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949A -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 Google Patents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949A
KR20180109949A KR1020187024058A KR20187024058A KR20180109949A KR 20180109949 A KR20180109949 A KR 20180109949A KR 1020187024058 A KR1020187024058 A KR 1020187024058A KR 20187024058 A KR20187024058 A KR 20187024058A KR 20180109949 A KR20180109949 A KR 2018010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nozzle
member according
expansion chambe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유키 다카하시
가즈히로 마츠이
히데토시 미야모토
사토시 메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ublication of KR2018010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65D83/303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using extension tubes located in or at the outlet duct of the nozz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3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details or accessories associated with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6Tilt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여, 원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는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을 제공한다.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10)에 연결하기 위한 토출 부재(20)로서, 에어로졸 용기(10)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의 발포를 촉진하는 팽창실(E)과, 팽창실(E)의 발포성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22c)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실(E)에는, 상기 에어로졸 용기(10)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을 도입하는 도입구(21e)와, 발포성 내용물을 노즐(22c)측으로 도출하는 도출구(22b)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22c)은 슬릿 형상의 토출구(22d)를 가지며, 이 토출구(22d)와 상기 도출구(22b)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는 슬릿 형상의 슬릿부(22e)를 가지며,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22d)의 슬릿폭(W1)보다 크다.

Description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본 발명은, 발포성 내용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토출하기 위한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토출 부재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2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토출 부재는, 주걱형의 노즐을 갖고 있고, 발포성 내용물을 띠형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토출 부재는, 컵형의 측벽과, 측벽의 중심에 설치된 컵형의 제어부를 갖고 있고, 측벽의 내주면과 제어부의 외주면을 따르면서 발포성 내용물을 토출함으로써, 발포성 내용물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면서 토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49925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4075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 2의 토출 부재로부터 토출된 토출물(거품체)은 비교적 단순한 형상이며, 반드시 의장성이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예컨대 토출 부재에 복수의 토출 구멍을 형성하여, 꽃이나 동물, 캐릭터 등을 본뜬 의장성이 높은 토출물을 만들어내는 것도 고려된다.
그런데, 단순히 토출 구멍을 복수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각 토출 구멍으로부터 토출된 토출물끼리 달라붙어 원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거품체를 얻을 수 있는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 부재는,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10, 40, 41, 50)에 연결하기 위한 토출 부재(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J)로서, 에어로졸 용기(10, 40, 41, 50)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C1, C2)의 발포를 촉진하는 팽창실(E)을 갖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세워져, 상기 팽창실(E)의 발포성 내용물(C1, C2)을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22c)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실(E)에는, 상기 에어로졸 용기(10, 40, 41, 50)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C1, C2)을 도입하는 도입구(21e)와, 발포성 내용물(C1, C2)을 노즐(22c)측으로 도출하는 도출구(22b)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22c)은 슬릿 형상의 토출구(22d)를 가지며, 이 토출구(22d)와 상기 도출구(22b)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는 슬릿 형상의 슬릿부(22e)를 가지며,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22d)의 슬릿폭(W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부(22e)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슬릿부(22e)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입구(22b)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방해판(21f, 23a, 27, 71)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22c)의 선단면이,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22c)의 외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이 토출구(22d)까지 연속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노즐(22c)의 높이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22d)가, 토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노즐(22c)이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으로 갈수록 노즐(22c)의 높이가 순서대로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22c, 22c)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22d)의 슬릿폭(W1)이 불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로가 내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거나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22c)의 선단에, 토출 방향을 따라서 노치(22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22c)이 팽창실(E)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노즐(22c) 중, 높이가 낮은 노즐(22c)이 팽창실(E)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실(E)이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30, 31, 80, 81)에 각각 도입구(21e, 71a) 및 도출구(22b)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실(E)에 배수 구멍(21h)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시에 배수 구멍(21h)을 막고, 비사용시에 배수 구멍(21h)을 개방하는 폐색 부재(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꾸로 세웠을 때에만 상기 팽창실(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노즐(22c)의 토대가 되는 기판부(22a)의 중심축(100)이, 에어로졸 용기(10)의 스템(12a)과 연결하는 연결부(21a)의 중심축(10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은, 발포성 내용물(C1, C2)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10, 40, 41, 50)에 본 발명의 토출 부재(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J)를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 부재는 팽창실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포성 내용물은 팽창실에서 발포하게 되어, 노즐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발포성 내용물(토출물)의 추가적인 발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이 슬릿 형상의 토출구를 가지며, 이 토출구와 도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슬릿 형상의 슬릿부를 가지며, 슬릿부의 토출 방향의 길이가 토출구의 슬릿폭보다 크기 때문에, 발포성 내용물은 슬릿부 내에서 슬릿 형상으로 성형되어 밀려 올라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게 되어, 거품의 형태가 붕괴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이한 노즐로부터 토출된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거품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토출물의 표면적이 많아지기 때문에, 내용물 중에 함유한 유효 성분을 확산시키기 쉽다.
슬릿부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으면, 팽창실 내에서 일단 팽창한 발포성 내용물은, 서서히 다져져서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되어, 거품의 형태가 붕괴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이한 노즐로부터 토출된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거품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슬릿부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으면, 슬릿부에서의 저항이 억제되어, 팽창실 내의 발포성 내용물이 노즐로부터 외부로 토출되기 쉬워진다.
도입구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방해판이 마련되어 있으면, 발포가 충분하지 않은 내용물의 토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토출후의 추가적인 발포를 억제할 수 있어,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노즐의 선단이 토출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손바닥 등의 대상물에 토출한 토출물이 노즐로부터 쉽게 떨어져, 토출물을 대상물 위에 부여하고, 토출물의 형상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노즐의 외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이 토출구까지 연속해 있으면, 노즐의 선단이 가늘어져, 노즐로부터 토출물이 잘 떨어진다(거품이 잘 꺼진다).
각 노즐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손바닥 등의 대상물에 토출한 토출물이 노즐로부터 쉽게 떨어져, 토출물을 대상물 위에 부여하고, 토출물의 형상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토출구가 토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토출물이 만곡되어 상승하기 때문에, 단순히 평판형으로 토출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토출물 자신이 자립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만곡형상을 이용한 의장성이 우수한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노즐이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대략 동심원형으로 거품을 성형할 수 있어, 의장성이 우수한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심으로 갈수록 노즐의 높이가 낮아지면, 토출물은 중심이 높아지게 되어 높이 방향으로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의장성이 더욱 우수하다. 또한, 각 노즐의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손바닥 등의 대상물에 토출한 토출물이 노즐로부터 쉽게 떨어진다.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여, 토출물 사이에 공극이 쉽게 만들어진다.
토출구의 슬릿폭이 불균일하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물의 토출량이나 속도를 조정하여, 토출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의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
연통로가 내측을 향해 만곡되어 있거나 경사져 있으면, 손바닥 등의 대상물에 토출한 토출물의 상부를 외측으로 쓰러뜨릴 수 있어,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개방된 것 같은 형상의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노즐의 선단에, 토출 방향을 따라서 노치가 형성되어 있으면, 토출물의 표면에 줄기를 형성할 수 있다.
