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379A -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 Google Patents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379A
KR20180122379A KR1020187028400A KR20187028400A KR20180122379A KR 20180122379 A KR20180122379 A KR 20180122379A KR 1020187028400 A KR1020187028400 A KR 1020187028400A KR 20187028400 A KR20187028400 A KR 20187028400A KR 20180122379 A KR20180122379 A KR 2018012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oose
animal
human
acid
intes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도치오
겐타 고니시
사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붓산 푸드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23V2250/284Oligosaccharides, non digest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과제)장내의 낙산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장내 낙산증가제,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낙산생산균 증식제,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및 이것을 사용하는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및 이들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을 제공한다.
(해결수단)본 발명은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작용이나 안전성을 거의 걱정하지 않고, 간편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의 낙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의 낙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예방 내지 치료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본 발명은, 장내(腸內) 낙산증가제(酪酸增加劑),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낙산생산균 증식제(酪酸産生菌 增殖劑; proliferation agent for butyric acid-producing bacteria),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및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및 이들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1-kestose)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낙산(뷰티르산(butyric acid))은 단쇄지방산(短鎖脂肪酸)의 1종으로서,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내에 있어서는 장내(腸內)에서 생식(生息)하는 낙산생산균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있어서, 낙산은 항염증작용이나 대장암예방작용 등의 여러 가지 생리작용을 구비하거나, 낙산에 의하여 각종 질환을 예방 혹은 개선할 수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낙산을 질환의 예방·치료나 건강증진에 이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낙산은 강렬한 악취를 내뿜는 물질이기 때문에 낙산 자체를 의약품이나 식품에 첨가하는 등, 하여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 낙산의 양을 증가시키는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어,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D-만니톨 또는 D-소르비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낙산농도 상승작용을 구비하는 식품조성물이, 특허문헌2에는, 바실러스·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체(菌體)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낙산생산균 증가제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4909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47469호 공보
그러나 장내의 낙산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이나 방법은 아직 충분하게 제공되고 있지 않아, 그러한 물질이나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내의 낙산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장내 낙산증가제,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낙산생산균 증식제,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및 이것을 사용하는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및 이들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1-케스토오스가, 장내의 낙산의 양이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 및 장내의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찾아내었다. 그래서 이들 지견에 의거하여 하기의 각 발명을 완성하였다.
(1)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증가제는,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2)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증가제는, 1일당 0.04g/kg체중 이상의 1-케스토오스가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하여 섭취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증가제는,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4)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은,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5)본 발명에 관한 낙산생산균 증식제는,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6)본 발명에 관한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은,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7)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은, 인간 또는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또는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의 양 또는 농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8)본 발명에 관한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의 제1태양은, 인간 또는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또는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9)본 발명에 관한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의 제2태양은, 낙산생산균을 포함하는 배지에 1-케스토오스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10)본 발명에 관한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은,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혹은 비만을 이환(罹患)하고 있거나 또는 이환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 혹은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혹은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의 양 혹은 농도 또는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11)본 발명에 관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은,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이다.
1-케스토오스는 올리고당의 1종으로서, 양파나 마늘, 보리(大麥), 라이보리(rye) 등의 야채나 곡물에도 포함되어 있고, 고래(古來)부터 식경험이 있는 물질이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변이원성시험, 급성독성시험, 아만성독성시험 및 만성독성시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독성이 보이지 않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1-케스토오스의 안전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식품과 개발, Vol.49, No.12, 제9쪽, 2014년). 또한 1-케스토오스는, 수용성이 높고, 설탕을 닮은 양호한 감미질을 구비하기 때문에, 그대로 혹은 감미료 등으로서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여러 가지 식품이나 의약품 등에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작용이나 안전성을 거의 걱정하지 않고, 간편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의 낙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의 낙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다.
도1은, 0∼1.34g/kg체중의 섭취량으로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킨 래트(rat)(A∼E군)의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단쇄지방산(아세트산, 이소길초산 및 길초산)의 농도 및 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2는, 0∼1.34g/kg체중의 섭취량으로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킨 래트(A∼E군)의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단쇄지방산(낙산, 프로피온산 및 이소낙산)의 농도 및 양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3은, 0∼1.34g/kg체중의 섭취량으로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킨 래트(A∼E군)의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단쇄지방산(아세트산, 이소길초산 및 길초산)의 농도 및 양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4는, (l)은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키지 않은 래트(A군) 및 섭취시킨 래트(E군)에 대하여,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각종 미생물의 16S rDNA 카피수(copy number)의 평균값, 표준편차 및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는 표이다. (ll)는 당해 16S rDNA 카피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장내 낙산증가제,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낙산생산균 증식제,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및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및 이들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낙산(butyric acid)」은, 부탄산(butanoic acid) 또는 n-부탄산(n-butyric acid)이라고도 불리는 직쇄 카르복시산(linear chain carboxylic acid)으로서, 그 분자식은 C4H8O2, 시성식은 CH3(CH2)2COOH이다. 낙산은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는 늘 존재하는 낙산생산균에 의하여 생산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낙산생산균」이란, 낙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이러한 미생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Eubacterium Halii나 Butyrivibrio crossotus, Coprococcus eutactus, Coprococcus catus, Clostridium symbiosum, Roseburia cecicola 등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4a(Clostridium cluster-XIVa)에 포함되는 세균, Clostridium innocuum이나 Eubacterium tortuosum, Eubacterium cylindroides 등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6에 포함되는 세균, 클로스트리디움·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이나 Eubacterium moniliforme, Clostridium acetobutylicum 등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에 포함되는 세균, Clostridium sporosphaeroides나 Eubacterium sp.A2-207 등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4에 포함되는 세균, Eubacterium barkeri나 Eubacterium limosum 등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5에 포함되는 세균 등을 들 수 있다.
