를 「전개 위치」 또는 「통상 위치」라 표기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촬상부(2)가 설치되는 피지지부(3)와, 예를 들어 판 형상의 형상으로 된 전측(front side) 지지 부재(4f)(지지 아암 등) 및 예를 들어 판 형상의 형상으로 된 후측(rear side) 지지 부재(4b)(지지 아암 등)를 갖고 피지지부(3)를 지지하는 지지부(4)(지지체 등)와, 전측 지지 부재(4f)의 일단부(근위부 등)를 차량(100)에 접속하는 차량측 접속부(5)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일단부를 차량(100)에 접속하는 차량측 접속부(6)와, 전측 지지 부재(4f)의 타단부(원위부 등)를 피지지부(3)에 접속하는 피지지부측 접속부(7)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타단부를 피지지부(3)에 접속하는 피지지부측 접속부(8)를 구비한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커버부(9)와 퇴피 장치(가압 부재(10) 등)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부(9)의 일부는 지지부(4) 및 피지지부(3)보다 전측에 위치된다. 가압 부재(10)는 후측 지지 부재(4b)를 가압한다.
촬상부(2)(사이드-뷰 카메라 등)는, 예를 들어 촬상 렌즈와, 당해 촬상 렌즈를 거쳐 피사체로부터 입사된 광을 검출하여 피사체의 촬상 화상을 얻는 촬상 소자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피지지부(3)는, 촬상부(2)의 커버로서 기능하며, 본 예에서는 내부에 촬상부(2)를 보유지지하고 있다.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촬상부(2)의 촬상 렌즈는 후방을 향해지고 있다. 즉,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은 후방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촬상부(2)에 의한 촬상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촬상 화상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는 전기 배선을 거쳐 차량(100)의 차실 내 소정 위치(예를 들어 미터 패널 내)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운전자 등의 승무원은 당해 표시 장치를 거쳐 촬상부(2)가 촬상한 후방 시야 화상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운전자는 차량의 전진 방향에 관해 후방 시야로부터의 화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이 어느 각도 범위에 걸치는 것도 인식할 수 있다.
차량측 접속부(5, 6), 및 피지지부측 접속부(7, 8)는, 본 예의 경우, 이하와 같이 대응하는 지지 부재에 접속하고 있다.
먼저,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는, 각각 일단부(차량(100) 측의 단부) 및 타단부(피지지부(3) 측의 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은 종 방향(차량(100)의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지지 부재를 관통하고 있다.
차량측 접속부(5)는, 하단측이 차량(100) 측에 고착된 대략 원 기둥 형상의 축 부재(5a)를 가지고 있고, 축 부재(5a)가 전측 지지 부재(4f)의 상기한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접속부(5)는, 전측 지지 부재(4f)를, 상기 축 부재(5a)를 회전점에서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100) 측에 접속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측 접속부(6)는, 하단측이 차량(100) 측에 고착된 대략 원 기둥 형상의 축 부재(6a)를 가지고 있고, 축 부재(6a)가 후측 지지 부재(4b)의 상기한 일단부에 있어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접속부(6)는, 후측 지지 부재(4b)를, 상기 축 부재(6a)를 회전점에서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차량(100) 측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피지지부측 접속부(7, 8)는, 하단측이 피지지부(3) 측에 고착된 대략 원 기둥 형상의 축 부재(7a, 8a)를 가지고 있다. 피지지부측 접속부(7)의 축 부재(7a)는 전측 지지 부재(4f)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 삽입되고, 피지지부측 접속부(8)의 축 부재(8a)는 후측 지지 부재(4b)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지지부측 접속부(7)는, 전측 지지 부재(4f)와 피지지부(3)와의 사이를, 축 부재(7a)를 회전점에서 회동축으로 하여 피지지부(3)가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한편, 피지지부측 접속부(8)는, 후측 지지 부재(4b)와 피지지부(3)와의 사이를, 축 부재(8a)를 회전점에서 회동축으로 하여 피지지부(3)가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축 부재(5a, 6a, 7a, 8a)의 배치 위치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축 부재(5a, 6a)의 중심끼리를 연결한 선과 축 부재(7a, 8a)의 중심끼리를 연결한 선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측 지지 부재(4f), 후측 지지 부재(4b)나 피지지부(3)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구성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측 지지 부재(4f), 후측 지지 부재(4b)에 축 부재를 형성하고, 그들 축 부재를 각각 차량(100) 측과 피지지부(3) 측에 형성한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는 등,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전측 지지 부재(4f)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피구동부(4f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커버부(9)는, 피지지부(3) 및 지지부(4)의 전방을 덮으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판 형상의 커버 전부(9f)와, 커버 전부(9f)의 좌우 대략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대략 판 형상의 커버 후부(9b)를 포함하며,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T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본 예의 경우, 커버부(9)는, 적어도 커버 전부(9f)의 전단부가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탄성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방측으로부터의 예를 들어 보행자 등의 물체의 충돌에 대한 충격 완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커버부(9)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압 부재(10)는, 예를 들어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신장력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일단이 차량(100) 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측 지지 부재(4b)에 고정되어 있고, 후측 지지 부재(4b)를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커버부(9)에 제공되는 후술하는 락 해제 부재(11)에 의해 후측 지지 부재(4b)(및 전측 지지 부재(4f))의 움직임(회동)이 락 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부재(10)에 의한 가압력에 기초하여 후측 지지 부재(4b)가 구동되지 않도록 도모되어지고 있다.
도 3a는, 커버부(9),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를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에 있어서도, 지면의 좌측이 차량(100)의 전방측에 대응하고 있다. 도 3b는 도 3a에 있어 점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9)의 커버 후부(9b) 내에는 공간(S)이 형성되고, 당해 공간(S) 내에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가 삽입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커버 전부(9f)의 상면(9u)은, 전단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 서서히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고, 커버 전부(9f)의 하면(9d)은, 전단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전부(9f)의 전단부는, 차량(100)의 전진 주행 시에 생기는 기류를 정류하는 정류 핀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류 정류를 위한 구성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커버 후부(9b)에 있어서, 후측 지지 부재(4b)의 상면, 하면은, 커버 후부(9b)의 상측 내면(9bu), 하측 내면(9bd)과 각각 접촉하여 있지 않고, 이에 의해 후측 지지 부재(4b)의 상면과 상측 내면(9bu)과의 사이, 그리고 후측 지지 부재(4b)의 하면과 하측 내면(9bd)과의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커버부(9)에는, 전단부가 커버 전부(9f)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커버 후부(9b)의 공간(S) 내에 위치된 예를 들어 봉 형상의 락 해제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후부(9b)에는,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면과 면하는 락킹면(9ms; locking surface)을 가지는 락부(9m; locking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본 예에서는, 락부(9m)는 하방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락킹면(9ms)은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면과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락부(9m)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는, 락 해제 부재(11)의 후단부의 배치 위치를 피한 위치(중첩하지 않는 위치)로 되어 있다.
락 해제 부재(11)의 후단부에는, 후측 상향의 경사면(11a)이 형성되고, 당해 경사면(11a)이 락 해제 부재(11)의 후단면으로 되어 있다.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락 해제 부재(11)에 있어서의 경사면(11a)의 후단(경사면(11a)의 최상단)은, 후측 지지 부재(4b)보다 상방이고 또한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면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있다. 그리고,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 최상부가 경사면(11a)과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 전측 지지 부재(4f)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9)에 고정되어 있다. 즉, 커버부(9)는 전측 지지 부재(4f)와 연동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측 지지 부재(4f)가 커버부(9)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락킹면(9ms)이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면과 접촉된 락부(9m)가, 가압 부재(10)에 의한 가압에 대항하여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의 움직임을 락하는 잠금 기구로서 기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10)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가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기 위해서는, 당해 회동의 과정에 있어서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이간 거리가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측 지지 부재(4f)가 커버부(9)에 고정되어 있으면, 가압 부재(10)에 의한 가압력에 기초하여 전측 지지 부재(4f)를 후퇴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나 토크가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락부(9m)가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이간 거리가 줄어들지 않는다. 즉,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의 차량(100) 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락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촬상부 지지 장치(1)에 있어서, 보행자 등의 물체가 전방으로부터 접근하여 커버 전부(9f)에 충돌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당해 충돌의 초기 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펀지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된 커버 전부(9f)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충격의 완화가 도모된다.
그리고나서, 당해 충돌에 응답하여서는, 락 해제 부재(11)를 후퇴시키는 힘이나 토크가 작용한다. 충돌에 의해 락 해제 부재(11)가 후퇴되면, 락 해제 부재(11) 후단부의 경사면(11a)이 후퇴함에 따라,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 최상부가 경사면(11a) 위를 슬라이딩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측 지지 부재(4b)의 전단 최상부가 경사면(11a) 위를 경사면(11a)의 하단측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지지 부재(4b)의 적어도 전단부는 락 해제 부재(11)에 의해 락부(9m)의 최하점보다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게 되고, 그 결과, 후측 지지 부재(4b)가 락부(9m)의 하방을 거쳐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락부(9m)에 의한 락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락부(9m)에 의한 락이 해제됨으로써,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이간 거리가 단축 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가압 부재(10)에 의한 가압력에 기초하여,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가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환언하면, 잠금 기구는, 접촉력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가 미리 결정된 토크 미만이라면 지지체를 전개 위치에 유지하지만, 토크가 미리 결정된 토크보다 클 경우 지지체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하, 이와 같은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회동 방향을 「퇴피 방향」이라고도 표기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축 부재(5a, 6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과 축 부재(7a, 8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이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평행이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가 퇴피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 즉 피지지부(3)가 퇴피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피지지부(3)의 배향은, 통상 위치에 있어서의 배향으로부터 거의 변화하지 않게 된다. 즉,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은 후 방향으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방향의 변화가 억제되는 것은,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피지지부(3)가 축 부재(7a, 8a)를 축으로 하여 퇴피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이다.
