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969A -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969A
KR20180123969A KR1020180051326A KR20180051326A KR20180123969A KR 20180123969 A KR20180123969 A KR 20180123969A KR 1020180051326 A KR1020180051326 A KR 1020180051326A KR 20180051326 A KR20180051326 A KR 20180051326A KR 20180123969 A KR20180123969 A KR 2018012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resin
mold
resin molding
wa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601B1 (ko
Inventor
히로카즈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ovable, e.g. to or from the mould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3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movement of moulds or mould parts, e.g. opening or closing, actu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두께 이외의 치수가 다른 수지 성형품을 제작할 때에, 코스트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은, 서로 직교하는 3개의 평면인 제1 표면(111), 제2 표면(112) 및 제3 표면(113)을 각각 가지는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와,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가, 각 둘레벽 부재의 제1 표면(111)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제2 표면(112)이 인접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113)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의 각 제3 표면(113)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C)의 내부에 장입되어 상기 공간의 일방의 저부를 막는 저면 부재(12)를 구비한다.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캐비티의 평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벽 부재는 1종류만 준비하면 되고, 성형형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관리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 및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MOLD FOR RESIN MOLDING, RESIN MOLDING APPARATUS, METHOD FOR ADJUSTING MOLD FOR RESIN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수지(樹脂) 성형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成形型),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을 광, 열, 습기 등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전자 부품은 일반적으로 수지에 의해 씰링된다. 그를 위해, 압축 성형법이나 이송 성형법 등에 의해 수지 성형이 행해진다. 압축 성형법에서는, 하형과 상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형을 이용하며, 하형의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전자 부품을 장착한 기판을 상형에 장착한 다음에, 하형과 상형을 가열하면서 양자를 형체결하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이 행해진다. 이송 성형법에서는, 상형과 하형 중 일방의 캐비티에 기판을 장착한 다음에, 하형과 상형을 가열하면서 양자를 형체결하고, 플런저에 의해 수지를 캐비티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이 행해진다.
수지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 성형품에서는, 수지에 의해 씰링되는 전자 부품의 형상, 개수, 배치 등에 따라서, 수지 성형품의 치수가 다르다. 그 때문에, 수지 성형품의 치수에 따른 성형형을 수지 성형품마다 제작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그를 위해서는 다수의 성형형을 준비해야 한다. 그러면, 성형형의 제작에 코스트를 필요로 하는데다, 그들 다수의 성형형을 보관하지 않으면 안되어, 보관 장소의 확보나 관리에 수고를 필요로 한다.
특허 문헌 1에는, 평판 모양의 제1 금형에, 성형형의 저부에 상당하는 인서트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고, 제1 금형에 대향하여 배치된 평판 모양의 제2 금형에, 성형형의 둘레벽에 상당하며, 내측의 공간의 평면 형상이 인서트 부재와 동일 평면 형상을 가지는 댐(dam) 구조체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한 수지 성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인서트 부재와 댐 구조체는,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형체결했을 때에, 댐 구조체의 내측의 공간에 인서트 부재가 장입(裝入)되도록, 서로의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서트 부재를 두께가 다른 것으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두께가 다른 수지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만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댐 구조체는 공통의 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성형품마다 성형형 전체를 제작하는 것보다도,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1-105053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수지 성형 장치에서는, 두께만이 다른 수지 성형품은 공통의 둘레벽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두께 이외의 치수가 다른 수지 성형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들 폭이나 길이에 따른 둘레벽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성형형 전체를 수지 성형품의 치수에 따라 제작하는 경우와 동일한 코스트와 수고를 필요로 해 버린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두께 이외의 치수가 다른 수지 성형품을 제작할 때에, 성형형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제1 형태는,
a) 서로 직교하는 3개의 평면인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3 표면을 각각 가지는 4개의 둘레벽 부재와,
b)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가, 각 둘레벽 부재의 제1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제2 표면이 인접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장입(裝入)되어 상기 공간의 일방의 저부를 막는 저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제2 형태는,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에 마련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 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 장치의 제1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과,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는 형체결 기구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 장치의 제2 형태는,
상기 제2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과,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는 형체결 기구와,
상기 수지 공급 유로에 접속된, 수지 재료를 유지하는 수지 재료 유지부와,
상기 수지 재료 유지부 내의 수지 재료를, 상기 수지 공급 유로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에 주입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의 제1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각에서,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접촉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둘레벽 부재 이동 공정과,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상기 저면 부재를 장입하는 저면 부재 장입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의 제2 형태는,
상기 제2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각에서,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접촉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둘레벽 부재 이동 공정과,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상기 저면 부재를 장입하는 저면 부재 장입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의 제1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에 의해,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의 형상이 조정된 상기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수지 재료가 연화 또는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수지 재료를 가열한 다음에,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고, 그 후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의 제2 형태는,
상기 제2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에 의해 상기 캐비티의 형상이 조정된 상기 제2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고, 수지 재료가 연화 또는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수지 재료를 가열한 다음에 상기 수지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캐비티로 상기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두께 이외의 치수가 다른 수지 성형품을 제작할 때에, 성형형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하형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b)는 하형 및 상형을 나타내는 A-A'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의 둘레벽 부재 중 1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좌측면도 그리고 (d)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의 평면 형상의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 형상의 변경전의 둘레벽 부재의 B-B'단면도 및 (b)는 변경 후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의 평면 형상의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 형상의 변경전의 둘레벽 부재의 사시도 및 (b)는 변경 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가지는 수지 성형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변형예에서의 하형 및 그 주위의 벽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를 가지는 수지 성형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상형을 나타내는 하면도 및 (b)는 종단면도, 그리고 (c)는 하형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d)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의 제1 둘레벽 부재의 정면도 및 (b)는 하면도, 그리고 (c)는 제3 둘레벽 부재의 정면도 및 (d)는 하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의 평면 형상의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 형상의 변경전의 둘레벽 부재의 하면도 및 (b)는 변경 후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가지는 수지 성형 장치(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둘레벽 부재를, 그들 제1 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한 채로, 제2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접촉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상대 위치가 바뀌도록, 서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평면 형상(제1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상기 공간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일방의 저부를 막는 저면 부재를 상기 공간에 장입(裝入)하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때에 수지 재료가 공급되는 공간인,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가 형성된다. 캐비티의 두께(상기 제1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크기)는, 캐비티측의 저면 부재의 표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4개의 둘레벽 부재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캐비티의 평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벽 부재는 1종류만 준비하면 된다. 따라서, (저면 부재는 복수 준비할 필요가 있기는 하지만) 둘레벽 부재를 1종류만 준비하면 된다고 하는 점에서, 성형형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관리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 및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중, 압축 성형에 이용하는 제1 형태의 것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와 상기 저면 부재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중, 이송 성형에 이용하는 제2 형태의 것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와 상기 저면 부재를 가지며, 그들 4개의 둘레벽 부재와 저면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에,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 유로를 가진다.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측의 제4 표면 및 상기 제3 표면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구(吸引口)를 구비할 수 있다. 혹은,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측의 표면에,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제3 표면이나 제4 표면과, 캐비티측의 표면의 쌍방에 기체 흡인구를 마련해도 좋다. 제1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 이러한 기체 흡인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성형 후의 수지 성형체의 이형(離型)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미리 캐비티를 구성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 및 저면 부재의 캐비티측의 표면을 이형 필름에 의해 피복할 때에 기체 흡인구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그들 표면에 상기 이형 필름을 밀착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에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상기 제3 표면의, 상기 제4 표면측의 일부에, 상기 제4 표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성형 후의 수지 성형체를 수지 성형용 성형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이하, 도 1~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
도 1에,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을 나타낸다. 이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은, 압축 성형용의 성형형이다.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은, 제1 둘레벽 부재(11A), 제2 둘레벽 부재(11B), 제3 둘레벽 부재(11C) 및 제4 둘레벽 부재(11D)로 이루어지는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저면 부재(12)로 이루어지는 하형(101)과, 단일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형(102)을 가진다.