「1-케스토오스」는, 1분자의 글루코오스와 2분자의 프룩토오스로 이루어지는 3당류의 올리고당이다. 1-케스토오스는, 수크로오스를 기질로 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8-2019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효소에 의한 효소반응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β-프룩토프라노시다아제를 수크로오스 용액에 첨가하고, 37℃∼50℃로 20시간 정도 정치(靜置)함으로써 효소반응을 하여, 1-케스토오스 함유 반응액을 얻는다. 이 1-케스토오스 함유 반응액을,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3287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크로마토 분리법을 이용함으로써, 1-케스토오스와 다른 당(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자당(sucrose), 4당 이상의 올리고당(oligosaccharides))으로 분리하여 정제하여, 고순도 1-케스토오스 용액을 얻는다. 계속하여 이 고순도 1-케스토오스 용액을 농축한 후에,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6-700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결정화법(crystallization process)으로 결정화(結晶化)함으로써 1-케스토오스를 결정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시판되는 프락토올리고당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또는 프락토올리고당으로부터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1-케스토오스를 분리정제하여 사용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1-케스토오스로서, 1-케스토오스를 함유하는 올리고당 등의 1-케스토오스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1-케스토오스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1-케스토오스의 순도는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케스토오스의 「순도」란, 당의 총량을 100%로 하였을 경우의 1-케스토오스의 질량%를 말한다.
1-케스토오스는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킴으로써 사용한다. 1-케스토오스의 섭취량(투여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1일당 0.04g/kg체중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섭취량은 1일 1회에 한하지 않고, 복수 회로 분할하여 섭취하더라도 좋다. 후술하는 실시예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섭취량이면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1-케스토오스는,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 낙산의 양이나 농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인간이나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키는 방법은 그 장내에 도달시키는 방법이면 좋다. 그러한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1-케스토오스를 그대로 혹은 음식물이나 의약품의 형태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경구섭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1-케스토오스를 항문으로부터 직접 혹은 삽입한 튜브를 경유하여 투여하는 방법, 1-케스토오스를 경장영양제(經腸營養劑(enteral nutrition agent))에 첨가하여 이것을 위나 소장 등의 소화관에 삽입한 튜브를 경유하여 경장영양법에 의하여 투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1-케스토오스는, in vitro에 있어서 낙산생산균을 증식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낙산생산균을 포함하는 배지에 1-케스토오스를 첨가하고 당해 낙산생산균에 적절한 소정의 배양조건에 따라 배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낙산생산균으로서 클로스트리디움·부티리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소원으로서 1-케스토오스를 2중량%, 질소원으로서 아미노산액을 2중량% 및 탄산칼슘을 0.75중량% 포함하는 배지에 클로스트리디움·부티리쿰을 접종하고, 35∼37℃로 16∼24시간 혐기배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낙산은,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SS)에 의하여 유도한 궤양성 대장염 모델 래트에 있어서, 장내에 대한 주입에 의하여 유의(有意)한 염증수복작용(炎症修復作用)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동(同)모델 래트에 있어서, 낙산생산균인 클로스트리디움·부티리쿰 M588 아포제제(芽胞製劑)의 경구투여에 의한 현저한 염증경감효과도 확인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궤양성 대장염에 대하여도, 낙산주입요법이 행해지고 있다(장내세균학 잡지(Journal of intestinal microbiology), 제19권 제1호, 제1-8쪽, 2005년; 제2쪽 우란(右欄), Fig4-1 및 4-2 등).