본 예에 있어서,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는 변화 억제 기구는, 축 부재(5a, 6a, 7a, 8a), 및 이들 축 부재를 삽입하는 전측 지지 부재(4f), 후측 지지 부재(4b) 각각에 형성된 삽입 구멍을 가져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피지지부(3)의 퇴피 후의 모습을 예시한 상면도다.
이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퇴피가 행해진 후의 피지지부(3)의 위치를 「퇴피 위치」 또는 「전개 위치」 라 표기한다.
도 5와 앞서의 도 2를 대비하면,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은 거의 변화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2에서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와의 이간 거리를 비교하면, 도 5의 경우 쪽이 단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으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의 진행 과정에 있어서는,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와의 이간 거리가 서서히 단축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촬상부 지지 장치(1)에 있어서는, 락 해제 부재(11)에 의한 락 해제에 응답하여 가압 부재(10)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의 퇴피 방향으로의 구동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락 해제에 응답하여, 충돌에 수반하는 입력 구동력보다 큰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4)(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를 퇴피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충돌에 따라서 락 해제가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보다 큰 가속도로 피지지부(3)(촬상부(2))를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물 등의 피충돌물에게 줄 수 있는 충격의 완화가 도모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에 있어서, 락 해제 부재(11)는 경량 고강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의 모멘트를 작게 유지하면서, 락 해제 시에는 후측 지지 부재(4b)의 충분한 눌러 내림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에는, 통상 위치로부터 차량(100) 측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피지지부(3)의 이동량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할 수 있다. 당해 규제부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100) 측을 향해 이동하여 오는 피지지부(3)나 후측 지지 부재(4b)를 받아들이는 스토퍼 부재(예를 들어 고무 등)를 차량(100) 측에 마련하는 것 등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상기 규제부에 의해, 피지지부(3)의 퇴피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제부를 후퇴 시 충격 완충재가 되는 탄성체로 형성함으로써, 피지지부(3)(촬상부(2))에 대한 충격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기 파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예의 촬상부 지지 장치(1)는, 상기와 같은 충돌에 따른 피지지부(3)의 퇴피 기구와 함께, 퇴피 위치로 퇴피된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부 지지 장치(1)에는, 전측 지지 부재(4f)의 일단부(차량(100) 측의 단부)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피구동부(4fa)가 형성되어 있다. 피구동부(4fa)는, 전측 지지 부재(4f)의 일단부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위로 되어 있고, 중심축이 차량측 접속부(5)에 의한 전측 지지 부재(4f)의 회동축과 대응하고 있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에는, 상기 피구동부(4fa)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의 블럭도에 나타내는 제어부(20), 조작부(21), 및 모터(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피구동부(4fa)도 아울러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어부(20), 조작부(21), 모터(22)는 차량(100) 내에 위치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조작부(21)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노브(knob), 터치 패널 등의 조작자를 포함하여, 당해 조작자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20)에 공급한다. 제어부(20)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며, 조작부(21)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2)의 회전 제어를 행한다.
모터(22)는, 회전축이 기계적으로 피구동부(4fa)에 연결되어, 피구동부(4fa)를, 전술한 차량측 접속부(5)에 의한 전측 지지 부재(4f)의 회동축에 대응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조작부(2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22)를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피구동부(4fa)를 전술한 퇴피 방향과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퇴피 위치에 위치된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모터(22)를 상기의 회전 방향과는 역회전 방향(피구동부(4fa)를 퇴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후사경에 대해서는, 운전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차량측으로 접혀지며, 또한 접혀진 후사경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고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하면, 피지지부(3)(촬상부(2))의 구동에 대해, 이와 마찬가지의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조작 입력을 트리거로 하여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 또는 퇴피 위치로 구동하는 예를 들었지만, 조작 입력이 아니라 예를 들어 엔진의 시동/정지 등, 차량(100)의 상태가 소정 상태로 된 것을 트리거로 하는 등, 다른 조건의 성립을 트리거로 하여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 또는 퇴피 위치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피지지부(3)의 구동은,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의 양자 택일적인 구동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피지지부(3)의 배향을 가변으로 하는 가변 지지 기구를 마련하고, 당해 가변 지지 기구를 구동함으로써 촬상부(2)가 행하는 촬상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피지지부(3)의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의 구동과 촬상 방향의 변화를 연동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피지지부(3)의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의 정지 위치나 촬상 방향의 배향은, 예를 들어 차량(100)의 속도 정보, 트랜스미션에 있어서의 변속비의 정보, 스티어링 각도 정보, GPS에 의한 위치 정보, 여정(旅程)/스티어링-패스 플래닝(path planning) 정보 등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모터(22) 또는 다른 모터는, 지지부(4)(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예를 들어, 도 2) 촬상부를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1 사전 조절(preset) 위치에 설정하며, 또한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예를 들어, 도 5) 촬상부를 유저가 선택 가능한 또 다른 사전 조절 위치에 설정하도록, 촬상부(2)(비디오 카메라)를 위치시키도록 제어 가능하게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저는 촬상부(2)를 자신의 취향에 맞춰 배향시켜 사용자의 개인 취향에 가장 잘 맞도록 측/후면 방향으로부터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장이 작은 운전자는 신장이 큰 운전자와는 다른 사전 조절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지지체를 퇴피/전개하도록 모터(22)가 구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지지체(4)의 유저 제어에 의한 동작뿐 아니라, 자동화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촬상부(2)는 반대 방향(즉, 전방측)으로 면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여도 좋다. 차량이 이동하고 있을 때, 지지체(4) 또는 촬상부(2)에 물체가 접근하면 당해 물체가 지지체(4) 또는 촬상부(2)에 충돌하기 전에, 조작부(21)의 프로세서가 제어부(20) 및 모터(22)를 트리거하여 지지체(4)를 퇴피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이동을 멈추고 시동을 끄면, 조작부(21)는 제어부(20) 및 모터(22)를 트리거하여, 주차 시에 차량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차량 옆을 보행하는 행인이나 부근에 주차한 다른 차량에 지지체(4)가 해가 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지지체(4)를 퇴피시킬 수 있다. 촬상부(2)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더 센서, 소나 센서, ToF(Time of Flight)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적합한 센서가 촬상부(2)에 적용되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피지지부(3)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은 모터(22)가 아니라 솔레노이드 등의 다른 액추에이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피지지부(3)의 구동을 위해서 구동력을 부여하는 대상은, 전측 지지 부재(4f)가 아니라 후측 지지 부재(4b)로 하거나, 혹은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의 쌍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2. 구성예 2]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예 2에 따른 촬상부 지지 장치(1A)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성예 2는, 지지부(4)의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구성이 구성예 1과는 다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 이미 설명이 끝난 것으로 된 부분과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구성예 2의 촬상부 지지 장치(1A)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촬상부 지지 장치(1A)의 구성을 도 2와 마찬가지로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도 7b는 촬상부 지지 장치(1A)의 구성을 후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지면 좌측이 상방, 지면 우측이 하방에 대응한다). 또한, 도 8은 촬상부 지지 장치(1A)에 있어서의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요부의 구성을 사시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위치되었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b에서는 커버부(9A) 및 가압 부재(1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촬상부 지지 장치(1A)는, 커버부(9)를 대신하여 커버부(9A)를 구비하고 있다(도 7a 참조). 커버부(9A)는, 커버 후부(9b)를 대신하여 커버 후부(9b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커버부(9)와 다르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A)는, 후측 지지 부재(4b) 대신에 후측 지지 부재(4bA)를 포함하고 있다. 후측 지지 부재(4bA)는, 돌출부(4bz)가 형성된 점이 후측 지지 부재(4b)와 다르다. 돌출부(4bz)는, 후측 지지 부재(4bA)의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대략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7a 및 도 8 참조).
촬상부 지지 장치(1A)에 있어서는,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달리 되어 있다(도 7a). 구체적으로는, 전측 지지 부재(4f)가 후측 지지 부재(4b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전측 지지 부재(4f)는, 그 하면에 있어서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판 형상의 제1 자석(25)이 장착되어 있다(도 7b 및 도 8 참조).
또한, 후측 지지 부재(4bA)의 돌출부(4bz)는, 전단면에 판 형상의 제2 자석(26)이 장착되어 있다(도 8 참조).
제1 자석(25)의 하면과 제2 자석(26)의 상면은,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의 높이 위치의 차이에 따른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의 위치 관계는, 제1 자석(25)의 하면이 제2 자석(26)의 상면의 대략 전체를 덮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의 자극의 관계를 「S」 「N」의 표기에 의해 예시하고 있지만, 피지지 부재(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예시와 같이 다른 자극끼리가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A)는, 락 해제 부재(11A)를 구비하고 있다(도 7b 및 도 8 참조). 락 해제 부재(11A)는, 예를 들어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 되고, 후단부가 설형(楔形; wedge shape)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락 해제 부재(11A)는,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박육부(11Aa)의 두께(높이 방향의 두께)가 최소가 되고, 박육부(11A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에 걸쳐 두께가 서서히 늘어난 두께 증가부(11Ab)를 가지고 있다.