도 2에, 제1 둘레벽 부재(11A)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 제3 둘레벽 부재(11C)는 제1 둘레벽 부재(11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2 둘레벽 부재(11B) 및 제4 둘레벽 부재(11D)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제1 둘레벽 부재(11A)보다도 짧은 점을 제외하고 제1 둘레벽 부재(11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는 장방형의 판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방형의 장변측의 단면(端面) 중 일방을 아래로 향해서 판면(板面)을 세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하면(111)은 상기 제1 표면에, 단변측의 단면(端面) 중 일방의 면인 좌측면(112)은 상기 제2 표면에, 장방형의 판면의 일방인 내면(113)은 상기 제3 표면에, 각각 해당한다. 하면(111), 좌측면(112) 및 내면(113)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하면(제1 표면)(111)은 높이가 일치되어 있으며,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둘레벽 부재(11A), 제2 둘레벽 부재(11B), 제3 둘레벽 부재(11C) 및 제4 둘레벽 부재(11D)는 이 순서대로, 위로부터 보아 내면(113)의 방향을 90°씩 바꾸어 반시계 방향으로, 내측에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위로부터 보아 왼쪽 옆 및 오른쪽 옆을, 간단하게 「왼쪽 옆」및 「오른쪽 옆」이라고 기재한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은,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측을 향하고 있다. 또,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좌측면(제2 표면)(112)은,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113)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다.
도 2의 (a)에서는, 1개의 둘레벽 부재(11)의 정면을 실선으로 나타내며,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우측면을 일점 쇄선으로, 오른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좌측면 중 동일 도면의 좌측 단부의 부분을 2점 쇄선으로, 각각 나타낸다. 주목하는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113)과 오른쪽 옆의 둘레벽 부재(11)의 좌측면(제2 표면)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동 가능하며(후술), 도 2의 (a)에서는 오른쪽 옆의 둘레벽 부재(11)의 좌측면의 위치가 다른 2개의 예에 대해서, 각각 1개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에는, 상기 좌측면(112)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모양의 슬라이드 부재(131)가 마련되어 있다(도 2의 (a)). 또, 각 둘레벽 부재(11A~11D)에는, 슬라이드 부재(131)와 동일 높이에, 상기 둘레벽 부재의 판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안내 구멍(132)이 마련되어 있다(도 2의 (a)). 안내 구멍(13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길이는 안내 구멍(132)이 마련된 높이에서의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두께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안내 구멍(132)의 세로 방향의 크기는, 좌우의 양단 부근을 제외하고 슬라이드 부재(131)의 원기둥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상기 직경보다도 약간 크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슬라이드 부재(131)는, 좌측면(112)이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내면(113)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안내 구멍(132)에 삽입되어 있다. 또, 도 2의 (a)에서는, 제1 둘레벽 부재(11A)의 안내 구멍(132)에 삽입되어 있는, 제2 둘레벽 부재(11B)의 슬라이드 부재(1)를, 상기 안내 구멍(132) 내에 파선으로 나타냈다.
둘레벽 부재(11A~11D)의 상면(제4 표면)(114)에는, 기체 흡인구(141)가 상기 상면(114)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늘어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둘레벽 부재 내에는 기체 흡인관(14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체 흡인관(142)이 분기하여 각 기체 흡인구(141)와 접속되어 있다. 이 기체 흡인관(142)은,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우측면에 마련된 접속구(143)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접속구(143)와, 수지 성형용 성형형(10) 밖에 마련된 기체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의 상단에는, 둘레벽 부재의 상면(114)과의 모서리를 면취(面取)한 테이퍼(116)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퍼(116)는, 상면(114)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좌측면(112)의 상단에는, 왼쪽 옆에 있는 둘레벽 부재의 테이퍼(116)에 접촉하는 면을 가지는 차양 모양부(117)가 마련되어 있다(도 2의 (a)).
저면 부재(12)는, 판 모양이며, 판면을 상하 방향을 향해서, 4개의 둘레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 내에 장입된다. 저면 부재(12)는, 판면의 세로 및 가로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것을 준비한다.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 및 저면 부재(12)의 상면에 의해, 캐비티(C)가 형성된다.
상형(102)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모양이다.