노즐이 팽창실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슬릿부의 토출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물의 형태를 붕괴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의 토출물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복수의 노즐 중, 높이가 낮은 노즐이 팽창실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노즐로부터 토출물이 잘 떨어진다는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높이가 낮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물의 형태 붕괴를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정돈된 형태의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팽창실이 구획되고, 구획 부분에 각각 도입구 및 도출구가 마련되어 있으면, 각각의 도입구에 내용물이 상이한 에어로졸 용기를 연통함으로써, 상이한 종류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할 수 있다.
팽창실에 배수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면, 토출 부재를 수세할 때 등에 팽창실에 물이 들어갔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배수 구멍을 막고, 비사용시에 배수 구멍을 개방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시에 배수 구멍으로부터 내용물이 누출되지도 않는다.
거꾸로 세웠을 때에만 팽창실이 형성되면, 바로 세웠을 때, 즉 비사용시에는 팽창실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팽창실에 물이 고이지도 않는다.
복수의 노즐의 토대가 되는 기판부의 중심축이, 에어로졸 용기의 스템과 연결하는 연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면, 토출 부재를 에어로졸 용기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틀어진 방향과 반대측에서의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토출 부재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엄지손가락이나 약지, 새끼손가락으로 에어로졸 용기를 쥐면서, 집게손가락이나 중지로 토출 부재를 조작할 때에, 집게손가락이나 중지가 젖혀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토출 부재를 조작하기 쉽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b)는 토출 부재의 단면도, (c)(d)는 토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토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토출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의 (a)(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의 평면도, (c)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연통로를 전부 슬릿 형상으로 한 노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를 나타내며, (a)가 단면도, (b)(c)가 평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를 나타내며, (a)가 단면도, (b)가 평면도, (c)가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를 나타내며, (a)가 단면도, (b)가 평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며, (a)가 비사용시의 단면도, (b)가 사용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며, (a)가 비사용시의 단면도, (b)가 사용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출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1)은, 에어로졸 용기(10)와, 이 에어로졸 용기(10)에 장착된 토출 부재(20)로 이루어진다.
우선, 에어로졸 용기(10)에 관해 설명하면, 에어로졸 용기(10)는, 바닥이 있는 실린더 형상의 용기(11)에 밸브 어셈블리(12)를 부착한 것으로, 내부에 원액과, 액화 가스로 이루어진 발포성의 내용물(에어로졸 조성물)이 충전되어 있다. 원액과 액화 가스는 에어로졸 용기(10) 내에서는 계면 활성제에 의해 유화되어 있고, 외부로 토출되면, 액화 가스가 기화하고, 원액이 발포하여 거품체가 된다. 이러한 내용물은, 원액이 60∼97 질량%이고 액화 가스가 3∼40 질량%, 나아가 원액이 70∼95 질량%이고 액화 가스가 5∼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화 가스가 3 질량%보다 적으면, 형성되는 거품체가 수분이 많아 거품의 성형성 및 보형성이 나빠지고, 액화 가스가 40 질량%보다 많으면, 형성되는 거품체의 밀도가 작아 거품의 보형성이 나빠진다. 또한, 토출된 후에도 계속 발포하기 쉬워, 성형된 거품의 형상이 붕괴되기 쉬워진다. 또, 토출의 기세를 강하게 하여 토출 부재(20)(후술하는 노즐(22c))로부터 거품이 잘 떨어지게 하고, 거품질을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탄산 가스, 아산화질소, 질소 등의 압축 가스를 배합해도 좋다.
원액으로는, 거품체를 형성하기 위해 용매에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아미노산계 계면 활성제 등이 바람직하고, 또한, 토출 부재(20)(후술하는 슬릿부(22e))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기 쉬운 경도나 탄성을 갖는 양질의 거품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나 아미노산계 계면 활성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양이온성 폴리머나 젤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내용물에는 유효 성분으로서, 향료 등의 방향 성분, 소취 성분, 살균 성분, 세정 성분, 보습 성분, 살충 성분, 해충 기피 성분 등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 바람직한 거품체의 경도는 300∼3000(mN)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2500(mN)이다. 거품체의 경도는, 25℃로 조정한 에어로졸 제품으로부터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컵(내경 32 mm, 깊이 27 mm)에 토출하여 거품체로 채우고, 직경 30 mm의 원판을 속도 60(mm/분)으로 컵 내의 거품에 하중을 가하여 압축했을 때에, 거품체가 파단되어 압축량에 대하여 하중이 크게 변화했을 때의 값(파단점)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거품체 자체의 경도가 300(mN)보다 작은 경우는, 슬릿부(22e)를 통과하더라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3000(mN)보다 큰 경우는, 섬세한 형상으로 성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했을 때에 쿠션감을 얻을 수 있고, 탄력있는 감촉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거품의 특성으로는, 25℃에서의 거품체의 탄성이 300∼2000(N/mm)이 되도록 조정되면 되며, 400∼1500(N/mm)이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이 300(N/mm) 미만인 경우, 거품체는 쿠션감을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한편, 탄성이 2000(N/mm)를 넘는 경우, 도포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거품체의 탄성은, 경도와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고, 25℃로 조정한 에어로졸 제품으로부터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컵(내경 32 mm, 깊이 27 mm)에 토출하여 컵 내를 거품체로 채우고, 직경 30 mm의 원판을 속도 60(mm/분)으로 컵 내의 거품체에 하중을 가하여 압축했을 때에, 거품체로부터 받는 반발력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토출 부재(20)에 관해 설명한다. 토출 부재(20)는, 에어로졸 용기(10)의 스템(12a)에 장착되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위에 씌워지는 노즐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스템(12a)과 베이스부(21)의 사이에, 일정량의 발포성 내용물을 팽창실(E)에 공급할 수 있는 정량 유닛을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거품을 안정된 형상으로 성형하기 쉬워진다.
베이스부(21)에는, 그 하측에, 스템(12a)에 연결하는 원통형의 연결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부(21a)의 외주를 덮도록 하여 원통형의 커버부(21b)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21b)로부터는,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해 플랜지부(21c)가 연장되어 나와 있다. 또, 이 플랜지부(21c)는, 에어로졸 용기(10)의 스템(12a)을 작동시키는 데 있어서, 토출 부재(20)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기 위한 핑거 홀드이다.
베이스부(21)의 상부에는, 바닥이 얕은 보울 형상체(21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노즐부(22)의 기판부(22a)로 보울 형상체(21d)의 상부를 막음으로써, 그 내부에 팽창실(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상태는, 베이스부(21)와 노즐부(22)의 기판부(22a)로 팽창실(E)을 갖는 본체가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팽창실(E)의 용적(V)은, 팽창실(E)의 용적(V)(단위: ml)/팽창실(E)의 최대 단면적(Amax)(단위: ㎠)의 값이 0.1∼1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팽창실의 직경이 3 cm인 경우, 수평 단면에서의 단면적은 대략 7.07 ㎠이므로, 용적(V)은 0.7∼7 ml인 것이 바람직하다. V/Amax의 값이 0.1보다 작은 경우는 팽창실(E) 내에서의 내용물의 발포가 불충분해지고, 토출후에도 발포하여 형태를 붕괴시키기 쉽다. V/Amax의 값이 1보다 큰 경우는 대상물에 토출물을 부착시킨 후에도 노즐부(22)로부터 계속 토출되어, 노즐부(22)에 부착되기 쉽다. 또한, 팽창실(E) 내에 내용물이 남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팽창실(E)에 공급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량(토출 속도)(D)은 0.5∼2(ml/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토출량은 1초간 에어로졸 용기의 스템으로부터 토출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중량(g/초)을 측정하고, 스템으로부터 토출된 발포성 내용물이 액체 상태라고 가정하여 발포성 내용물의 액밀도로부터 용량으로 환산한 것이다. 특히, 팽창실(E)의 용적을 V(단위: ml)로 했을 때, D/V가 0.05∼0.5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팽창실(E)의 용적이 4 ml인 경우는, 토출량은 0.2∼2(ml/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D/V가 0.05 미만이면 거품체의 외주 부분이 작아지기 쉬워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 어려워지고, 0.5보다 크면 발포성 내용물이 팽창실 내에서 충분히 발포하지 않는 채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거품체의 형상이 붕괴되기 쉬워진다.