락 해제 부재(11A)는, 박육부(11Aa)가 종 방향에 있어서 제1 자석(25)의 하면과 제2 자석(26)의 상면과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11Aa)의 후단측에 있어서의 일부만이 제1 자석(25)의 하면과 제2 자석(26)의 상면과의 사이의 공극 내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는 생략했지만, 락 해제 부재(11A)는, 예를 들어 전술한 락 해제 부재(11)와 커버 전부(9f)와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전단부가 커버부(9A)에 있어서의 커버 전부(9f)의 전단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락 해제 부재(11A)는, 커버 전부(9f)에 대한 전방측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에 따라 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도 9a, 도 9b는, 도 8에 나타낸 락 및 락 해제에 관한 구성의 횡단면도로서, 도 9a는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 도 9b는 충돌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은, 다른 자극끼리가 대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끌어당기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의 움직임이 잠금된 락 상태가 실현된다.
한편, 충돌 시에는, 락 해제 부재(11A)가 락 상태에서의 위치보다 후진함으로써,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증가부(11Ab)가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과의 사이에 밀어넣어져,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과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와 같이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과의 간격이 확대됨으로써,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 사이의 인력이 약해져서, 락 상태가 해제된다.
이 경우도 락 해제에 응답하여서는, 가압 부재(10)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와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이 개시되고, 이들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와의 이간 거리가 단축되어 가지만, 당해 단축에 따라, 제2 자석(26)에 대해 제1 자석(25)이 후퇴하여, 제1 자석(25)과 제2 자석(26)의 같은 자극끼리가 대향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충돌 초기에 있어서의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A)와의 회동이 스무드하게 행해지게 된다.
[1-3. 변화 억제 기구에 관한 변형예]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는 변화 억제 기구에 관한 변형예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당해 변형예의 제1 예로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 경우, 피지지부(3)를 차량(100)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로서는, 전측 지지 부재(4f)만이 이용되고 있다. 전측 지지 부재(4f)는, 이 경우도 차량측 접속부(5), 피지지부측 접속부(7)에 의해 차량(100) 측, 피지지부(3) 측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측 지지 부재(4f)의 전방에는, 예를 들어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인장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성된 전측 부재(27)가, 또한 전측 지지 부재(4f)의 후방에는 예를 들어 끈(cord) 또는 체인 등의 대략 선상의 부재로 구성된 후측 부재(28)가 배치되어 있다. 전측 부재(27), 후측 부재(28)는, 각각 일단이 차량(100) 측에, 타단이 피지지부(3) 측에 고착되어 있다. 후측 부재(28)의 선 길이는, 차량측 접속부(5)에 있어서의 축 부재(5a)의 중심(전측 지지 부재(4f)의 회동축)과 피지지부측 접속부(7)에 있어서의 축 부재(7a)의 중심(피지지부(3)의 회동축)과의 사이의 거리(최단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후측 부재(28)의 일단(차량(100) 측)과 축 부재(5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후측 부재(28)의 타단(피지지부(3) 측)과 축 부재(7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에 응답하여 전측 지지 부재(4f)가 퇴피 방향으로 회동되는 때에는, 전측 부재(27)의 끌어당김력에 의해, 피지지부(3)는 축 부재(7a)를 축으로 하여 전측 지지 부재(4f)의 회동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때, 후측 부재(28)의 선 길이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후측 부재(28)의 일단과 축 부재(5a)의 중심, 후측 부재(28)의 타단과 축 부재(7a)의 중심을 각각 연결하는 선끼리가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전측 지지 부재(4f)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 피지지부(3)의 방향(촬상 방향의 배향)의 변화가 거의 생기지 않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전측 부재(27)는 탄성체는 아니고 끈이나 체인 등의 대략 선상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측 부재(27)의 선 길이는 후측 부재(28)의 선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하고, 또한, 촬상 방향의 변화 억제를 위해서는, 상방으로부터 보아서 전측 부재(27)의 일단(차량(100) 측)과 축 부재(5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전측 부재(28)의 타단(피지지부(3) 측)과 축 부재(7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전측 부재(27)로서의 끈이나 체인은 일정력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여, 충돌 부하 경감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 끈이나 체인은 반드시 절단될 필요는 없으며, 일정력에 의해 차량(100) 또는 피지지부(3) 측과의 고착 상태가 해제되도록 해도 좋다.
도 11은, 제2예로서 개략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다.
제2예로서의 구성에 있어서는, 피지지부(3)를 차량(100)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지지 부재(4r)가 설치됨과 함께, 부채꼴 부재(29), 부채꼴 부재(30), 및 원형 부재(31)(복수의 맞물린 기어 플레이트 등)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부채꼴 부재(29, 30), 및 원형 부재(31)를 투명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지지 부재(4r)는, 전측 지지 부재(4f)와 비교하여,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원형 부재(31)를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4ra)가 형성된 점이 다르다. 접속부(4ra)에는, 종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부채꼴 부재(29, 30), 및 원형 부재(31)는, 각각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대략 부채꼴, 대략 원형의 형상으로 된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 되며, 지지 부재(4r)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부채꼴 부재(29)는, 차량측 접속부(5) 위를 덮는 위치에 위치되고, 부채꼴 부재(30)는 피지지부측 접속부(7) 위를 덮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부채꼴 부재(29, 30)는, 서로의 원호 부분이 대향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부채꼴 부재(29, 30)는, 각각 도면 중의 고정부(32, 33)에 의해 차량(100) 측, 피지지부(3) 측에 고정되어 있다. 당해 고정에 의해, 부채꼴 부재(29)와 차량(100), 부채꼴 부재(30)와 피지지부(3)의 위치 관계는 각각 도시한 관계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원형 부재(31)는, 중심부(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중심부)에 있어서 하측에 볼록하게 되는 축 부재(31a)가 형성되고, 당해 축 부재(31a)가 상기한 접속부(4ra)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외주의 원호 부분이 부채꼴 부재(29, 30) 각각의 원호 부분과 대향 접촉한 상태로 상기 축 부재(31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에 응답하여 지지 부재(4r)에 당해 지지 부재(4r)를 퇴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면, 지지 부재(4r)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외주의 원호 부분이 부채꼴 부재(29, 30) 각각의 원호 부분과 접한 원형 부재(31)가, 지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원형 부재(31)는 당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지지 부재(4r)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여, 차량(100)에 가까워져 간다.
그리고, 상기 원형 부재(31)의 회전과 연동하여, 고정 부재(33)에 의해 피지지부(3)에 고정된 부채꼴 부재(30)가, 지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원형 부재(31)의 회전 방향(즉 지지 부재(4r)의 회동 방향)과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부채꼴 부재(30)의 당해 역회전 방향에 의한 회전에 수반하여, 피지지부(3)는, 지지 부재(4r)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연동하여, 축 부재(7a)를 회동축으로 하여 당해 역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서서히 회동되어 간다. 그 결과, 지지 부재(4r)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대해서, 피지지부(3)의 방향이 대략 일정으로 유지되게 되어, 퇴피에 수반하는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의 변화의 억제가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1예, 제2예의 어느 쪽의 경우라도, 지지 부재(4r)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 전부(9f)가 형성된 커버부를 구비하여,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에 의해 커버 전부(9f)를 거쳐 지지 부재(4r)에 퇴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4. 그 외의 변형예]
상기에서는, 피지지부(3)의 퇴피 위치를 차량(100)의 외부의 위치로 하는 예를 들었지만(도 5 참조), 피지지부(3)의 퇴피 위치는 차량(100) 내부로 할 수도 있다. 즉, 피지지부(3)의 퇴피 동작은, 피지지부(3)의 적어도 일부가 차량(100) 내부에 위치될 때까지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퇴피 후에 있어서의 피지지부(3)의 차량(100)으로부터의 바깥 돌출량이 억제되어,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2는, 피지지부(3)의 퇴피 위치를 차량(100) 내부로 한 촬상부 지지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 2와 마찬가지로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커버부(9)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피지지부(3)(및 촬상부(2)), 전측 지지 부재(4f), 후측 지지 부재(4b), 차량측 접속부(5, 6), 및 피지지부측 접속부(7, 8)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피지지부(3)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같은 각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촬상부 지지 장치(1)에서는, 차량(100) 측에 있어서, 피지지부(3)의 일부가 차량(100) 내부에 위치했을 때에 후측 지지 부재(4b)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지시키는 규제부(100s)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측 지지 부재(4f)는, 차량(100) 측의 단부 부근이 퇴피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당해 만곡된 부분이 만곡부(4fx)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측 지지 부재(4b)는, 피지지부(3) 측의 단부 부근이 퇴피 방향 측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당해 만곡된 부분이 만곡부(4bx)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만곡부(4fx, 4bx)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는, 축 부재(5a, 6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과 축 부재(7a, 8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의 대략 평행 관계가 해소될 때까지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규제부(100s)는, 이 대략 평행 관계가 해소된 후에 있어서 후측 지지 부재(4b)의 회동을 제지시키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대략 평행 관계가 해소된 이후에 있어서의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에 수반해서는, 촬상부(2)에 의한 촬상 방향의 배향이, 서서히 차량(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화한다(본 예에서는 후 방으로부터 비스듬히 우측 후방으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피지지부를 차량(100) 내부까지 퇴피시키는 퇴피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응하여, 촬상 시야가 차량에 의해 모두 가려져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즉, 퇴피 후의 피지지부(3)의 차량(100)으로부터의 바깥 돌출량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안전성의 향상과, 퇴피 후에 있어서의 차량 외부 시야의 확보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략 평행 관계가 해소되기까지 전측 지지 부재(4f) 및 후측 지지 부재(4b)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은, 만곡부(4fx, 4bx)를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측 지지 부재(4f)와 후측 지지 부재(4b)를 다른 높이 위치에 위치시키는 등,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앞의 도 11에 나타낸 제2예로서의 구성을 취할 경우에는, 부채꼴 부재(29), 부채꼴 부재(30), 및 원형 부재(31)의 서로의 접촉면을 원호만으로 형성하지 않고, 지지 부재(4r)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량이 소정량 이상으로 된 것에 응답하여 곡율이 변화하는 가변 캠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상 방향의 배향이 차량(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한 회피 기능을 설명하였지만,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한 회피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3은, 그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부 지지 장치(1)의 개략 구성예를 도 2와 마찬가지의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피지지부(3) 측의 접속부에 다관절 부재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지지부측 접속부(7, 8)를 대신하여, 축 부재(7a, 7'a) 및 연결 부재(7'b)를 가지는 피지지부측 접속부(7')와, 축 부재(8a, 8'a) 및 연결 부재(8'b)를 가지는 피지지부측 접속부(8')를 각각 마련한다.