따라서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켜서,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 혹은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장내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장내 염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장내 염증」이란, 장관(腸管)에 있어서 염증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질환에 이르고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장내 염증으로부터 이르는 질환으로서는, 염증성 장질환을 들 수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Crohn disease)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협의로 해석하는 입장과, 장관의 모든 염증성 질환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광의로 해석하는 입장이 있다(최신내과학대계(Integrated handbook of internal medicine)<프로그레스8>, 소화기질환, pp320, 1997년, 나카야마서점(Nakayama Shoten Co., Ltd.)). 본 발명에 있어서 염증성 장질환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후자의, 장관에 있어서의 모든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劑)는, 장내 염증중에서 특히 알레르기를 제외한 것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낙산은, 래트에 있어서 1일당 0.02g/kg체중의 경구투여로, 고지방식의 섭취에 의한 간장(肝臟)의 지방변성 및 염증을 억제하고, 혈액중의 AST(아스파라트산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alanine aminotransferase)), 콜레스테롤(cholesterol), LDL(저밀도 리포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 및 공복시 혈당치, 및 인슐린 저항성 지수(HOMA-lR)를 정상화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G. Mattace Raso et al., PLoS ONE, vol.8, no.7, e68626, 2013년; Abstract, Result 등). 따라서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켜서,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 혹은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지방간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낙산은, 소아당뇨병 모델 래트에 있어서, 1일당 500mg/kg체중(낙산나트륨의 투여량)의 복강내 투여로, β세포의 세포사(細胞死)를 감소시켜서 β세포의 기능 및 증식을 개선하고, 글루코오스 호메오스타시스(glucose homeostasis)를 개선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S.Khan et al., Chem.Biol.lnteract., vol.213, 제1-12쪽, 2014년; Abstratct 등). 따라서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켜서,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 혹은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낙산은, 인간 유래 대장암 세포인 LlM1215에 있어서, 1mmol/L의 종농도(終濃度)로 배지에 첨가하면, 증식시간의 연장이나 증식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이 나타나 있다(Whitehead RH et al., Gut 27, 제1457-1463쪽, 1986년; SUMMARY 등). 또한 낙산은 대장의 점막상피세포의 이상 증식(abnormal proliferation)을 억제하거나, 변이세포(mutated cells)의 세포사나 분화를 촉진하거나, 이상한 단백질(abnormal proteins)의 전사를 억제하거나, 대장암초기의 병변인 이상다중크립트(aberrant crypt foci)(ACF)의 발생을 억제하는 등에 의하여, 대장암의 발병을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장내세균학 잡지(Journal of intestinal microbiology), 제16권 제1호, 제35-42쪽, 2002년; 제40쪽 좌란(左欄) 및 Table 5 등). 따라서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켜서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 혹은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장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대장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낙산은, 1일당 5g/kg체중(낙산나트륨의 투여량)의 경구투여로, 고지방식에 의하여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 있어서는 체중 및 체지방률을 감소시키고, 비만이 아닌 마우스에 있어서는 고지방식의 섭식에 의한 체중증가 및 체지방률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Zhanguo Gao et. al., DlABETES, VOL.58, 2009년 7월, 제1509∼1517쪽; FlG.1의 E 및 F, 및 FlG.7의 A 및 B 등). 또한 마찬가지로 5질량%의 낙산나트륨을 혼합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에 있어서, 체중의 증가 및 체지방률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도 나타나 있다(Hua V. Lin et. al., PLoS ONE, Vol.7, lssue4, e35240, 2012년 4월; Fig.1의 A 등). 따라서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섭취시켜서 장내의 낙산의 농도나 양 혹은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1-케스토오스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 식품첨가물, 서플리먼트 등의 건강식품 등을 들 수 있다.
1-케스토오스를 함유하는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 서플리먼트의 제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투여방법에 적합한 제형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가루약(散劑), 정제(錠劑), 당의제(糖衣劑), 캡슐제, 과립제(顆粒劑), 드라이 시럽제, 물약(液劑), 시럽제, 드롭제, 드링크제 등의 고형(固形) 또는 액상(液狀)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의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 서플리먼트는, 당업자에게 공지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루약이면, 1-케스토오스 800g 및 유당(乳糖) 200g을 잘 혼합한 후에, 90% 에탄올 300mL를 첨가하여 습윤시킨다. 계속하여 습윤분말을 조립(造粒(granulated))한 후에, 60℃로 16시간 통풍건조하고, 그 후에 정립(整粒(sized))하여, 적절한 미세함의 가루약 1000g(1-케스토오스 함유량 800mg/1g)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정제이면, 1-케스토오스 300g, 분말환원 물엿(powdery reduced starch syrup) 380g, 쌀 전분 180g 및 덱스트린 100g을 잘 혼합한 후에, 90% 에탄올 300mL를 첨가하여 습윤시킨다. 계속하여 습윤분말을 압출(壓出(extruded))해 조립한 후에, 60℃로 16시간 통풍건조하여 과립을 얻는다. 그 후에 이 과립을 850μm의 체를 사용하여 정립하고, 계속하여 과립 470g에 자당지방산에스테르 50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에, 로터리 조립기(打錠機)(rotary tableting machine)(6B-2, 키쿠스이제작소(Kikusui Seisakusho Ltd.) 제품)를 사용하여 조립(打錠)하여, 지름 8mm, 중량 200mg의 정제 5000정(1-케스토오스 함유량 60mg/1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및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의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음료, 유제품, 식용으로 제공하는 과립, 페이스트, 조미료, 레토르트식품, 베이비푸드(baby food), 발효식품, 보존식, 수산가공품, 식육가공품, 곡식가공품 등의 가공식품, 식품첨가물, 건강식품, 동물사료 등을 들 수 있다.
1-케스토오스는, 각종 음식물이나 식품첨가물, 동물사료의 통상의 제조과정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1-케스토오스의 감미도는 30으로, 그 미질(味質(quality of taste))·물성·가공성은 자당에 가깝기 때문에, 각종 음식물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설탕의 일부 또는 전부를 1-케스토오스로 치환하는 등, 설탕와 마찬가지로 취급하여 각종 음식물이나 식품첨가물, 동물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각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의 실시예에 의하여 나타나는 특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순도로 1-케스토오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1-케스토오스」라고 한다.