이 보울 형상체(21d)의 바닥부에는, 연결부(21a)와 연통하고, 에어로졸 용기(10)로부터의 내용물을 팽창실(E)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21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입구(21e)를, 간극을 두고 차단하도록 대향하는 원판형의 방해판(21f)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방해판(21f)은, 도입구(21e)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방사형으로 마련된 3개의 리브(21g)에 의해 보울 형상체(21d)에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노즐부(22)는, 원판형의 기판부(22a)와, 기판부(22a)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노즐(22c)로 이루어진다.
노즐(22c)은,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내용물의 토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면내 방향)으로 원호형으로 만곡된 평판형이며, 그 상측의 선단부에 동일하게 평면에서 볼 때 만곡된 슬릿 형상의 토출구(22d)를 갖고 있다. 또한, 기판부(22a)에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실(E)로부터의 내용물을 노즐(22c) 내로 도출하기 위한 도출구(22b)가 마련되어 있다. 도출구(22b)와 토출구(22d)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는 그 일부, 구체적으로는, 노즐(22c) 내에, 평면에서 볼 때 만곡된 슬릿 형상의 슬릿부(22e)를 갖고 있고, 이 슬릿부(22e)는 토출구(22d)와 동일한 형상(닮은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는, 토출구(22d)로 갈수록(토출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도 1의 (b), (c)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릿부(22e)의 하단의 유로 면적이 가장 크고, 토출구(22d)에 근접함에 따라서 그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구(22d)의 개구 면적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또, 테이퍼의 경사 각도는 일정하다.
또한,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상하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22d)의 슬릿폭(짧은 방향의 폭)(W1)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슬릿폭(W1)의 2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슬릿폭(W1)은 슬릿부(22e)에서 가장 좁은 폭을 말하며, 각 노즐의 길이(L1)가 각각의 슬릿폭(W1)보다 크다. 또, 기판부(22a)의 연통로는, 팽창실(E)로부터 노즐(22c)로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 원추의 선단을 절결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원통형이어도 좋다. 그리고, 슬릿 폭방향(슬릿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는, 토출구(22d)의 테이퍼를 하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슬릿의 긴 방향에 있어서는,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22d)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단, 이 부분을 슬릿 형상으로 하고, 슬릿의 긴 방향에 있어서도, 토출구(22d)의 테이퍼를 하측으로 연장하도록 해도 좋다(예컨대 도 1의 (d), 도 4의 (b), 도 5의 (b), 도 7의 (c), 도 8∼도 13 참조). 이 경우, 슬릿부(22e)의 길이(L1)는, 연통로의 토출 방향의 길이, 즉, 도출구(22b)로부터 토출구(22d)까지의 토출 방향의 길이가 된다.
또,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상하 방향)의 길이(L1)는, 예를 들면, 2∼3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L1)가 2 mm보다 짧은 경우는, 슬릿부(22e)의 형상을 따른 거품체가 성형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30 mm을 넘는 경우는, 거품체가 토출 조작을 멈추고 나서도 토출구(22d)로부터 잠시동안 계속 나오기 쉬워, 노즐(22c)로부터 떨어지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토출구(22d)의 슬릿폭(짧은 방향의 폭)(W1)은, 0.1∼3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0.2∼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폭(W1)이 0.1 mm보다 좁은 경우는, 성형되는 거품체의 강도가 작아 성형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3 mm보다 넓은 경우는, 거품체는 박판형이 되기 어려워 의장성이 우수한 거품체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슬릿부(22e)의 긴 방향의 폭(W2)은, 2∼3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긴 방향의 폭(W2)이 2 mm보다 좁은 경우는, 성형되는 거품체의 강도가 작아 성형된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30 mm보다 넓은 경우는 의장성이 우수한 거품체가 형성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노즐(22c)은, 원판형의 기판부(22a)의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퍼지도록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노즐(22c)의 높이는, 도 1의 (b)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노즐(22c1)로부터 중간 노즐(22c2), 내주 노즐(22c3)로, 기판부(22a)의 중심(소용돌이의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 돌출 높이가 서서히 낮아졌다. 이 상태는 노즐(22c)의 높이가 계단형(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슬릿부(22e)의 길이(L1)가 계단형(단계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노즐(22c)에 있어서도, 선단면이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기판부(22a)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그것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노즐의 긴 방향의 폭(W2)은, 외주 노즐(22c1)로부터 중간 노즐(22c2), 내주 노즐(22c3)로 중심으로 갈수록 좁게 되어 있다(도 1의 (c) 참조).
상기 구성의 토출 부재(20)를 에어로졸 용기(10)의 스템(12a)에 부착하고, 토출 부재(20)를 압입하면(스템(12a)을 작동시키면), 스템(12a)으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은, 우선, 도입구(21e)로부터 팽창실(E) 내에 도입된다. 팽창실(E) 내에 도입된 내용물은, 당초, 스템(12a)을 따라서 상방향으로 흐르지만, 방해판(21f)과 충돌하여 가로 방향으로 흐름을 바꾸게 된다. 또한,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 내용물 중의 액화 가스의 기화가 촉진되고, 또한 팽창실(E) 내에 방출됨으로써 팽창실(E) 내에서 발포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가로 방향에 흘러 방사형으로 퍼진 내용물은, 팽창실(E)의 상부에 있는 도출구(22b)에 도달하기 전에 충분히 발포하게 된다. 그 때문에, 발포가 충분하지 않은 내용물이 에어로졸 용기(10)로부터의 토출의 기세를 유지한 채 노즐(22c)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는 없다. 충분히 발포한 내용물은 도출구(22b)로부터 노즐(22c) 내에 유입되어, 노즐(22c)의 토출구(22d)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슬릿부(22e)가 만곡된 슬릿 형상이며,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한 내용물은, 서서히 다져져서 슬릿부(22e)를 진행해 간다. 또한,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22d)의 슬릿폭(W1)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한 내용물은 슬릿 형상으로 성형되어 압출되도록 토출구(22d)로부터 토출되고, 토출 방향(노즐(22c)의 축방향)이 안정된다. 그 때문에, 노즐(22c)의 상측(축방향)에 토출된 토출물(거품)끼리 달라붙는 것이 억제되어, 토출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제품의 사용 방법으로는, 노즐의 토출구(22d)를 손바닥 등의 대상물을 향하게 하고, 1 cm 정도 떨어져 토출 조작을 행하여, 토출물을 대상물에 부착시킨 상태로, 토출하면서 노즐(22c)을 대상물로부터 천천히 떨어뜨린다. 이에 따라, 처음에 토출된 거품이 대상물에 부착되고, 마지막으로 토출된 거품이 꼭대기부를 형성하게 된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2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노즐(22c)로부터 토출되는 만곡된 판형의 거품이 동심원형으로 배치되어, 장미꽃과 같은 형상의 토출물(X)을 얻을 수 있지만, 꽃잎에 해당하는 만곡된 판형의 거품이 확실하게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노즐(22c)로부터 토출된 토출물보다 표면적이 크고, 유효 성분을 휘발시키기 쉽다.