(1-2)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조정 방법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의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도 1의 (b) 및 도 2의 (c)에 나타낸 B-B'단면에서의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단면도를, 도 4에서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의 B-B'단면에는 테이퍼(116)가 포함되지 않고, 슬라이드 부재(131) 및 안내 구멍(132)이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서의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이 최대인 상태이기 때문에, 그것보다도 작은 상태로 변경하는 조정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먼저,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으로부터, 저면 부재(12)를 취출한다. 도 3의 (a)는 저면 부재(12)를 취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이 장방형으로서 장변(도면의 가로로 연장되는 변(邊)) 및 단변(도면의 세로로 연장되는 변)이 모두 최대로 되어 있다. 도 3의 (a)에서는, 테이퍼(116)가 나타내어져 있지 않기는 하지만, 각 둘레벽 부재(11A~11D)는 도 1의 (a)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슬라이드 부재(131)의 안내 구멍(13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안내 구멍(132)을 향해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따라,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좌측면(제2 표면)(112)은,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113)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캐비티(C)의 내측을 향해 이동한다(도 3의 (b) 중의 굵은 화살표). 이것에 의해,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을 유지하면서, 장변 및 단변이 모두 상기 이동 전보다도 짧게 된다.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의 장변 및 단변이 최대가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슬라이드 부재(131)의 안내 구멍(13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우측으로, 즉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좌측면(제2 표면)(112)의,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113)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캐비티(C)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의 장변 및 단변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대향하는 2개의 둘레벽 부재는 모두 이동시켜도 괜찮지만, 일방만 이동시켜도 괜찮다. 또는,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 중 대향하는 2개만, 또는 1개만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의 장변 및 단변 중 일방만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안내 구멍(132)의 길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이 마련된 높이에서의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두께보다도 짧게 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131)의 안내 구멍(13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안내 구멍(132)과 캐비티(C)가 연통(連通)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을 변경한 후, 상기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판면을 가지는 저면 부재(12)를,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에 의해 둘러싸여진 곳에 장입한다. 이것에 의해,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 및 저면 부재(12)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이,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의 조정 후의 캐비티(C)가 된다. 또, 상형(102)도, 캐비티(C)의 형상에 대응한 것으로 교환한다.
(1-3)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2조(組)의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을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20)를 설명한다. 수지 성형 장치(20)는, 기반(基盤)(231) 상에 2개의 타이 바(232)가 세워 마련됨과 아울러 토글 링크(233)가 마련되어 있다. 타이 바(232)에는 하부 가동 플래턴(platen)(211)과 상부 가동 플래턴(212)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타이 바(232)의 상단에는 고정 플래턴(22)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기반(基盤)(231), 타이 바(232), 토글 링크(233), 하부 가동 플래턴(211), 상부 가동 플래턴(212) 및 고정 플래턴(22)이 형체결 기구에 해당한다.
하부 가동 플래턴(211) 상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1 하부 단열 부재(241A), 제1 하부 히터 플레이트(251A),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의 하형(101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가동 플래턴(212)의 아래에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제1 상부 단열 부재(242A), 제1 상부 히터 플레이트(252A),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의 상형(102A)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가동 플래턴(212) 위에는, 아래로부터 순서대로 제2 하부 단열 부재(241B), 제2 하부 히터 플레이트(251B),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의 하형(101B)이, 고정 플래턴(22)의 아래에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제2 상부 단열 부재(242B), 제2 상부 히터 플레이트(252B),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의 상형(102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하부 단열 부재(241A), 제1 상부 단열 부재(242A), 제2 하부 단열 부재(241B) 및 제2 상부 단열 부재(242B)는 각각, 기둥 모양의 단열 부재를 복수개, 2차원 모양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하형(101A 및 101B)에는 각각, 저면 부재(12)의 주위로서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하부에 탄성 부재(26A 및 26B)가 마련되어 있다. 저면 부재(12)는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각 둘레벽 부재(11A~11D)는 탄성 부재(26A 및 26B)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탄성 부재(26A 및 26B)의 가로(대략 수평) 방향의 위치는, 둘레벽 부재(11A~11D)의 가로(대략 수평) 방향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 수지 성형 장치(20)는,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의 하형(101A)과 상형(102A)의 사이,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의 하형(101B)과 상형(102B)의 사이에 각각, 옆으로부터 반입되는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수지 재료 공급 기구)(27)를 가진다.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모양의 부재의 중앙부가 도려내어져 이루어지는 프레임체(271)와, 그 도려내어진 부분로서 프레임체(271)에 의해 둘러싸여진 수지 수용부(272)와, 프레임체(271)의 하면에 마련된, 이형 필름(F)을 흡착하는 기체 흡인구(273)를 가지고 있다.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는, 흡착구(272)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이형 필름(F)을 프레임체(271)의 하면에 흡착하면서 상기 이형 필름(F)에 의해 수지 수용부(272)의 하측이 막혀진 상태에서, 수지 수용부(272)에 수지 재료(P)를 수용한다. 이후에,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는 하형(101A(101B))과 상형(102A(102B))의 사이에 반입된다. 그리고, 하형(101A(101B))의 기체 흡인구(141)로부터 기체를 흡인하면서,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의 기체 흡인구(273)에 의한 이형 필름(F)의 흡착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이형 필름(F)이 캐비티(C)의 내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하여 상기 내면에 피복됨과 아울러, 수지 재료(P)가 캐비티(C)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1-4)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동작)
도 7을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인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 도 7에서는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의 동작을 나타냈지만,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의 동작도 동일하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조정 방법에 의해, 캐비티(C)가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하형(101A 및 101B)을 조정한다. 그것과 함께, 조정 후의 각 둘레벽 부재(11A~11D)의 위치에 맞도록, 탄성 부재(26A 및 26B)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형(102A 및 102B)의 하면에 각각, 복수개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기판(S)을, 실장면을 하측을 향해서 장착한다(도 7의 (a)). 이어서, 수지 재료(P) 및 이형 필름(F)이 유지된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를 하형(101A(101B))과 상형(102A(102B))의 사이에 반입한 후에 강하시키고, 기체 흡인구(141)로부터 기체를 흡인함과 아울러, 파지부가 이형 필름(F)을 해방한다. 이것에 의해, 하형(101A 및 101B)의 캐비티(C)의 내면이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됨과 아울러, 수지 재료(P)가 캐비티(C)에 공급된다(도 7의 (b)). 또, 기체 흡인구(141)는 둘레벽 부재(11A~11D)의 상면(114)에만 마련되어 있고, 캐비티(C)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상면(114)이 약간 거칠기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상면(114)과 이형 필름(F)의 간극을 통해서, 캐비티(C)의 내면과 이형 필름(F)의 사이에 있는 공기를 기체 흡인구(141)로부터 흡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캐비티(C)의 내면과 이형 필름(F)을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하부 히터 플레이트(251A 및 252A)에 의해, 하형(101A 및 101B)의 캐비티(C) 내의 수지 재료(P)를 가열하고, 상기 수지 재료(P)를 용융 또는 연화시킨다(도 7의 (c)). 그것과 함께, 제1 상부 히터 플레이트(252A 및 252B)에 의해, 기판(S)을 수지 재료(P)와 동일한 정도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것은, 다음에 서술하는 형체결 직후에, 수지 재료(P)와 기판(S)의 온도차에 의해서 수지 재료(P)가 급격하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들 가열시, 제1 하부 히터 플레이트(251A)와 하부 가동 플래턴(211)의 사이에 제1 하부 단열 부재(241A)가, 제1 상부 히터 플레이트(252A)와 상부 가동 플래턴(212)의 사이에 상부 단열 부재(242A)가, 각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 하부 가동 플래턴(211)이나 상부 가동 플래턴(212)으로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하형(101A)의 캐비티(C) 내의 수지 재료(P)나 상형(102)의 기판(S)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하형(101B) 및 상형(102B)도 마찬가지임).