[실시예]
<실시예1> 1-케스토오스 섭취시의 장내 단쇄지방산량의 검토
(1)1-케스토오스를 경구섭취시킨 래트의 사육
1-케스토오스를 0, 0.5, 1.0, 2.5 및 5질량%가 되도록 배합한 사료를 일본 크레아사(CLEA Japan, Inc.)에 위탁하여 조제하였다. 사료의 조성을 하기에 나타낸다. 40마리의 SD래트(일본 SLC사(Japan SLC, Inc.))를 8마리씩 5개의 군으로 나누고, A∼E군이라고 하였다. A군에는 1-케스토오스를 배합하지 않은 사료를, B∼E군에는 1-케스토오스를 배합한 사료를 각각 자유섭취시키면서, 30일간 사육하였다. 사육 조건은 온도 23±1℃, 명기(明期; light period) 12시간(8:00∼20:00) 및 암기(暗期; dark period) 12시간(20:00∼8:00)으로 하였다.
《사료의 조성(단위는 질량%)》콘스타치(cornstarch) 39.7486, 밀크카제인(milk casein) 20, 알파화 콘스타치(pregelatinized cornstarch) 13.2, 그래뉴당(granulated sugar) 및/또는 1-케스토오스(순도 99질량%; 붓산푸드사이언스사(B Food Science Co., Ltd.)) 10, 정제 대두유 7, 셀룰로오스 파우더 5, 미네랄 믹스 3.5, 비타민 믹스 1, L-시스틴(L-cystine) 0.3, 중주석산콜린(choline bitartrate) 0.25, 제3부틸히드로퀴논 0.0014.
(2)장내 단쇄지방산량의 검토
본 실시예1(1)의 각 군의 래트를 해부하여 맹장을 적출하고, 맹장의 내용물을 채취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단쇄지방산(낙산, 프로피온산, 이소낙산, 아세트산, 이소길초산 및 길초산)의 농도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계(GC/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단쇄지방산농도의 측정결과를 기초로, 맹장내용물에 있어서의 단쇄지방산의 양을 산출하였다. 계속하여 각 군별로 단쇄지방산농도 및 단쇄지방산량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1∼도3에 나타낸다.
또 래트에 있어서의 약물의 섭취량은, 하기의 식1에 의하여 인간 성인에 있어서의 섭취량으로 환산할 수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526521호 공보의 단락 [0065], Shannon Reagan-Shaw et. al., The FASEB Journal, Vol.22, 2007년 3월, 제659∼661쪽). 그래서 당해 식1에 의하여 래트에 있어서의 1일의 1-케스토오스 섭취량을, 인간 성인에 있어서의 것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도 도1에 같이 나타낸다.
《식1》인간 성인에 있어서의 1일의 1-케스토오스 섭취량(g/kg체중) = 래트에 있어서의 1일의 1-케스토오스의 섭취량(g/kg체중) × 6/37
도1∼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산의 농도는, A군에서는 205.86μg/g이었던 것에 대하여, B군에서는 288.09μg/g(A군과 비교하여 약 1.4배의 증가), C군에서는 314.59μg/g(A군과 비교하여 약 1.5배의 증가), D군에서는 754.17μg/g(A군과 비교하여 약 3.7배의 증가), E군에서는 2005.26μg/g(A군과 비교하여 약 10배의 증가)이었다. 또한 낙산의 양은, A군에서는 781.14μg이었던 것에 대하여, B군에서는 1069.37μg(A군과 비교하여 약 1.4배의 증가), C군에서는 1107.92μg(A군과 비교하여 약 1.4배의 증가), D군에서는 2891.65μg(A군과 비교하여 약 3.6배의 증가), E군에서는 11943.88μg(A군과 비교하여 약 14.5배의 증가)이었다. 즉 낙산의 농도 및 양은, B∼E군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A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컸다.
또 아세트산의 농도 및 양도, B, C, D 및 E군에서는 A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컸다. 한편, 프로피온산 및 이소길초산의 농도 및 양은, B, C, D 및 E군에서는 A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소낙산 및 길초산의 농도 및 양은, B, C, D 및 E군에서는 A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하게 작았다.
이 결과로부터, 1-케스토오스를 배합한 사료를 섭취시킨 래트에서는 맹장내의 낙산의 농도 및 양이 증대한 것이 명백해졌다. 즉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대하여 섭취시키면, 장내의 낙산이 증가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또한 1일의 케스토오스 섭취량이 0.27g/kg체중인 래트(B군)에 있어서 낙산의 농도 및 양의 현저한 증가가 확인된 것으로부터, 장내의 낙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인간 성인에 있어서의 1일당의 1-케스토오스의 섭취량은 0.04g/kg체중 이상이 바람직한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2> 1-케스토오스 섭취시의 장내의 미생물량의 검토
실시예1(1)의 A군 및 E군의 래트의 맹장내용물에 대하여, 하기의 4종의 미생물의 양을 리얼타임 PCR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1.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屬)
2.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4a(Closrtidium cluster XlVa) 및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4b(Closrtidium cluster XlVb)(낙산생산균군),
3.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屬),
4.아커만시아·뮤시니필라(Akkermansia muciniphila).
구체적으로는, 우선, A군 및 E군의 맹장내용물을 비즈식 파쇄장치(beads式 破碎裝置) 「FastPrep FP100A」(MP Biomedical사)를 이용하여 파쇄처리하였다. 계속하여 핵산추출장치 「Magtration(등록상표) System 12GC」 및 그 전용시약 「MagDEA(등록상표) DNA 200」(프래시전·시스템·사이언스사(Precision System Science Co., Ltd.))을 사용하여 사용서에 따라 게놈 DNA(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이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여, 상기 4종의 미생물의 16S rDNA에 특이적인 프라이머(primer), 리얼타임 PCR 시약 「SYBR(등록상표) Premix Ex Taq ll(Tli RNaseH Plus)」(Takara사) 및 리얼타임 PCR장치 「Rotor-Gene Q」(QlAGEN사(QIAGEN N.V.))를 사용하여 리얼타임 PCR을 하여, 맹장내용물 1g당의 각 미생물의 16S rDNA 카피수를 구하였다. 당해 카피수는, 각 군별로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4에 나타낸다.