또한, 노즐(22c)은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서서히 낮게 되어 있고, 또한 개개의 노즐(22c)도 선단면이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손바닥 등의 대상물에 토출했을 때, 거품이 대상물에 부착되는 면적과 노즐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면적의 차가 커져, 거품이 노즐로부터 떨어지기 쉬워, 노즐로 성형한 형상을 붕괴시키지 않고 보형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물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은, 방향제, 소취제, 살균제, 해충 기피제 등의 공간용 제품, 보습제, 세안료 등의 세정제, 입욕제 등의 인체용 제품 등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22d)의 슬릿폭(W1)을 불균일하게 하면, 구체적으로는, 슬릿형의 토출구(22d)의 긴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조임부(22f)를 마련하여, 중앙부 부근의 슬릿폭을 양단부 부근의 슬릿폭보다 좁게 하면, 토출구(22d)의 중앙부 부근과 양단부 부근에서, 노즐(22c)로부터 토출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속도나 토출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어, 토출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의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임부(22f)를 마련한 부분은, 그 밖의 부분보다 토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 거품의 높이가 낮아진다. 그 때문에, 더욱 복잡한 형상의 꽃잎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조임부(22f)는, 토출구(22d)의 중앙부 부근에 한정되지 않고, 양단부 부근에 마련해도 좋고, 복수 마련해도 좋다. 또한, 연통로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22c, 22c)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하면,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꽃잎을 형성하기 쉽고, 미관도 양호해진다. 덧붙여, 에어로졸 제품(1)에 물이 뿌려지면, 물이 노즐(22c)과 노즐(22c) 사이에 들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외부에 연통하도록 하여 간극(S)을 형성하면, 간극(S)이 배수로로서 기능하여 배수하기 쉬워진다.
또한, 고여 있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노즐(22c, 22c) 사이를 메우거나, 기판부(22a)의 상면을 노즐(22c)의 선단 근방까지 들어 올려, 노즐(22c, 22c) 사이의 용적을 줄여 놓아도 좋다. 이 때,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22c, 22c) 사이에, 간극(S) 방향으로 내려가는 경사면(물구배)(22j)을 마련하면, 노즐(22c, 22c) 사이의 물은 저절로 배출되게 된다(도 4의 (c)의 화살표를 참조). 또 도 4에서는, 가장 외측의 외주 노즐(22c1, 22c1)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었지만, 외주 노즐(22c1)과 그 내측의 중간 노즐(22c2)의 사이, 또는, 중간 노즐(22c2, 22c2)의 사이, 중간 노즐(22c2)과 그 내측의 내주 노즐(22c3)의 사이, 도 9의 (b)와 같이, 내주 노즐(22c3)을 복수 마련하는 경우에는, 내주 노즐(22c3, 22c3)의 사이에 간극(S)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더욱 배수하기 쉬워진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로졸 제품(2)은, 팽창실(E) 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는 점, 구획 부재(23)에 의해 2분된 공간(30, 31)에 각각 도입구(21e)와 도출구(22b)가 마련되어 있는 점, 2개의 에어로졸 용기(40, 41)를 구비하고, 2개의 도입구(21e, 21e)에 각각 별도의 에어로졸 용기(40, 41)가 연통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상기 구성의 에어로졸 제품(2)에 있어서는, 토출 부재(20A)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면, 각각의 에어로졸 용기(40, 41)로부터 내용물이 팽창실(E) 내에 도입되지만, 구획 부재(23)에 의해 팽창실(E)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끼리 혼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내용물의 색이 서로 다르면, 좌우에서 상이한 색의 토출물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도면에서 23a는, 방해판으로서 기능하는 돌출부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제품을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로졸 제품(3)은, 이중 에어로졸 용기(50)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특히 상이하다.
이 중 에어로졸 용기(50)는, 외용기(51) 내에 가요성의 내용기(52)를 수용하고, 외용기(51)와 내용기(52)의 사이와, 내용기(52) 내에 각각 내용물(C1, C2)을 충전하는 것이며, 각각의 내용물(C1, C2)을 혼합하지 않고 토출시키기 위해, 2액 토출용의 밸브 어셈블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2액 토출용의 밸브 어셈블리(60)는, 도 6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용기(51)와 내용기(52)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제1 내용물(C1)을, 외용기(51)의 헤드부(51a)와 내용기(52)의 헤드부(52a) 사이의 간극, 마운틴 커버(61)와 하우징(62) 사이의 간극, 하우징 측면의 연통 구멍(62a), 이중 스템(63)의 외측 스템(64)의 스템 구멍(64a)을 거쳐, 외측 스템(64)의 상단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기(52)에 충전되어 있는 제2 내용물(C2)을, 하우징 하측의 연통 구멍(62b), 내측 스템(65)의 스템 구멍(65a)을 거쳐, 내측 스템(65)의 상단으로부터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70)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또한, 이 구획 부재(70)에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7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 중 하측의 공간은, 구획 부재(70)의 측면에 형성된 유출 구멍(71b)을 통해 외주측(베이스부(21)측)의 공간과 연통해 있고, 이 2개의 공간에서 제1 공간(8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공간(80)은, 외측 스템(64)이 기판부(22a)의 도입구(21e)에 연결됨으로써, 외용기(51)와 내용기(52) 사이의 공간과 연통해 있다. 또한, 내부 공간 중 상측의 공간은, 내측 스템(65)이 격벽(71)의 도입구(71a)에 연결됨으로써, 내용기(52)와 연통하는 제2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20B)는, 하측에 연결통(24)을 구비하고 있고, 이중 에어로졸 용기(50)의 플랜지부(51b)에 연결통(24)을 감합함으로써, 이중 에어로졸 용기(50)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통(24)과 베이스부(21)는 1개소에서만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25)의 반대측에 마련된 핑거 홀드(26)를 하측으로 압입함으로써, 연결부(25)를 지지점으로 하여 베이스부(21)가 회전하여, 이중 스템(63)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중 스템(63)을 작동시키면, 제1 내용물(C1)이 외측 스템(64)으로부터 제1 공간(80)에 도입된다. 도입된 제1 내용물(C1)은, 방해판으로서 기능하는 격벽(71)에 의해 흐름을 바꿔, 유출 구멍(71b)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유출되고, 도출구(22b)를 거쳐 노즐(22c)의 토출구(22d)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제2 내용물(C2)은 내측 스템(65)으로부터 제2 공간(81)에 도입된다. 도입된 제2 내용물(C2)은, 기판부(22a)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방해판으로서 기능하는 돌출면(27)에 의해 흐름을 바꿔, 여기서 충분히 발포한 후, 도출구(22b)를 거쳐 노즐(22c)의 토출구(22d)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구성의 에어로졸 제품(3)에서는, 구획 부재(70)가 원통형이므로, 복수 마련된 노즐(22c) 중, 구획 부재(70)보다 외측에 마련된 노즐(22c)로부터는 제1 내용물(C1)이 토출되고, 구획 부재(70)보다 내측에 마련된 노즐(22c)로부터는 제2 내용물(C2)이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내용물(C1)과 제2 내용물(C2)에서 색이 상이하면, 중앙부와 외주부에서 상이한 색의 토출물을 형성할 수 있어, 더욱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C)는, 노즐(22c)이 평면뿐만 아니라 측면에서 볼 때에도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22c)의 상하 방향(토출 방향)의 중앙 근방이 외측을 향해 팽창하고, 노즐(22c)의 선단측이 내측(기판부(22a)의 대략 중심)을 향해 만곡되어 있어, 노즐(22c)의 측면에서 볼 때 형상이 대략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22c)의 외형을 따르도록 하여, 노즐(22c) 내의 연통로도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22c)(연통로)이 만곡 형성되어 있으면, 토출구(22d)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물은, 호를 그리도록 하여 만곡되면서 토출된다. 그 때문에, 처음에 토출된 토출물을 대상물에 부착시킨 상태로, 토출하면서 노즐(22c)을 대상물로부터 떨어뜨림으로써, 토출물은 팽창 방향인 외측(기판부(22a)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쓰러지기 쉬워지고, 전체적으로는 마치 꽃이 핀 것 같은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 토출물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된 기판부(22a)의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22c, 22c)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22a)의 중심에 가까운 노즐(22c)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부(22a)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꽃의 중심과 외측에서 개방 상태에 변화를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개의 노즐(22c)에 있어서, 선단면이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기판부(22a)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그것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예컨대, 그 고저차를 1∼3 mm로 하면, 노즐(22c)로부터의 거품이 잘 꺼진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토출 부재(20, 20A∼20C)는, 주로 장미꽃을 모방한 토출물을 얻기 위한 것이었지만, 본 토출 부재(20D)는, 백합꽃을 모방한 토출물을 얻기 위한 것이다.