다음으로, 토글 링크(233)에 의해 하부 가동 플래턴(211)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먼저,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의 하형(101A)과 상형(102A)이 맞닿고, 상형(102A)이 장착된 상부 가동 플래턴(212)이 상승하여,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의 하형(101B)과 상형(102B)이 맞닿는다. 토글 링크(233)에 의해 하부 가동 플래턴(211)을 더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 및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이 형체결된다(도 7의 (d)). 이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 및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 내의 수지 재료(P)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기판(S)의 표면에 수지 성형품(수지 씰링품)(PM)이 형성된다(도 7의 (e)).
그 후, 제1 하부 히터 플레이트(251A 및 252A), 및 제1 상부 히터 플레이트(252A 및 252B)에 의한 가열을 정지하고, 토글 링크(233)에 의해 하부 가동 플래턴(211)을 강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 및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이 형개방된다(도 7의 (f)). 그 때, 캐비티(C)의 내면이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 및, 하형(101A, 101B)의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의 상단에 테이퍼(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품(PM)은 하형(101A, 101B)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그 후, 표면에 수지 성형품(PM)이 형성된 기판(S)을 상형(102A, 102B)으로부터 떼어냄과 아울러, 하형(101A, 101B)으로부터 이형 필름(F)을 제거한다. 또, 수지 성형품(PM)의 단부에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의 테이퍼(116)에 대응한 경사면이 형성되지만, 수지 성형품(PM)이 형성된 기판(S)을 이 후에 복수개로 분할하는 개편화(個片化) 처리를 행하고, 그 때에 경사면의 부분은 제거된다.
이후, 지금까지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품(PM)을 반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1-5)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 의하면,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벽 부재(11A~11D)는 1종류만 준비하면 되고, 교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성형형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관리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 및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은,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의 상단에 테이퍼(1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성형품(PM)을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은, 둘레벽 부재(11A~11D)에 마련된 기체 흡인구(141)를 이용하여, 캐비티(C)의 내면을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도, 수지 성형품(PM)을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1-6)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서는, 4개의 둘레벽 부재(11A~11D)는 모두 이동 가능하지만, 그들 4개 중 1개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서는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의 상단에 테이퍼(116)가 형성되어 있지만, 테이퍼(116)는 생략해도 괜찮다.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서는 기체 흡인구(141)를 둘레벽 부재(11A~11D)의 상면(114)에 마련했지만, 그것과 함께, 또는 그 대신에, 둘레벽 부재(11A~11D)의 내면(113)이나, 저면 부재(12)의 상면에 기체 흡인구를 마련해도 좋다. 혹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성형용 성형형(10)(단, 기체 흡인구(141)는 마련하지 않음)의 둘레벽 부재(11A~11D)의 주위에 기체 흡인구 설치벽(16)을 세워 마련하며, 상기 기체 흡인구 설치벽(16)의 상면에 기체 흡인구(141A)를 마련해도 좋다. 그 외,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주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20)에서는, 2개의 가동 플래턴(하부 가동 플래턴(211), 상부 가동 플래턴(212))과 1개의 고정 플래턴(22)를 이용하여, 2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10A),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10B))을 동시에 형체결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1개의 가동 플래턴과 1개의 고정 플래턴을 이용하여 1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을 형체결하도록 해도 괜찮다. 혹은, 3개 이상의 가동 플래턴과 1개의 고정 플래턴을 이용하여, 3개 이상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동시에 형체결하도록 해도 괜찮다.
도 9에,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다른 변형예인 수지 성형 유닛(30)을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수지 성형 유닛(30)은, 재료 수입(受入, 받아들임) 모듈(31), 성형 모듈(32), 및 불출(拂出) 모듈(33)을 가진다. 재료 수입 모듈(31)은, 수지 재료(P) 및 기판(S)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여 성형 모듈(32)로 송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에 수지 재료(P)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310)와 기판 수입부(311)를 가진다. 1대의 성형 모듈(32)은 전술의 수지 성형 장치(20)를 1조 구비한다. 도 9에는 성형 모듈(32)가 3대 나타내어져 있지만, 수지 성형 유닛(30)에는 성형 모듈(32)을 임의의 대수 마련할 수 있다. 또, 수지 성형 유닛(30)을 조립하여 사용을 개시한 후라도, 성형 모듈(32)을 증감시킬 수 있다. 불출 모듈(33)은, 성형 모듈(32)에서 제조된 수지 성형품을 성형 모듈(32)로부터 반입하여 유지해 두는 것으로서, 수지 성형품 유지부(331)를 가진다.
수지 성형 유닛(30)에는, 재료 수입 모듈(31), 1대 또는 복수대의 성형 모듈(32), 및 불출 모듈(33)을 가로지르도록, 기판(S),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 및 수지 성형품을 반송하는 주(主)반송 장치(36)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모듈 내에는, 주반송 장치(36)와 상기 모듈 내의 장치와의 사이에서 기판(S),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 및 수지 성형품을 반송하는 부(副)반송 장치(37)가 마련되어 있다. 그 외, 수지 성형 유닛(30)은, 상기 각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및 제어부(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수지 성형 유닛(30)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판(S)은, 조작자에 의해서 재료 수입 모듈(31)의 기판 수입부(311)에 유지된다. 주반송 장치(36) 및 부반송 장치(37)는, 기판(S)을 기판 수입부(311)로부터, 성형 모듈(32) 중 1대에 있는 수지 성형 장치(20)로 반송하고, 기판(S)을 상기 수지 성형 장치(20)의 상형(102A, 102B)에 장착한다.