이 경우도 축 부재(7a, 8a)는, 각각 하단측이 피지지부(3) 측에 고착되어 있고, 축 부재(7a)는 연결 부재(7'b)의 일단부(피지지부(3) 측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축 부재(8a)는 연결 부재(8'b)의 일단부(피지지부(3) 측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축 부재(7'a)는 하단측이 연결 부재(7'b)의 타단부에 고착되고, 전측 지지 부재(4f)의 피지지부(3) 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축 부재(8'a)는 하단측이 연결 부재(8'b)의 타단부에 고착되고, 후측 지지 부재(4b)의 피지지부(3) 측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촬상부 지지 장치(1)에 있어서는, 축 부재(5a, 6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축 부재(7a, 8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 뿐만 아니라, 축 부재(7'a, 8'a)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을 포함한 3자가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대략 평행이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축 부재(7'a)와 축 부재(8'a)와의 사이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피지지부측 접속부(7', 8')에 의해, 피지지부(3)에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연결 부재(7'b) 및 연결 부재(8'b)가 퇴피 방향과는 역방향(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피지지부(3)가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대한 회피 기능이 실현된다.
만일, 도 13에서 설명한 회피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100)의 후퇴 시에 측벽 등의 장애물에 피지지부(3)가 걸리면, 후방측으로부터의 입력의 반력에 의해 피지지부(3)가 탈락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지만, 그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설명한 회피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이륜차 등의 물체가 충돌했을 때에는 피지지부(3)는 통상 위치로부터 가장 차량(10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측으로 변위되지만, 이 변위는, 충돌 물체에 대해서는 피지지부(3)의 걸림을 보다 조장하는 것이 되어, 충돌 물체가 이륜차인 경우에는 횡전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회피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그와 같은 위험의 방지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응답하여 연결 부재(7'b, 8'b)에 작용하는 구동력이 소정의 구동력 이상이 될 때까지 연결 부재(7'b 또는 8'b) 중 적어도 일방의 움직임을 잠그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후방으로부터의 풍압 등에 의한 외력은 전방으로부터의 외력과 비교하여 적은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당해 잠금 기구는 비교적 적은 외력의 입력에 응답하여 락 해제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후방으로부터의 충돌에 따른 피지지부(3)의 퇴피가 보다 행해지기 쉬워져,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는, 피지지부(3)를 퇴피시키는 때의 지지부의 이동 방향이 제1 실시의 경우와는 다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로서의 촬상부 지지 장치(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도 14b는, 촬상부 지지 장치(1B)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도 14a는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 도 14b는 피지지부(3)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앞의 도 2와 마찬가지의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촬상부 지지 장치(1B)는, 촬상부(2)와 피지지부(3)과 함께, 대략 원 기둥 형상에 의한 봉 형상의 지지 부재(4s)(연장 가능한 아암 등)와,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신장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성된 가압 부재(35)와, 대략 구체 형상으로 된 락 부재(36)와, 규제부(37), 축 부재(38), 끌어당김 부재(39), 및 가이드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4s)는, 일방의 단부가 접속부(7)에 의해 피지지부(3)에 대해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타방의 단부(이하 「차량측 단부」라 표기한다)는,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4st)로 되어 있다. 테이퍼부(4st)의 선단면은, 락 부재(36)와 밀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받음면(4sk)으로 되어 있다(특히 도 14b 참조).
이 경우의 차량(100)에는, 차량(100) 외부의 공간과 연결되고 지지 부재(4s)를 삽입 가능하게 된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차량(100)에 형성된 규제부(37)에 의해, 일부의 단면적(지지 부재(4s)의 삽입 방향으로 직행하는 면에서의 단면적)이 최소로 되어 있다. 이 단면적이 최소로 된 부분을 이하 「개구(M)」라고 표기한다. 개구(M)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되고, 개구(M)의 직경은 지지 부재(4s)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하, 공간( S')에 있어서의 개구(M)보다 차량(100)의 좌우 중심부에 가까운 영역을 안쪽(back side) 공간(S'a)이라고 표기한다.
가압 부재(35)는, 본 예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가압 부재(35)는, 안쪽 공간(S'a) 내에 위치되어 있고, 코일의 내측에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공간 내에 지지 부재(4s)가 삽입되고, 일단이 지지 부재(4s)의 테이퍼부(4st) 근방에 고착되고, 타단은 규제부(37)에 접촉하여 있다.
락 부재(36)는, 안쪽 공간(S'a) 내에 설치되고,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도 14a)에서는, 지지 부재(4s)의 받음면(4sk)과 밀착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받음면(4sk)과의 밀착 상태에 있어서, 락 부재(36)는, 가압 부재(35)에 의해 차량(100)의 좌우 중심 측을 향해 가압되고 있는 지지 부재(4s)를 잠그고 있다. 이하, 도 14a에 나타내는 락 상태에서의 락 부재(36)의 위치를 「락 위치」라고 표기한다.
여기서, 락 부재(36)는, 차량(1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가동 보유지지 기구에 의해, 락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의 이동이 불능이고 또한 락 위치로부터 후방측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보유지지되고 있다. 또한 락 부재(36)는, 차량(10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가압 부재에 의해 전방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축 부재(38)는, 대략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100) 내에 있어서 안쪽 공간(S'a)보다 우측면(100r) 가까이에 위치되고 있다.
끌어당김 부재(39)는, 예를 들어 체인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대략 선상의 부재로 되고, 일단이 축 부재(38)의 측면(축 둘레 방향의 면)에 고착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s)에 있어서의 도면 중 「P」로 나타내는 테이퍼부(4st) 근방의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이 때, 끌어당김 부재(39)는, 차량(100) 내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지지 부재(4s)의 하방을 지나 상기 테이퍼부(4st) 근방의 위치에 고착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촬상부 지지 장치(1B)에 있어서, 피지지부(3)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지 부재(4s) 또는 피지지부(3)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물체가 충돌하면, 지지 부재(4s)는, 개구(M)의 가장자리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도 14a의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기운다. 즉, 지지 부재(4s)의 테이퍼부(4st)가 도 14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변위된다.
이에 의해, 락 부재(36)와 받음면(4sk)의 밀착 상태, 즉 지지 부재(4s)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락 상태가 해제되면, 가압 부재(35)의 가압력에 기초하여 지지 부재(4s)가 차량(100)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진행하기 시작한다. 이 때, 락 부재(36)는, 지지 부재(4s)의 진행에 수반하여, 테이퍼부(4st)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 내진다.
또한, 지지 부재(4s)의 진행에 수반해서는, 피지지부(3)가 차량(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최종적으로 도 14b에 나타내는 퇴피 위치에 위치된다.
촬상부 지지 장치(1B)에 있어서는, 축 부재(38) 및 끌어당김 부재(39)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피지지부(3)의 위치를 도 14b에 나타내는 퇴피 위치로부터 도 14a에 나타내는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도, 운전자 등에 의한 조작 입력에 응답하여 복귀 동작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촬상부 지지 장치(1B)가 앞의 도 6에 나타낸 제어부(20), 조작부(21), 및 모터(22)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 때, 모터(22)의 회전축은 축 부재(38)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축 부재(38)가 모터(22)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여 둔다.
도 14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축 부재(38)가 회전하면, 끌어당김 부재(39)가 축 부재(38)에 감기고, 이에 응답하여 지지 부재(4s)가 퇴피 시와는 역방향(복귀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피지지부(3)를 통상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락 부재(36)는 전방측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복귀 시에 있어서 지지 부재(4s)가 도 14a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더 복귀 방향으로 이동된 것에 응답하여, 락 부재(36)가 락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락 부재(36)가 락 위치로 복귀한 후에 모터(22)에 의한 축 부재(38)의 회전 구동이 정지되면, 가압 부재(35)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 부재(4s)가 퇴피 방향으로 되돌려져 락 부재(36)와 받음면(4sk)이 밀착 상태로 된다. 즉, 복귀에 맞추어 락 상태로 이행하는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접속부(7)를 마련하고, 피지지부(3)가 축 부재(7a)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이 피지지부(3)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도 14와 같이 접속부(7)를 마련했을 경우에는, 피지지부(3)의 배향을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촬상부 지지 장치(1B)에 있어서, 지지 부재(4s)의 락 및 락 해제를 위한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락 부재(36)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내는 락 및 락 해제부(41)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지면 좌측이 전방, 우측이 후방에 대응하고 있다.