또 각 미생물의 16S rDNA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의 배열을 이하에 나타낸다.
1.비피도박테리움속
포워드 프라이머 ; GATTCTGGCTCAGGATGAACGC(배열번호1)
리버스 프라이머 ; CTGATAGGACGCGACCCCAT(배열번호2)
2.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4a 및 14b(낙산생산균군)
포워드 프라이머 ; GAWGAAGTATYTCGGTATGT(배열번호3)
리버스 프라이머 ; CTACGCWCCCTTTACAC(배열번호4)
3.락토바실러스속
포워드 프라이머 ; CACAATGGACGMAAGTCTGATG(배열번호5)
리버스 프라이머 ; CGCCACTGGTGTTCTTCCAT(배열번호6)
4.아커만시아·뮤시니필라
포워드 프라이머 ; CAGCACGTGAAGGTGGGGAC(배열번호7)
리버스 프라이머 ; CCTTGCGGTTGGCTTCAGAT(배열번호8)
또한 검량선(檢量線)은, 각 미생물에 대하여 하기의 배열 중의 일부를 편입시킨 플라스미드 DNA를 주형으로 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리얼타임 PCR을 한 결과에 의거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1.비피도박테리움속 ; B.longum subsp.longum JCM 1217T의 16S rDNA 배열(배열번호9)
2.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14a 및 14b(낙산생산균군) : Clostridium clostridioforme JCM 1291T의 16S rDNA 배열(배열번호10)
3.락토바실러스속 ; L.casei JCM 1134T의 16S rDNA 배열(배열번호11)
4.아커만시아·뮤시니필라 ; A.muciniphila ATCC BAA-835T의 16S rDNA 배열(배열번호12)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맹장내용물 1g당의 클로스트리디움 클러스터XlV(낙산생산균군)의 16S rDNA 카피수는, A군에서는 5071250000(약 0.5E+10)이었던 것에 대하여, E군에서는 25287500000(약 2.5E+10)이었다. 즉 E군의 낙산생산균군의 16S rDNA 카피수는 A군과 비교하여 약 5배의 양으로, 유의하게 컸다.
또 종래부터 케스토오스의 섭취에 의하여 장내에 있어서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비피도박테리움속(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4669235호 공보)의 16S rDNA 카피수도, E군에서는 A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컸다. 한편, 락토바실러스속 및 아커만시아·뮤시니필라의 16S rDNA 카피수는, E군과 A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로부터, 1-케스토오스를 배합한 사료를 섭취시킨 래트에서는 맹장내의 낙산생산균의 수가 증대한 것이 명백해졌다. 즉 1-케스토오스를 인간이나 동물에 대하여 섭취시키면, 장내의 낙산생산균이 증식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SEQUENCE LISTING <110> B Food Science Co., Ltd. <120> Intestinal butyric acid increaser and butyric acid-producing bacteria proliferator <130> PCT0732 <150> JP2016-049561 <151> 2016-03-14 <160> 1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gattctggct caggatgaac gc 22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ctgataggac gcgacccca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gawgaagtat ytcggtatgt 20 <210> 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 ctacgcwccc tttacac 17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cacaatggac gmaagtctga tg 22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6 cgccactggt gttcttcca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cagcacgtga aggtgggga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ccttgcggtt ggcttcagat 20 <210> 9 <211> 1507 <212> DNA <213>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longum JCM 1217T <400> 9 gggtttcgat tctggctcag gatgaacgct ggcggcgtgc ttaacacatg caagtcgaac 60 gggatccatc aagcttgctt ggtggtgaga gtggcgaacg ggtgagtaat gcgtgaccga 120 cctgccccat acaccggaat agctcctgga aacgggtggt aatgccggat gttccagttg 180 atcgcatggt cttctgggaa agctttcgcg gtatgggatg gggtcgcgtc ctatcagctt 240 gacggcgggg taacggccca ccgtggcttc gacgggtagc cggcctgaga gggcgaccgg 300 ccacattggg actgagatac ggcccagact cctacgggag gcagcagtgg ggaatattgc 360 acaatgggcg caagcctgat gcagcgacgc cgcgtgaggg atggaggcct tcgggttgta 420 aacctctttt atcggggagc aagcgagagt gagtttaccc gttgaataag caccggctaa 480 ctacgtgcca gcagccgcgg taatacgtag ggtgcaagcg ttatccggaa ttattgggcg 540 taaagggctc gtaggcggtt cgtcgcgtcc ggtgtgaaag tccatcgctt aacggtggat 600 ccgcgccggg tacgggcggg cttgagtgcg gtaggggaga ctggaattcc cggtgtaacg 660 gtggaatgtg tagatatcgg gaagaacacc aatggcgaag gcaggtctct gggccgttac 720 tgacgctgag gagcgaaagc gtggggagcg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cgc 780 cgtaaacggt ggatgctgga tgtggggccc gttccacggg ttccgtgtcg gagctaacgc 840 gttaagcatc ccgcctgggg agtacggccg caaggctaaa actcaaagaa attgacgggg 900 gcccgcacaa gcggcggagc atgcggatta attcgatgca acgcgaagaa ccttacctgg 960 gcttgacatg ttcccgacgg tcgtagagat acggcttccc ttcggggcgg gttcacaggt 