이어서, 주반송 장치(36) 및 부반송 장치(37)는,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를 수지 재료 공급 장치(310)에 반입한다. 수지 재료 공급 장치(3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에 의해 파지된 이형 필름(F) 상에 수지 재료(P)를 공급한다.
주반송 장치(36) 및 부반송 장치(37)는, 수지 재료(P)가 공급된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를, 기판(S)가 상형(102A, 102B)에 장착된 성형 모듈(32)의 수지 성형 장치(20)로 반송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 성형 장치(20)의 하형(101A, 101B) 상에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를 배치한 다음에,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로부터 하형(101A, 101B)의 캐비티(C)의 내면에 이형 필름(F)을 피복함과 아울러 상기 캐비티(C)에 수지 재료(P)를 공급한다. 그 후, 주반송 장치(36) 및 부반송 장치(37)에 의해서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27)를 수지 성형 장치(20)로부터 반출한 다음에, 상기 수지 성형 장치(20)에서 압축 성형을 행한다. 상기 수지 성형 장치(20)에서 압축 성형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성형 모듈(32)에 있는 수지 성형 장치(20)에 대해서 지금까지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성형 모듈(32) 사이에서 시간을 늦추면서 병행하여 압축 성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 성형에 의해 얻어진 수지 성형품은, 주반송 장치(36) 및 부반송 장치(37)에 의해서 수지 성형 장치(20)로부터 반출되고, 불출 모듈(33)의 수지 성형품 유지부(331)에 반입되어 유지된다. 유저는 적절히, 수지 성형품을 수지 성형품 유지부(331)로부터 취출한다.
(2) 제2 실시 형태
(2-1)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
도 10에,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을 나타낸다. 이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은, 이송 성형용의 성형형이다.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은, 제1 둘레벽 부재(41A), 제2 둘레벽 부재(41B), 제3 둘레벽 부재(41C) 및 제4 둘레벽 부재(41D)로 이루어지는 4개의 둘레벽 부재, 저면 부재(42), 러너(runner)(45), 및 이들 각 부로 이루어지는 조(組)를 하면에 2조 장착하는 베이스(4011)를 가지는 상형(401)과, 2대의 기판 재치대(46) 및 2개의 포트(47)를 가지는 하형(402)으로 이루어진다. 포트(47)에는, 하측으로부터 플런저(48)가 삽입된다. 도 10의 (a)에는 상형(401)의 하면도를, (b)에는 러너(45)를 통과하는 종단면에서의 상형(401)의 종단면도를, (c)에는 하형(402)의 상면도를, (d)에는 포트(47)를 통과하는 종단면에서의 하형(402)의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형(401)의 러너(45)와 하형(402)의 포트(47)는, 상형(401)과 하형(402)을 상하로 맞닿는 상태에서 접속되도록 서로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형(401)의 러너(45)의 주위(도 10의 (a)의 러너(45)의 상측 및 하측)에는 러너 블록(451)이, 하형(402)의 포트(47)의 주위(도 10의 (c)의 포트(47)의 상측 및 하측)에는 포트 블록(471)이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러너(45) 및 포트(47)의 주위에는 수지가 유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1의 (a)에 제1 둘레벽 부재(41A)의 정면도를, 도 11의 (b)에 제3 둘레벽 부재(41C)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이들 둘레벽 부재의 「정면도」는, 4개의 둘레벽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평면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말한다. 제1 둘레벽 부재(41A)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하면(111)에 상당하는 상면(제1 표면)(411)을 가진다. 또, 제1 둘레벽 부재(41A)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좌측면(제2 표면)(412), 내면(제3 표면)(413), 테이퍼(416) 및 차양 모양부(417)를 가진다. 단, 테이퍼(416) 및 차양 모양부(417)는, 제1 실시 형태와는 상하 반전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1 둘레벽 부재(41A)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슬라이드 부재(431)와 안내 구멍(432)을 가진다. 한편, 제1 둘레벽 부재(41A)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기체 흡인구(141), 기체 흡인관(142) 및 접속구(14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과, 이하에 서술하는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둘레벽 부재(11A)와 서로 다르다.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제1 둘레벽 부재(41A)의 하면(제4 표면)(414)의 일부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이며, 러너(45)와 연통하고 있다.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제1 둘레벽 부재(41A)의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둘레벽 부재(41A)가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항상 러너(45)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러너(45)와 연통하고 있는 곳 이외에서는,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포트 블록(471)에 의해 막혀지고, 러너(45)로부터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로 유입되는 수지 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 둘레벽 부재(41A)는, 상면(41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암나사(491)(도 11의 (a))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491)와 베이스(4011)에 마련된 구멍을 통과시킨 볼트(492)(도 10의 (b))에 의해, 베이스(4011)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4011)에는 도 10의 (b)의 깊이 방향으로 1열로 늘어선 복수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볼트(492)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제1 둘레벽 부재(41A)의 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3 둘레벽 부재(41C)는, 제1 실시 형태의 제3 둘레벽 부재(11C)의 상하를 반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3 둘레벽 부재(41C)는, 제1 둘레벽 부재(41A)와는 다르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체 흡인구(441), 기체 흡인관(442) 및 접속구(443)가 (단, 상하의 방향은 반전되어 있고, 기체 흡인구(441)는 하면(414)에) 마련되어 있는 한편,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 제1 둘레벽 부재(41A)의 암나사(491) 대신에, 외면으로부터 내면(413)으로 관통하는 관통공(493)이 마련되어 있다.
제2 둘레벽 부재(41B) 및 제4 둘레벽 부재(41D)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제3 둘레벽 부재(41C)보다도 짧은 점을 제외하고, 제3 둘레벽 부재(41C)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1 둘레벽 부재(41A)와 제2 둘레벽 부재(41B)는 길이 방향이 서로 90°다르기 때문에, 이동하는 방향도 서로 90°다르다.
저면 부재(42)는, 판 모양(직방체 모양)이며, 판면을 상하 방향을 향해서, 4개의 둘레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 내에 장입된다. 저면 부재(12)는, 판면의 세로 및 가로의 크기가 다른 복수의 것을 준비한다. 각 둘레벽 부재(41A~41D)의 내면(413) 및 저면 부재(12)의 하면에 의해, 캐비티(C)가 형성된다. 또, 베이스(4011)에는 볼트(4012)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저면 부재(42)의 상면에는 상기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암나사와 볼트(4012)에 의해서 저면 부재(42)가 베이스(4011)에 고정된다.