락 및 락 해제부(41)는, 베이스판(42)과, 베이스판(42) 위에 각각 형성된 전측 가동 부재(43) 및 후측 가동 부재(4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판(42)은, 차량(100) 측에 고착되어 있다. 전측 가동 부재(43), 후측 가동 부재(44)는, 각각 평탄면(43a), 평탄면(44a)을 가짐과 함께, 축부(43b), 축부(44b)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측 가동 부재(43)와 후측 가동 부재(44)는 서로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가압되고 있다.
도 15에서는, 락 상태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4s), 전측 가동 부재(43), 후측 가동 부재(4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락 상태에서는, 평행으로 된 평탄면(43a)과 평탄면(44a)에 의해 전측 가동 부재(43)와 후측 가동 부재(44)가 지지 부재(4s)를 사이에 끼워서 보유지지하고 있다. 이 때, 평탄면(43a)과 평탄면(44a)이 평행인 것으로부터, 지지 부재(4s)에 대해서 평탄면(43a), 평탄면(44a)은 각각 면접촉하여, 마찰 저항에 의해 지지 부재(4s)의 움직임을 잠그고 있다.
한편, 물체 충돌에 응답하여 지지 부재(4s)가 기울면, 평탄면(43a)과 평탄면(44a)이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지지 부재(4s)에 대한 평탄면(43a), 평탄면(44a)의 접촉은 일부가 점 접촉이 되고, 가압 부재(35)의 가압력에 대해서 지지 부재(4s)를 보유지지하는 힘이 저하되고, 지지 부재(4s)가 퇴피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지지 부재(4s)의 락 상태가 해제된다.
<3.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로서의 촬상부 지지 장치(1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a는, 촬상부 지지 장치(1C)의 기계적인 개략 구성을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16b는, 촬상부 지지 장치(1C)가 구비하는 피지지부(3A)를 후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C)는, 촬상부 지지 장치(1)와 마찬가지로 커버부(9)를 구비하고 있지만,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6b에서는 가압 부재(1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부(2)가 가지는 촬상 렌즈를 「촬상 렌즈(2a)」라 표기한다.
촬상부 지지 장치(1C)는, 촬상부 지지 장치(1)와 비교하여, 피지지부(3)를 대신하여 피지지부(3A)를 구비한 점이 다르다.
도 16a에서는, 피지지부(3A) 및 피지지부(3A)에 보유지지된 촬상부(2)를, 피지지부(3A)의 종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수평면에 평행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피지지부(3A)는, 촬상부(2)를 촬상 렌즈(2a)의 대략 축 둘레 방향으로 덮는 투명 부재(3Aa)와, 투명 부재(3Aa)의 일부로서 형성된 발광부(3Ab)와, 촬상 렌즈(2a)의 축 둘레 방향의 외주를 덮으며 투명 부재(3Aa)의 후단에 접촉된 후드부(3Ac)와, 발광부(3Ab)의 광원(45)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45)은, 예를 들어 LED(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를 가져서 구성되고, 발광소자에 의한 출사광을 투명 부재(3Aa)에 대해서 입사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광원(45)의 배치 위치는, 촬상부(2)보다 차량(100)에 가까운 위치로 되며, 광원(45)이 광을 발하는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우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원(4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선이 차량(100) 측으로부터 피지지부(3A)에 대해서 배선되지만, 도 16a에서는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투명 부재(3Aa)는, 예를 들어 투명 수지나 석영 등의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명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투명 부재(3Aa)는, 내부에 입사된 광원(45)으로부터의 광선을 계면에 있어 전반사하면서 후단부로 안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광섬유와 마찬가지의 원리에 의해, 광선의 계면에의 입사각이 일정한 각도(임계각) 이상이 되도록 설계됨과 함께, 광원(45)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선이 투명 부재(3a)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반사를 반복하면서(이른바 다중 반사) 투명 부재(3a) 내를 후방을 향해 전파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투명 부재(3Aa)는, 후단부의 적어도 일부의 계면이 전반사 불능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부분이 발광부(3Ab)로 되어 있다. 즉, 계면에서의 전반사가 생기지 않음으로써, 투명 부재(3Aa) 내에서 후방으로 가이드 된 광이 당해 발광부(3Ab)에 있어서 외계로 누설된다. 즉, 후방으로의 지향성을 가지는 광이 발광부(3Ab)로부터 발하여진다.
또한, 설계상, 계면에서의 전반사를 실현 불능 혹은 곤란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부분에 대해서 광반사막(예를 들어 알루미늄 증착막 등)을 보강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3Ab)는, 상기와 같이 계면에서의 전반사가 불능인 부분으로서 구성하는 이외에도, 예를 들어 회절 격자나 지향성을 갖는 프리즘, 프레넬 렌즈 등의 광학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3Ab)가 후방측을 향해 지향성을 갖는 광을 발함으로써, 후방에 위치하는 이륜차의 운전자 등의 인물에 대해서 차량(100)의 외측에 위치된 피지지부(3A)(촬상부(2))의 존재를 명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지지부(3A)에 대한 충돌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후방측으로만 광을 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전방측에도 발광부(3Ab)를 마련하여, 전방으로부터의 충돌 예방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투명 부재(3Aa)는, 광원(45)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전방측으로 이끌도록 설계한다.
여기서, 발광부(3Ab)는, 적어도 촬상부(2)의 외연에 있어서의 일부로부터 광을 발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의해, 차량(100)의 외측에 위치된 촬상부(2)의 존재를 차량 주위의 인물에게 명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촬상부(2)에 대한 충돌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3Ab)의 발광 상태는, 지지부(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환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발광부(3Ab)의 발광 상태를 지지부(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환하는 전환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a에서는 피지지부(3A)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피지지부(3A)와 전측 지지 부재(4f)와의 위치 관계를, 도 17b에서는 피지지부(3A)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피지지부(3)와 전측 지지 부재(4f)와의 위치 관계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전환 기구는, 전측 지지 부재(4f)의 하면에 있어서의 피지지부(3A) 측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 트리거 부재(46)를 가진다. 트리거 부재(46)는, 축 부재(7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7a와 도 17b를 대비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지지부(3A)가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서는, 트리거 부재(46)의 피지지부(3A)에 대한 위치가 변화한다. 이하, 피지지부(3A)가 통상 위치,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트리거 부재(46)의 위치를 각각 「제1 위치」, 「제2 위치」라고 표기한다.
이와 같은 트리거 부재(46)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사이의 변화에 연동하여 광원(45)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즉, 트리거 부재(46)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광원(45)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을 온으로 하고, 제2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는 광원(45)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을 오프로 하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피지지부(3A)가 통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발광부(3Ab)가 발광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피지지부(3A)가 퇴피 위치로 이동된 것에 응답하여 발광부(3Ab)가 비발광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Ab)를 비발광 상태로 전환하는 트리거 부재(46)의 위치는, 상기에서 예시한 제2 위치 이외로 할 수도 있다. 즉, 발광부(3Ab)를 비발광 상태로 전환하는 타이밍은, 트리거 부재(4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하는 동안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부재(46)를 설치하는 대상은, 전측 지지 부재(4f)가 아니라 후측 지지 부재(4b)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 전환 기구에 의한 발광부(3Ab)의 발광 상태의 전환은, 광원(45)의 발광/비발광의 전환이 아니라, 광량의 전환(무단 전환을 포함한다)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지지부(3A)가 통상 위치와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때의 트리거 부재(46)의 변위량에 응답하여 광원(45)의 발광량을 서서히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구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환 기구로서는, 락 해제 부재(11)에 의한 락 해제에 연동하여 광원(45)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4. 변형예>
상기에서 예시한 촬상부 지지 장치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다양한 변형예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물체 충돌에 응답하여 지지부가 퇴피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물체 충돌을 예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지지부를 퇴피시키는 퇴피 제어 수단을 설치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8은, 상기 퇴피 제어 수단을 구비한 촬상부 지지 장치(1D)의 전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한, 촬상부 지지 장치(1D)의 기계적인 구성은 촬상부 지지 장치(1)와 마찬가지이다.
촬상부 지지 장치(1D)는, 촬상부 지지 장치(1)와 비교하여, 제어부(20)를 대신하여 제어부(20')가 설치되고, 촬상부(47)가 추가된 점이 다르다.
촬상부(47)는, 전방을 촬상하는 배향으로 피지지부(3)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촬상부(47)는 피지지부(3)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으면 되고,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100) 측에 대해 장착되어도 좋다.
제어부(2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촬상부(47)에 의한 촬상 화상 데이터(전방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입력하고, 당해 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 해석을 행하고,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을 예측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이 경우의 예측 처리는, 촬상 화상의 화상 프레임 내에 동일 피사체로 추정되는 물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비율 이상으로 된 것에 응답하여 물체 충돌의 위험성이 있다라는 예측 결과를 얻는 처리로서 행한다.