노즐(22c)은,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중앙에 굴곡부를 가지며, 또한 굴곡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만곡된 대략 V자형이며, 외측으로 볼록해지도록 하여 기판부(22a) 상에 6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부(22a)의 외주측에 3개, 서로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됨과 함께, 이들의 내측에 3개, 외측의 노즐(22c, 22c)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좌우 단부를 서로 접촉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내측의 노즐끼리, 외측의 노즐끼리, 내측의 노즐과 외측의 노즐은, 각각 적어도 하단 근방에서 서로 떨어져 있어, 양자간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간극을 배수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노즐(22c)은, 모두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그리고 노즐(22c)의 외형을 따르도록 하여, 노즐(22c) 내의 연통로도 내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토출구(연통로)(22d)의 슬릿폭(W1)은, 평면에서 볼 때 그 중앙이 가장 넓고, 단부로 향함에 따라 좁게 되어 있다. 노즐(22c)의 선단면은, 중앙이 가장 높고, 단부로 향함에 따라 낮아지도록 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외측의 노즐(22c)에는, 그 외주측의 벽의 선단에, 연통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노치(22g)가 토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22a)의 중심에는, 「암꽃술」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형의 노즐(22h)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이 노즐(22h)에도, 그 선단에 노치(22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토출 부재(20D)에서는, 노즐(22c)이 내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토출물을 대상물에 부착시킨 상태로, 토출하면서 노즐(22c)을 대상물로부터 떨어뜨리면, 노즐(22c)로부터 토출되는 토출물은 외측으로 퍼지려 하고, 그 결과, 꽃이 핀 것 같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토출구(22d)(및 연통로)의 중앙의 슬릿폭(W1)이 단부에 비교해서 폭이 넓게 되어 있고, 또한 노즐(22c)의 선단면이, 중앙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중앙이 뾰족하기 때문에), 토출물을 대상물에 부착시킨 상태로, 토출 부재를 대상물로부터 떨어뜨리면, 중앙 부분의 거품이 단부의 거품에 비교해서 길게 노즐(22c)을 따라 가게 되어(중앙 부분이 끌어 올려지게 되어), 중앙이 뾰족한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토출 부재(20D)에서는, 전체적으로 백합꽃을 모방한 형상의 토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22c)의 선단에 노치(22g)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물에는 노치(22g)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줄기(능선)가 형성된다. 이 줄기는, 외관의 향상 외에, 거품체의 상하 방향의 강성을 높이는 기능도 한다.
토출 부재(20)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E)는, 노즐(22c)이 팽창실(E)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22c)은 기판부(22a)의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순서대로 낮게 되어 있지만, 기판부(22a)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가, 외측의 외주 노즐(22c1)에 비교해서 짧은 중심(내)측의 중간 노즐(22c2), 내주 노즐(22c3)에 있어서, 노즐(22c)의 하단측이 기판부(22a)의 하면으로부터 팽창실(E)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 상태는, 중간 노즐(22c2)과 내주 노즐(22c3)이 하측(베이스부(21)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22c)을 팽창실(E)측으로 돌출시켜, 노즐(22c)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하면,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길어지기 때문에, 토출물의 추가적인 발포를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토출물의 형상(두께)을 컨트롤하기 쉬워지고, 기판부(22a)의 중심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거품의 붕괴나 거품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정돈된 형태의 거품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22c)의 기판부(22a)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를 바꾼 것은 아니기 때문에, 노즐(22c)의 높이가 중심으로 갈수록 순서대로 낮게 되어 있다고 한 구성은 유지된 채로 있어, 노즐(22c)의 선단으로부터 거품이 잘 꺼진다(거품이 떨어진다)고 하는 효과나, 거품체가 입체적인 형상이 된다고 하는 효과는 변함없이 발휘하게 된다.
또, 각 노즐(22c)로부터 토출되는 거품체의 상태를 균일한 것으로 하기 위해, 슬릿부(22e)의 길이(L1)를 서로 같게 하도록, 팽창실(E)측으로의 노즐(22c)의 돌출 길이(L3)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짧으면 두께가 있는 거품체를 얻을 수 있고, 길이(L1)가 길면 두께가 얇은 거품체를 얻을 수 있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얻고자 하는 형상에 맞춰 적절하게 길이(L3)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하나의 노즐(22c)로 거품체의 두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기판부(22a)의 중심으로 향함에 따라서 짧아지는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에 맞춰,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3)도 짧게 하면 된다. 두께를 변화시키고 싶지 않은 경우는,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2)의 감소분을 보충하도록 하여,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L3)를 길게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22c)을 팽창실(E)측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형태에 비교해서 도출구(22b)가 도입구(21e)에 근접하고 있다. 따라서, 가장 도입구(21e)에 가까운 도출구(22b)보다 도입구(21e)에 더 근접하도록 하여 돌출면(27)을 마련하여, 방해판으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토출 부재(20C)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F)는, 팽창실(E)에 배수 기구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21)에 배수 구멍(21h)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21)에 배수 구멍(21h)을 구비하고 있으면, 노즐부(22)를 수세할 때 등에 팽창실(E) 내에 물이 들어가더라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배수 구멍(21h)은, 에어로졸 제품(4)을 바로 세운 상태에 있어서, 되도록이면 낮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서는, 상면(팽창실(E)측의 면)이 절구형(원추형)으로 된 베이스부(21)의 보울 형상체(21d)의 바닥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단순히 에어로졸 제품(4)을 놓아 두는 것만으로 저절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단, 사용시(내용물 토출시)에 배수 구멍(21h)이 개방되어 있으면, 팽창실(E) 내의 내용물이 배수 구멍(21h)으로부터 누출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토출 부재(20F)의 배수 기구는, 사용시에 배수 구멍(21h)을 막고, 비사용시, 즉, 노즐부(22) 및 베이스부(21)를 밀어 내리지 않을(기울이지 않을) 때에는 배수 구멍(21h)을 개방하는 폐색 부재(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폐색 부재(9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의 하측이며, 배수 구멍(21h)과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형상은 대략 원통형이며, 하부가, 에어로졸 용기(10)의 상면(마운팅컵)에 형성된 고리형의 홈부(10a)에 삽입되어 있다. 상부는 대략 돔형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베이스부(21)의 연결부(스템 장착부)(21a)를 내측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90a)을 구비하고 있다. 재질은 우레탄폼 등의 가요성을 갖는 수지나 고무 등이 이용된다.