또, 제2 둘레벽 부재(41B)의 4개의 측면 중, 제2 둘레벽 부재(41B), 제3 둘레벽 부재(41C) 및 제4 둘레벽 부재(41D)에 접하는 면에는, 각 둘레벽 부재의 관통공(493)에 대향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마련되어 있다. 각 둘레벽 부재는, 관통공(493)을 통과시킨 볼트(494)(도 10의 (b))에 의해, 저면 부재(42)에 고정되어 있다.
(2-2)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조정 방법
도 12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의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상형(401)의 하면도를 나타내고, 도 12의 (a)에서는 조정전 으로서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이 최대인 상태를 나타내며, (b)에서는 조정후로서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이 (a)보다도 작게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의 조정에서는, 먼저, 상형(401)으로부터, 저면 부재(42)를 떼어낸다. 이 상태로부터, 각 둘레벽 부재(41A~41D)를 이하와 같이 이동시킨다. 제1 둘레벽 부재(41A)는, 길이 방향(도 12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베이스(4011)에 마련된 복수개의 구멍 중 1개와 암나사(491)의 위치를 맞춘 다음에, 상기 구멍을 통과시킨 볼트(492)에 의해 베이스(4011)에 고정한다.
제2 둘레벽 부재(41B), 제3 둘레벽 부재(41B) 및 제4 둘레벽 부재(41D)는, 슬라이드 부재(431)의 안내 구멍(43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안내 구멍(432)을 향해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둘레벽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때, 제2 둘레벽 부재(41B)는, 도 12의 세로 방향으로서 제1 둘레벽 부재(41A)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 둘레벽 부재(41C)는, 세로 방향으로는 제2 둘레벽 부재(41B)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로 방향으로는 제1 둘레벽 부재(41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제4 둘레벽 부재(41D)는, 세로 방향으로는 제1 둘레벽 부재(41A)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로 방향으로는 제3 둘레벽 부재(41C)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 각 둘레벽 부재(41A~41D)의 이동에 의해, 각 둘레벽 부재(41A~41D)의 좌측면(제2 표면)(412)이 왼쪽 옆의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413)의 일부에 접촉한 상태로 상대 위치가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을 유지하면서, 장변 및 단변이 모두 상기 이동의 전보다도 짧게 된다.
둘레벽 부재(41A)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키면, 러너(45)와 둘레벽 부재(41A)의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만,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가 제1 둘레벽 부재(41A)의 길이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후에도 러너(45)와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연결되어 있다. 또, 이동의 전후 모두, 러너(45)의 주위에 존재하는 러너 블록(451)에 의해, 러너(45)에 대응하는 곳 이외의 러너 블록(451)측의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의 개구는 상기 러너 블록(451)에 의해 폐쇄된다.
이렇게 하여 각 둘레벽 부재(41A~41D)를 이동시킨 후, 캐비티(C)의 평면 형상과 동일 형상의 판면을 가지는 저면 부재(42)를, 각 둘레벽 부재(41A~41D)의 내면(413)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장입하고, 상기 저면 부재(42)를 볼트(4012)에 의해 베이스(4011)에 고정한다. 또, 제2 둘레벽 부재(41B), 제3 둘레벽 부재(41B) 및 제4 둘레벽 부재(41D)를 볼트(494)에 의해 저면 부재(42)에 고정한다. 또, 상형(401)의 조정에 맞추어 하형(402)의 조정을 행할 필요는 없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의 조정이 완료된다.
(2-3)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
도 13에,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을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50)를 나타낸다. 수지 성형 장치(50)는, 기반(531), 타이 바(532), 토글 링크(533), 가동 플래턴(51) 및 고정 플래턴(52)으로 이루어지는 형체결 기구를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에서는 하부 가동 플래턴(211)과 상부 가동 플래턴(212)의 2개의 가동 플래턴을 마련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50)에 마련하는 가동 플래턴(51)은 1개만이다. 가동 플래턴(51) 이외의 형체결 기구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과 동일하다. 가동 플래턴(51) 위에는 하형(402)이 재치되어 있다. 하형(402)에는 플런저(4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포트(47) 내를 가열하는 히터가 마련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고정 플래턴(52) 아래에는 상형(401)이 장착되어 있다.
(2-4)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의 동작)
도 14를 이용하여, 수지 성형 장치(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형(401)을 수지 성형 장치(5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상술의 조정을 행한 후, 상형(401)을 고정 플래턴(52)의 하면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하형(402)의 기판 재치대(46) 위에, 전자 부품이 장착된 실장면을 상향으로 하여 기판(S)을 재치함과 아울러, 포트(47)에 고체의 수지 재료(P)를 투입한다(도 14의 (a)). 다음으로, 상형(401)의 각 둘레벽 부재(41A~41D) 및 저면 부재의 하측을 덮도록 이형 필름(F)을 배치한다. 그 때, 저면 부재(42) 및 제1 둘레벽 부재(41A)에서는, 이형 필름(F)과의 사이에 약간 간극을 마련해 둔다(도시하지 않음). 그 다음에, 각 둘레벽 부재(41A~41D) 중 제 1 둘레벽 부재(41A)를 제외한 3개의 둘레벽 부재(41B~41D)에서는 기체 흡인구(441)로부터 기체를 흡인함과 아울러, 저면 부재(42) 및 제1 둘레벽 부재(41A)에서는 상기 간극 및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기체 흡인구(441)로부터 기체를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둘레벽 부재(41A)의 내면(413)을 제외한 캐비티(C)의 내면이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된다(도 14의 (b)).