제어부(20')는, 물체 충돌의 위험성이 있다라는 예측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모터(22)를 제어하여 피구동부(4af)를 퇴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의 위험성이 예측된 것에 응답하여, 피지지부(3)가 퇴피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물체 충돌의 예측에 이용하는 센서는 촬상 소자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나, 밀리파 레이더, 레이저 레이더, 정전 용량 센서 등의 다른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퇴피 제어 수단의 구성은, 촬상부 지지 장치(1) 이외에도, 예를 들어 제1~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종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의 적용 시에는, 물체 충돌이 예측된 것에 응답하여 모터(22)에 의해 지지 부재(4s)를 도 14a에 나타낸 화살표 D의 방향으로 경사시키거나, 또는 락 부재(4st)를 후방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이 예측된 것에 응답하여 피지지부(3)를 퇴피 구동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이 예측된 것에 응답하여 피지지부(3)가 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 시의 퇴피 방향과는 역의 퇴피 방향으로 퇴피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제어부(20')는, 후방을 촬상하는 촬상부(2)로부터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을 예측한다. 그리고, 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의 위험성이 있다라는 예측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모터(22)를 제어하여 피구동부(4af)를 상기의 경우와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후방으로부터의 물체 충돌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충돌 예측에 기초하는 물체 충돌의 예방 기능과 아울러, 도 13에서 설명한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따른 퇴피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예측에 실패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전방이나 후방으로부터의 충돌 예측 이외에도, 차량(100)의 측방으로부터의 충돌 예측 처리(예를 들어 차고에 주차할 때 등에 있어서 다른 주차 차량이나 벽 등의 장애물과 차량(100)과의 측방 거리가 근접하는 장면 등)를 행하고, 충돌이 예측된 것에 응답하여 피지지부(3)를 퇴피 방향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발광부(3Ab)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외광의 명/암과 상관하는 명암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부(3Ab)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명암 상관 정보의 예로서는, 촬상 소자 또는 포토 센서(외광 센서)의 검출 신호, 혹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에 의한 시각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명암 상관 정보에 기초하여 외광이 상대적으로 어둡다고 판정된 것에 응답하여, 발광부(3Ab)의 발광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외광의 어두움에 응답하여 발광부(3Ac)의 발광량을 전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촬상부 지지 장치에 대해서는, 피지지부(3)(또는 3A)를 촬상부(2)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피지지부(3)가 촬상부(2)의 탈착 기구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촬상부(2)의 고장 시 등에, 촬상부(2)를 교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촬상부 지지 장치에 대해서는, 커버부(9)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촬상부 지지 장치에 대해, 피지지부(3) 또는 피지지부(3A)는, 트롱프 뢰유 효과(착시 효과)에 의해 실제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로서 시인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4. 실시형태의 정리>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1, 1A, 1B, 1C, 1D)는, 촬상부가 배치되는 피지지부(3, 3A)와,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4)를 구비한다.
또한, 피지지부가 차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인 통상 위치와 차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인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지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차량측으로부터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차량측 접속부(5, 6), 피지지부측 접속부(7, 8, 7', 8') 또는 가압 부재(35), 락 부재(4sk), 규제부(37), 또는 락 및 락 해제부(41))를 구비하고, 피지지부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물체의 충돌에 응답하거나, 또는 충돌에 대한 회피 동작으로서 지지부가 구동됨으로써 피지지부가 통상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물체 충돌에 응답하여, 또는 물체 충돌에 앞서 피지지부가 통상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 외부에 위치된 촬상부를 차량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 충돌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가 도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피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부의 구동 방향을 퇴피 방향으로 했을 때, 지지부의 퇴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잠그는 잠금 기구(락부(9m), 제1 자석(25), 제2 자석(26), 또는 락 부재(36), 또는 락 및 락 해제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여 퇴피 방향측으로 작용하는 풍압을 받는 구성의 경우에, 풍압에 의해 피지지부(촬상부)가 퇴피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가 도모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시에 안정된 시야를 유지 가능한 차외 환경 촬상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를 퇴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압 부재(10) 또는 (35))를 구비하고, 잠금 기구에 의한 락이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기초하여 지지부가 퇴피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의해, 락 해제에 응답하여, 충돌에 수반하는 입력 구동력보다 큰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를 퇴피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충돌에 의해 락 해제가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보다 큰 가속도로 피지지부를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인물 등의 충돌물에 주어지는 충격의 완화가 도모되어져, 피충돌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피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퇴피 동작으로 했을 때, 퇴피 동작 중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는 변화 억제 기구(차량측 접속부(5, 6), 피지지부측 접속부(7, 8), 전측 부재(27), 후측 부재(28), 부채꼴 부재(29, 30), 원형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퇴피 후에 있어서의 촬상 시야 범위를 퇴피 전과 동등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퇴피 전후의 촬상 시야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차량 운행 상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는,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전측 지지 부재(4f) 또는 후측 지지 부재(4b))를 가지며, 피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지부의 구동 방향을 퇴피 방향으로 했을 때, 보유지지부는, 지지 부재의 일단부를, 당해 일단부에 위치된 축 부재(5a 또는 6a)를 회동축으로 하여 지지 부재가 퇴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차량측에 접속하는 차량측 접속부(5 또는 6)와, 지지 부재의 타단부를, 당해 타단부에 위치된 축 부재(7a 또는 8a 또는 7'a 또는 7'a)를 회동축으로 하여 피지지부가 퇴피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피지지부에 접속하는 피지지부측 접속부(7 또는 8 또는 7' 또는 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변화 억제 기구는, 지지 부재의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과, 피지지부의 퇴피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한 피지지부의 회동은, 지지 부재의 퇴피 동작에 연동하여 기구적으로(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피지지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전용의 동력원이 불필요해져서, 구성 부품의 삭감, 및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피지지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퇴피 동작으로 했을 때, 퇴피 동작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촬상부의 촬상 방향의 배향을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는 방향 제어 기구(만곡부(4fx, 4bx), 규제부(100s))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피지지부를 차량 내부까지 퇴피시키는 퇴피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응하여, 촬상 시야가 차량에 의해 모두 가려져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퇴피 후의 피지지부의 차량으로부터의 바깥 돌출량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안전성의 향상과, 퇴피 후에 있어서의 차량 외부 시야의 확보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피지지부를 퇴피 위치로부터 통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지지부를 구동하는 구동부(피구동부(4fa), 모터(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퇴피 후에 있어서의 피지지부를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피지지부가 충돌에 기인하여 퇴피되었을 때에 승무원에 의해 수행되는 수동으로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고를 없앨 수 있어, 번거로움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는, 피지지부가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으로 돌출하여 있고, 일부가 지지부 및 피지지부보다 전측에 위치된 지지부 및 피지지부에 대한 커버부(9 또는 9A)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의 충돌에 수반하는 충격이 지지부 및 피지지부(촬상부)에 직접적으로 입력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충돌에 의해 지지부나 촬상부가 손상·파괴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커버부는, 차량의 주행에 수반하여 생기는 기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상면(9u), 하면(9d))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정류부에 의해, 차량 주행에 수반하는 풍절음의 억제가 도모됨과 함께, 차량 주행에 수반하는 풍압에 의해 지지부에 인가되는 퇴피 방향으로의 구동력의 저감이 도모된다.
따라서, 승무원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차량 주행에 수반하는 풍압에 의해 촬상부의 퇴피 동작이 불필요하게 행해져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커버부는, 전단부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재료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충돌하는 인물 등의 충돌물에 대한 충격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커버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부나 피지지부(촬상부)에 대한 충격 완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피충돌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충돌에 의해 지지부나 촬상부가 손상·파괴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부의 외연에 있어서의 일부로부터 광을 발하는 발광부(3Ab)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외측에 위치된 피지지부의 존재를 차량 주위의 인물에게 명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피지지부에 대한 충돌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발광부의 광원이 촬상부보다 차량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에 의해 차량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피지지부의 사이즈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확대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가 도모된다.
즉, 피지지부의 차량측으로부터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어, 피지지부에 대한 충돌의 리스크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후사경으로부터의 소형화를 도모한 것의 이점이 훼손되어 버리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발광부의 광원으로부터 광선이 입사되는 투명 부재를 구비하고, 투명 부재의 계면에 있어서 전반사된 광선이 투명 부재 내를 전파하여 발광부로 도광된다.
이에 의해, 투명 부재 내를 도광된 지향성을 가지는 광이 발광부로부터 발하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명 부재 내에 도광할 수 있음으로써, 광원의 배치 위치의 자유도가 향상되어, 광원을 촬상부보다 차량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형태의 촬상부 지지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발광부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부담을 운전자 등의 승무원에게 지울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차량 운행 시에 필요로 하는 승무원의 조작 부담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dynamically deployable)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로서,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 뷰-카메라 마운트.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평행하게 배열되며 또한 회전점에 부착된 지지 링크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상호 접속되는 2개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전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지지 아암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과 평행하지 않은,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차체의 홈부 내에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부가 놓이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맞물리는 기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7)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 또는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체에 퇴피력을 가하도록, 일단에서 상기 지지체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상기 가압 부재에 부착되는 연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8)
상기 (1)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개시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지체를 전개 및/또는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9)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미리 결정된 토크 미만이면, 상기 전개 위치에 상기 지지체를 유지시키지만, 상기 토크가 상기 미리 결정된 토크보다 크다면 상기 퇴피 위치로의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락(lock)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0)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1 사전 조절(preset)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2 사전 조절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1)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가려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반대측 상에서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때,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의 풍하중을 감소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3)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4)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사이드-뷰 카메라, 및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는,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5)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6)
상기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배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7)
상기 (16)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상태에 있을 때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이한 발광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8)
상기 (15)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지지체를 제어 가능하게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9)
상기 (18)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배향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접근하는 물체를 식별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켜 상기 물체가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0)
상기 (19)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방측 상황을 촬상하도록 구성되는 전방 시야 카메라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시야 카메라에 접근하는 상기 전방측 상황에 있어서의 물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이며,
사이드-뷰 카메라와;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로서,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차량의 제어 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을 포함하는 차량.