상기 구성의 폐색 부재(90)는, 비사용시에는, 베이스부(21)의 하면과 접촉하지 않고, 배수 구멍(21h)과의 사이에 간극을 가진 상태이며, 배수 구멍(21h)으로부터의 유출을 방해하지 않는다. 물은 그 하측에 위치하는 폐색 부재(90)를 향해 흘러내리지만, 폐색 부재(90)의 삽입 관통 구멍(90a)의 내주면이 베이스부(21)의 연결부(21a)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스템(12a)측으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사용시에 있어서는, 대향하는(기울어진) 베이스부(21)의 하면에 폐색 부재(90)가 접촉하여, 배수 구멍(21h)이 막힌다. 그 때문에, 팽창실(E) 내의 내용물이 배수 구멍(21h)으로부터 누출되지는 않는다. 또, 도 10의 (b)는, 편의상 바로 세운 상태로 그린 것이며, 본 에어로졸 제품(4)도 상기 다른 에어로졸 제품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거꾸로 세운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토출 부재(20F)에서는, 베이스부(21)의 보울 형상체(21d)의 상면(팽창실(E)측의 면)이 절구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면(27)에 충돌하여 가로 방향으로 퍼지는 내용물이 외측의 노즐(22c)까지 원활하게 흘러가게 되어, 기판부(22a)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복수 마련된 노즐(22c) 모두로부터 균일하게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실(E) 내에 돌출된 노즐(22c)의 하단끼리 달라붙어 있어, 노즐부(21)의 하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도, 내용물이 원활하게 흐르는 것에 도움이 된다. 예컨대, 노즐부(21)의 하면을 원추형으로 형성하면, 더욱 원활해진다.
또한, 본 토출 부재(20F)는, 에어로졸 용기(10)의 상단에 끼우는 고리형의 숄더 커버(28)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부(21)가 힌지(28a)를 통해 숄더 커버(28)와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노즐(22c)이 기울어지도록 동작한다. 단, 반드시 힌지(28a)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필요는 없고, 상기 다른 토출 부재와 같이, 스템(12a)에 장착하기만 해도 된다. 29는, 폐색 부재(90)나 베이스부(21)의 주위를 덮는 화장 커버이다.
노즐(22c)의 선단면은, 기판부(22a)의 중심을 향해 내려가도록 하여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노즐(22c)로부터 거품이 잘 꺼진다. 또한, 노즐(22c)의 슬릿부(22e)가, 도출구(22b)로부터 토출구(22d)까지 대략 동일한 폭(짧은 방향(W1) 및 긴 방향(W2))으로 되어 있다. 다른 토출 부재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G)는, 거꾸로 세웠을 때(사용시)에만 팽창실(E)이 형성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22)가 베이스부(2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22)가 베이스부(2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베이스부(21)의 보울 형상체(21d)의 외연으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진 수직벽(21i)에 의해 그 외주가 둘러싸여 있고, 수직벽(21i)의 내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품(5)을 바로 세운 상태에서는, 노즐부(22)가 하측으로 내려가(베이스부(2)를 향해 슬라이딩하여), 베이스부(21)와 접촉한다. 보울 형상체(21d)의 상면은, 노즐부(22)의 하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대략 동일한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21)와 노즐부(22) 사이에 팽창실(E)은 형성되지 않는다.
사용시에, 에어로졸 제품(5)을 거꾸로 세우면(노즐(22c)을 아래로 향하게 하면), 노즐부(22)가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베이스부(2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팽창실(E)이 형성된다. 또, 노즐부(22)에는, 기판부(22a)를 직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결합 돌기(22k)가 형성되고, 수직부(21i)에는, 결합 돌기(22k)와 결합하는 결합편(91a)을 구비한 커버 부재(91)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부(22)가 빠지지 않는다. 또한, 수직벽(21i)의 내면에는, 결합 돌기(22k)를 따라서 세로홈(21j)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부(22)의 슬라이딩만을 허용하고, 회전을 구속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토출 부재(20G)에서는, 바로 세운 상태, 즉 비사용 상태에서는 팽창실(E)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뿌려지더라도 팽창실(E)에 물이 고일 우려도 없다. 또한, 사용후에 노즐부(22)를 베이스부(21)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팽창실(E)에 남은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어 청소도 간단하다. 팽창실(E)의 형성시에는, 노즐부(22)의 자체 중량 외에, 내용물의 토출압을 이용해도 좋다. 다른 토출 부재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20H)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H)에서는, 노즐(22c)의 슬릿부(22e)가, 도출구(22b)로부터 토출구(22d)까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릿부(22e)에서의 유로저항이 억제되어, 팽창실(E)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쉽다. 또, 슬릿부(22e)의 형상은, 도출구(22b)로부터 슬릿부의 도중까지를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하고, 도중으로부터 토출구(22d)까지를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출구(22b)로부터 슬릿부의 도중까지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하고, 도중으로부터 토출구(22d)까지를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슬릿부(22e)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22d)의 슬릿폭(W1)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다른 토출 부재와 마찬가지로, 거품의 형태가 붕괴되기 어렵고,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거품체를 얻을 수 있다. 슬릿부(22e)의 긴 방향의 폭(W2)에 관해서도, 도출구(22b)로부터 토출구(22d)까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해도 좋은 것 외에,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해도 좋고, 도중에 상이한 테이퍼나 대략 동일한 폭으로 전환해도 좋다.