다음으로, 히터에 의해 포트(47)를 가열하고, 포트(47) 내의 수지 재료(P)를 용융시킨다. 그 후, 토글 링크(533)에 의해 가동 플래턴(51)을 상승시키고, 상형(401)과 하형(402)을 형체결한다. 그리고, 플런저(48)에 의해, 용융한 수지 재료(P)를 포트(47)로부터 밀어낸다(도 14의 (c)). 포트(47)로부터 밀어내어진 수지 재료(P)는, 러너(45) 및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를 통과하여 캐비티(C) 내에 공급된다. 그 후, 수지 재료(P)를 냉각하여 경화시키고, 가동 플래턴(51)을 강하시키는 것에 의해 형개방한다(도 14의 (d)). 이것에 의해, 기판(S)의 표면에서 수지 재료(P)가 경화한 수지 성형품(PM)이 얻어진다. 형개방시, 각 둘레벽 부재(41A~41D)에 테이퍼(416)가 형성되어 있는 것, 그리고 (제1 둘레벽 부재(41A)의 내면(413)을 제외한) 캐비티(C)의 내면이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수지 성형품(PM)을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2-5)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4개의 둘레벽 부재(41A~41D)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캐비티(C)의 평면 형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벽 부재(41A~41D)는 1종류만 준비하면 되며, 교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성형형의 보관 장소의 확보나 관리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 및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둘레벽 부재(41A~41D)의 내면(413)의 하단에 테이퍼(416)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 둘레벽 부재(41A)의 내면(413)을 제외한) 캐비티(C)의 내면이 이형 필름(F)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성형품(PM)을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2-6)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은,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10)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에서는 4개의 둘레벽 부재(41A~41D)가 전부 이동 가능하지만, 그들 4개 중 1개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제1 둘레벽 부재(41A)의 위치를 고정한 경우에는, 러너(45)와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에는 러너(45)와 동일 지름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테이퍼(416)는 생략해도 괜찮다. 기체 흡인구(441)는, 제1 둘레벽 부재(41A)의 하면(제4 표면)(414)에 마련해도 좋다. 그 경우, 기체 흡인관(442)과 접속구(443)는 둘레벽 부재(41B~41D)와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또 기체 흡인구(441)는, 둘레벽 부재(41A~41D)의 내면(413)이나, 저면 부재(42)의 하면에 마련해도 좋다. 혹은, 도 8과 동일한 기체 흡인구 설치벽을 이용해도 괜찮다. 수지 재료 공급 유로(452)는 저면 부재(42)에 마련해도 좋다. 그 외,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용 성형형(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주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50)도,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20)와 동일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50)를 구비하는 성형 모듈을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유닛(30)과 동일한 수지 성형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10, 40 - 수지 성형용 성형형
101, 101A, 101B, 402, 402A, 402B - 하형
102, 102A, 102B, 401, 401A, 401B - 상형
10A - 제1 수지 성형용 성형형
10B - 제2 수지 성형용 성형형
1 - 둘레벽 부재
11A, 41A - 제1 둘레벽 부재
11B, 41B - 제2 둘레벽 부재
11C, 41C - 제3 둘레벽 부재
11D, 41D - 제4 둘레벽 부재
111, 411 - 둘레벽 부재의 하면(제1 표면)
112, 412 - 둘레벽 부재의 좌측면(제2 표면)
113, 413 - 둘레벽 부재의 내면(제3 표면)
114 - 둘레벽 부재의 상면(제4 표면)
116, 416 - 테이퍼 117, 417 - 차양 모양부
12, 42 - 저면 부재 131, 431 - 슬라이드 부재
132, 432 - 안내 구멍 141, 141A, 441 - 기체 흡인구
142, 442 - 기체 흡인관 143, 443 - 접속구
16 - 기체 흡인구 설치벽 20, 50 - 수지 성형 장치
211 - 하부 가동 플래턴 212 - 상부 가동 플래턴
22, 52 - 고정 플래턴 231, 531 - 기반
232, 532 - 타이 바 233, 533 - 토글 링크
241A - 제1 하부 단열 부재 241B - 제2 하부 단열 부재
242A - 제1 상부 단열 부재 242B - 제2 상부 단열 부재
251A - 제1 하부 히터 플레이트
251B - 제2 하부 히터 플레이트
252A - 제1 상부 히터 플레이트
252B - 제2 상부 히터 플레이트
26A, 26B - 탄성 부재 27 -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
271 -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의 프레임체
272 -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의 수지 수용부
273 -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의 기체 흡인구
30 - 수지 성형 유닛 31 - 재료 수입 모듈
310 - 수지 재료 공급 장치 311 - 기판 수입부
32 - 성형 모듈 33 - 불출 모듈
331 - 수지 성형품 유지부 36 - 주반송 장치
37 - 부반송 장치 4011 - 베이스
4012 - 볼트 45 - 러너
451 - 러너 블록 452 - 수지 재료 공급 유로
46 - 기판 재치대 47 - 포트
471 - 포트 블록 48 - 플런저
491 - 암나사 492, 494 - 볼트
493 - 관통공 51 - 가동 플래턴
C - 캐비티 F - 이형 필름
P - 수지 재료 PM - 수지 성형품
S - 기판

Claims (11)

  1. a) 서로 직교하는 3개의 평면인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3 표면을 각각 가지는 4개의 둘레벽 부재와,
    b)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가, 각 둘레벽 부재의 제1 표면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고, 제2 표면이 인접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장입(裝入)되어 상기 공간의 일방의 저부를 막는 저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측의 제4 표면 및 상기 제3 표면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구(吸引口)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면 부재의,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측의 표면에, 기체를 흡인하는 기체 흡인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상기 제3 표면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측의 제4 표면측의 일부에, 상기 제4 표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상기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외측을 향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 중 적어도 1개의 부재에 마련된,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 유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과,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는 형체결 기구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 부재와,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7. 청구항 5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과,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는 형체결 기구와,
    상기 수지 공급 유로에 접속된, 수지 재료를 유지하는 수지 재료 유지부와,
    상기 수지 재료 유지부 내의 수지 재료를, 상기 수지 공급 유로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에 주입(注入)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각에서,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접촉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둘레벽 부재 이동 공정과,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상기 저면 부재를 장입하는 저면 부재 장입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9. 청구항 5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각에서,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제2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접촉하는 둘레벽 부재의 제3 표면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키는 둘레벽 부재 이동 공정과,