1020 ggtgcatggt c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ttaagtcccg caacgagcgc 1080 aaccctcgcc ccgtgttgcc agcggattat gccgggaact cacgggggac cgccggggtt 1140 aactcggagg aaggtgggga tgacgtcaga tcatcatgcc ccttacgtcc agggcttcac 1200 gcatgctaca atggccggta caacgggatg cgacgcggcg acgcggagcg gatccctgaa 1260 aaccggtctc agttcggatc gcagtctgca actcgactgc gtgaaggcgg agtcgctagt 1320 aatcgcgaat cagcaacgtc gcggtgaatg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c 1380 aagtcatgaa agtgggcagc acccgaagcc ggtggcctaa ccccttgtgg gatggagccg 1440 tctaaggtga ggctcgtgat tgggactaag tcgtaacaag gtagccgtac cggaaggtgc 1500 ggctgga 1507 <210> 10 <211> 1493 <212> DNA <213> Clostridium clostridioforme JCM 1291T <220> <221> misc_feature <222> (1123)..(1124) <223> n is a, c, g, or t <400> 10 agagtttgat cctggctcag gatgaacgct ggcggcgtgc ctaacacatg caagtcgaac 60 gaagcaatta agatgaagtt ttcggatgga atcttgattg actgagtggc ggacgggtga 120 gtaacgcgtg gataacctgc ctcacactgg gggataacag ttagaaatga ctgctaatac 180 cgcataagcg cacagtgccg catggcagtg tgtgaaaaac tccggtggtg tgagatggat 240 ccgcgtctga ttagccagtt ggcggggtaa cggcccacca aagcgacgat cagtagccga 300 cctgagaggg tgaccggcca cattgggact gagacacggc ccaaactcct acgggaggca 360 gcagtgggga atattgcaca atgggcgaaa gcctgatgca gcgacgccgc gtgagtgaag 420 aagtatttcg gtatgtaaag ctctatcagc agggaagaaa atgacggtac ctgactaaga 480 agccccggct aactacgtgc cagcagccgc ggtaatacgt agggggcaag cgttatccgg 540 atttactggg tgtaaaggga gcgtagacgg cgaagcaagt ctgaagtgaa aacccagggc 600 tcaaccctgg gactgctttg gaaactgttt tgctagagtg tcggagaggt aagtggaatt 660 cctagtgtag cggtgaaatg cgtagatatt aggaggaaca ccagtggcga aggcggctta 720 ctggacgata actgacgttg aggctcgaaa gcgtggggag caaacaggat tagataccct 780 ggtagtccac gccgtaaacg atgaatgcta ggtgttgggg ggcaaagccc ttcggtgccg 840 ccgcaaacgc agtaagcatt ccacctgggg agtacgttcg caagaatgaa actcaaagga 900 attgacgggg a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attcgaagca acgcgaagaa 960 ccttaccaag tcttgacatc cccctgacgg gccggtaacg cggcctttcc ttcgggacag 1020 gggagacagg tggtgcatgg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1080 gcaacgagcg caacccttat ccttagtagc cagcasgtar agnngggcac tctagggaga 1140 ctgccaggga taacctggag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t 1200 ttgggctaca cacgtgctac aatggcgtaa acaaagggaa gcgagacagt gatgtggagc 1260 aaatcccaaa aataacgtcc cagttcggac tgtagtctgc aacccgacta cacgaagctg 1320 gaatcgctag taatcgcgaa tcagaatgtc gcggtgaata cgttcccggg tcttgtacac 1380 accgcccgtc acaccatggg agtcagcaac gcccgaagtc agtgacccaa ccgaaaggag 1440 ggagctgccg aaggcggggc aggtaactgg ggtgaagtcg taacaaggta acc 1493 <210> 11 <211> 1522 <212> DNA <213> Lactobacillus casei JCM 1134T <400> 11 gat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ac gagttttggt cgatgaacgg 60 tgcttgcact gwgattcrac ttaaaacgag t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120 ctgcccttaa gtgggggata acatttggaa acagatgcta ataccgcata aatccaagaa 180 ccgcatggtt cttggctgaa agatggcgtc aagctatcgc ttttggatgg acccgcggcg 240 tattagctag ttggtgaggt aacggctcac caaggcgatg atacgtagcc gaactgagag 300 gttgatcggc cacattggga ctgagacacg gcccaaactc tacgggaggc agcagtaggg 360 aatcttccac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cgtgagtgaa gaaggctttc 420 gggtcgtaaa actctgttgt tggagaagaa tggtcggcag agtaactgtt gtcggcgtga 480 cggtatccaa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540 ggcaagcgtt atccggattt attgggcgta aagcgagcgc aggcggtttt ttaagtctga 600 tgtgaaagcc ctcggcttaa ccgaggaagc gcatcggaaa ctgggaaact tgagtgcaga 660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ga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720 tggcgaaggc ggctgtctgg tctgtaactg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7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taaacgatga atgctaggtg ttggagggtt 840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accgcaa 