또한, 이 토출 부재(20H)는, 복수의 노즐(22c)의 토대가 되어 있는 기판부(22a)의 중심축(100)(나선형으로 나열된 노즐(22c)의 중심이 되는 축)과, 에어로졸 용기(10)의 스템(12a)과 연결하는 연결부(21a)의 중심축(10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부(21)가 숄더 커버(28)에 힌지(28a)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기판부(22a)의 중심축(100)이, 연결부(21a)의 중심축(101)에 대하여 힌지(28a)측으로 오프셋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연결부(21a)의 중심축(101)은, 에어로졸 용기(10)나 스템(12a), 숄더 커버(28), 화장 커버(29)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기판부(22a)의 중심축(100)이 힌지(28a)측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면, 힌지(28a)의 반대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핑거 홀드(26)의 돌출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평면에서 볼 때 핑거 홀드(26)를 숄더 커버(28)나 화장 커버(29), 에어로졸 용기(10)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핑거 홀드(26)의 돌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노즐부(22)의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없어, 큰 발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제품을 사용할 때, 통상 집게손가락을 핑거 홀드(26)에 걸어 놓은 상태로, 엄지손가락,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용기(10)를 쥐도록 하여 들게 되지만, 핑거 홀드(26)가 평면에서 볼 때 에어로졸 용기(10)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집게손가락이 젖혀지지도 않고, 조작하기 쉽다. 도입구(21e)에 관해서는, 노즐부(22)의 중심축(100)에 맞춰 오프셋되어 있다. 단, 오프셋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면에 있어서, 핑거 홀드(26)의 하측에 위치하는 21k는, 숄더 커버(28)의 내측을 가리거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이다.
또한, 이 토출 부재(20H)는, 도 9나 도 10, 도 11의 토출 부재와 마찬가지로, 방해판으로서 기능하는 돌출면(27)이, 도출구(22b)보다 도입구(21e)에 근접하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포가 충분하지 않은 내용물이 노즐(22c)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토출 부재(20H)도 베이스부(21)의 보울 형상체(21d)의 상면이 절구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을 외측의 노즐(22c)까지 원활하게 흘릴 수 있다. 팽창실(E) 내에 돌출된 노즐(22c)의 하단끼리 달라붙어 있는 점도, 도 10이나 도 11의 토출 부재와 동일하다.
또한, 이 토출 부재(20H)는, 노즐(22c)의 외면이 선단(토출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은, 노즐(22c)의 선단(토출구(22d))까지, 바꾸어 말하면, 슬릿부(22e)를 구성하는 노즐의 내면과 접할 때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 선단의 두께가 매우 얇고, 말하자면 뾰족한 상태이며, 거품의 부착 면적이 작아지는 결과, 노즐(22c)로부터 거품이 잘 꺼진다. 다른 토출 부재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형태의 토출 부재(20J)를 나타내고 있다. 이 토출 부재(20J)에서는, 보울 형상체(21d)의 상면(내면)이 컵형(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팽창실(E)의 형상이 컵형(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팽창실(E)의 바닥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부위(보울 형상체(21d))를 컵형으로 함으로써, 이 부위를 절구형으로 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팽창실(E)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팽창실(E)에서 내용물을 충분히 발포시킬 수 있고, 또한 발포가 충분하지 않은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슬릿부(22e)에서 성형되어 외부로 토출된 거품의 형상이 붕괴되기 어려워진다.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토출 부재(20H)와 대략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팽창실(E)의 도입구(21e)와 도출구(22b)가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나, 스템(12)의 연장선상에 도출구(22b)가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방해판을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즉, 슬릿부의 토출 방향의 길이(L1)가 토출구의 슬릿폭(W1)보다 큰 점은 모든 토출 부재에서 공통되지만, 공통되지 않은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예컨대, 도 7∼도 11의 토출 부재(20C, 20D, 20E, 20F, 20G)의 연통로의 슬릿폭(W1)은 토출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어 있지만, 도 1의 토출 부재(20)나 도 12의 토출 부재(20H)와 동일하게 테이퍼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토출 부재(20C)에 방해판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경사면(22j)이나 팽창실(E)의 배수 기구에 관해서도, 각 토출 부재에 각각 적용 가능하다. 또, 폐색 부재(90) 대신에 손가락으로 배수 구멍(21h)을 막아도 좋다. 노즐(22c, 22c) 사이에 물구배를 마련하는 구성에 관해서도, 각 토출 부재에 적용 가능하다. 팽창실(E)의 바닥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부위(보울 형상체(21d))를 컵형으로 하는 구성에 관해서도, 각 토출 부재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부(21)를 공통 부재로 하여, 노즐부(22)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베이스부(21)에, 도 7∼도 13에 나타내는 노즐부를 교환 가능하게 부착해도 좋다.
1, 2, 3, 4, 5: 에어로졸 제품
10: 에어로졸 용기
11: 용기
12: 밸브 어셈블리
12a: 스템
20, 20A, 20B, 20C, 20D, 20E, 20F, 20G, 20H, 20J: 토출 부재
21: 베이스부
21a: 연결부
21b: 커버부
21c: 플랜지부(핑거 홀드)
21d: 보울 형상체
21e: 도입구
21f: 방해판
21g: 리브
21h: 배수 구멍
21i: 수직벽
21j: 세로홈
21k: 차폐판
22: 노즐부
22a: 기판부
22b: 도출구
22c: 노즐
22d: 토출구
22e: 슬릿부
22f: 조임부
22g: 노치
22h: 노즐
22i: 노치
22j: 경사면
22k: 결합 돌기
23: 구획 부재
23a: 돌출부
24: 연결통
25: 연결부
26: 핑거 홀드
27: 돌출면
28: 숄더 커버
28a: 힌지(지지점)
29: 화장 커버
30, 31: 구획된 공간
40, 41: 2개의 에어로졸 용기
50: 이중 에어로졸 용기
51: 외용기
51a: 헤드부
51b: 플랜지부
52: 내용기
52a: 헤드부
60: 2액 토출용의 밸브 어셈블리
61: 마운틴 커버
62: 하우징
62a: 하우징 측면의 연통 구멍
62b: 하우징 하측의 연통 구멍
63: 이중 스템
64: 외측 스템
64a: 스템 구멍
65: 내측 스템
65a: 스템 구멍
70: 구획 부재
71: 격벽
71a: 격벽의 도입구
71b: 유출 구멍
80: 제1 공간
81: 제2 공간
90: 폐색 부재
90a: 삽입 관통 구멍
91: 커버 부재
91a: 결합편
92: 레버
100: 노즐부의 중심축
101: 연결부의 중심축
Amax: 팽창실의 최대 단면적
V: 팽창실의 용적
C1: 제1 내용물
C2: 제2 내용물
E: 팽창실
S: 노즐 사이의 간극
L1: 슬릿부의 토출 방향의 길이
L2: 노즐의 기판부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높이)
L3: 노즐의 기판부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
W1: 토출구의 슬릿폭(노즐의 두께 방향의 폭)
W2: 토출구의 긴 방향의 폭
X: 토출물

Claims (20)

  1.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에 연결하기 위한 토출 부재로서,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의 발포를 촉진하는 팽창실을 갖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세워져, 상기 팽창실의 발포성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
    을 포함하며,
    상기 팽창실에는, 상기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발포성 내용물을 도입하는 도입구와, 발포성 내용물을 노즐측으로 도출하는 도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은 슬릿 형상의 토출구를 가지며,
    이 토출구와 상기 도출구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는 슬릿 형상의 슬릿부를 가지며, 슬릿부의 토출 방향의 길이가 토출구의 슬릿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가 토출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에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방해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의 선단면이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인 토출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즐의 외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테이퍼면이 토출구까지 연속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노즐의 높이가 상이한 것인 토출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가 토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이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중심으로 갈수록 노즐의 높이가 순서대로 낮아지는 것인 토출 부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노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선단에 토출 방향을 따라서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팽창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높이가 낮은 노즐이 팽창실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이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에 각각 도입구 및 도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에 배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인 토출 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배수 구멍을 막고, 비사용시에 배수 구멍을 개방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토출 부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꾸로 세웠을 때에 상기 팽창실이 형성되는 것인 토출 부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의 토대가 되는 기판부의 중심축이, 에어로졸 용기의 스템과 연결하는 연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토출 부재.