(22)
상기 (21)에 있어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타방측에 그 근위단에서 부착되며, 그 원위단에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되는 또 다른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는 다른 후방 시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또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
(1a)
촬상부 지지 장치로서,
촬상부가 배치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가 차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인 통상 위치와 상기 차량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인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변위 가능하게 상기 차량측으로부터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물체의 충돌에 응답하거나 또는 상기 충돌에 대한 회피 동작으로서 상기 지지부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되는,
촬상부 지지 장치.
(2a)
상기 (1a)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지지부의 구동 방향을 퇴피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지지부의 상기 퇴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잠그는 잠금 기구를 더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3a)
상기 (2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퇴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기구에 의한 상기 락이 해제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퇴피 방향으로 구동되는 촬상부 지지 장치.
(4a)
상기 (1a) 내지 (3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퇴피 동작으로 했을 때, 퇴피 동작 중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의 변화를 억제하는 변화 억제 기구를 더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5a)
상기 (4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지지부의 구동 방향을 퇴피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부를, 당해 일단부에 위치된 축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퇴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차량측에 접속하는 차량측 접속부와,
상기 지지 부재의 타단부를, 당해 타단부에 위치된 축 부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퇴피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지지부에 접속하는 피지지부측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 억제 기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퇴피 방향으로의 회동과, 상기 피지지부의 상기 퇴피 방향과는 역회동 방향으로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기구로 된 촬상부 지지 장치.
(6a)
상기 (1a) 내지 (5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퇴피 동작으로 했을 때, 상기 퇴피 동작이 완료한 상태에서의 상기 촬상부의 촬상 방향의 배향을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는 배향으로 변경하는 방향 제어 기구를 더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7a)
상기 (1a) 내지 (6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통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8a)
상기 (1a) 내지 (7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지지부가 상기 통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일부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피지지부보다 전측에 위치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피지지부에 대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9a)
상기 (8a)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기류를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10a)
상기 (8a) 또는 (9a)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전단부가 탄성 재료로 구성된 촬상부 지지 장치.
(11a)
상기 (1a) 내지 (10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외연에 있어서의 일부로부터 광을 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12a)
상기 (11a)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광원이 상기 촬상부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촬상부 지지 장치.
(13a)
상기 (11a) 또는 (12a)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광원으로부터 광선이 입사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부재의 계면에 있어서 전반사된 상기 광선이 상기 투명 부재 내를 전파하여 상기 발광부에 도광되는 촬상부 지지 장치.
(14a)
상기 (11a) 내지 (13a)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더 포함하는 촬상부 지지 장치.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한, 설계 요구 조건과 기타의 팩터들에 따라 여러 변경, 조합, 서브 조합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다.
1, 1A, 1B, 1C, 1D: 촬상부 지지 장치
2: 촬상부
3, 3A: 피지지부
4: 지지부
4f: 전측 지지 부재
4fa: 피구동부
4fx: 만곡부
4b, 4bA: 후측 지지 부재
4bx: 만곡부
5, 6: 차량측 접속부
7, 8, 7', 8': 피지지부측 접속부
5a, 6a, 7a, 8a: 축 부재
9: 커버부
9f: 커버 전부
9b: 커버 후부
9u: 상면
9d: 하면
9m: 락부(locking portion)
10, 35: 가압 부재
11, 11A: 락 해제 부재
11a: 경사면
22: 모터
27: 전측 부재
28: 후측 부재
29, 30: 부채꼴 부재
31: 원형 부재
36: 락 부재
37: 규제부
41: 락 및 락 해제부
3Ab: 발광부
46: 트리거 부재

Claims (22)

  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dynamically deployable)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로서,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 뷰-카메라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평행하게 배열되며 또한 회전점에 부착된 지지 링크에 의해 그 각각의 단부에서 상호 접속되는 2개의 지지 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전개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2개의 지지 아암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광축과 평행하지 않은,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량의 차체의 홈부 내에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부가 놓이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맞물리는 기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 또는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체에 퇴피력을 가하도록, 일단에서 상기 지지체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상기 차량에 접속되는 상기 가압 부재에 부착되는 연장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8. 제1항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개시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지지체를 전개 및/또는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력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미리 결정된 토크 미만이면, 상기 전개 위치에 상기 지지체를 유지시키지만, 상기 토크가 상기 미리 결정된 토크보다 크다면 상기 퇴피 위치로의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락(lock)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1 사전 조절(preset)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유저가 선택 가능한 제2 사전 조절 위치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가려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의 반대측 상에서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차량이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고 때,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의 풍하중을 감소시키는 핀을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14.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사이드-뷰 카메라, 및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는,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에 대한 접촉력에 응답하여,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차량을 향해 상기 지지체를 가압하는 퇴피력을 인가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배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퇴피 상태에 있을 때와 상기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상이한 발광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위치로 상기 지지체를 제어 가능하게 퇴피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에 의해 지지되며 또한 상기 전진 방향으로 배향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접근하는 물체를 식별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지지체를 퇴피시켜 상기 물체가 상기 지지체 및/또는 사이드-뷰 카메라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방측 상황을 촬상하도록 구성되는 전방 시야 카메라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시야 카메라에 접근하는 상기 전방측 상황에 있어서의 물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21. 동적으로 전개 가능한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이며,
    사이드-뷰 카메라와;
    차량에 부착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하는 원위단(distal end)을 구비한 지지체로서, 당해 지지체가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원위단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각도 범위에 걸쳐있는 화상은 상기 차량의 전진 방향에 대해 후방 시야로부터 오며, 상기 지지체가 퇴피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지지체의 상기 원위단은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경우보다 상기 차량에 가까이 위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는,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각도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게끔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차량의 제어 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 시스템
    을 포함하는 차량.
  22. 제21항에 있어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 및
    상기 차량의 타방측에 그 근위단에서 부착되며, 그 원위단에서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접속되는 또 다른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는 다른 후방 시야로부터 상기 또 다른 사이드-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또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
KR1020187027214A 2016-03-24 2017-03-16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KR102353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9916A JP2017171137A (ja) 2016-03-24 2016-03-24 撮像部支持装置
JPJP-P-2016-059916 2016-03-24
PCT/JP2017/010682 WO2017164067A1 (en) 2016-03-24 2017-03-16 Side-view camera mou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878A true KR20180124878A (ko) 2018-11-21
KR102353649B1 KR102353649B1 (ko) 2022-01-21

Family

ID=5845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214A KR102353649B1 (ko) 2016-03-24 2017-03-16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82965B2 (ko)
EP (1) EP3416855B1 (ko)
JP (1) JP2017171137A (ko)
KR (1) KR102353649B1 (ko)
CN (1) CN108778841B (ko)
WO (1) WO20171640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355B1 (ko) * 2019-11-13 2020-04-2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각종 오류의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및 운용 시스템
KR20200129394A (ko) * 2019-05-08 2020-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4288B2 (en) * 2017-05-08 2021-06-15 SMR Patents S,á. r.l. Moveable illumination and image acquisition unit for a motor vehicle
KR102449480B1 (ko) 2017-11-24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275087B (zh) * 2018-02-06 2021-02-09 重庆电讯职业学院 一种多功能汽车外后视镜
WO2019158457A1 (de) * 2018-02-13 2019-08-22 Inventus Engineering Gmbh Türeinrichrung mit verfahrbarer sensorkomponente zur umfelderkennung sowie verfahren zur umfelderkennung an einer türeinrichtung
WO2019179631A1 (en) * 2018-03-23 2019-09-26 Volvo Truck Corporation Wing folding mechanism for a device attached outside a vehicle
EP3560759A1 (en) * 2018-04-24 2019-10-3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oldable digital mirror camera arm for a vehicle
CN112041198A (zh) * 2018-05-03 2020-12-04 沃尔沃卡车集团 包括驾驶室和用于监控前死角区域的监控装置的车辆以及用于这种车辆的监控装置
DE102018209288B3 (de) * 2018-06-11 2019-09-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alterung für eine Kamera an einem Kraftfahrzeug
US11057568B2 (en) * 2018-09-25 2021-07-06 Inteva Products, Llc Deployable side shark fin with integrated side view camera and sensing device
KR102552165B1 (ko) * 2018-11-20 2023-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JP6769500B2 (ja) * 2019-02-13 2020-10-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車両用映像制御装置、車両用映像システム、映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696104B (zh) * 2019-03-15 2020-06-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板模組以及具有觸控板模組的電子計算機