900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960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ttt tgatcacctg agagatcagg 1020 tttccccttc gggggcaaaa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1080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gac tagttgccag cattgagttg 1140 ggcactctag taa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1200 catgcccctt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tggtacaac gagttgcgag 1260 accgcgaggt caagctaatc tcttaaagcc attctcagtt cggactgtag gctgcaactc 1320 gcctacacga agtc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cgccgcggt gaatacgttc 1380 ccgggccttg tacacaccgc ccgtcacacc atgagagttt gtaacacccg aagccggtgg 1440 cgtaaccctt ttagggagcg agccgtctaa ggtgggacaa atgattaggg tgaagtcgta 1500 acaaggtagc cgtaggagaa cc 1522 <210> 12 <211> 1505 <212> DNA <213> Akkermansia muciniphila ATCC BAA-835T <400> 12 agagtttgat tctggctcag aacgaacgct ggcggcgtgg ataagacatg caagtcgaac 60 gagagaattg ctagcttgct aataattctc tagtggcgca cgggtgagta acacgtgagt 120 aacctgcccc cgagagcggg atagccctgg gaaactggga ttaataccgc atagtatcga 180 aagattaaag cagcaatgcg cttggggatg ggctcgcggc ctattagtta gttggtgagg 240 taacggctca ccaaggcgat gacgggtagc cggtctgaga ggatgtccgg ccacactgga 300 actgagacac ggtccagaca cctacgggtg gcagcagtcg agaatcattc acaatggggg 360 aaaccctgat ggtgcgacgc cgcgtggggg aatgaaggtc ttcggattgt aaacccctgt 420 catgtgggag caaattaaaa agatagtacc acaagaggaa gagacggcta actctgtgcc 480 agcagccgcg gtaatacaga ggtctcaagc gttgttcgga atcactgggc gtaaagcgtg 540 cgtaggctgt ttcgtaagtc gtgtgtgaaa ggcgcgggct caacccgcgg acggcacatg 600 atactgcgag actagagtaa tggaggggga accggaattc tcggtgtagc agtgaaatgc 660 gtagatatcg agaggaacac tcgtggcgaa ggcgggttcc tggacattaa ctgacgctga 720 ggcacgaagg ccaggggagc gaaagggatt agatacccct gtagtcctgg cagtaaacgg 780 tgcacgcttg gtgtgcgggg aatcgacccc ctgcgtgccg gagctaacgc gttaagcgtg 840 ccgcctgggg agtacggtcg caagattaaa actcaaagaa attgacgggg acccgcacaa 900 gcggtggagt atgtggctta attcgatgca acgcgaagaa ccttacctgg gcttgacatg 960 taatgaacaa catgtgaaag catgcgactc ttcggaggcg ttacacaggt gctgcatggc 1020 cgtcgtcagc tcgtgtcgtg agatgtttgg ttaagtccag caacgagcgc aacccctgtt 1080 gccagttacc agcacgtgaa ggtggggact ctggcgagac tgcccagatc aactgggagg 1140 aaggtgggga cgacgtcagg tcagtatggc ccttatgccc agggctgcac acgtactaca 1200 atgcccagta cagagggggc cgaagccgcg aggcggagga aatcctaaaa actgggccca 1260 gttcggactg taggctgcaa cccgcctaca cgaagccgga atcgctagta atggcgcatc 1320 agctacggcg ccgtgaatac gttcccgggt cttgtacaca ccgcccgtca catcatggaa 1380 gccggtcgca cccgaagtat ctgaagccaa ccgcaaggag gcagggtcct aaggtgagac 1440 tggtaactgg gatgaagtcg taacaaggta gccgtagggg aacctgcggc tggatcacct 1500 ccttt 1505

Claims (11)

1-케스토오스(1-kestose)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낙산증가제(腸內 酪酸增加劑).
제1항에 있어서,
1일당 0.04g/kg체중 이상의 1-케스토오스가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하여 섭취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낙산증가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낙산증가제.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낙산증가용 식품조성물.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낙산생산균 증식제(酪酸産生菌 增殖劑).
1-케스토오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낙산생산균 증식용 식품조성물.
인간 또는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또는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의 양 또는 농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장내 낙산의 증가방법.
인간 또는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또는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낙산생산균을 포함하는 배지에 1-케스토오스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낙산생산균의 증식방법.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혹은 비만을 이환(罹患)하고 있거나 또는 이환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 혹은 동물에 1-케스토오스를 섭취시킴으로써, 상기 인간 혹은 동물의 장내에 있어서의 낙산의 양 혹은 농도 또는 낙산생산균의 수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방법.
장내 염증, 지방간, 당뇨병, 대장암 또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1-케스토오스의 사용.