  20.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에,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출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진 에어로졸 제품.
KR1020187024058A 2016-01-29 2017-01-27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KR20180109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6537 2016-01-29
JP2016016537 2016-01-29
JP2016103887 2016-05-25
JPJP-P-2016-103887 2016-05-25
JPJP-P-2016-132357 2016-07-04
JP2016132357 2016-07-04
PCT/JP2017/003046 WO2017131197A1 (ja) 2016-01-29 2017-01-27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949A true KR20180109949A (ko) 2018-10-08

Family

ID=5939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058A KR20180109949A (ko) 2016-01-29 2017-01-27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5930B2 (ko)
EP (1) EP3409618B1 (ko)
JP (1) JP6914199B2 (ko)
KR (1) KR20180109949A (ko)
CN (1) CN108602612B (ko)
WO (1) WO2017131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9170B2 (en) 2016-09-20 2022-05-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nsulation sh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1074B (zh) * 2016-04-15 2020-03-03 花王株式会社 泡沫吐出装置
WO2017179684A1 (ja) * 2016-04-15 2017-10-19 花王株式会社 泡吐出装置
JP6746373B2 (ja) * 2016-05-18 2020-08-26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6582027B2 (ja) * 2016-09-29 2019-09-25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JP6932509B2 (ja) * 2017-01-18 2021-09-08 株式会社ダイゾー 発泡性エアゾール製品
JP1598577S (ko) * 2017-06-26 2018-02-26
JP6994883B2 (ja) * 2017-09-25 2022-01-14 株式会社ダイゾー 発泡性内容物の吐出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EP3489171A1 (en) 2017-11-23 2019-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iston with flexible closure for aerosol container
US11053067B2 (en) 2017-12-04 2021-07-06 Daizo Corporation Discharging nozzle for foamable contents, and aerosol product
EP3513880B1 (en) 2018-01-23 2021-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a foamable product
JP7108456B2 (ja) * 2018-04-26 2022-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ヘッド及びエアゾール式吐出容器
JP7157562B6 (ja) * 2018-06-05 2023-01-10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部材および吐出製品
US10850914B2 (en) 2018-11-08 2020-12-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p tube aerosol dispenser with upright actuator
US11267644B2 (en) * 2018-11-08 2022-03-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erosol foam dispenser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textured foam product
JP6983191B2 (ja) * 2019-03-29 2021-12-17 花王株式会社 液体吐出器
US11253111B2 (en) 2019-08-22 2022-02-22 Gpcp Ip Holdings Llc Skin care product dispensers and associated self-foam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0357U (ja) * 1983-05-31 1984-12-17 日本フイリン株式会社 発泡性エヤゾ−ル製品用吐出スパウト
JPH0541798Y2 (ko) * 1988-03-08 1993-10-21
JPH0245161U (ko) * 1988-09-22 1990-03-28
JPH09183469A (ja) * 1995-12-27 1997-07-15 Yoshino Kogyosho Co Ltd 時限式殺虫剤容器
JPH09183468A (ja) * 1995-12-27 1997-07-15 Rimoo Kk 保持容器
FR2744104B1 (fr) 1996-01-29 1998-03-2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un gel ou mousse
EP1076015B1 (de) * 1999-08-09 2005-12-21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Schaumkopf
JP3581062B2 (ja) * 1999-11-01 2004-10-27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
JP4499257B2 (ja) 2000-08-03 2010-07-07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部材
CA2544215A1 (en) * 2003-11-17 200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composition and applicator therefor
JP2006290408A (ja) * 2005-04-11 2006-10-26 Tokyo Koyama Plastic Kk エアゾール容器用のスパウト
JP2006325981A (ja) * 2005-05-26 2006-12-07 Kyowa Industrial Co Ltd マッサージ機能を備えた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
JP4859552B2 (ja) * 2006-06-21 2012-01-25 株式会社ダイゾー エアゾール製品
DK2218655T3 (da) * 2006-09-11 2013-02-04 Friesland Brands Bv Aerosolbeholder
US20090188950A1 (en) * 2008-01-25 2009-07-30 Gaus David J Valve for decorative dispensing
JP5412106B2 (ja) * 2008-12-25 2014-02-12 ライオン株式会社 泡吐出用アダプタ及び泡ポンプ付き容器
EP2505266B1 (en) * 2009-11-25 2020-03-18 Daizo Corporation Spray nozzle and aerosol product
CN103097261B (zh) * 2010-09-09 2014-11-19 三谷阀门有限公司 执行器倒立定量喷射机构以及具备该执行器倒立定量喷射机构的喷雾式制品
JP5984340B2 (ja) * 2010-09-17 2016-09-06 株式会社三谷バルブ 二液吐出装置
ITMI20120212A1 (it) * 2012-02-15 2013-08-16 Silver S N C Adattatore per bombolette spray
JP5972046B2 (ja) 2012-05-21 2016-08-17 株式会社ダイゾー エアゾール容器用の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6117005B2 (ja) * 2013-05-31 2017-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及び吐出具
JP6501713B2 (ja) * 2013-10-31 2019-04-17 株式会社ダイゾー 2液吐出容器
GB201321484D0 (en) * 2013-12-05 2014-01-22 Kokomo Ltd Foam formulation and aerosol can assembly
JP6274989B2 (ja) * 2014-06-30 2018-02-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CN109071074B (zh) * 2016-04-15 2020-03-03 花王株式会社 泡沫吐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9170B2 (en) 2016-09-20 2022-05-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insulation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5930B2 (en) 2020-04-21
WO2017131197A1 (ja) 2017-08-03
JPWO2017131197A1 (ja) 2018-11-15
US20190047777A1 (en) 2019-02-14
JP6914199B2 (ja) 2021-08-04
CN108602612B (zh) 2020-11-13
EP3409618B1 (en) 2023-08-23
EP3409618A4 (en) 2019-10-02
EP3409618A1 (en) 2018-12-05
CN108602612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9949A (ko) 토출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
JP7030408B2 (ja) 発泡体の吐出製品および吐出方法
US20220104665A1 (en) Foam discharge container
CN107921448B (zh) 用于喷射产品的装置
JP597204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の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6914017B2 (ja) 噴射ユニット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2017214137A (ja) 発泡性内容物用の吐出部材
PL202867B1 (pl) Ściskane urządzenie rozpylające, sposób zastosowania płynnej kosmetycznej kompozycji, sposób zastosowania płynnej dezodorującej kompozycji oraz produkt konsumpcyjny
JP7157562B6 (ja) 吐出部材および吐出製品
JP7060947B2 (ja) 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6746373B2 (ja)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6994883B2 (ja) 発泡性内容物の吐出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7013229B2 (ja) 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EP3448779B1 (en) Modified spray head
JP7474111B2 (ja) 吐出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2023000163A (ja) 吐出製品
JP2022085715A (ja)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及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KR20200094737A (ko)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JPH11114461A (ja) 噴出器
JP200133508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