DE102019204418B3 (de) * 2019-03-29 2020-06-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ameraarmvorrichtung für ein Spiegelersa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N110166673B (zh) * 2019-05-29 2020-10-09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设备
KR20200144692A (ko) * 2019-06-19 2020-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직방향 접이식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DE102019213525B3 (de) * 2019-09-05 2020-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sweichsystem für einen Kameraarm zum Beobachten eines rückwärtigen Verkehrs eines Fahrzeugs
JP7335187B2 (ja) * 2020-02-28 2023-08-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設置装置
DE102020114910B4 (de) 2020-06-04 2023-01-05 Witte Automotive Gmbh Kameraanordnung
JP7391236B2 (ja) * 2020-10-05 2023-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カメラユニット及び車載カメラユニットインナーミラー複合体
CN112298047A (zh) * 2020-10-30 2021-02-02 陈亚萍 一种车辆的视觉模块、视觉系统和车辆
US11679812B2 (en) * 2021-08-16 2023-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trail sigh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479A (ja) 1992-08-24 1994-03-08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左右確認装置
JPH0683486U (ja) * 1993-05-12 1994-11-29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のドアミラー装置
JPH10287179A (ja) * 1997-04-17 1998-10-27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サイドドア用サイドミラー構造
JP2011184030A (ja) * 2010-03-11 2011-09-22 Koito Mfg Co Ltd カメラを内蔵した車両用灯具
DE102012015395B3 (de) * 2012-08-03 2013-11-28 Mekra Lang Gmbh & Co. Kg Kameraarm für eine Spiegelersatzsystem-Kamera eines Kraftfahrzeugs
US20140063245A1 (en) * 2012-08-30 2014-03-0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649A (en) * 1984-07-19 1987-08-11 Gregory Gault Vibration isolator camera mount
US5090259A (en) * 1988-01-18 1992-02-25 Olympus Optical Co., Ltd. Pipe-inspecting apparatus having a self propelled unit
US5173726A (en) * 1991-06-04 1992-12-22 Eastman Kodak Company Automatic parallax correction in deploying lens camera
US5263796A (en) * 1991-07-10 1993-11-23 Canadian Rubber & Steel Ltd. Self-closing clamping apparatus
US5984326A (en) * 1996-06-19 1999-11-16 500 Group, Inc. Roller mechanism for container or cart
US5992796A (en) * 1997-03-13 1999-1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econdary wing system for use on an aircraft
GB9710649D0 (en) * 1997-05-24 1997-07-16 Britax Geco Sa Exterior mirror for motor vehicle
AU2001243285A1 (en) * 2000-03-02 2001-09-12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6679181B2 (en) * 2001-05-24 2004-01-20 Richard B. Fox Dual mode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JP2003104123A (ja) * 2001-09-28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JP3854499B2 (ja) * 2001-12-03 2006-12-0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カメラ内蔵型アウター用バックミラー
US6746029B2 (en) * 2002-02-15 2004-06-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hotograph vehicle
US7092477B2 (en) * 2002-10-01 2006-08-15 Westinghouse Electric Co Llc BWR inspection manipulator
US20040223078A1 (en) * 2003-05-09 2004-11-11 Adam Zadok Support for hand held video camera
US7231868B2 (en) * 2003-07-27 2007-06-19 Soberanis David L Wine pomac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6043981A2 (en) * 2004-04-29 2006-04-27 United Defense, L.P. Mortar deployment and storage system
US7086661B1 (en) * 2004-05-11 2006-08-08 Charles Osborn Retractable curtain for towing vehicles
DE102006023103A1 (de) 2006-05-16 2007-1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ilderfassung des Außenbereichs von einem Fahrzeug mittels einer Kamera
US7427220B2 (en) * 2006-08-02 2008-09-23 Mcgill University Amphibious robotic device
US8647258B2 (en) * 2008-01-10 2014-02-11 Covidien Lp Apparatus for endoscopic procedures
US20100010294A1 (en) * 2008-07-10 2010-01-14 Ethicon Endo-Surgery, Inc. Temporarily positionable medical devices
WO2011014903A1 (en) * 2009-08-06 2011-02-10 Said Youssef Stephan Rear vision video camera and display screen system for a vehicle
JP5366708B2 (ja) * 2009-08-24 2013-12-11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8465476B2 (en) * 2009-09-23 2013-06-1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nnula mounting fixture
DE102010005638A1 (de) * 2010-01-25 2011-07-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74321 Verfahren zum Anzeigen zumindest eines Bildes einer Fahrzeugumgebung auf einer Anzeige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Fahrerassistenzeinrichtung für ein Fahrzeugund Fahrzeug mit einer Fahrerassistenzeinrichtung
US8457830B2 (en) * 2010-03-22 2013-06-04 John R. Goulding In-line legged robot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US8602980B2 (en) * 2010-06-11 2013-12-10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Folding endoscop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704886B2 (ja) * 2010-10-25 2015-04-22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車載カメラの取付構造
US9522595B2 (en) * 2011-01-27 2016-12-20 Irobot Defense Holdings, Inc. Small unmanned ground vehicle
DE102011111854A1 (de) * 2011-08-27 2013-02-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wenkmechanismus zum beweglichen Anbringen einer Kamera an einem Fahrzeug
JP5906050B2 (ja) * 2011-09-30 2016-04-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619863B2 (en) * 2012-04-25 2017-04-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panorama images
DE102012008914B4 (de) * 2012-05-03 2018-09-20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Außenspiegels eines Fahrzeugs aus einer ausgeklappten Position in eine eingeklappte Position
DE102012015398B3 (de) * 2012-08-03 2013-10-24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ersatz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2213813B4 (de) * 2012-08-03 2021-07-01 Mekra Lang Gmbh & Co. Kg Außenkameravorrichtung für Fahrzeuge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Außenkameravorrichtung
US9222613B2 (en) * 2012-08-22 2015-12-29 Atmos Energy Corporation Remote camera and adapter therefor
JP2014061808A (ja) * 2012-09-21 2014-04-10 Ichikoh Ind Ltd 後方視認装置
FR2996437B1 (fr) * 2012-10-05 2014-12-19 Centre Nat Rech Scient Systeme d'imagerie multi-vision pour chirurgie laparoscopique
DE102012219810B4 (de) * 2012-10-30 2019-1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verarbeitung von Bilddaten
DE102012025100A1 (de) * 2012-12-20 2014-06-26 avateramedical GmBH Entkoppeltes Mehrkamerasystem für die minimal-invasive Chirurgie
JP6184186B2 (ja) * 2013-06-14 2017-08-2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ドアミラーのターンランプアセンブリおよび車両用ドアミラー
US9487142B2 (en) * 2013-06-25 2016-11-0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JP5947759B2 (ja) * 2013-07-23 2016-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ユニット
US9132779B2 (en) * 2013-11-04 2015-09-15 Omix-Ada, Inc. Multi-device dash mount for vehicles
US10832602B2 (en) * 2013-12-02 2020-11-10 Craig Canon Information conveying apparatus
DE102014006961A1 (de) * 2014-05-13 2015-11-19 Man Truck & Bus Ag Fahrzeug, insbesondere Nutzfahrzeug, mit einem Kamera-Monitor-System als Spiegelersatzsystem sowie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s derartigen Kamera-Monitor-Systems
US11606497B2 (en) * 2014-06-10 2023-03-14 Nitesh Ratnakar Endoscope with multiple views and novel configurations adapted thereto
US10413372B2 (en) * 2014-07-28 2019-09-1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Guide apparatus for delivery of a flexible instrument and methods of use
US9326668B1 (en) * 2014-08-15 2016-05-0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Otoscope providing improved ear canal access
US10849483B2 (en) * 2014-09-15 2020-12-01 Vivid Medical, Inc. Single-use, port deployable articulating endoscope
JP6494371B2 (ja) * 2015-03-31 2019-04-03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US9519203B1 (en) * 2015-07-29 2016-12-13 Donald Kennair, Jr. Quick-reposition camera support
US9426342B1 (en) * 2015-08-05 2016-08-23 Technologies Humanware Inc. Handheld electronic magnifier having a multi-orientation handle
US9856698B2 (en) * 2015-09-25 2018-01-02 Utilicor Technologies Inc. Self-propelled, towable co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479A (ja) 1992-08-24 1994-03-08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左右確認装置
JPH0683486U (ja) * 1993-05-12 1994-11-29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のドアミラー装置
JPH10287179A (ja) * 1997-04-17 1998-10-27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サイドドア用サイドミラー構造
JP2011184030A (ja) * 2010-03-11 2011-09-22 Koito Mfg Co Ltd カメラを内蔵した車両用灯具
DE102012015395B3 (de) * 2012-08-03 2013-11-28 Mekra Lang Gmbh & Co. Kg Kameraarm für eine Spiegelersatzsystem-Kamera eines Kraftfahrzeugs
US20140063245A1 (en) * 2012-08-30 2014-03-06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mirr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394A (ko) * 2019-05-08 2020-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KR102103355B1 (ko) * 2019-11-13 2020-04-2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각종 오류의 실시간 원격 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및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8728A1 (en) 2019-04-25
JP2017171137A (ja) 2017-09-28
KR102353649B1 (ko) 2022-01-21
US10682965B2 (en) 2020-06-16
EP3416855B1 (en) 2019-11-13
CN108778841B (zh) 2022-02-11
CN108778841A (zh) 2018-11-09
EP3416855A1 (en) 2018-12-26
WO2017164067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878A (ko) 사이드-뷰 카메라 마운트 시스템
US11242022B2 (en)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0491793B2 (en) Shielded camera monitoring of wheels from vehicle underside using reflectors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2004284440A (ja) 車両用衝突物保護装置
CN105818774B (zh) 乘客保护系统
JP7011985B2 (ja) 車体構造
CN107635830A (zh) 后方视觉辨认装置
WO2018179508A1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CN109715423B (zh) 车门外侧把手装置、车门及车辆
US9511734B2 (en) Passenger protection system
JP6269380B2 (ja) 車両の距離計測装置
JP2008012942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バンパー装置
US20180290595A1 (en) Vehicle side mirror positioning method and assembly
US20180328095A1 (en) Opening/closing body drive device, vehicle door, and vehicle
JP2010235040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EP1298013B1 (en) Passenger compartment monitoring apparatus
JP2016107647A (ja) 車両の衝突体保護装置
JP2009161068A (ja) 車両用安全装置
KR101997063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JP2008126760A (ja) 車両用フード跳ね上げ装置
JP2004122908A (ja) 車両のバンパ装置
EP1531085A1 (en) Front-viewing system for vehicles
JP5556591B2 (ja) 障害物検出装置
WO2023105866A1 (ja) 衝撃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