KR1020187028400A 2016-03-14 2017-03-14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KR20180122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9561 2016-03-14
JPJP-P-2016-049561 2016-03-14
PCT/JP2017/010066 WO2017159643A1 (ja) 2016-03-14 2017-03-14 腸内酪酸増加剤および酪酸産生菌増殖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79A true KR20180122379A (ko) 2018-11-12

Family

ID=5985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400A KR20180122379A (ko) 2016-03-14 2017-03-14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91248A1 (ko)
EP (1) EP3431089A4 (ko)
JP (1) JP6275931B1 (ko)
KR (1) KR20180122379A (ko)
CN (1) CN109069522A (ko)
PH (1) PH12018501988A1 (ko)
SG (1) SG11201807500RA (ko)
WO (1) WO2017159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7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삼양사 케스토스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 및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4132A (zh) 2014-10-31 2018-05-22 霍勒拜欧姆公司 与病症的微生物治疗和诊断有关的方法和组合物
JP2020532515A (ja) 2017-08-30 2020-11-12 ペンデュラム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イクロバイオーム関連障害の処置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7235270B2 (ja) * 2018-02-09 2023-03-08 エースバイオ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血糖値上昇抑制剤及び同血糖値上昇抑制剤の製造方法
JP2021532097A (ja) * 2018-07-19 2021-11-25 ペンデュラム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微生物生着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7216260B2 (ja) * 2018-11-06 2023-02-01 株式会社明治 コプロコッカス属菌の増殖促進用組成物
JP6842072B2 (ja) * 2019-03-07 2021-03-17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エガセラ属細菌の菌数抑制剤
KR102128287B1 (ko) * 2019-08-23 2020-06-30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128289B1 (ko) * 2019-08-23 2020-06-30 주식회사 엔테로바이옴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27 균주 및 그의 용도
JP2021115000A (ja) 2020-01-27 2021-08-10 物産フードサイエンス株式会社 1−ケストースを含有する固体糖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糖
CN111820419B (zh) * 2020-07-24 2022-05-27 中国海洋大学 靶向调控肠道艾克曼菌和短链脂肪酸产生菌的组合物
CN111996267A (zh) * 2020-08-11 2020-11-27 康美华大基因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检测akk菌的荧光定量pcr引物组、试剂盒及其应用
CN113461751A (zh) * 2021-07-15 2021-10-01 量子高科(广东)生物有限公司 一种高蔗果三糖含量低聚果糖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093A (ja) * 2002-07-18 2004-02-19 Meiji Milk Prod Co Ltd 腸内酪酸上昇食品組成物および医薬品
US20050118299A1 (en) * 2003-12-01 2005-06-02 The Iams Company Companion animal compositions comprising short chain oligofructose
JP2005247752A (ja) * 2004-03-04 2005-09-15 Hokuren Federation Of Agricult Coop:The 血中コレステロール上昇抑制剤
JP4669235B2 (ja) * 2004-04-21 2011-04-13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腸内環境下ビフィズス菌増殖剤
JP4162147B2 (ja) * 2005-04-21 2008-10-08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アレルギー抑制剤
JPWO2007043563A1 (ja) * 2005-10-13 2009-04-16 明治製菓株式会社 腸内フローラ改善用組成物
JP5921894B2 (ja) * 2012-01-20 2016-05-24 アサヒカルピスウェルネス株式会社 腸内酪酸産生菌増加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077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삼양사 케스토스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 및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1089A1 (en) 2019-01-23
EP3431089A4 (en) 2020-04-15
WO2017159643A1 (ja) 2017-09-21
JPWO2017159643A1 (ja) 2018-03-22
CN109069522A (zh) 2018-12-21
US20190091248A1 (en) 2019-03-28
PH12018501988A1 (en) 2019-06-24
SG11201807500RA (en) 2018-09-27
JP6275931B1 (ja)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2379A (ko) 장내 낙산증가제 및 낙산생산균 증식제
CN116059221A (zh) Hmo的混合物
CN111542593A (zh) 新型双歧杆菌属细菌和包含该细菌的组合物
CN1731938A (zh) 益生元组合物
ES2320988T3 (es) Metodo para prevenir o aliviar los sintomas de malabsorcion a traves del tracto gastrointestinal.
CN113662199A (zh) 用于预防胃肠道损伤和/或促进胃肠道愈合的人乳寡糖
JPWO2019117212A1 (ja)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属細菌を有効成分とする組成物
US1079230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sm disorders compri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producing exopolysaccharide as active ingredient
JP6301024B2 (ja) フィーカリバクテリウム属細菌増殖剤
CN106661542B (zh) 新型乳酸菌和包含所述乳酸菌的组合物
JP6998193B2 (ja) 新規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属細菌及び当該細菌を含む組成物
CN111886332A (zh) 新型双歧杆菌属细菌和包含该细菌的组合物
JP6571298B2 (ja) 血糖値スパイク抑制剤、食品及び血糖値スパイク抑制剤の製造方法
CN115137722A (zh) 抗衰老用组合物
JP7262391B2 (ja) フソバクテリウム属細菌および/またはステレラ属細菌の菌数抑制剤
JP7152472B2 (ja) Fgf21分泌促進用組成物
JP7266580B2 (ja) 学童期以降の高血糖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のための乳幼児用組成物
WO2020251044A1 (ja) ビフィドバクテリウム属細菌を有効成分とする組成物
WO2023002939A1 (ja) 炎症性腸疾患の予防又は改善のための組成物、及び腸内細菌叢調節のための組成物
CN112806577B (zh) 产丁酸的益生元益生菌增效组合
WO2023068374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assimilation of an oligosaccharide
JP7475155B2 (ja) 持久力向上用組成物
JP7025465B2 (ja) フルクトース誘導性疾患の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JP7402629B2 (ja) プロピオン酸菌発酵物含有組成物
JP2022075294A (ja) 血中アンモニア濃度を低下させる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