    4개의 둘레벽 부재의 각 제3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모양의 공간의 내부에 상기 저면 부재를 장입하는 저면 부재 장입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10. 청구항 8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에 의해 상기 4개의 둘레벽 부재 및 상기 저면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진 캐비티의 형상이 조정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의 상기 캐비티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수지 재료가 연화(軟化) 또는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수지 재료를 가열한 다음에, 상기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고, 그 후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11. 청구항 9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에 의해 상기 캐비티의 형상이 조정된 청구항 5에 기재된 수지 성형용 성형형을 형체결하고, 수지 재료가 연화 또는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수지 재료를 가열한 다음에 상기 수지 공급 유로로부터 상기 캐비티로 상기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그 후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KR1020180051326A 2017-05-10 2018-05-03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KR102157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4231A JP6886341B2 (ja) 2017-05-10 2017-05-10 樹脂成形用成形型、樹脂成形装置、樹脂成形用成形型調整方法、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JPJP-P-2017-094231 2017-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969A true KR20180123969A (ko) 2018-11-20
KR102157601B1 KR102157601B1 (ko) 2020-09-18

Family

ID=6433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326A KR102157601B1 (ko) 2017-05-10 2018-05-03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86341B2 (ko)
KR (1) KR102157601B1 (ko)
CN (1) CN108858949B (ko)
TW (1) TWI680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00753B (zh) * 2023-02-13 2023-08-22 广州市旭胜模具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汽车外壳注塑模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053A (ja) 1997-10-08 1999-04-20 Komatsu Ltd プレス成形用金型
KR100419356B1 (ko) * 2000-02-10 2004-02-19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전자 부품, 전자 부품의 수지 밀봉 방법 및 장치
KR20130133658A (ko) * 2012-05-29 2013-12-09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수지봉지 성형장치
KR20140111607A (ko) * 2013-03-11 2014-09-19 티아이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저장조를 블로 몰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저장조
JP5776093B2 (ja) * 2011-02-14 2015-09-09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
KR101610981B1 (ko) * 2010-09-16 2016-04-0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압축성형몰드 및 압축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205Y2 (ko) * 1976-03-18 1977-08-31
JPS59120109U (ja) * 1983-01-31 1984-08-13 チッソ株式会社 金型機構
JPS60195501A (ja) * 1984-03-19 1985-10-04 Canon Inc 光学素子成形用型
JPS6127229A (ja) * 1984-07-18 1986-02-06 Nissei Plastics Ind Co 電動式射出成形機の射出工程制御方法
JPS621917U (ko) * 1985-06-19 1987-01-08
JP3093899B2 (ja) * 1992-12-14 2000-10-03 トーワ株式会社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用金型
JP2524955B2 (ja) * 1993-04-22 1996-08-14 トーワ株式会社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方法及び装置
JPH10242187A (ja) * 1997-02-28 1998-09-11 Towa Kk 電子部品の樹脂封止成形用金型
JP2002219713A (ja) * 2001-01-26 2002-08-06 Seiko Sangyo Kk 免震ゴム支承体の加硫用金型
JP4206241B2 (ja) * 2002-09-04 2009-01-07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金型および樹脂モールド装置
DE20319244U1 (de) * 2003-05-13 2004-04-08 Lührs, Klaus-P.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Abformmassen
JP4583020B2 (ja) * 2003-11-17 2010-11-17 Towa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の樹脂封止成形方法および樹脂封止成形用金型
JP2006142628A (ja) * 2004-11-19 2006-06-08 Tokai Denka Kogyo Kk ポリベンゾイミダゾール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CN201098723Y (zh) * 2007-09-27 2008-08-13 贵州云马飞机制造厂 磁吸式可调铸造模具
JP2009083431A (ja) * 2007-10-02 2009-04-23 Olympus Corp 射出成形型、及び、成形品の離型方法
JP5562083B2 (ja) * 2010-03-24 2014-07-30 アズビル株式会社 成形用金型
JP2012028651A (ja) * 2010-07-26 2012-02-09 Toshiba Corp 樹脂供給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431757B2 (ja) * 2014-12-04 2018-11-28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成形金型
JP6491508B2 (ja) * 2015-03-23 2019-03-27 Towa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6430342B2 (ja) * 2015-08-11 2018-11-28 Towa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方法並びに成形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053A (ja) 1997-10-08 1999-04-20 Komatsu Ltd プレス成形用金型
KR100419356B1 (ko) * 2000-02-10 2004-02-19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전자 부품, 전자 부품의 수지 밀봉 방법 및 장치
KR101610981B1 (ko) * 2010-09-16 2016-04-0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압축성형몰드 및 압축성형방법
JP5776093B2 (ja) * 2011-02-14 2015-09-09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封止装置
KR20130133658A (ko) * 2012-05-29 2013-12-09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수지봉지 성형장치
KR20140111607A (ko) * 2013-03-11 2014-09-19 티아이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센터 게엠베하 저장조를 블로 몰딩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저장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7884A (ja) 2018-11-29
CN108858949A (zh) 2018-11-23
CN108858949B (zh) 2021-05-28
TW201900379A (zh) 2019-01-01
KR102157601B1 (ko) 2020-09-18
TWI680047B (zh) 2019-12-21
JP6886341B2 (ja)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5115A1 (e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molding composite molded parts by using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706109B1 (ko) 비닐 봉투 제조장치
KR101829611B1 (ko) 용기 성형 장치
KR20180123969A (ko) 수지 성형용 성형형,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용 성형형 조정 방법,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KR20180035900A (ko) 복합 재료의 제조 방법 및 복합 재료의 제조 장치
WO2014098194A1 (ja) 搬送装置、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3039693A (ja) 樹脂供給装置、樹脂モールド装置および樹脂供給方法
KR102325513B1 (ko) 워크 반입 장치, 워크 반출 장치, 몰딩 금형 및 이것들을 구비한 수지 몰딩 장치
JP7177996B2 (ja) 基材成形システム、搬送装置、保持部材および基材成形方法
JP5300108B1 (ja) 熱成形装置、及び、その型交換方法
KR20160036953A (ko) 온도유지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JP5785828B2 (ja) 熱成形装置
JP6950029B2 (ja) ブリスタ包装機
JP5225609B2 (ja) 圧縮成形装置
JPH06104333B2 (ja) フィルム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71768B1 (ko) 반도체 소자 몰딩 장치
KR20190001536U (ko) 짧은 주기 시간으로 테이프들을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층하기 위한 테이프 적층 장치 및 테이프 적층 방법
JP5307521B2 (ja) 樹脂シートの熱成形装置
TWI802220B (zh) 成型模、樹脂成型裝置及樹脂成型品之製造方法
WO2022269968A1 (ja) 圧縮成形装置及び圧縮成形方法
JP5663786B2 (ja) モールド金型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WO2023053629A1 (ja) 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封止方法
JP6829885B2 (ja) 深絞り包装機用シール装置
KR101585322B1 (ko) 반도체 소자 몰딩 장치
KR101449895B1 (ko) 도광판 자동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